KR102362967B1 -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2967B1 KR102362967B1 KR1020210028257A KR20210028257A KR102362967B1 KR 102362967 B1 KR102362967 B1 KR 102362967B1 KR 1020210028257 A KR1020210028257 A KR 1020210028257A KR 20210028257 A KR20210028257 A KR 20210028257A KR 102362967 B1 KR102362967 B1 KR 102362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distance
- base plate
- caught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110)와,상기 거리센서(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20)과, 상기 베이스판(120)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H)의 배면(B)에 지지되는 지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120)은,
전방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전면(F)에 걸리는 플랜지(121)와, 상기 플랜지(121)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130)가 걸리는 컬링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30)는 탄성을 구비한 와이어로서,
상기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선단부(134)가 하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134)의 상부(T)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35)와, 상기 걸림부(135)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압축부(137)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스마트폰(H)에서 카메라 렌즈(L)의 위치가 배면의 상부 일측에 치우쳐져 있거나, 도 8에서처럼, 중앙에 카메라 렌즈(L)와 버튼(R)이 배치되더라도 장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L)와 버튼(R)의 배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H)이 수첩형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다.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110)와,상기 거리센서(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20)과, 상기 베이스판(120)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H)의 배면(B)에 지지되는 지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120)은,
전방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전면(F)에 걸리는 플랜지(121)와, 상기 플랜지(121)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130)가 걸리는 컬링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30)는 탄성을 구비한 와이어로서,
상기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선단부(134)가 하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134)의 상부(T)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35)와, 상기 걸림부(135)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압축부(137)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스마트폰(H)에서 카메라 렌즈(L)의 위치가 배면의 상부 일측에 치우쳐져 있거나, 도 8에서처럼, 중앙에 카메라 렌즈(L)와 버튼(R)이 배치되더라도 장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L)와 버튼(R)의 배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H)이 수첩형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피측정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에 장착되는데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스마트폰에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1)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스마트폰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뒤집어 전면이 표현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배면에 카메라렌즈와 온오프 버튼이 배치된 스마트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스마트폰이 수첩 스타일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 기재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일반적인 스마트폰(50)과 협력하여 물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1)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1)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50)에서 피측정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센서, 초음파센서 등의 거리센서(10)가 구성되고, 상기 거리센서(10)에 연결되어 스마트폰(50)의 배면(디스플레이 반대측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0)에서 거리센서(10)의 상대측에 연결되어 스마트폰(50)을 홀딩하는 클램프(30)가 구성된다. 또한, 거리센서(10)의 거리데이터를 스마트폰(50)으로 온라인 발신하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플레이트(20)의 전면(스마트폰에 밀착되는 부분)에 수납되거나, 거리센서 (10)에 내장되어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30)는 스마트폰(50)의 양측에 걸리는 암(35, arm)이 벌어졌다가 오므라질 수 있는 것으로서, 오므라진 상태에서 잠금이 유지되고 해제 가능하므로 다양한 폭의 스마트폰(50)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1)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것처럼, 상기 클램프(30)의 암(35)을 벌려서 플레이트(20)와 클램프(30)를 스마트폰(50)의 배면에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암(35)을 좁혀서 스마트폰(50)을 홀딩하도록 한다. 이때, 양측 암(35)은 벌어지지 않고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거리센서(10)는 스마트폰(50)의 일측 단부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2에서처럼 상기 거리센서(10)를 작동시켜서 피측정 물체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거리센서(10)는 레이저센서 내지는 초음파센서 등으로서 레이저나 초음파를 조사시켜서 반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거리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스마트폰(50)에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폰(50)은 상기 거리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상태에서 스마트폰(50)의 화면에 표시된 피측정 물체에서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양측 점(P)을 손가락으로 터치한다. 그러면, 스마트폰(50)은 거리데이터와 양측 점(P) 사이의 화소 수를 코딩된 공식에 입력하여 양측 점(P)의 실제 길이를 출력한다. 이때, 스마트폰(50)에 상기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설치됨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배경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도 3에서 도시한 것처럼, 스마트폰(50)의 배면 중앙부에 카메라렌즈(51)와 버튼(53)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20)와 클램프(30)가 카메라렌즈(51)와 버튼(53)을 가리기 때문에 장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양한 디자인의 스마트폰(50)에 적용될 수 있는 호환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둘째, 도 4에서처럼 스마트폰(50)이 수첩 스타일의 케이스(60)에 수납된 경우에는 상기 클램프(30)로 스마트폰(50)과 케이스(60)를 동시에 홀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렌즈와 버튼의 위치에 상관 없이 다양한 디자인의 스마트폰에 장착될 수 있는 호환성을 갖도록 한다.
