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857A - 공유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 - Google Patents

공유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857A
KR20180055857A KR1020187010700A KR20187010700A KR20180055857A KR 20180055857 A KR20180055857 A KR 20180055857A KR 1020187010700 A KR1020187010700 A KR 1020187010700A KR 20187010700 A KR20187010700 A KR 20187010700A KR 20180055857 A KR20180055857 A KR 2018005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frequency
frequency band
request
target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288B1 (ko
Inventor
퀴 수에
피어라폴 틴나코른스리수팝.
빈 티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5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6Communications with or from aircraft, i.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04W72/12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다양한 양상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방법의 양상들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예시적인 방법은,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방법은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로 튜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UAV와 연관된 제어기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예시적인 장치들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해 제공되며, 예시적인 장치들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개시된 예시적인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공유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
[0001] 본 출원은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NAGEMENT IN SHARED FREQUENCY BANDS"라는 명칭으로 2015년 9월 17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857,34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통합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원격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유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때, UAV(unmanned aerial vehicle) 및 원격 UAV 제어기와 같은 한 쌍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채널과 연관된 동작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 상의 간섭을 검출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이러한 간섭은 UAV 및 제어기에 의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통해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0004] 일부 예들에서, 간섭은 UAV 및 제어기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존재가 알려지지 않은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AV가 연관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가 있는 건물 또는 그 근처에 우연히 로케이팅되는 경우, 예를 들어, UAV와 연관된 제어기가 실외에 로케이팅된다면, 연관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가 이 제어기에 알려지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기가 동일한 동작 주파수를 통해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다른 제어기 근처에 로케이팅되는 경우, UAV가 (예를 들어, 비교적 높은 고도에 있는) 간섭 제어기의 신호 범위 밖에 로케이팅된 경우, UAV는 이 다른 간섭 제어기를 알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및/또는 그 대응하는 UAV)에 알려지지 않은 별개의 간섭 UAV가 그 자신의 다른 대응하는 제어기에 간섭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들 예시적인 시나리오들 각각에서, 송신 범위들이 겹치는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을 동시에 사용하려고 시도할 때 발생하는 신호 "충돌"의 비교적 높은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공유된 채널을 통해 송신된 다수의 충돌 신호들의 고유 신호를 수신 및 디코딩하려고 시도하는 디바이스들 각각은 다른 충돌 신호들로부터 고유 신호를 구별할 수 없을 수 있다.
[0005] 따라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개선된 기술들이 필요하다.
[0006] 본 개시는 향상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방법은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07] 본 개시내용은 또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장치를 개시한다. 부가적으로, 예시적인 장치는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예시적인 장치는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08] 또한,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장치를 개시하며, 이 예시적인 장치는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메모리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이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게 한다. 또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0009]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를 고려한다. 예시적인 장치는 또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예시적인 장치는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기 위한 주파수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0010]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가 또한 제시된다. 일 양상에서,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는 또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 및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에 튜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양상들은 다른 그리고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그 몇몇 세부 사항들은 다양한 다른 양상들에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성격상 예시적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0012] 이제,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상세한 설명에 제시될 것이다 :
[0013] 도 1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배치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14] 도 2a는 페어링된 이동국 및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WLAN 배치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5] 도 2b는 이동국 및 액세스 포인트로서 페어링된 UAV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WLAN 배치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6]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채널 관리자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7] 도 4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18] 도 5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가 통신할 수 있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순차적 변경의 예시적인 타임라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0019] 도 6은 무선 통신 채널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20] 도 7은 이동국과 액세스 포인트가 통신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순차적 변경의 타임라인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제시한다.
[0021] 도 8은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제시한다.
[0022] 도 9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호 흐름도를 예시한다.
[0023] 도 10은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제시한다.
[0024] 도 11은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호 흐름도를 예시한다.
[0025] 도 12는 무선 채널 관리를 교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RTS 메시지/CTS 메시지 프로세스의 타임라인을 예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0026] 도 13은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제시한다.
[0027] 도 14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28] 다양한 개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당업자에 의해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제시된 어느 특정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을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개념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하며, 당업자에게 이러한 개념들의 범위가 충분히 전달되도록 제공된다. 상세한 설명은 특정 세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이들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0029] 무선 통신 환경에서 신호 충돌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때, 디바이스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가 이미 송신 중임을 검출할 경우, 디바이스로 하여금, 특정 동작 주파수 대역(이는 무선 통신 채널을 정의할 수 있음)을 통해 하나 이상의 신호들의 송신을 일시 정지하게 하는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이다. 송신을 일시 정지한 후에, 동작 주파수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결정하면, 이 디바이스는, 랜덤하게 생성된 시간 간격(또는 "백 오프 기간")을 대기한 후에, 송신이 이전에 일시 정지되었던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송신한다.
[0030] 송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와 동일한 무선 통신 환경에 로케이팅될 수 있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숨겨져"있는 경우(즉, 특정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무선 송신들을 검출하거나 수신할 수 없게 하는 포지션에 로케이팅된 경우), 디바이스는 동작 주파수가 이용되지 않고 있는 것처럼 송신을 수행하여, 송신 디바이스의 송신과 신호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0031] "숨겨진" 디바이스로 인한 신호 충돌을 줄이기 위해,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통신 프로토콜 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은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로 불리는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환경에서 신호 충돌과 관련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RTS/CTS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송신하기 전에,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또는, 일부 경우에서는, 특정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신호 송신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채널 관리 디바이스)에 RTS 메시지를 송신한다. RTS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디바이스(또는 채널 관리 디바이스)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잠재적으로 신호 충돌을 야기할 수 있는 다른 진행(또는 예정) 신호 송신들이 주파수 대역에 없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에 잠재적으로 충돌하는 신호들이 없다고 결정되면, 수신 디바이스 또는 채널 관리 디바이스는, 송신 디바이스가 RTS 메시지를 프롬프팅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자유롭게 송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CTS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가 CTS를 수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송신한다.
[0032] 그러나 제한된 프로세싱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비교적 빠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특정 무선 애플리케이션에서, RTS/CTS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오버헤드 및 관련 프로세싱 리소스들은 그러한 무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통신 레이트들이 허용 가능한 수준들 이하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0033] 이러한 기술들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채널 관리를 위한 다양한 양상들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신하는 UAV 및 관련 UAV 제어기(또는 간단히 "제어기")와 같은 공중 디바이스 동작들에 관련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다른 유형들의 스테이션들(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공중 디바이스 제어에 관여하지 않는 다른 유형들의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조건들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 조건들은, 디바이스들이 통신 링크를 설정한 동작 주파수 대역에 간섭, 또는 간섭의 표시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통신 링크에서 간섭을 피하고 적절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동작 주파수 대역(또는 대응하는 채널)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0034] 또한, 본 개시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몇 가지 예시적인 기술들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의 설정 시, 디바이스들은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고, 트리거 조건이 검출될 때,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순차적으로 튜닝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을 개시하는 트리거 조건은, 가장 최근의 주파수 대역 변경,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비디오 패킷, 음성 패킷 등) 전달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이후에 시간 기간이 경과되었다는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0035]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들 각각은,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특정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개별적으로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트리거 조건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통신과 관련된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또는 송신 패킷 에러율이 각각의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비제한적인 예들에서, 그러한 임계치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은, 송신된 프레임들의 세트 중의 프레임들의 수를 나타내는 백분율 값(즉, 여기서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이용됨)일 수 있다. 더욱이, 임계치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 및/또는 디코딩되지 않은,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패킷들의 세트 중의 패킷들의 수를 나타내는 백분율 값일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임계 값에 대한 이러한 백분율 값은, 50%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임의의 백분율 값일 수 있다. 더욱이, 통신 링크의 설정 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하기보다는, 디바이스들 각각은 생성된 요청에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요청을 수신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이 승인된 경우, 디바이스들은 추가 패킷 통신을 계속하기 위해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될 수 있다. 추가 최적화에서, 요청 및 연관된 응답은 상술된 RTS/CTS 절차에 통합될 수 있다.
