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167A -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167A
KR20180055167A KR1020160152640A KR20160152640A KR20180055167A KR 20180055167 A KR20180055167 A KR 20180055167A KR 1020160152640 A KR1020160152640 A KR 1020160152640A KR 20160152640 A KR20160152640 A KR 20160152640A KR 20180055167 A KR20180055167 A KR 2018005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information
transportation means
transport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페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타리 filed Critical (주)페타리
Priority to KR102016015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167A/ko
Publication of KR2018005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운송수단의 진동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센서; 상기 운송수단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의 송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운송상태 확인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APPARATUS FOR CHECKING TRANSPORTATION STATUS OF AIR OR MARINE CARGO}
본 발명은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과 같은 운송기기(transportation equipment)의 위치추적 및 해당 운송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집 및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와 같은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수집 및 위치추적기기(이하 추적기기)에 있어, 해당 운송기기가 이동 중 혹은 정지 중 일 때 정보의 전송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항공기내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자파 간섭에 의한 항공기 운항의 안전에 대한 우려로 항공기내에서 소형 무선전자기기가 사용되는 경우, 운항동안 혹은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 동안에는 해당 소형 무선전자기기는 작동이 금지되도록 하는 사용제한 규정이 있으며, 미국의 경우 세부적인 내용은 AC 91.21-B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board Aircraft"에 제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각 나라별로 유사한 사용제한에 대한 규정이 있다.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되는 화물에 대한 무선추적의 경우, 선박이 해상을 운행할 때 안정적인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위성통신과 같은 고가의 통신수단만이 가능하여, 현실적으로 해상 운행중에는 추적정보를 무선통신으로 보내는 시도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선박을 이용한 화물 추적의 경우, 추적장치는 화물이 선박에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무선추적장치의 무선신호 송출기능을 정지하고, 선박에서 벗어나면 자동적으로 무선신호의 송출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기능은 위의 항공기내 화물 혹은 운송용기의 추적을 자동화시키는 무선추적기기의 자동화된 통신제어 방법과 요구사항이 동일하다.
이처럼,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과 같은 운송기기에 적재된 물건이나 컨테이너와 같은 운송용기를 추적해야 하는 경우, 이동경로의 출발과 도착의 장소 및 시간만이 중요한 경우에는 운송기기가 이동 중 일 때는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운송의 이동경로에 대한 추적이 중요한 경우는 운송기기의 이동 시에만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육상운송의 경우에 있어, 운송경로에 대한 추적이 중요한 경우가 해당된다.
또는 출발과 도착의 장소 및 시간, 그리고 운송경로에 대한 전방위적인 추적이 모두 중요한 경우는 운송기기의 출발과 도착, 이동 중 모든 경우에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 출원특허 US 11/618,031(공개일 : 2010년 09월 07일)
인용한 특허에서는 항공화물운송을 위한 추적장치의 작동에 관한 것인데, 항공기 운항시 추적장치의 무선송신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추적장치가 항공기에 탑재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을 기술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항공기의 엔진소리와 비행기가 탑재한 비행기 ID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Transponder의 메시지를 수신해서 비행기 내에 수신장치가 탑재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먼저 비행기의 엔진소리는 추적장치가 비행기 내부에 탑재되지 않고 비행기 주위에 있어도 감지가 되며, 비행기의 Transponder 메시지 역시 비행기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감지가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용한 특허기술에 따른 추적장치는 비행기 내부에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비행기에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운송장치의 이동 여부에 따라 통신부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위의 인용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더불어 본 출원의 기술은 운송체가 정지시 혹은 운행시 혹은 정지나 운행시 모두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추적장치의 무선 송신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본 출원의 기술은 항공운송 이외에도 육상 운송이나 해상운송과 같은 다양한 운송방법에 대한 추적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정 운송방법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아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운송수단의 진동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센서; 상기 운송수단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의 송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운송상태 확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에 따른 상기 운송수단의 진동이 진동 기준값보다 큰 진동 상황들이 시간 기준값 이내에서 발생하면, 상기 진동 상황들 사이에 존재하는 미진동 구간을 진동 구간으로 처리하여 이동상태로 간주하며, 상기 통신부의 송신 기능은 상기 운송수단이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하여 운송되는 경우, 상기 진동 상황이 발생한 구간 및 상기 진동 구간에서 무선송신 기능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에 