둘째, 수첩 스타일의 케이스에 수납된 스마트폰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거리센서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지지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은,
전방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걸리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가 걸리는 컬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탄성을 구비한 와이어로서,
상기 컬링부에 걸리도록 선단부가 하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의 상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압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부의 하부 종단부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완충이 가능한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할 수도 있다.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거리센서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지지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은,
전방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걸리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가 걸리는 컬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ㄱ형의 판재로서,
상기 컬링부에 걸리도록 선단부가 하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의 상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후방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전면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형성된 에어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판을 관통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마트폰에서 카메라 렌즈의 위치가 배면의 상부 일측에 치우쳐져 있거나, 배면의 중앙에 카메라 렌즈와 버튼이 배치되더라도 장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와 버튼의 배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이 수첩형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스마트폰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뒤집어 전면이 표현되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배면에 카메라렌즈와 온오프 버튼이 배치된 스마트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스마트폰이 수첩 스타일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카메라렌즈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카메라렌즈가 중앙에 배치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케이스에 수납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뒤집어 전면이 표현되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배면에 카메라렌즈와 온오프 버튼이 배치된 스마트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스마트폰이 수첩 스타일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카메라렌즈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카메라렌즈가 중앙에 배치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케이스에 수납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100)의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카메라렌즈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카메라렌즈가 중앙에 배치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가, 케이스에 수납된,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처럼,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110)가 구성되고, 상기 거리센서(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20)이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120)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H)의 배면(B)에 지지되는 지지부(130)가 구성된다.
상기 거리센서(110)는 일례로서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조사(照射)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에 발신하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부가 내장된 것이다. 상기 거리센서(110)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판(120)은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스마트폰(H)의 일측 단부에 밀착되는 직방형의 판상인데, 전방(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쪽) 단부에 하방으로 Г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전면(F)에 걸리는 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1)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지지부(130)가 걸리는 컬링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탄성을 구비한 와이어로서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상기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선단부(134)가 하방으로 ⊂형이 되게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134)의 상부(T)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35)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압축부(13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35)와 압축부(137)를 힘을 가하여 벌린 상태에서 힘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서 원상으로 복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부(137)의 하부 종단부에는, 스마트폰(H)의 배면(B)에 밀착된 상태에서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이 가능한 고무나 합성수지 드의 캡(139)이 씌워진다.
이상, 살펴본 상기 실시예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처럼, 상기 베이스판(120)을 스마트폰(H)의 일측 단부, 일례로 상단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플랜지(121)가 스마트폰(H)의 전면(F)에 밀착되어 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130)의 걸림부(135)의 선단부(134)가 베이스판(120)의 후방에 형성된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상기 압축부(137)를 후방으로 당겨서 상기 캡(139)이 스마트폰(H)의 배면(B)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130)는 견고한 버팀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를 구비하여 사용하며, 컬링부(123)를 따라서 선단부(134)가 좌우측으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적정 위치에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처럼 카메라 렌즈(L)의 위치가 상부 일측에 치우쳐져 있거나, 도 8에서처럼, 중앙에 카메라 렌즈(L)와 버튼(R)이 배치되더라도 장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L)와 버튼(R)의 배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다.
이렇게 장착되면 도 5에서처럼, 탄성에 의해서 상기 압축부(137)에는 원상으로 복귀할려는 회전력(F)이 스마트폰(H) 쪽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걸림부(135)에는 후방으로 인장력(E)이 작용하게 되면서 상기 베이스판(120)을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베이스판(120)은 플랜지(121)가 스마트폰(H)에 걸려 있기 때문에 후진하지 않고 스마트폰(H)에 장착된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거리센서(110)를 스마트폰(H)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처럼 스마트폰(H)이 수첩형의 케이스(C)에 수납된 경우에도 케이스(C)의 겉면에 지지부(130)가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본 발명과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110)가 구성되고, 상기 거리센서(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20)이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120)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H)의 배면(B)에 지지되는 지지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거리센서(110)는 일례로서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조사(照射)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에 발신하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부가 내장된 것이다. 상기 거리센서(110)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판(120)은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스마트폰(H)의 일측 단부에 밀착되는 직방형의 판상인데, 전방(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쪽) 단부에 하방으로 Г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전면(F)에 걸리는 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1)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지지부(130)가 걸리는 컬링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ㄱ형의 판재로서, 상기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선단부(144)가 하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144)의 상부(S)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43)의 후방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4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145)의 전면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형성된 에어튜브(147)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튜브(147)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판(145)을 관통하는 체크밸브(149)가 구성된다.
