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609A - 다단 변속기 - Google Patents

다단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609A
KR20180055609A KR1020160153649A KR20160153649A KR20180055609A KR 20180055609 A KR20180055609 A KR 20180055609A KR 1020160153649 A KR1020160153649 A KR 1020160153649A KR 20160153649 A KR20160153649 A KR 20160153649A KR 20180055609 A KR20180055609 A KR 2018005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brake
operating
spe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진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609A/ko
Publication of KR2018005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7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eleven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1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four sets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8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seven engaging means

Abstract

다단 변속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단 변속기는, 입력축과 연결되며, 제1 내지 제4회전요소를 구비하는 제1복합유성기어세트와, 출력축과 연결되며, 제5 내지 제8회전요소를 구비하는 제2복합유성기어세트와, 입력축, 제1 내지 제8회전요소 또는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7개의 체결요소를 포함하여, 입력축의 동력을 전진11속 및 후진1속 중 어느 하나로 변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변속기{MULTI-STAG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다단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성기어세트와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전진11속, 후진1속을 구현할 수 있는 다단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다단 변속기는 엔진의 동력을 주행부하에 적합하도록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시도되어 왔으나, 대체로 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한 기어열과, 기어열을 조작하는 유압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일반화되어 있다.
기어열은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조작되는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체결요소의 조합에 의해 특정의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서, 차량의 주행상태 및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유압제어장치를 조작하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진다.
다단 변속기의 변속단은 다단으로 형성될수록 적절한 변속비에 대한 설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엔진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보다 높은 효율로 구동륜에 전달할 수 있어서, 연비 및 가속성능의 향상과 변속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다단 변속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다단 변속기는, 구현 가능한 변속비가 제한되고, 변속비를 늘리는 경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구성되므로, 중량이 증가하여 연비가 낮으며, 장치를 제작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752호(2013.02.28 공개, 발명의 명칭: 연속 가변식 자동변속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다단 변속을 구현할 수 있으며, 탑재성이 향상되고,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다단 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변속기는, 입력축과 연결되며, 제1 내지 제4회전요소를 구비하는 제1복합유성기어세트; 출력축과 연결되며, 제5 내지 제8회전요소를 구비하는 제2복합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입력축, 제1 내지 제8회전요소 또는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7개의 체결요소;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전진11속 및 후진1속 중 어느 하나로 변속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복합유성기어세트는, 제1선기어와,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1캐리어와,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1선기어와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1링기어와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요소는 상기 제1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요소는 상기 제1캐리어고, 상기 제3회전요소는 상기 제1링기어와 상기 제2캐리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4회전요소는 상기 제2링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복합유성기어세트는, 제3선기어와,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3캐리어와,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제4선기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5회전요소는 상기 제3선기어이고, 상기 제6회전요소는 상기 제3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7회전요소는 상기 제3링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8회전요소는 상기 제4링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요소는,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8회전요소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3개의 클러치; 및 상기 제1 내지 제8회전요소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4개의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1링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 