[0036] 따라서, 본 개시에 의해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기술들을 이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AV 및 제어기)은,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의 간섭과 관련된 단점, 이를테면, 저하된 채널 조건들 및 잠재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설명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들에 대한 지속적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정된 무선 통신 채널 변경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연관된 충돌 확률이 증가된 혼잡한 채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임의의 장기간의 통신 중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37] 도 1은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해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과 관련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배치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100)이다. WLAN은 각각의 AP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들 및 하나 이상의 이동국(ST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WLAN 배치는 또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배치된 것으로 일컬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각각의 AP는 네트워크 액세스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연관된 STA들(115)과 통신하고, 이에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인 애드 혹(또는 "피어-투-피어"(P2P)) 네트워크 배치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0038] 도 1에 예시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예에서, 2개의 AP들이 배치된다: BSS1(basic service set 1)에서의 AP1(105-a) 및 BSS2에서의 AP2(105-b). AP1(105-a)이 적어도 2개의 연관된 STA들(STA1(115-a) 및 STA2(115-b)) 및 커버리지 영역(110-a)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AP2(105-b)는 적어도 2개의 연관된 STA들(STA1(115-a) 및 STA3(115-c)) 및 커버리지 영역(110-b)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의 예에서, AP1(105-a)의 커버리지 영역이 AP2(105-b)의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여 STA1(115-a)이 커버리지 영역들의 중첩 부분 내에 있다. 도 1의 WLAN 배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BSS, AP들 및 STA들의 수, 및 AP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은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제공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의 양상들은 도 1의 예시적인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WLAN 배치에 기초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들의 양상들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애드혹 또는 P2P WLAN 배치를 구현하는 디바이스들과 같은 2개의 페어링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0039] 도 1에 도시된 AP들(예를 들어, AP1(105-a) 및 AP2(105-b))은 그 커버리지 영역 또는 지역 내의 STA들에 백홀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정된 단말들이다. 그러나,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AP는 이동 단말 또는 비-고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AP(105)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UAV, 이를테면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드론(도 2b 참조))로 구성될 수 있거나, 다른 예들에서, 특정 STA(115)(예를 들어, STA(115)가 UAV인 경우)와 연관된 핸드헬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동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된, 고정되지 않은, 또는 이동 단말들일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STA들(예컨대, STA1(115-a), STA2(115-b) 및 STA3(115-c))은 이들 각각의 AP(105)의 백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일부 대안적인 예들에서, AP(105)는 배터리 구동식이고 비교적 이동식일 수 있으며, AP(105)에 의해 제공되는 백홀 서비스는, AP(105)와, 별개의 고정된 통신 디바이스, 이를테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고정된 AP(105), 기지국 또는 eNodeB, 또는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와 궁극적으로 인터페이스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STA들(115))에 애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오버-디-에어 통신 링크로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AP(105)는 STA(115)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AP(105)와 STA(115) 사이의 시간 동기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파일럿 신호들 또는 비콘 신호들(하나 이상의 파일럿 패킷들 또는 비컨 패킷들을 포함함)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0] STA의 예들은: UAV(예를 들어, 드론), 셀룰러폰, 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 통신 시스템(PCS) 디바이스, 개인 정보 관리자(PIM), 개인 네비게이션 디바이스(PND),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오디오 디바이스, IoT(Internet-of-Things)용 디바이스 또는 AP의 백홀 서비스들을 요구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무선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A는 또한 당업자에 의해: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스테이션,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사용자 장비(UE)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AP는 또한: 제어기, UAV 제어기, 드론 제어기, 이동국 제어기, 기지국, 송수신 기지국,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송수신기, 송수신기 기능,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이동국(115)은 UAV(예를 들어, 드론)일 수 있고, AP(105)는 비행 이동, 추적, 위치, 오디오 및 비디오 캡처 기능, 세팅들, 이륙 및 착륙 절차, 통신 특성들 또는 UAV와 연관된 임의의 다른 기능이나 세팅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어기일 수 있다. 더욱이, UAV와 그의 제어기 쌍 사이의 통신이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에 대한 예시적인 유스-케이스를 구성하지만,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개념들은, 이들의 특정 구조들 및 명칭들에 무관하게, 모든 적합한 무선 장치, 네트워크 및 환경들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0041] STA1(115-a), STA2(115-b) 및 STA3(115-c) 각각은,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채널의 물리적 및 전기적 사양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물리 계층, 무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링크 계층, 소스에서 목적지로의 데이터 전달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계층, 최종 사용자들 사이의 데이터의 투명한 전달을 관리하기 위한 전송 계층, 및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거나 지원하기 위해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임의의 다른 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2] AP1(105-a) 및 AP2(105-b) 각각은 연관된 STA들이 통신 링크들(125)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AP들은 그들 각각의 STA들에 프레임들을 전송하고,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통신(예를 들어, 시그널링)하기 위해 그들 각각의 STA들로부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들 프레임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들로 송신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PDU들이 AP들과 이들 각각의 STA들 사이에서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에 따라 통신될 수 있으며, PLCP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 의해, 예를 들어, IEEE 802.6에 정의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0043] AP1(105-a) 및 AP2(105-b) 각각은 AP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STA와 통신 링크(125)를 설정할 수 있다. 통신 링크들(125)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 둘 모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통신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AP에 연결될 때, STA는 먼저, AP에 자신을 인증한 다음 자신을 AP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일단 연관되면, 통신 링크(125)가 AP와 STA 사이에 설정되어, AP 및 연관된 STA는 특정 동작 주파수 대역에 의해 정의된 직접 통신 채널을 통해 프레임들, 패킷들 및 PDU들, 및/또는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0044]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양상들이 WLAN 배치 또는 IEEE 802.11-호환 네트워크의 사용과 관련하여 본 개시에 의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 전체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이,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HiperLAN(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는 IEEE 802.11 표준에 필적하는 무선 표준 세트) 및 WAN(wide area network)들, WLAN들, PAN(Personal Area Network)들 또는 현재 알려진 또는 나중에 개발될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들에 사용되는 다른 기법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다른 네트워크들에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무선 채널 관리에 대한 이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적용 범위 및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에 관계 없이 임의의 적합한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0045] 도 2a는, 이동국(115)(예를 들어, 도 1의 STA(115)) 및 액세스 포인트(105)(예를 들어,도 1의 AP(105))로 구성된 한 쌍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즉,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이 통신 링크(125)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배치를 예시하는 블록도(200)를 도시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STA(115)는 UAV 일 수 있고, AP(105)는 UAV와 연관된 제어기일 수 있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0046] 일 양상에서, 통신 링크(125)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패킷 데이터, 파일럿 패킷들 또는 신호들, 제어 데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신호 유형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간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이동국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동작 주파수 대역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IEEE 802.11프로토콜 군의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무선 통신 채널과 연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용어 "동작 주파수 대역" 및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값들의 불연속 범위(예를 들어, 2437 MHz에 위치된 중심 주파수를 갖는 20 MHz-와이드 채널)를 지칭할 수 있지만, 주파수 값들의 이산 범위와 관련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802.11b 프로토콜의 채널 6)에 의해 정의된, 넘버링된 채널을 또한 지칭할 수 있다.
[0047]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는 STA(115) 또는 AP(105)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링크(125)로서 사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은 WLAN 배치에서 비중첩 채널들을 정의하는 비중첩 주파수 대역들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부 예들에서, 통신 링크(125)를 통한 통신에 사용되는 임의의 동작 주파수 대역 또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은, 이용 가능한 WLAN 대역폭에서 비중첩 동작 주파수 대역들 또는 연관된 채널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비중첩 주파수 대역들 각각은 임의의 다른 동작 주파수 대역의 특정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0048]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115) 및 AP(105) 각각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무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채널 관리자(20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배치의 하나 이상의 STA(115) 및/또는 AP(105)는 도 2a의 채널 관리자(20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0049] 도 2b는, UAV(212) 및 제어기(214)로 구성된 한 쌍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통신 링크(125)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네트워크 배치를 예시하는 블록도(210)를 도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도 2b에 예시된 배치는 WLAN 배치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UAV(212) 및 제어기(214)는 "페어링"되며, 이는 본 개시의 목적상, 제어기(214)가 임의의 다른 STA들 또는 (UAV(212)가 아닌) UAV들과 특정 통신 세션 동안 통신하지 않고, UAV(212)가 이 통신 세션 동안 임의의 다른 제어기들 또는 (제어기(214)가 아닌) AP들과 통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14)는 UAV(212)의 이동, 비디오 및 사운드 캡처 기능, 전력 관리, 이륙, 착륙, 또는 다른 기능 또는 세팅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UAV(212)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예를 들어, 14 메가 픽셀 카메라(들)(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픽셀 카운트들을 갖는 카메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AV(212)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2분일 수 있는 특정 비행 기간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또는 다른 온보드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의 UAV(212) 및 제어기(214)는, UAV(212)로부터 제어기(214) 로의 실질적으로 실시간 비디오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신뢰성 있고 낮은 레이턴시를 보이는 비교적 장거리 통신(예를 들어, 2 킬로미터 또는 그 초과까지)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가 최신 뷰들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UAV(212)를 물체 또는 제한 구역 주위에서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실시간 비디오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통신 링크(125) 및 그 연관된 동작 주파수 대역은 변화하는 채널 및/또는 환경 조건들에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UAV(212) 및 그 제어기(214)는 비행 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에너지 소비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0050] 더욱이, UAV(212) 또는 제어기(214) 중 어느 하나는 도 1 및 도 2a의 STA(115)에 대응할 수 있고, UAV(212) 또는 제어기(214) 중 어느 하나는 도 1 및 도 2a의 AP(105)에 대응할 수 있다. 부가적인 양상에서, 도 2a의 특정 전개 시나리오가 도 1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이할 수 있지만,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배치에 특정되거나 전용적이지 않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UAV(212) 및 제어기(214)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이 또한 도 2b의 UAV(212) 및 제어기(2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051] 일 양상에서, 통신 링크(125)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패킷 데이터, 파일럿 패킷들 또는 신호들, 제어 데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신호 유형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통신들에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통신 링크(125)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제어 명령들, 자동 네비게이션 신호들, 비디오 피드 데이터(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라이브 또는 실시간), UAV-투-UAV 통신들(예를 들어, 트래픽 관리 신호들), 제어기-투-핸드헬드 통신들(예를 들어, 핸드헬드가 태블릿, 스마트폰, 랩톱 또는 UAV(212) 또는 제어기(214)가 아닌 임의의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제3자 디바이스일 수 있는 경우), 핸드헬드-투-제어기 통신들, UAV-투-헨드헬드 통신들, 핸드헬드-투-UAV 통신들, 지오포지션(geopositional), 추적, 또는 UAV(212)가 제어기(214)의 지리적 포지션 이동을 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자동 이동 코맨드들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52] 또한, 특정 시간에 페어링된 디바이스들(UAV(212) 및 제어기(214))에 의한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동작 주파수 대역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IEEE 802.11 프로토콜 군의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무선 통신 채널과 연관될 수 있다. 도 2a의 배치와 마찬가지로, 도 2b의 배치에서, 용어 "동작 주파수 대역" 및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값들의 이산 범위(예를 들어, 2437 MHz에 위치된 중심 주파수를 갖는 22 MHz-와이드 채널)를 지칭할 수 있지만, 주파수 값들의 이산 범위와 관련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802.11b 프로토콜의 채널 6)에 의해 정의된, 넘버링된 채널을 또한 지칭할 수 있다.