상기 에어튜브(147)는 뿅망치처럼 주름이 형성되어 수축 팽창이 자유로운 것이고, 상기 체크밸브(149)를 통해서 주사기 등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스마트폰(H) 쪽, 즉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게 되고, 공기를 배기시키면 후방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149)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자동으로 배기가 방지되는 것이고 핀 등을 찔러 넣게 되면 공기가 배기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상기 베이스판(120)을 스마트폰(H)의 일측 단부, 일례로 상단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플랜지(121)가 스마트폰(H)의 전면(F)에 밀착되어 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143)의 선단부(144)가 베이스판(120)의 후방에 형성된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체크밸브(149)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튜브(147)가 팽창하여 스마트폰(H)의 배면(B)을 밀어내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143)가 도 10에서처럼 후진하게 됨으로써 베이스판(120)을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베이스판(120)의 플랜지(121)가 스마트폰(H)의 전면에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베이스판(120)은 스마트폰(H)에 장착된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거리센서(110)를 스마트폰(H)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40)는 도 11에서처럼 다수 개를 구비하여 상기 컬링부(123)를 따라 이동하면서 적정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H)의 렌즈나 버튼 등을 피해서 배치시킬 수 있고 스마트폰(H)이 수첩형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100: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110: 거리센서
120: 베이스판 121: 플랜지
123: 컬링부 130: 지지부
135: 걸림부 137: 압축부
139: 캡 140: 지지부
143: 걸림부 145: 하부판
147: 에어튜브 149: 체크밸브
120: 베이스판 121: 플랜지
123: 컬링부 130: 지지부
135: 걸림부 137: 압축부
139: 캡 140: 지지부
143: 걸림부 145: 하부판
147: 에어튜브 149: 체크밸브
Claims (4)
-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110)와,
상기 거리센서(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20)과,
상기 베이스판(120)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H)의 배면(B)에 지지되는 지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120)은,
전방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전면(F)에 걸리는 플랜지(121)와,
상기 플랜지(121)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130)가 걸리는 컬링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30)는 탄성을 구비한 와이어로서,
상기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선단부(134)가 하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134)의 상부(T)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35)와,
상기 걸림부(135)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압축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137)의 하부 종단부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완충이 가능한 캡(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데이터를 스마트폰(H)으로 발신하는 거리센서(110)와,
상기 거리센서(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일측단부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20)과,
상기 베이스판(120)에 걸려서 상기 스마트폰(H)의 배면(B)에 지지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120)은,
전방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폰(H)의 전면(F)에 걸리는 플랜지(121)와,
상기 플랜지(121)의 상대측인 후방단부에 상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140)가 걸리는 컬링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40)는 ㄱ형의 판재로서,
상기 컬링부(123)에 걸리도록 선단부(144)가 하방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개방되고, ⊂형의 상기 선단부(144)의 상부(S)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43)와,
상기 걸림부(143)의 후방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45)과,
상기 하부판(145)의 전면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형성된 에어튜브(1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147)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판(145)을 관통하는 체크밸브(1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8257A KR102362967B1 (ko) | 2021-03-03 | 2021-03-03 |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8257A KR102362967B1 (ko) | 2021-03-03 | 2021-03-03 |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2967B1 true KR102362967B1 (ko) | 2022-02-15 |
Family
ID=8032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8257A KR102362967B1 (ko) | 2021-03-03 | 2021-03-03 |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296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5631A (ko) * | 2012-10-09 | 2014-04-17 |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 레이저 거리 측정기 |
KR20180056534A (ko) | 2016-11-19 | 2018-05-29 | 김진형 |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
-
2021
- 2021-03-03 KR KR1020210028257A patent/KR1023629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5631A (ko) * | 2012-10-09 | 2014-04-17 |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 레이저 거리 측정기 |
KR20180056534A (ko) | 2016-11-19 | 2018-05-29 | 김진형 |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s://youtube.com/watch?v=5LP2Xb6YkKc (2019.01.03.)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0810B1 (ko) | 원거리 제스쳐 인식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 |
JP5034359B2 (ja) | 画像認証装置、画像認証方法、画像認証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電子機器 | |
US8851685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GUI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2005071118A5 (ko) | ||
US20140066784A1 (en) | Endoscope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 |
CN104811544A (zh) |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 | |
EP2264621A3 (en) | Provision of target specific information | |
KR20150034832A (ko) |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증 수행 및 사용자 지문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 | |
CN108833716A (zh) | 光照强度确定方法及装置 | |
KR102362967B1 (ko) |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 |
JP2010519622A5 (ko) | ||
KR101019614B1 (ko) | 촬영이미지의 기준점별 정밀도화를 위한 공간영상도화기 | |
US20130305551A1 (en) | Dimension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 |
US20210341620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ICRO-VIBRATION DATA EXTRACTION USING A TIME OF FLIGHT (ToF) IMAGING DEVICE | |
CN108463993A (zh) | 用于相位检测自动聚焦(af)的焦点摆动防止 | |
JP2018506872A5 (ko) | ||
CN105635570B (zh) | 拍摄预览方法和系统 | |
TW201013372A (en) | Computer with integrated light | |
KR102398291B1 (ko) |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WO2019104824A1 (zh) | 一种显示装置及其弯折程度的检测方法 | |
JP5773003B2 (ja)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5788108A (zh) | 一种具有扫描镜像二维码功能的pos机 | |
CN104811545A (zh) | 一种终端 | |
CN109478225A (zh) | 读取装置、程序以及单元 | |
US10709344B2 (en) | Measuremen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