상기 제2링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 및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제1캐리어와 상기 제4링기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제3링기어 및 상기 제4선기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브레이크; 상기 제2링기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브레이크; 상기 제2캐리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브레이크; 및 상기 제2선기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진11속은,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2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3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4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5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6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7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8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9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0속; 및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1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2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3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4속;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5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6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7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8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9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0속; 및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1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진1속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변속기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변속기는, 4개의 유성기어세트와, 7개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전진11속, 후진1속의 다단 변속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 가능한 단수 대비 구성이 간단하고, 리테이너, 밸런스 기구 등을 체결요소로 대체 가능하여, 탑재성이 향상되고, 중량 및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체결요소 작동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변속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1)는 제1복합유성기어세트(CPG1), 제2복합유성기어세트(CPG2) 및 체결요소(CB)를 포함하여 입력축(IS)으로부터 전달 받은 동력을 전진 11속 중 어느 하나 또는 후진 1속으로 변속하여 출력축(OS)에 전달한다.
제1복합유성기어세트(CPG1)는 입력축(IS)과 연결되며, 제1 내지 제4회전요소(RU1, RU2, RU3, RU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복합유성기어세트(CPG1)는 제1유성기어세트(PG1) 및 제2유성기어세트(PG2)를 포함하고, 제1유성기어세트(PG1) 또는 제2유성기어세트(PG2)를 구성하는 기어의 일부를 상시 연결하여 제1 내지 제4회전요소(RU1, RU2, RU3, RU4)를 구현한다.
제1유성기어세트(PG1)는 제1선기어(S1), 제1캐리어(P1) 및 제1링기어(R1)를 포함하며, 제2유성기어세트(PG2)와 함께 제1복합유성기어세트(CPG1)를 형성한다.
제1선기어(S1)는 제2유성기어세트(PG2)의 제2선기어(S2)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2선기어(S2)와 함께 제1회전요소(RU1)를 형성한다. 제1캐리어(P1)는 제2회전요소(RU2)로 작용하며, 입력축(IS)과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입력축(IS)과 연동되어 회전한다.
제1링기어(R1)는 제2유성기어세트(PG2)의 제2캐리어(P2)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3회전요소(RU3)를 형성하며, 체결요소(CB)에 의하여 후술할 제3유성기어세트(PG3)의 제3선기어(S3)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2유성기어세트(PG2)는 제2선기어(S2), 제2캐리어(P2) 및 제2링기어(R2)를 포함하여 제1유성기어세트(PG1)와 함께 제1복합유성기어세트(CPG1)를 형성한다.
제2선기어(S2)는 제1선기어(S1)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1선기어(S1)와 함께 제1회전요소(RU1)를 형성한다. 또한, 제2선기어(S2)는 체결요소(CB)에 의하여 변속기하우징으로 예시되는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체결요소(CB)의 작동에 따라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캐리어(P2)는 제1링기어(R1)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1링기어(R1)와 함께 제3회전요소(RU3)를 형성한다. 또한, 제2캐리어(P2)는 체결요소(CB)에 의하여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링기어(R2)는 제4회전요소(RU4)를 형성하며, 체결요소(CB)에 의하여 고정부재(H) 또는 제3선기어(S3)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제1복합유성기어세트(CPG1)는 제1유성기어세트(PG1)와 제2유성기어세트(PG2)에서 2 쌍의 기어를 상시 연결하여, 제1 내지 제4회전요소(RU1, RU2, RU3, RU4)를 구현한다.
제2복합유성기어세트(CPG2)는 출력축(OS)과 연결되며, 제5 내지 제8회전요소(RU5, RU6, RU7, RU8)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복합유성기어세트(CPG2)는 제3유성기어세트(PG3) 및 제4유성기어세트(PG4)를 포함한다.
제3유성기어세트(PG3)는 제3선기어(S3), 제3캐리어(P3) 및 제3링기어(R3)를 포함한다. 제3선기어(S3)는 제5회전요소(RU5)를 형성하며, 체결요소(CB)에 의하여 제1링기어(R1) 또는 제2링기어(R2) 또는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3캐리어(P3)는 제4유성기어세트(PG4)의 제4캐리어(P4)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6회전요소(RU6)를 형성한다. 또한, 제3캐리어(P3)는 출력축(OS)과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출력축(OS)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제3링기어(R3)는 제4유성기어세트(PG4)의 제4선기어(S4)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7회전요소(RU7)를 형성하며, 체결요소(CB)의 작동에 따라 고정부재(H)에 연결될 수 있다.