따른 상기 운송수단의 진동이 진동 기준값보다 큰 진동 상황들이 시간 기준값을 벗어나 발생하면, 상기 진동 상황들에 해당되는 센싱 신호를 필터링하여 정지상태로 간주하며, 상기 통신부의 무선송신기능은 상기 운송수단이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하여 운송되는 경우, 항구나 공항에 도착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필터링이 이루어진 구간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송수단이 미진동 상태에서 진동 상태로 변할 경우, 즉, 정지상태에서 이동상태로 변환시,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 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역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이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변환시 추적장치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 후 무선송신기능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일측면으로는 항상 무선송신기능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추적장치가 정지상태에서 이동상태로 혹은 이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변화시에 위치정보를 송신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상기 진동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마다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이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더불어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압력 정보, 자기장 정보, 빛의 수신 정보, 주변물체와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운송장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진동을 센싱하고 이에 따라 통신부의 활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운송장치에 따른 통신부 제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운송수단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센싱 신호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진동 센서(110), 통신부(130), 제어부(150),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진동 센서(110)는 운송수단(20)의 진동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진동 센서(110)는 운송수단(20)에 구비되어 운송수단(20)의 진동을 센싱할 수 있다. 운송수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ontainer), 박스 또는 파레트(pallet)와 같이 운송대상이 적재되거나 운송대상을 보관하는 수단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송장치는 운송수단(20)을 이동시키는 항공기, 선박, 차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송수단(20)은 운송장치에 반입 또는 반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송장치가 이동하면, 운송장치의 진동이 운송수단(20)에 전달되어 운송수단(20)이 진동할 수 있다.
운송대상은 사람, 동물, 식물, 물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진동 센서(110)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동 센서(110)의 센싱 민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센서(110)의 센싱 민감도가 둔감하게 조절될 경우, 항공기의 이착륙 과정에서는 가속도의 변화가 있으므로 진동 센서(110)가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나 순항 고도에서 등속도로 비행할 경우 가속도의 변화가 크지 않아 센싱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운송장치의 엔진 구동에 따른 진동을 센싱할 정도로 진동 센서(110)의 센싱 민감도를 예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송장치의 등속도 이동에 따라 운송장치의 속도 변화가 적거나 없더라도 진동 센서(110)는 운송장치의 이동에 따른 진동을 센싱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운송수단(20)의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상태 정보는 운송수단(20)의 인식코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 장치가 위치센서,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 압력 센서, 자기장 센서, 빛의 수신 센서, 주변물체와의 거리측정 센서 등을 더 포함할 경우 상태 정보는 위치 정보 또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압력 정보, 자기장 정보, 빛의 수신 정보, 주변물체와의 거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장치(10)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예를 들어, 3세대 또는 4 세대 이동통신망 등)이나 와이파이망(Wi-Fi networ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장치(10)는 상태 정보에 따라 운송수단(20)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비스니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부(130)는 송신기능뿐만 아니라 수신기능 역시 수행가능하고, 이후에 설명될 진동상태 및 미진동 상태에서 신호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운송수단(20)의 이동 여부에 따라 통신부(130)의 송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전원부(170)는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진동 센서(110), 통신부(130)는 전원부(170)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제어부(15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전원부(17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나 1회용 건전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송수단(20)에 대한 추적에 있어서 통신부(130)의 송신 기능은 운송 장치의 이동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경우 세계 각국의 항공 관련 법규는 항공기의 이착륙 과정에서 통신 장치의 송신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선박의 경우에도 선박의 운항 중에는 해양에서 통신부(13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어려우므로 통신 장치의 송신 기능이 활성화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차량이나 기차와 같은 육상 교통 수단인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육상 교통 수단의 이동 중에만 통신 장치의 송신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송수단(20)에 대한 추적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운송 장치의 이동을 센싱하여 통신부(130)에 대한 활성화 제어가 이루어져야 한다.