[0053] 또한, 동작 주파수 대역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는, UAV(212) 또는 제어기(21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링크(125)로서 사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은 WLAN 배치에서 비중첩 채널들을 정의하는 비중첩 주파수 대역들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부 예들에서, 통신 링크(125)를 통한 통신에 사용되는 임의의 동작 주파수 대역 또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은, 이용 가능한 WLAN 대역폭에서 비중첩 동작 주파수 대역들 또는 연관된 채널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비중첩 주파수 대역들 각각은 임의의 다른 동작 주파수 대역의 특정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AV(212) 및 제어기(214) 각각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무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채널 관리자(202)를 포함할 수 있다.
[0054] 본 개시의 추가의 양상에서, STA(115) 또는 AP(105)와 관련하여 임의의 컴포넌트, 기술, 배치,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코드, 프로세서-실행 가능 명령, 또는 (예를 들어, 도 1, 도 2a 및 도 3-14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설명된 다른 양상은, UAV(212) 또는 제어기(214)에서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STA들(115) 및 AP들(105)은 도 2b의 UAV(212) 또는 제어기(214)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0055] 도 3은, STA(115), AP(105), UAV(212), 및 제어기(214) 중 하나 이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도 2a 및/또는 도 2b의 채널 관리자(202)에 대응할 수 있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채널 관리자(202)를 예시하는 블록도(300)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채널 관리자(202)는 본 개시에 설명된 무선 채널 관리의 양상들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각각, 및 채널 관리자(202) 자체는,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시적인 구현에서, 프로세서(326)는 본원에서 개시된 무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6)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328)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채널 관리자(202), 또는 이의 임의의 서브-컴포넌트, 이를테면,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 주파수 튜너(324), 송수신기(306),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 및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들 및 특성들을 수행한다. 일 양상에서, 이러한 프로세서-실행 가능 명령들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328) 상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그러한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306), 프로세서(326)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328)는 일부 예들에서 채널 관리자(202)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항목들(306, 326 및 328)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기(306), 프로세서(326)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32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채널 관리자(202) 외부에 있을 수 있지만, 본원에 설명된 무선 채널 관리 기술들의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채널 관리자(202)와 통신할 수 있다.
[0056] 채널 관리자(20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이용되는 동작 주파수 대역(304)에서의 변화를 개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한 쌍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도 1 및 2의 STA(115) 및 AP(105))은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해 다양한 신호들을 송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이들 신호들은 정보, 이를테면, 제어 정보(예를 들어, 어드레스 정보, 전력 제어 정보, 이동성 관리 정보), 파일럿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는 하나 이상의 패킷들 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들로 조직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동작 주파수 대역(304)에서의 변경을 개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동작 주파수 대역(304)(또는 대응 채널)을 통한 송신들과 관련된 타이밍, 특성, 및/또는 채널 품질 정보를 획득 및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타이밍 정보는,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이후의 시간 기간 또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이후의 시간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특정 송신이 데이터 패킷, 파일럿(또는 비콘) 패킷, 제어 정보 패킷,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는지(또는 이전 송신이 포함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채널 품질 정보는,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수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패킷들의 총 수에 대한 성공적으로 수신 및 디코딩되지 않은 패킷들의 수의 비를 나타내는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또는 프레임 에러율(FER))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품질 정보는 또한,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패킷들의 총 수에 대한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패킷들의 수의 비를 나타내는 송신 패킷 에러율을 포함할 수 있다.
[0057] 일 양상에서,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유지하고, 하나 이상의 임계 시간 기간 값들을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의 값을 하나 이상의 임계 시간 기간 값들과 비교하고, 현재 무선 채널 관리 기술들과 연관된 다양한 시간 기간들 중 임의의 기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시간 기간 관리자(30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기간 관리자(308)는 가장 최근의 동작 주파수 대역 변경 이후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 제1 임계 시간 기간은, STA(115) 또는 AP(105)에 의해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링크(125)의 설정 중에 STA(115) 및 AP(105)에 의해 협상될 수 있고,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변경하기 전에 STA(115) 및 AP(105)가 특정 동작 주파수 대역(304)의 통신을 유지하는 시간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시간 기간 관리자(308)는,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304)에 튜닝할 때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그 타이머 값을 제1 임계 시간 기간과 연속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타이머 값이 제1 임계 시간 기간에 도달하면, 시간 기간 관리자(308) 및/또는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0058] 더욱이, 일부 유스-케이스들에서, STA(115) 및 AP(105)는, STA(115) 및 AP(105)와 동일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임계 시간 기간 후에 동작 주파수 대역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STA/AP 쌍에 아마도 근접하게 로케이팅될 수 있다. 우연히, 이 다른 STA/AP 그룹이 자신이 변경할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유사한 시퀀스를 갖고, 자신이 STA(115) 및 AP(105)와 유사한 간격으로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면(즉, STA(115)/AP(105)와 유사한 제1 임계 시간 기간을 가짐), STA/SP 쌍들 둘 모두는 다른 STA/SP 쌍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잠재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쌍들 각각의 송신들 사이에 상당한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시간 기간 관리자(308)는 제1 임계 시간 기간 동안(예를 들어, 난수 생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랜덤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쌍들 중 어느 것도, 제1 임계 시간 기간에 의해 정의된 동일한 레이트로 이들 개별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변경하지 않는다. 일부 비제한적인 예들에서, 제1 임계 시간 기간은, 크기가 대략 수백 밀리 초에서 초 사이인 지속 기간을 가질 수 있다.
[0059] 또한,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이후 제2 임계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STA(115) 또는 AP(105)에 의해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링크(125)의 설정 중에 STA(115) 및 AP(105)에 의해 협상될 수 있고, 아래에 정의된 제1 임계 시간 기간 또는 제3 임계 시간 기간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STA(115) 및 AP(105)가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변경하기 전에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한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후에 특정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한 통신을 유지할 최대 시간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도 2a의 STA(115)와 AP(105) 사이 또는 도 2b의 UAV(212)와 제어기(214) 사이의 데이터 통신의 애플리케이션 요건을 나타낼 수도 있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서, 제어기(214)는 대략 33ms마다 UAV(212)로부터 실시간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임계 시간 기간은 이 데이터 수신 레이트와 관련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한 "성공적인" 패킷 전달은, 패킷이 수신되고 패킷을 디코딩했으며, 패킷이 CRC(cyclic redundancy check)(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와 같은 수신 품질 체크를 통과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 기간 관리자(308)는 각각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후에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그 타이머 값을 제2 임계 시간 기간과 연속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타이머 값이 제2 임계 시간 기간에 도달하면, 시간 기간 관리자(308) 및/또는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0060] 더욱이,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패킷 전달 이후 제3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되었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 제3 임계 시간 기간은, STA(115) 또는 AP(105)에 의해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링크(125)의 설정 중에 STA(115) 및 AP(105)에 의해 협상될 수 있고, 앞에서 정의된 제1 임계 시간 기간 또는 제2 임계 시간 기간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임계 시간 기간은, STA(115) 및 AP(105)가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변경하기 전에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한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후에 특정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한 통신을 유지할 최대 시간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 예들에서, 제어기(214)는 매 수십 밀리 초에서 매 몇몇 초의 범위로 킵-얼라이브 파일럿 신호들을 UAV(212)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임계 시간주기는 킵-얼라이브 파일럿 신호 송신들과 관련된 이 지속 기간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한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파일럿 패킷이 수신되고 디코딩되었으며, 파일럿 패킷이 CRC(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와 같은 수신 품질 체크를 통과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 기간 관리자(308)는 각각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후에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그 타이머 값을 제3 임계 시간 기간과 연속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타이머 값이 제3 임계 시간 기간에 도달하면, 시간 기간 관리자(308) 및/또는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0061] 또한,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한 통신 품질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메트릭들의 값들을 획득(예를 들어, 수신 또는 생성)하고, 특정 품질 메트릭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임계 값들을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품질 메트릭들의 값을 하나 이상의 임계 값들과 비교하고, 동작 주파수 대역(304)과 연관된 획득된 메트릭 값들 중 임의의 값이 대응하는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채널 품질 관리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0062]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품질 메트릭들의 예들은, 디코딩 실패율 및 송신 패킷 에러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품질 관리자(310)는,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채널 품질 관리자(310)는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품질 관리자(310)가 이들 품질 메트릭 값들 중 어느 하나가 그 대응하는 임계 값을 초과한다고 결정하면,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상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할 시,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고, 그 신호를 주파수 튜너(324)에 전송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304)에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의 변경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주파수 튜너(324)가 동작 주파수 대역(304)에서 변경을 개시한 것에 응답하여, 채널 관리자(202)는, 그 관련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태를 리셋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전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이전의 송신들, 시도된 송신들 또는 재송신들과 연관된 백 오프(backoff) 경쟁 윈도우 또는 재송신 카운터(또는 재시도 카운터)를 리세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63] 또한, 채널 관리자(202)는, 예를 들어,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가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STA(115)와 AP(105)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가 변경될 수 있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해 제시되는 예시적인 기술에서, STA(115) 및 AP(105)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개시함으로써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링크 설정 프로세스 동안, STA(115) 및 AP(105)는, 디바이스들이 통신 링크를 개시할 수 있는 초기 동작 주파수 대역과 같은 통신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의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결정 컴포넌트(316)는 무선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결정 컴포넌트(316)는 무선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후에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를 결정하거나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는 동작 주파수 대역들(및/또는 연관된 채널들)의 순서화된 시퀀스를 정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STA(115) 및 AP(105)는 동작 주파수 대역(304)(이를 통해 디바이스들이 통신함)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0064] 더욱이,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결정 컴포넌트(316)는, 랜덤하게-재순서화된 이용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세트를 구성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순차적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 알고리즘은 입력으로서 시드를 취하고 이 시드에 기초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를 생성하는 난수 생성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양상에서, STA(115) 또는 AP(105)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어,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또는 개별 고유 식별자들의 조합(예를 들어, 연결 또는 다른 수적인 조합)이 시드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임의의 다른 이용가능한 숫자도 시드에 사용될 수 있다.