제4유성기어세트(PG4)는 제4선기어(S4), 제4캐리어(P4) 및 제4링기어(R4)를 포함한다. 제4선기어(S4)는 제3링기어(R3)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7회전요소(RU5)를 형성한다. 또한 제3선기어(S3)는 체결요소(CB)에 의해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캐리어(P4)는 제3캐리어(P3)와 용접, 스플라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시 연결되어 제6회전요소(RU6)를 형성한다.
제4링기어(R4)는 제8회전요소(RU8)를 형성하며 체결요소(CB)에 의하여 입력축(IS) 또는 제1캐리어(P1)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체결요소(CB)는 7개가 구비되어 입력축(IS), 제1 내지 제8회전요소(RU1, RU2, RU3, RU4, RU5, RU6, RU7, RU8) 또는 고정부재(H)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요소(CB)는 3개의 클러치(C1, C2, C3) 및 4개의 브레이크(B1, B2, B3, B4)를 포함하며, 유압, 자력 등에 의하여 입력축(IS), 제1 내지 제8회전요소(RU8) 또는 고정부재(H)를 상호 연결하거나, 연결된 것을 해제한다.
클러치(C1, C2, C3)는 3개가 구비되며, 입력축(IS) 또는 제1 내지 제8회전요소(RU1, RU2, RU3, RU4, RU5, RU6, RU7, RU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동력의 전달을 단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C1, C2, C3)는 제1클러치(C1), 제2클러치(C2) 및 제3클러치(C3)를 포함한다.
제1클러치(C1)는 제1링기어(R1)와 제3선기어(S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1링기어(R1)와 제3선기어(S3)의 연결을 단속(斷續)한다. 제2클러치(C2)는 제2링기어(R2)와 제3선기어(S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2링기어(R2)와 제3선기어(S3)의 연결을 단속한다. 또한, 제3클러치(C3)는 입력축(IS) 또는 제1캐리어(P1)와 제4링기어(R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입력축(IS) 또는 제1캐리어(P1)와 제4링기어(R4)의 연결을 단속한다.
브레이크(B1, B2, B3, B4)는 4개가 구비되며, 제1 내지 제8회전요소(RU1, RU2, RU3, RU4, RU5, RU6, RU7, RU8)를 선택적으로 고정부재(H)에 연결하여, 제1 내지 제8회전요소(RU8) 중 일부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B1, B2, B3, B4)는 제1브레이크(B1), 제2브레이크(B2), 제3브레이크(B3) 및 제4브레이크(B4)를 포함한다.
제1브레이크(B1)는 제3링기어(R3) 및 제4선기어(S4)를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3링기어(R3) 및 제4선기어(S4)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2브레이크(B2)는 제2링기어(R2)를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2링기어(R2)의 회전을 제한한다. 특히, 제2브레이크(B2)는 제2클러치(C2)에 의하여 제2링기어(R2)와 제3선기어(S3)가 연결될 때, 제2링기어(R2)와 제3선기어(S3)의 회전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다.
제3브레이크(B3)는 제2캐리어(P2)를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2캐리어(P2)의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제4브레이크(B4)는 제2선기어(S2)를 고정부재(H)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2선기어(S2)의 회전을 제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체결요소 작동표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다단 변속기(1)는 복수 개의 체결요소(CB) 중 일부가 작동하여 복수 개의 회전요소(RU)의 일부와, 입력축(IS) 및 고정부재(H) 사이의 연결을 단속함으로써, 입력축(IS)에서 입력되는 동력이 전진11속 및 후진1속으로 변속되어 출력축(OS)에 전달되도록 한다
제1속은 제1클러치(C1)와 제1브레이크(B1)와 제2브레이크(B2)를 작동하여 구현되고, 제2속은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와 제1브레이크(B1)를 작동하여 구현되며, 제3속은 제1클러치(C1)와 제1브레이크(B1)와 제4브레이크(B4)를 작동하여 구현된다.
또한, 제4속은 제2클러치(C2)와 제1브레이크(B1)와 제4브레이크(B4)를 작동하여 구현되고, 제5속은 제2클러치(C2)와 제3클러치(C3)와 제1브레이크(B1)를 작동하여 구현되거나, 또는 제3클러치(C3)와 제1브레이크(B1)와 제4브레이크(B4)를 작동하여 구현된다.
또한, 제6속은 제2클러치(C2)와 제3클러치(C3)와 제4브레이크(B4)를 작동하여 구현되고, 제7속은 제1클러치(C1)와 제3클러치(C3)와 제4브레이크(B4)를 작동하여 구현되며, 제8속은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와 제3클러치(C3)를 작동하여 구현된다.
또한, 제9속은 제1클러치(C1)와 제3클러치(C3)와 제2브레이크(B2)를 작동하여 구현되고, 제10속은 제1클러치(C1)와 제3클러치(C3)와 제3브레이크(B3)를 작동하여 구현되거나, 또는 제2클러치(C2)와 제3클러치(C3)와 제2브레이크(B2)를 작동하여 구현되며, 제11속은 제3클러치(C3)와 제2브레이크(B2)와 제3브레이크(B3)를 작동하여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진1속은 제2클러치(C2)와, 제1브레이크(B1)와, 제3브레이크(B3)를 작동하여 구현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는, 4개의 유성기어세트(PG1, PG2, PG3, PG4)와, 7개의 체결요소(CB)를 이용하여 전진11속, 후진1속의 다단 변속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1)는 변속 가능한 단수에 대비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리테이너, 밸런스 기구 등을 체결요소(CB)로 대체 가능하여, 탑재성이 향상되고, 중량 및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다단 변속기
CPG1, CPG2: 제1, 제2복합유성기어세트
PG1, PG2, PG3, PG4: 제1, 제2, 제3, 제4유성기어세트
S1, S2, S3, S4: 제1, 제2, 제3, 제4선기어
P1, P2, P3, P4: 제1, 제2, 제3, 제4캐리어
R1, R2, R3, R4: 제1, 제2, 제3, 제4링기어
RU: 회전요소
RU1, RU2, RU3, RU4, RU5, RU6, RU7, RU8: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회전요소
CB: 체결요소
C1, C2, C3: 제1, 제2, 제3클러치
B1, B2, B3, B4: 제1, 제2, 제3, 제4브레이크
IS: 입력축
OS: 출력축
H: 고정부재