미국 등록 특허 US 7,791,455의 경우, 추적장치가 항공기에 탑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항공기에 장착된 트랜스폰더(transponder)나 항공기 엔진의 소리신호를 감지하며, 해당 신호들의 세기가 특정 기준값 이상일 경우 추적장치가 이동하는 항공기 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다.
그리고 해당 판정 방식에 따라 항공기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항공기 모드(aircraft mode)로 전환되어 송신 기능이 비활성화 된다.
이와 같은 미국 등록 특허의 경우, 항공기의 트랜스폰더 수신신호의 세기가 항공기의 거리에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전파는 다중경로(Multi-Path)를 따라 이동하므로, 가까운 거리에서도 낮은 수신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신신호의 세기만으로 비행기 탑재여부의 판정은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할 수 있다.
그리고 항공기 엔진의 소리로 탑재여부를 판정하는 것도 항공기 도어의 잠금여부, 추적장치의 항공기 내 위치 등에 따라 많은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미국 등록 특허의 경우,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송수단(20)의 추적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운송장치의 진동을 센싱한다. 운송장치의 이동은 보통 엔진이나 모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엔진이나 모터의 진동이 발생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동 센서(110)의 센싱 민감도를 상기 진동을 센싱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절한다면 소리의 세기나 트랜스폰더의 신호 세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하게 운송 장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센싱 신호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진동 상황들이 시간 기준값 이내에 발생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진동 상황은 센싱신호에 따른 운송수단(20)의 진동이 진동 기준값보다 클 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 상황들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불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진동 상황들 사이에 미진동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진동 상황들이 시간 기준값(Tr) 이내에서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상황들 사이에 존재하는 미진동 구간을 진동 구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상황이 발생한 구간과, 미진동 구간에서 처리된 진동 구간을 애그리게이션(aggregation)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그리게이션 처리된 구간은 운송 장치가 이동하는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운송수단(20)이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하여 운송되는 경우, 통신부(130)의 송신 기능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진동 상황이 발생한 구간 및 진동 구간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수단(20)의 진동이 진동 기준값보다 큰 진동 상황들이 시간 기준값(Tr)을 벗어나 정된 준보다 은 간동안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진동 상황들에 해당되는 센싱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 때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신호들에 대한 애그리게이션이 이루어진 후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운송수단(20)이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하여 운송되는 경우, 통신부(130)의 송신기능은 필터링이 이루어진 구간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애그리게이션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운송수단(20)의 진동이 진동 기준값보다 큰 진동 상황 사이의 구간에서 통신부(130)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는 항공기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전원부(170)의 전원을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운송장치나 운송수단(20)이 움직이지 않을 때 외부 원인에 의한 진동을 필터링함으로써 운동수단에 대한 추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운송수단(2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180)는 미국과 러시아 및 중국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운용하는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시스템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송수단(20)이 미진동 상태에서 진동 상태로 변할 경우, 통신부(130)는 운송수단(2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 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운송수단(20)이 미진동 상태에서 진동 상태로 변한다는 것은 운송장치가 정지 상태에서 운행을 위한 움직임 상태로 변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 상태로 변하기 전에 위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운송장치가 움직이기 직전의 운송수단(20) 위치를 관리장치(10)로 보고할 수 있다.