[0065] 더욱이, 이용가능한 동작 주파수들의 세트는, STA(115) 및 AP(105)가 통신할 때 따르는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서, STA(115) 및 AP(105)는, 예를 들어 802.11-1997, 802.11a, 802.11b, 802.11g, 802.11-2007, 802.11n, 802.11-2012, 802.11ac, 802.11ad, 802.11af, 802.11ah, 802.11ai, 802.11aj, 802.11aq, 802.11ax, 및 802.11ay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IEEE 802.11 프로토콜 군의 하나 이상의 MAC 및/또는 물리 계층 사양들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이들 프로토콜들 각각은, 연관된 동작 주파수 대역을 각각 갖는 하나 이상의 가용 무선 통신 채널들로 추가로 나뉘어 질 수 있는 연관된 이용 가능한 대역폭(개별 802.11 프로토콜 릴리스들 중 일부 릴리스들 사이에 다를 수 있음)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채널들 중에서, 채널들의 서브세트는, 이 서브세트 내의 어떠한 채널도 임의의 다른 채널과 연관된, 연관 동작 주파수를 갖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서브 세트의 채널들은 "비중첩 채널들"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선택적 양상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결정 컴포넌트(316)는, 페어링된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이용될 프로토콜과 연관된 비중첩 채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비중첩 채널 서브 세트로부터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예들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는 하나 이상의 중첩 채널들 또는 중첩 채널 및 비중첩 채널의 혼합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6] 추가적인 양상에서, 개별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에 기초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 변경을 수행하기보다는, STA(115) 또는 AP(105) 중 어느 하나의 채널 관리자(202)의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는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비동기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의 채널 품질 관리자(310)는,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고,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들 중 어느 하나가 채널 품질 관리자(310)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는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에 트리거 조건의 표시를 전송할 수 있으며, 표시의 수신은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가 요청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0067]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에 의해 생성된 요청은, 동작 주파수 대역(304)이 변경될,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기술들을 사용하여 요청에 포함될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는, 모든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스캔하고, 신호 송신을 위한 최상의 조건들로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그 동작 주파수 대역을 요청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세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는, 특정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랜덤 동작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난수 생성 알고리즘을 사용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동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8] 대안적으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는, 그 페어링된 디바이스와 협상함으로써 요청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관리자(202)가 STA(115)와 연관된 경우, 쌍 디바이스는 AP(105)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STA(115)가 요청을 생성하는 예에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스캔을 개시할 수 있고, 스캔 동안 획득된 하나 이상의 품질 특성들에 기반하여 허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STA(115)는 허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유사한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프로토콜 내의 모든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스캔을 수행할 수 있는 AP(105)에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AP(105)는 그 리스트를 STA(115)에 리턴할 수 있으며, 여기서 AP 리스트는 STA 리스트와 비교될 수 있다. 임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이 양 리스트에 공통인 경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는 요구에 포함시킬 이들 공통 동작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은, 예를 들어, STA(115)에 의해 수행되는 스캔 동안 최상의 품질 특성들을 나타낸 공통 동작 주파수 대역을 선택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거나, 또는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STA(115)는 AP(105)와 협상하여 상호 바람직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결정할 수 있다.
[0069] 일 양상에서,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는 독립형 요청 메시지에 요청을 삽입하고, AP(105)로의 송신을 위해 송수신기(306)에 이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AP(105)는 요청을 승인할지 아니면 거부할지를 결정할 수 있고, 요청이 수락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요청을 송신한 후(또는 승인을 표시하는 응답이 수신된 후) 주파수 튜너(324)는 승인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송수신기(306)를 튜닝하고, STA(115) 및 AP(105)는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해 패킷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 일 양상에서, 박스(306)를 둘러싸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기(306)는 선택적으로 채널 관리자(202)의 서브-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다른 예들에서는 독립형 컴포넌트로서 채널 관리자(202) 외부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라). 더욱이, 송수신기는 무선 신호들 및 연관된 패킷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송수신기는 약 36dBm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4개의 듀얼 밴드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70] 또한, STA(115) 및 AP(105) 둘 모두가, 통신 링크(125)의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므로, 디바이스들 둘 모두는 또한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요청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을 승인 또는 거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검사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대역에 간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에 대한 간섭 레벨이 임계 값 아래인 경우,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요청이 승인됨을 표시하는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현재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해 응답을 다른 디바이스 쌍에 송신하도록 주파수 튜너(324)에 지시할 수 있다 . 대안적으로, 응답 발생 컴포넌트(322)는,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송수신기(306)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튜닝하기 위해 주파수 튜너(324)에 명령할 수 있다. 어느 예시적인 대안이든, 일단 송수신기(306)가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튜닝되면, 디바이스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과 동일하게 세팅되는 변경 후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해 패킷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0071] 추가적인 양상에서, 채널 관리자(202)는 RTS 메시지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RTS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CTS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서,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에 의한 트리거 조건의 검출시,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예를 들어, RTS 메시지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 포함하는 RTS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306)는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에 의한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또는 채널)을 통해 RTS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디바이스 쌍이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통해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튜너(324)는 RTS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RTS 메시지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에 송수신기(306)를 튜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응답은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클리어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상이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포함하는 또 다른 RTS를 송신하도록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를 프롬프트할 수 있다.
[0072]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송수신기는 RTS 메시지의 송신에 응답하여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통해 CT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CTS 메시지는, RTS가 승인되었음을 표시하고, 주파수 튜너(324)로 하여금 CTS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RTS 메시지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송수신기(306)를 튜닝하게 하여, 현재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의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 후, 예를 들어, 새로운 트리거 조건이 검출될 때까지, 디바이스(STA 115 또는 AP 105) 및 그 디바이스 쌍(각각 AP(105) 또는 STA(115))은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0073]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RTS를 생성 및 송신하기보다는, 채널 관리자(202)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대신에, 그 디바이스 쌍으로부터 RTS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신된 RTS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송신 디바이스 쌍에 의해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이 식별되었을 때,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을 스캔하여, 허용 가능하게 낮은 레벨의 간섭이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 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송수신기(306)에 명령하거나,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 상의 채널 조건들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 상의 조건들이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대해 허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요청이 승인되었음을 요청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CTS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주파수 튜너(324)는 이어, RTS 메시지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송수신기(306)를 튜닝하여, 현재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의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0074] 대안적으로,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예를 들어, 비교적 높은 레벨의 간섭(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간섭 레벨 임계치 또는 임의의 다른 채널 품질 메트릭 임계치를 초과)으로 인해,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 상의 조건들이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대해 허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고,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 상에서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것이 클리어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생성 컴포넌트(322)는, 동작 주파수 대역(304)을 통해 디바이스 쌍으로의 송신을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기(306)로 전달할 수 있다.
[0075] 도 4 - 도13은 이하에서 설명되며, 2개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STA(115) 및 AP(105)) 사이의 통신 링크를 위한 무선 통신 채널 관리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또는 접근법들에 관한 세부 사항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들 도면들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통신 링크에 대한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할 수 있고, 동작 주파수 대역을,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이 무선 통신을 계속할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기술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일부 예들에서,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각각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주기적인 연속을 정의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엄격한 주기적 스케줄에 따라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대신에,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은, 데이터 패킷의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송신, 파일럿 패킷의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송신, 또는 가장 최근의 동작 주파수 대역 변경 이후, 임계 시간이 경과된 후에,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9 - 도 13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추가적인 양상에서,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각각은, 현재의 동작 주파수 대역 상의 이전의 통신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성능 특성들이 임계 값 아래로 떨어질 때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들이 계속된 통신을 위해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는 요청이 승인되었음을 표시하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그 후,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요청 및 응답은 각각 RTS 메시지 및 CTS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다.
[0076] 도 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STA(115) 및 AP(105))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400)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400)은 블록(402)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국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블록(402)은 도 3의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77] 일 양상에서, 블록(402)의 트리거 조건은, 시간-기반 또는 채널-조건-기반일 수 있는 하나 또는 수 개의 가능한 트리거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기반 트리거가 사용되는 경우, 블록(402)은 가장 최근의 동작 주파수 대역 변경 이후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시간-기반 트리거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이후 제2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했음을 검출하거나,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이후 제3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했음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조건-기반 트리거가 이용되는 예들에서, 블록(402)은, 동작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또는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78] 또한, 블록(404)에서, 방법(400)은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블록(404)은 도 3의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동안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쌍에 의해 결정되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된 특정 프로토콜에서 하나 이상의 가용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스캔을 수행하고, 스캔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중 어느 것이 하나 이상의 채널 조건 메트릭들에 대해 허용 가능한 값(또는 가장 높은 값 또는 값들)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0079] 또한, 블록(406)에서, 방법(400)은 블록(404)에서 결정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송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블록(406)은 도 3의 주파수 튜너(324) 및/또는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80] 도 5는 STA(115)와 AP(105)가 통신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의 순차적 변경의 타임라인(500)을 예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STA(115) 및 AP(105)는, STA(115) 및 AP(105)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또는 채널들)의 랜덤하게 재정렬된 리스트로 이루어진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일부 예들에서, STA(115) 및 AP(105)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세팅함으로써 동작 주파수 대역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 시간 기간(504)은,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전에 STA(115) 및 AP(105)가 특정 동작 주파수 대역 상에서 통신하는 정적 시간 기간을 정의한다. 일 양상에서, STA(115) 및 AP(105)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 동안(예를 들어, 시동 시 및/또는 초기 핸드쉐이크 동작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및 제1 임계 시간 기간(504)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및 제1 임계 시간 기간(50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랜덤 선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및 제1 임계 시간 기간(504)은,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 대해)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의 랜덤하게 정렬된 세트 또는 (제1 임계 시간 기간(504) 동안) 시간 기간을 생성하기 위해 난수 생성기를 이용하는 선택 알고리즘을 구현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STA(115) 및/또는 AP(105)의 MAC 어드레스가 난수 발생기에 대한 시드로서 이용될 수 있지만, 임의의 다른 수들의 시퀀스가 이용될 수 있다.