Claims (12)

  1. 입력축과 연결되며, 제1 내지 제4회전요소를 구비하는 제1복합유성기어세트;
    출력축과 연결되며, 제5 내지 제8회전요소를 구비하는 제2복합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입력축, 제1 내지 제8회전요소 또는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7개의 체결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전진11속 및 후진1속 중 어느 하나로 변속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합유성기어세트는,
    제1선기어와,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1캐리어와,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1선기어와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1링기어와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요소는 상기 제1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요소는 상기 제1캐리어고,
    상기 제3회전요소는 상기 제1링기어와 상기 제2캐리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4회전요소는 상기 제2링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합유성기어세트는,
    제3선기어와,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3캐리어와,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제4선기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5회전요소는 상기 제3선기어이고,
    상기 제6회전요소는 상기 제3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7회전요소는 상기 제3링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8회전요소는 상기 제4링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소는,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8회전요소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3개의 클러치; 및
    상기 제1 내지 제8회전요소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4개의 브레이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1링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
    상기 제2링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 및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제1캐리어와 상기 제4링기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제3링기어 및 상기 제4선기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브레이크;
    상기 제2링기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브레이크;
    상기 제2캐리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브레이크; 및
    상기 제2선기어를 상기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브레이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11속은,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2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3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4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5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6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7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8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9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0속; 및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1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11속은,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2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3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4속;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5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6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4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7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8속;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9속;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0속; 및
    상기 제3클러치와, 상기 제2브레이크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제11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1속은,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와, 상기 제3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변속기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KR1020160153649A 2016-11-17 2016-11-17 다단 변속기 KR20180055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649A KR20180055609A (ko) 2016-11-17 2016-11-17 다단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649A KR20180055609A (ko) 2016-11-17 2016-11-17 다단 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609A true KR20180055609A (ko) 2018-05-25

Family

ID=6229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649A KR20180055609A (ko) 2016-11-17 2016-11-17 다단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6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383A (ko) * 2018-09-20 2020-03-3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383A (ko) * 2018-09-20 2020-03-3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49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JP2013068319A (ja) 車両用変速機
KR20130063895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160070425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60097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002528B1 (ko)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
KR10192194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20180055609A (ko) 다단 변속기
KR10138231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83682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US20200063833A1 (en) Multi-speed transmission
KR10183682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75519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75519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734270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78594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78594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785941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78594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83682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80609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0180609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20170099442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20170123523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58363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