[0081] 도 5에 예시된 특정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구현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는 적어도 3개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 즉 동작 주파수 대역 A, 동작 주파수 대역 B 및 동작 주파수 대역 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동작 주파수 대역들 각각은, 무선 통신을 위해 STA(115) 및 페어링된 AP(105)에 의해 이용되는 특정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해 허가된 특정 채널과 연관될 수 있다. 선택에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은 특정 무선 시스템에서 비중첩 채널들의 주파수 대역들로 제한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 예들에서는 중첩 채널들이 또한 선택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그러한 무선 시스템은 IEEE 802.11 표준군들 중 임의의 표준의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무선 시스템(예를 들어, Wi-Fi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도 5의 타임라인은 3개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A-C)을 도시하지만,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동작 주파수 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타임 라인(500)의 문자 A-C는,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802.11 군의 특정 프로토콜) 하에서 사용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채널 번호 또는 연관된 동작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들 이용 가능한 채널 번호들 또는 연관된 동작 주파수들은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비중첩 채널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b가 STA(115)와 AP(105)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경우, A, B 및 C 중 임의의 것이 채널 1, 6 및 11(및 잠재적으로 14)을 나타낼 수 있다.
[0082] 도 5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구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링크 설정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및 제1 임계 시간 기간을 결정한 후에, STA(115) 및 AP(105)는 제1 동작 주파수 대역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구성할 수 있는 동작 주파수 대역 A를 통해 시간(505)에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제1 임계 시간 기간(504)과 동일한 시간 기간 동안 통신(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한 후에, STA(115) 및 AP(105)는 시간(505) 이후 제1 임계 시간 기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결과로서, STA(115) 및 AP(105) 둘 모두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동작 주파수 대역 B로 변경할 수 있다. STA(115) 및 AP(105)는, 디바이스들 각각이 동작 주파수 대역 C로 튜닝할 때, 트리거 조건이 시간(507)에 존재한다고 결정할 때까지 제1 임계 시간 기간과 동일한 시간 기간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B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시, STA(115) 및 AP(105)는 제1 임계 시간 기간(504)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C를 통해 통신한다. 시간(508)에, 디바이스들은 다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질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 C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의 최종 동작 주파수 대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간(508)에, 디바이스들은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의 제1 동작 주파수 대역, 즉 동작 주파수 대역 A로 리턴하여 통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3] 도 6은 도 5의 타임라인(500)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과 관련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6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특히, 방법(600)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동작 주파수 대역 상에서 STA(115) 및 AP(105)는 통신 링크 설정 중에 디바이스들에 의해 결정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 따라 통신한다.
[0084] 예를 들어, 블록(602)에서, 방법(600)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이를테면, STA(115)와 그 디바이스 쌍인 AP(105)(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동안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STA(115) 및 AP(105)의 MAC 주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같은 시드 넘버를 이용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들(또는 대응하는 채널들)의 세트를 랜덤하게 정렬하도록 난수 발생기를 이용함으로써,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비록 어떤 예들에서, 두 디바이스들이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이 어떤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이용할지를 협상할 수 있지만, 단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STA(115) 또는 AP(105))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하는 과제를 가질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602)은 주파수 대역 시퀀스 결정 컴포넌트(316)를 동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0085] 또한, 방법(600)은, 블록(604)에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는, 가장 최근의 동작 주파수 대역 변경 이후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604)은 도 3의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 및/또는 시간 기간 관리자(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86] 더욱이, 블록(606)에서, 방법(600)은, 예를 들어, 블록(604)에서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한 것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은 도 3의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간주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블록(606)은 도 3의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87] 또한, 블록(608)에서, 방법(600)은, 디바이스의 송수신기를 블록(606)에서 획득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의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즉,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함으로써 이전 동작 주파수 대역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608)은 도 3의 주파수 튜너(3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88] 도 7은 STA(115)와 AP(105)가 통신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의 순차적 변경의 타임라인(700)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도 5의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트리거 조건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타임라인(700)에서 이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타임라인(700)은 타임라인(500)과 유사할 수 있다. 대신 도 7에서, STA(115) 및 AP(105)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이후 제2 임계 시간 기간(702)이 경과했음을 검출하거나,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이후 제3 임계 시간 기간(706)이 경과했음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0089] 도 5의 예시적인 구현과 같이, 도 7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STA(115) 및 AP(105)는, STA(115) 및 AP(105)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또는 채널들)의 랜덤하게 재정렬된 리스트(즉, 랜덤 순서로 재배열되는 증가하는 수치적 순서와 같은 원래의 순서를 갖는 동작 주파수 또는 채널 리스트)로 이루어진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318))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15)와 AP(105)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특정 프로토콜과 연관된 이용 가능한 채널 리스트가[1, 6, 11] 인 경우, 랜덤하게 재정렬된 리스트는 [1,6,11](즉, 랜덤하게 재정렬된 리스트는 이용 가능한 채널리스트와 동일한 순서를 가질 수 있음), [1,11,6], [11, 1, 6], [11, 6,1], [6, 1, 11], 또는 [6, 11, 1]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7의 STA(115) 및 AP(105)는, (예를 들어, 시드로서 디바이스 MAC 어드레스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갖는 랜덤 넘버 생성기를 사용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획득하는 것에 관하여 도 5에 제시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 또는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임계 시간 기간(702) 및 제3 임계 시간 기간(706)은 또한 통신 링크의 설정 중에 결정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MAC 어드레스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시드로서 취할 수 있는 랜덤 넘버 생성기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추가로 결정될 수 있다.
[0090] 도 7에 예시된 특정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구현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는, 적어도 3개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 즉 동작 주파수 대역 E, 동작 주파수 대역 F 및 동작 주파수 대역 G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A-C)처럼, 동작 주파수 대역들(E-G) 각각은, 무선 통신을 위해 STA(115) 및 페어링된 AP(105)에 의해 이용되는 특정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해 허가된 특정 채널과 연관될 수 있다. 선택에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들은 특정 무선 시스템에서 비중첩 채널들의 주파수 대역들로 제한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중첩 채널들이 또한 선택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도 5의 구현처럼, 도 7의 구현의 그러한 무선 시스템은 IEEE 802.11 표준군들 중 임의의 표준의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무선 시스템(예를 들어, Wi-Fi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도 7의 타임라인은 3개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E-G)을 도시하지만,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 더 많거나 더 적은 주파수 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타임라인(700)의 문자들(E-G)은 가변적이어서, E, F 및 G 각각은 무선 시스템에서 임의의 이용 가능한 채널 번호(또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비중첩 채널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0091] 도 7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구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링크 설정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제2 임계 시간 기간 및 제3 임계 시간 기간을 결정한 후에, STA(115) 및 AP(105)는, 제1 동작 주파수 대역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구성할 수 있는 동작 주파수 대역 E를 통해 시간(707)에 통신(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제어 또는 파일럿 패킷들 등을 송신 및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시간(708)에, 예를 들어, STA(115)는 데이터 패킷을 AP(105)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708)에, 데이터 패킷 송신 후에, STA(115)는 제2 임계 시간 기간(702)과 동일한 시간 기간 동안 추가 데이터 패킷을 AP(105)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임계 시간 기간(702)이 경과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STA(115) 및 AP(105)는 트리거 조건이 시간(710)에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결과로서, STA(115) 및 AP(105) 둘 모두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동작 주파수 대역 F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의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0092] 그 후, STA(115) 및 AP(105)는, 예를 들어, 시간(712)까지, 동작 주파수 대역 F를 통해 통신을 계속할 수 있고, 여기서 AP(105)는 파일럿 패킷(예를 들어, 타이밍 및/또는 측정을 위한 파일럿 또는 다른 비컨 신호)을 STA(115)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712)에 파일럿 패킷 송신 이후, AP(105)는 제3 임계 시간 기간(706)과 동일한 시간 기간 동안 다른 파일럿 패킷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712)에 최종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송신 이후 제3 임계 시간 기간(706)이 경과되었다고 결정한 결과로서, STA(115) 및 AP(105)는 트리거 조건이 시간(714)에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결과로서, STA(115) 및 AP(105) 둘 모두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동작 주파수 대역 G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의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이다. 이와 같이, 도 5의 주기적인 동작 주파수 대역 변경 구현 외에도, STA(115) 및 AP(105)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이후 제2 임계 시간 기간(702)이 경과했음을 검출하거나,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이후 제3 임계 시간 기간(706)이 경과했음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구현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0093] 도 8은 도 7의 타임라인(700)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과 관련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8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특히, 방법(800)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비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동작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STA(115) 및 AP(105))는 통신 링크 설정 중에 디바이스들에 의해 결정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 따라 통신한다.
[0094] 예를 들어, 블록(802)에서, 방법(800)은, STA(115) 및 그 디바이스 쌍인 AP(105)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동안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STA(115) 및 AP(105)의 MAC 주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같은 시드 넘버를 이용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들(또는 대응하는 채널들)의 세트를 랜덤하게 정렬하도록 난수 발생기를 이용함으로써,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비록 어떤 예들에서, 두 디바이스들이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이 어떤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이용할지를 협상할 수 있지만, 단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STA(115) 또는 AP(105))는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를 결정하는 과제를 가질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802)은 주파수 대역 시퀀스 결정 컴포넌트(316)를 동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0095] 또한, 방법(800)은 블록(804)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들 하나 이상의 패킷들은,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비디오 패킷들, 사운드 패킷들,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들), 파일럿 패킷들(예를 들어, 비콘 또는 임의의 다른 주기적으로 송신된 타이밍 신호와 관련된 패킷들 또는 디바이스 쌍에 의한 측정을 위한 신호), 또는 제어 패킷들(예를 들어, 전력 제어 패킷들, 타이밍 명령들, 채널 설정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블록(804)은 도 3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6] 방법(800)은, 예를 들어, 패킷 송신 후에,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이후 제2 임계 시간 기간(702)이 경과했는지를 검출하거나,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이후 제3 임계 시간 기간(706)이 경과했음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블록(806)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들 결정들 중 어느 것도 블록(806)에서 행해지지 않는 경우, 방법(800)은 블록(804)으로 리턴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은 변경 없이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어느 한 검출이 블록(806)에서 이루어진다면,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수 있고, 방법(800)은 블록(808)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806)은 도 3의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 또는 시간 기간 관리자(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7] 더욱이, 블록(808)에서, 방법(800)은, 예를 들어, 블록(806)에서 제2 임계 시간 기간 또는 제3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한 것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은 도 3의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314)으로 간주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블록(808)은 도 3의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획득 컴포넌트(3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8] 또한, 블록(810)에서, 방법(800)은, 디바이스의 송수신기를 블록(808)에서 획득된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의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즉,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함으로써 이전 동작 주파수 대역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810)은 도 3의 주파수 튜너(3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810) 이후, 방법(800)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이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계속 통신할 수 있는 블록(804)으로 리턴할 수 있다.
[0099] 도 9는 본 개시의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추가적인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호 흐름도(900)를 예시한다. 특히, 호 흐름도(900)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STA(115) 또는 AP(105) 중 하나가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키기 위한 요청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더욱이, 호 흐름도(900)가, STA(115)가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고, 요청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개시는 AP(105)가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고 요청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구현을 더 고려한다.
[00100] 예를 들어, 블록(902)에서, STA(115)는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902)은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한다고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블록(902)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하나 이상의 이전 송신들에 대한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한다고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101] 블럭(902)에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검출 시, STA(115)는 요청 메시지(904)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904)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STA(115)는 특정 시스템에 대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중 어느 동작 주파수 대역이 STA(115)와 AP(105) 사이의 지속적인 통신을 위해 허용 가능한 채널 조건들(예를 들어, 임계 값 또는 그 초과)을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STA(115)는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고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메트릭 측정치들(예를 들어, 신호-대-잡음비 또는 임의의 다른 채널 품질 메트릭)을 획득할 수 있고, 이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00102]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결정되면, STA(115)는 트리거 조건이 블록(902)에서 검출되기 전에,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위해 STA(115) 및 AP(105)에 의해 이용되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AP(105)에 요청 메시지(904)를 송신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904)를 수신 시, AP(105)는 요청 메시지(904)를 디코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의 SNR 또는 다른 채널 품질 메트릭을 측정하고 이를 임계 값과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연속된 통신을 위해 허용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AP(105)가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허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는 경우, AP(105)는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응답 메시지(906)를 생성할 수 있고,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응답 메시지(906)를 STA(115)에 송신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906)를 송신한 후, 블록(908)에서, AP(105)는 STA(115)와 계속 통신하기 위해 자신의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할 수 있다. 또한, 응답 메시지(906)가 STA(115)에 의해 수신 및 디코딩되고,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응답이 표시한다고 STA(115)가 결정하면,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AP(105)와 계속하여 통신하기 위해 STA(115)는 마찬가지로 블럭(910)에서 자신의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할 수 있다.
[00103] 일부 비제한적인 예들에서, 도 9의 호 흐름은 RTS/CTS 프레임워크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요청 메시지(904)는, 트리거 조건이 블록(902)에서 검출되기 전에 STA(115)와 AP(105)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이용되고 있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STA(115)에 의해 송신되는 RTS 메시지일 수 있다. RTS 메시지를 수신한 후, AP(105)는 RTS 메시지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추가 통신을 위해 허용 가능한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의 SNR 또는 다른 채널 품질 메트릭을 측정하고 이를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허용 가능한 경우, AP(105)는 STA(115)가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자유롭게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CTS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RTS를 송신하기 위해 STA(115)에 의해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를 통해 CTS 메시지를 STA(115)에 송신할 수 있다. CTS 메시지의 송신 시, AP(105)는 STA(115)와 통신하기 위해 자신의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로 튜닝할 수 있다.
[00104] 이러한 예시적인 RTS/CTS 유스 케이스에서, 일단 CTS 메시지가 STA(115)에 의해 수신, 디코딩 및 달리 프로세싱되면, STA는 자신의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로 튜닝할 수 있다. 그 후, 일단 CTS가 AP(105)에 의해 송신되고 STA(115)에 의해 수신되면, 단순히 동작 주파수로 간주될 수 있는 목표 동작 주파수를 통해, STA(115)는 AP(105)와의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00105] 도 10은 도 9의 호 흐름도(900)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과 관련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10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특히, 방법(1000)은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하고,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을 다른 디바이스 쌍으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송신하는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STA(115) 또는 AP(105))를 포함할 수 있다.
[00106] 예를 들어, 블록(1002)에서, 방법(1000)은 블록(1002)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송수신기를 초기에 튜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002)은 도 3의 주파수 튜너(3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07] 또한, 블록(1004)에서, 방법(1000)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들 하나 이상의 패킷들은,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비디오 패킷들, 사운드 패킷들,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들), 파일럿 패킷들(예를 들어, 비콘 또는 임의의 다른 주기적으로 송신된 타이밍 신호와 관련된 패킷들 또는 디바이스 쌍에 의한 측정을 위한 신호), 또는 제어 패킷들(예를 들어, 전력 제어 패킷들, 타이밍 명령들, 채널 설정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블록(1004)은 도 3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08] 방법(1000)은, 예를 들어, 패킷 송신 이후에,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1006)으로 진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블록(1006)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하나 이상의 이전 송신들에 대한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결정들 중 어느 것도 블록(1006)에서 행해지지 않는 경우, 방법(1000)은 블록(1004)으로 리턴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은 변경 없이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한 검출이 블록(1006)에서 이루어진다면,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수 있고, 방법(1000)은 블록(1008)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006)은 도 3의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 또는 시간 기간 관리자(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09] 블록(1008)에서, 방법(1000)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또는 간단히 "요청")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은,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특정 스캔들 또는 테스트들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채널 조건 메트릭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는,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중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은 요청에 포함될 수 있고, 잠재적 승인을 위해 다른 페어링된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블록(1008)에서 요청의 생성은, 도 3의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요청의 송신은 도 3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10] 방법(1000)은 블록(1010)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또는 단순히 "응답")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응답은 요청이 승인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승인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 주파수 대역을 대체하도록 두 디바이스 쌍을 프롬프트할 수 있다. 블록(1010)은 도 3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11] 블록(1010)에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방법(1000)은 블럭(1012)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추가 패킷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즉, 블록(1004)으로 리턴)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012)은 도 3의 주파수 튜너(3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12] 도 11은 본 개시의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추가적인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호 흐름도(1100)를 예시한다. 특히, 호 흐름도(1100)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STA(115) 또는 AP(105) 중 하나가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키기 위한 RTS 메시지(1106)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더욱이, 호 흐름도(1100)가, STA(115)가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고, RTS 메시지(1106)를 생성하는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개시는 AP(105)가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고 RTS 메시지(1106)를 생성하는 예시적인 구현을 더 고려한다.
[00113] 예를 들어, 블록(1102)에서, STA(115)는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102)은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한다고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블록(1102)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하나 이상의 이전 송신에 대한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한다고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114] 블럭(1102)에서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STA(115)는 예를 들어, RTS 메시지(1106)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서, RTS 메시지(1106)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라는 요청을 포함하는 RTS 메시지(1106)를 블록(1104)에서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STA(115)는 특정 시스템에 대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중 어느 동작 주파수 대역이 STA(115)와 AP(105) 사이의 지속적인 통신을 위해 허용 가능한 채널 조건들(예를 들어, 임계 값 또는 그 초과)을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STA(115)는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스캔하고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메트릭 측정치들(예를 들어, 신호-대-잡음비 또는 임의의 다른 채널 품질 메트릭)을 획득할 수 있고, 이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00115]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결정되면, STA(115)는 STA(115) 및 AP(105)에 의한 통신에 이용되는 프로토콜과 연관된 모든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RTS 메시지(1106)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은 특정 IEEE 802.11 표준 릴리스에서 비중첩 채널들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15)와 AP(105) 사이의 통신에 802.11b 프로토콜(2.4 GHz의 총 이용 가능한 대역)이 사용되는 비제한적인 예에서, 중첩하지 않는 채널들(22 MHz 채널 폭을 가짐)은 채널 1, 6 및 11, 그리고 일부 경우들에서 채널 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TS 메시지(1106)를 송신할 때, STA(115)는 채널 1, 6 및 11 (및 잠재적으로 채널 14)과 연관된 동작 주파수 대역들 각각 상에서 RTS 메시지(1106)를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인 802.11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비중첩 채널의 수와 비중첩 채널들 각각과 연관된 채널 번호는 802.11b 프로토콜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프로토콜에서 더 큰 총 이용 가능한 대역(예를 들어, 2.5 GHz 대역)이 이용되는 경우, 일부 예들에서, 3개 (또는 4개)의 중첩하지 않는 채널들이 이용 가능할 수 있다.
[00116] 각각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또는 연관된 채널) 상에서 RTS 메시지(1106)를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들이 동기가 맞지 않더라도(즉, AP(105)가 STA(115)의 동작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됨), STA(115)는 AP(105)가 RTS 메시지(1106)를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1108)에서 RTS 메시지(1106)를 송신한 후, STA(115)는 RTS 메시지(1106)에 포함된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자신의 송수신기를 튜닝하여 AP(105)로부터의 잠재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00117] AP(105) 측에서, RTS 메시지(1106)가 모든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송신되었기 때문에, AP(105)는 블록(1110)에서 임의의 동작 주파수 대역 상에서 RT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1110)에서 RTS 메시지(1106)를 수신한 후, AP(105)는, RTS 메시지(1106)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블록(1112)에서 추가 통신을 위해 허용 가능한지(즉, "클리어"인지)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클리어한지 또는 추가 통신을 위해 허용 가능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AP(105)는 하나 이상의 채널 조건 메트릭 측정치들(예를 들어, SNR 측정치 등)을 취할 수 있고, 획득된 메트릭 값들이 하나 이상의 임계 값들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AP(105)는 RTS가 승인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AP(105)는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클리어한지에 대한 임의의 결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RTS를 즉시 승인할 수 있다.
[00118] RTS가 승인된 것으로 AP(105)가 결정한 경우, 블록(1114)에서, AP(105)는 RTS 메시지(1106)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자신의 송수신기를 튜닝할 수 있다. 더욱이, AP(105)는 RTS가 승인되었음을 표시하는 CTS 메시지(1116)를 생성할 수 있고,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CTS 메시지(1116)를 STA(115)에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STA(115)에 의해 CTS 메시지(1116)가 수신되는 경우, 블록(1118)에서 STA(115) 및 AP(105)는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패킷들의 통신(즉, 송신 및 수신)을 계속할 수 있다.
[00119]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일부 대안적인 예들에서, 도 11에 예시된 예시적인 호 흐름과 달리, RTS 메시지(1106)를 복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각각을 통해 송신할 때, 블럭(1108)에서 STA(115)는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로 튜닝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에, STA(115)는, 블록(1102)에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기 전에 무선 통신을 위해 STA(115) 및 AP(105)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CTS 메시지(1116)가 AP(105)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00120] 이와 같이, 대안적인 예시적인 호 흐름은, RTS 메시지(1106)에 포함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응답을 수신하는 것 대신, 하나 이상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RTS 메시지(1106)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AP(105) 측에서, AP(105)는, AP(105)의 송수신기 및/또는 안테나가 튜닝되는 임의의 특정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RTS 메시지(1106)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RTS 메시지(1106)를 수신한 후, AP(105)는 CTS 메시지(1116)를 생성할 수 있다. 일단 CTS 메시지(116)가 생성되면, AP(105)는 블럭(1102)에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기 전에 무선 통신을 위해 STA(115) 및 AP(105)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CTS 메시지(1116)를 STA(115)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결과적으로 AP(105)는 자신의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로 튜닝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CTS 메시지(1116)를 송신한 후까지 대기할 수 있다.
[00121] 이 대안적인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CTS 메시지(1116)를 수신할 시, STA(115)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송수신기를 튜닝할 수 있고,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AP(105)로 송신하는 것을 진행할 수 있다.
[00122] 도 12는 도11을 참조하여 위에서 소개된 RTS 메시지/CTS 메시지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구현의 타임라인(1200)을 예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STA(115) 및 AP(105)에 의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특정 IEEE 802.11 프로토콜)과 연관된 이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1202)은, 복수의 허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또는 채널들)로 분할될 수 있고, 이들은 일부 예들에서 중첩하지 않은 주파수 대역들일 수 있다. 여기서, 이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1202)은 4개의 허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즉 동작 주파수 대역(H), 동작 주파수 대역(I), 동작 주파수 대역(J) 및 동작 주파수 대역(K)로 분할되며, 이들 각각은 언제든지 페어링된 디바이스들(STA(115) 및 AP(105))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2가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대역폭(120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동작 주파수 대역들(H-K)을 도시하지만, 주파수 대역폭 오프셋들 또는 버퍼들은 동작 주파수 대역들(H-K) 각각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00123]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디바이스(STA(115) 또는 AP(105) 중 하나)는 각각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H-K)을 통해 RTS 메시지(1106)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요청 디바이스는, 자신의 페어링된 디바이스들(각각 AP(105) 또는 STA(115) 중 하나)이 현재 동일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팅되지 않더라도, 그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RTS 메시지(1106)를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RTS 메시지(1106)는 동작 주파수 대역(I)을 표시하는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RTS 메시지(1106)가 동작 주파수 대역들(H-K) 각각 상에서 송신된 후에, RTS가 승인되었음을 표시하는 CTS 메시지(1116)를 수신하기 위해(또는 다른 예들에서, 제안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이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호스트하기 위해 클리어하지 않다는 표시를 잠재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요청 디바이스는 자신의 송수신기를 동작 주파수 대역(I)으로 튜닝할 수 있다.
[00124] SIFS(Short Interframe Space) 시간 기간(1204) 후에, 요청 디바이스는 도 12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I)에 대응하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CTS 메시지(1116)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SIFS 시간 기간(1204)은, 메시지가 송신 디바이스(여기서는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디바이스스(여기서는 요청 디바이스가 아닌 페어링된 디바이스)로 오버 디 에어로 이동하고, 수신 디바이에서 프로세싱(예를 들어, 디코딩 및 임의의 잠재적인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 조건 체크들을 수행)을 수행하고,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 디바이스로 오버 디 에어로 역으로 이동하는 신호에 대한 응답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나타낸다.
[00125] 더욱이, 요청의 승인을 표시하는 CTS 메시지(1116)를 수신한 후에, 요청 디바이스(또는 그것의 페어링된 디바이스)는, 또 다른 SIFS 시간 기간(1204) 후에 디바이스 쌍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킷들(1206)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패킷들(1206)을 송신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송신하는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가 자신의 송수신기를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가진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패킷들(1206) 중 임의의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추가 백-오프 시간 기간(예를 들어, 마이크로초의 대략 수십 내지 수 백배) 동안 일시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패킷들(1206)(또는 그 일부)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패킷들(1206)을 수신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패킷들(1206)이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예를 들어, 수신되고, 디코딩되고, 순환 리던던시 체크를 통과하는 등)를 표시하는 ACK(acknowledgement message) 또는 NACK(not-acknowledged message)(1208)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어느 디바이스든 트리거 조건이 존재함을 검출하고 따라서 추가의 RTS 메시지(1106)를 생성하여 자신의 페어링된 디바이스에 송신할 때까지, 이 패킷 및 ACK/NACK 교환을 계속할 수 있다.
[00126] 도 13은 도 11의 호 흐름도(1100) 및 도 12의 타임라인(1200)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과 관련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13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특히, 방법(1300)은, 트리거 조건이 존재한다고 검출한 페어링된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의 변화를 구현하도록 RTS/CTS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STA(115) 또는 AP(105))를 포함할 수 있다.
[00127] 예를 들어, 블록(1302)에서, 방법(1300)은 블록(1302)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송수신기를 초기에 튜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302)은 도 3의 주파수 튜너(3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28] 또한, 블록(1304)에서, 방법(1300)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들 하나 이상의 패킷들은,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비디오 패킷들, 사운드 패킷들,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들), 파일럿 패킷들(예를 들어, 비콘 또는 임의의 다른 주기적으로 송신된 타이밍 신호와 연관된 패킷들 또는 디바이스 쌍에 의한 측정을 위한 신호), 또는 제어 패킷들(예를 들어, 전력 제어 패킷들, 타이밍 명령들, 채널 설정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블록(1304)은 도 3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29] 방법(1300)은, 예를 들어, 초기 패킷 송신 또는 송신들 및 임의의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송신들(미도시) 이후에,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1306)으로 진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블록(1306)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한 하나 이상의 이전 송신에 대한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결정들 중 어느 것도 블록(1306)에서 행해지지 않는 경우, 방법(1300)은 블록(1304)으로 리턴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은 변경 없이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한 검출이 블록(1306)에서 이루어진다면, 트리거 조건이 존재하는 것이 결정될 수 있고, 방법(1300)은 블록(1308)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306)은 도 3의 트리거 조건 검출 컴포넌트(302) 또는 시간 기간 관리자(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30] 블록(1308)에서, 방법(1300)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RTS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RTS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위에서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특정 스캔들 또는 테스트들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채널 조건 메트릭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는,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중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은(예를 들어, RTS 메시지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서) RTS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고, 잠재적인 승인을 위해 다른 페어링된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RTS 메시지는 STA(115) 및 AP(105)에 의해 이용되는 특정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모든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블록(1308)에서 RTS 메시지의 생성은, 도 3의 요청 생성 컴포넌트(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요청의 송신은 도 3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31] 부가적으로, 방법(1300)은 페어링된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TS를 승인하는 잠재적인 CTS 메시지(또는 요청이 승인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블록(1308)에서 RTS 메시지에 포함되었던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디바이스의 송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310)은 도 3의 주파수 튜너(3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32] 그 다음, 방법(1300)은 블록(1312)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RTS 메시지에 응답하는 CT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CTS 메시지는 RTS가 승인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예에서, CTS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신에, 디바이스는 RTS가 승인되지 않았다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대안적인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추가의 RTS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하도록 방법(1300)이 블록(1308)으로 리턴하게 프롬프팅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1312)은 도 3의 송수신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33] 블록(1312)에서 CTS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방법(1300)은 블록(1304)으로 리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추가 패킷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00134] 도 14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해 본 개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1414)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1400)를 도시한다. 프로세싱 시스템(1414)은, 개괄적으로 버스(1402)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1402)는 프로세싱 시스템(14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적인 설계 제약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 버스들과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2)는 프로세서(1404), 채널 관리자(202)(예를 들어, 도 3에서 설명됨)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406)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서(1404)는 도 3의 프로세서(326)에 대응할 수 있고,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는 도 3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328)에 대응할 수 있고, 프로세싱 시스템(1414)은 적어도 도 1 및 도 2의 STA(115) 또는 AP(105)에 대응할 수 있다. 버스(1402)는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 더는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 장치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00135] 처리 시스템(1414)은 인터페이스(1408)를 통해 송수신기(14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3의 송수신기(306)에 대응할 수 있는 송수신기(141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420)에 커플링된다. 송수신기(1410)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들 또는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기(141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4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1414), 특히 프로세서(1404) 및/또는 채널 관리자(20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1410)는 프로세싱 시스템(1414) 및/또는 채널 관리자(202)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420)에 인가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1414)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406) 및/또는 도 3의 채널 관리자(202)의 예일 수 있는 채널 관리자(202)에 커플링된 프로세서(1404)를 포함한다.
[00136] 프로세서(1404)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4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 프로세싱을 담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40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1414)으로 하여금,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4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 프로세서(14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채널 관리자(202)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406)에 상주/저장되어 프로세서(1404)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프로세서(1404)에 커플링된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어떤 결합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서(1404)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406)는 채널 관리자(202)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적어도 도 1 및 도 2의 AP(105) 또는 STA(115)의 컴포넌트들)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 동작들 또는 특징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137] 장치 및 방법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었고, 첨부 도면들에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엘리먼트들로 예시되었다. 이들 엘리먼트들 또는 임의의 그 일부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엘리먼트들 및/또는 기능들과 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따른다. 양상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는, 시스템을 형성하는 부분들 중 하나일 수 있고, 다른 컴포넌트들로 분할될 수 있다.
[00138] 예시로서,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컴포넌트,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으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컴포넌트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139] 프로세싱 시스템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식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 파일(executable)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예시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정적 램(SRAM), 동적 램(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이중 데이터 레이트 RAM(DD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소거가능 P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EEPROM), 범용 레지스터,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00140]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다양한 상호 접속은 버스들 또는 단일 신호 라인들로 도시될 수 있다. 버스들 각각은 선택적으로 단일 신호 라인일 수 있고, 단일 신호 라인들 각각은 대안적으로 버스들일 수 있고, 단일 라인 또는 버스는 엘리먼트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무수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메카니즘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버스들을 통해 제공된 임의의 신호들은 다른 신호들과 시간-멀티플렉싱되고 하나 이상의 공통 버스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00141]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된 구현들의 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들은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국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문언과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부합해야 한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이후에 알려지게 될 본 발명을 통해 설명되는 구현들의 예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명시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며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떤 것도 그와 같은 개시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공중에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청구항 엘리먼트가 명백히 "~을 위한 수단"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는 엘리먼트가 "~을 위한 단계"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f)의 조항들 하에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5)

  1.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 지속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는:
    가장 최근의 동작 주파수 대역 변경 이후 제1 임계 시간 기간이 경과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데이터 패킷 전달 이후 제2 임계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 또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파일럿 패킷 전달 이후 제3 임계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청은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는: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이 수신기 프레임 디코딩 실패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또는
    송신 패킷 에러율이 송신 패킷 에러율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이 승인된 것을 표시함 ― ;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각각을 통해 상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이 승인된 것을 표시함 ― ;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각각을 통해 상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송신 시, 상기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단계;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이 승인된 단계를 표시함 ― ; 및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RTS(Request to Send)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RTS 메시지는 프레임 제어 필드 내에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CTS(Clear to Send)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UAV와 연관된 제어기인,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UAV와 상기 제어기 사이의 비디오 스트림의 품질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12.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로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 지속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청은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이 승인된 것을 표시함 ― ;
    상기 응답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각각을 통해 상기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요청을 송신 시, 상기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이 승인된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UAV와 연관된 제어기인,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UAV와 상기 제어기 사이의 비디오 스트림의 품질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19.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게 하고, 그리고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링크의 초기 설정 동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 지속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게 하는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 주파수 대역 시퀀스에서 다음 동작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트리거 조건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생성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저장하며, 상기 요청은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게 하고 ―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이 승인된 것을 표시함 ― ;
    상기 응답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저장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복수의 이용 가능한 동작 주파수 대역들 각각을 통해 상기 요청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요청을 송신 시, 상기 송수신기를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게 하고;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게 하고 ―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이 승인된 것을 표시함 ― ; 그리고
    상기 목표 동작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저장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UAV와 연관된 제어기인,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검출하게 하는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UAV와 상기 제어기 사이의, 다른 UAV, 다른 컨트롤러 또는 이 둘 모두에 의해 생성된 간섭에 의해 야기된, 비디오 스트림의 품질 변화를 검출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장치.
KR1020187010700A 2015-09-17 2016-08-17 공유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 KR102156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57,340 US9674744B2 (en) 2015-09-17 2015-09-17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nagement in shared frequency bands
US14/857,340 2015-09-17
PCT/US2016/047361 WO2017048446A1 (en) 2015-09-17 2016-08-17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nagement in shared frequency ba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857A true KR20180055857A (ko) 2018-05-25
KR102156288B1 KR102156288B1 (ko) 2020-09-15

Family

ID=5685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700A KR102156288B1 (ko) 2015-09-17 2016-08-17 공유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74744B2 (ko)
EP (1) EP3351035B1 (ko)
JP (1) JP6816125B2 (ko)
KR (1) KR102156288B1 (ko)
CN (1) CN108029046A (ko)
BR (1) BR112018005317A2 (ko)
WO (1) WO20170484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23A (ko) * 2018-01-23 2019-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간섭 분석에 기반한 무인기 제어 및 비-임무용 통신 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315604B1 (ko) 2020-07-09 2021-10-2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채널 경쟁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0110B2 (en) * 2016-06-30 2019-02-05 Ge Aviation Systems Llc Aviation protocol conversion
MY195651A (en) * 2016-10-04 2023-02-03 Nissan Motor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Device
US11279480B1 (en) * 2017-02-16 2022-03-22 Alarm.Com Incorporated Drone wireless communication diagnosis and correction
ES2926154T3 (es) 2017-07-24 2022-10-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la interferencia del dispositivo operable
US11737126B2 (en) 2017-08-10 2023-08-2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CN109548039A (zh) * 2017-08-11 2019-03-29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508875A (zh) * 2017-08-15 2017-12-22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无人机及装置
CN109511174A (zh) * 2017-09-15 2019-03-2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无人驾驶装置通信控制方法、终端和无人驾驶系统
US10278235B1 (en) 2017-10-11 2019-04-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ssignment of channels for communicating with an unmanned vehicle
CN109155667B (zh) * 2017-10-12 2021-08-1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的无线合规实现方法、无人机、终端设备及系统
EP3796571B1 (en) * 2018-05-17 2023-08-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to access network
CN109274445B (zh) * 2018-10-10 2021-09-24 长沙中天电子设计开发有限公司 电子设备配对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413664B (zh) * 2018-10-18 2019-07-23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干扰的超密集系留无人机基站高度调节方法
US20220030592A1 (en) * 2018-11-30 2022-01-27 Sony Group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US11051142B2 (en) * 2019-06-06 2021-06-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sing wireless rate models based on utilized frequency resources
CN112260780B (zh) * 2019-07-03 2022-07-01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的方法、装置及系统
WO2021012102A1 (en) * 2019-07-19 2021-01-28 SZ DJI Technology Co., Ltd. Control method
CN111757404B (zh) * 2019-09-20 2022-01-14 广州极飞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1217393A1 (zh) * 2020-04-28 2021-11-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信道频点处理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47A1 (en) * 2015-07-06 2017-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buffer status report in dual connectivity and a devic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910A (ja) * 2003-01-30 2004-08-19 Nec Corp チャネル決定方法及びにそれに用いる無線局並びに端末装置
AU2003267344A1 (en) * 2003-09-11 2005-03-29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with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KR100889741B1 (ko) * 2005-11-16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의 채널스위칭 방법, 주파수채널을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기지국 및 단말
US7796632B2 (en) 2006-09-29 2010-09-14 Motorola, Inc. Transmission channel bandwidth selection for communications between multi-bandwidth nodes
JP5106275B2 (ja) * 2008-06-30 2012-12-2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0007738A1 (ja) * 2008-07-15 2010-0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8259745B2 (en) * 2010-03-29 2012-09-04 Intel Corporation Enhanced carrier sensing for multi-channel operation
US20140148211A1 (en) * 2012-11-27 2014-05-29 At&T Mobility Ii Llc Adaptive layer selection by power limited device
US20150116316A1 (en) * 2013-10-28 2015-04-30 Brown University Virtual reality methods and systems
US9380508B2 (en) * 2013-10-28 2016-06-28 Aruba Network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device connectivity on heterogenous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47A1 (en) * 2015-07-06 2017-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buffer status report in dual connectivity and a device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23A (ko) * 2018-01-23 2019-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간섭 분석에 기반한 무인기 제어 및 비-임무용 통신 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315604B1 (ko) 2020-07-09 2021-10-2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채널 경쟁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3275A (ja) 2018-11-08
JP6816125B2 (ja) 2021-01-20
CN108029046A (zh) 2018-05-11
BR112018005317A2 (pt) 2018-10-09
US20170086112A1 (en) 2017-03-23
WO2017048446A1 (en) 2017-03-23
US9674744B2 (en) 2017-06-06
EP3351035B1 (en) 2020-04-01
EP3351035A1 (en) 2018-07-25
KR102156288B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288B1 (ko) 공유 주파수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관리를 위한 기술들
US104994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US10863373B2 (en) Mechanisms of virtual clear channel assessment for Wi-Fi devices
US10425893B2 (en) Power saving channel access for wireless devices in dense wireless networks
US10117106B2 (en) Backoff mechanism techniques for spatial reuse
US92106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scanning in multi-channel Wi-Fi system
US9736850B2 (en) Adaptive RTS/CTS in high-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30189078A1 (en) Use of wait period to obtain on-demand system information for wireless networks
US20160270018A1 (en) Synchronous low-latency media access control
US20220132560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60112935A1 (en) Reducing a connection time for saved-profile access points
US9560674B2 (en) Virtual busy-tone for full-duplex wireless networks
US9001797B2 (en) Systems and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20240172276A1 (en) Channel Access Mechanism For Sidelink In Unlicensed Spect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