반대로 운송수단(20)이 진동 상태에서 미진동 상태로 변할 경우, 통신부(130)는,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하여 운송수단(2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운송수단(20)이 진동 상태에서 미진동 상태로 변한다는 것은 운송장치의 운행이 정지되어 운송수단(20)이 운송장치로부터 내려져 정지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하여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진동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마다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송장치의 운행에 따라 통신부(130)가 비활성화되더라도 위치센서(180)는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GNSS 위성으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통신부(13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수신받은 설정 시간별 위치 이력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시간은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부(130)는 운송수단(20)이 진동 상태에서 미진동 상태로 변할 경우,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하여 운송수단(2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 때 위치 정보와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던 위치 이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송장치의 이동 중에도 운송수단(20)의 이동 경로가 파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상태 확인장치는 온도센서(111) 및 습도센서(113), 압력 센서, 자기장 센서, 빛의 수신 센서, 주변물체와의 거리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에 제한이 있지는 않다. 예시를 든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 압력 정보, 자기장 정보, 빛의 수신 정보, 주변물체와의 거리정보는 상태정보의 일종으로서 제어부(150)는 통신부(130)의 활성 또는 비활성 여부와 상관없이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 압력 정보, 자기장 정보, 빛의 수신 정보, 주변물체와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30)는, 위치 정보와 더불어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압력 정보, 자기장 정보, 빛의 수신 정보, 주변물체와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관리장치(10)
운송수단(20)
진동 센서(110)
온도센서(111)
습도센서(113)
통신부(130)
제어부(150)
전원부(170)
위치센서(180)

Claims (7)

  1. 운송수단의 진동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센서;
    상기 운송수단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의 송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에 따른 상기 운송수단의 진동이 진동 기준값보다 큰 진동 상황들이 시간 기준값 이내에서 발생하면, 상기 진동 상황들 사이에 존재하는 미진동 구간을 진동 구간으로 처리하고,
    상기 통신부의 송신 기능은
    상기 운송수단이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하여 운송되는 경우, 상기 진동 상황이 발생한 구간 및 상기 진동 구간에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에 따른 상기 운송수단의 진동이 진동 기준값보다 큰 진동 상황들이 시간 기준값을 벗어나 발생하면, 상기 진동 상황들에 해당되는 센싱 신호를 필터링하고,
    상기 통신부의 송신기능은
    상기 운송수단이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하여 운송되는 경우, 상기 필터링이 이루어진 구간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송수단이 미진동 상태에서 진동 상태로 변할 경우,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 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송수단이 진동 상태에서 미진동 상태로 변할 경우,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마다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이력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더불어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압력 정보, 자기장 정보, 빛의 수신 정보, 주변물체와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KR1020160152640A 2016-11-16 2016-11-16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KR20180055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40A KR20180055167A (ko) 2016-11-16 2016-11-16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40A KR20180055167A (ko) 2016-11-16 2016-11-16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167A true KR20180055167A (ko) 2018-05-25

Family

ID=6229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640A KR20180055167A (ko) 2016-11-16 2016-11-16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1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116A (ko) 2018-12-12 2020-06-26 주식회사 아모센스 항공 화물 추적 장치 및 방법
EP4096247A1 (en) * 2021-05-27 2022-11-30 Sony Network Communications Europe B.V. Controlling a tracker device during waterborne trans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116A (ko) 2018-12-12 2020-06-26 주식회사 아모센스 항공 화물 추적 장치 및 방법
EP4096247A1 (en) * 2021-05-27 2022-11-30 Sony Network Communications Europe B.V. Controlling a tracker device during waterborne trans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91443B (zh) 用于使用一个或多个内部监控无人机监控装运储存器的内部储存内容的系统和方法
US6281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ontainer proximate to a transportation vessel hold
US20180242104A1 (en) Aircraft container tracking device
JP5479338B2 (ja) 無人飛行ビークルの飛行中燃料給油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074375B (zh) 故障安全飞机监控和追踪
KR102112391B1 (ko) 통합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U2008203468B2 (en) Position tracking device for an object and control procedure
AU2016231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tracking unacknowledged marine vessels
WO2019034307A1 (en) MULTIMODAL DOOR TO DOOR TRACK AND TRACE DEVICE
WO2019156194A1 (ja) 車両用システム
KR20180055167A (ko) 항공 및 해상 화물의 운송상태 확인장치
US101014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and proximity detection
EP37532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status detection for a sensor apparatus
US20230419242A1 (en) Data logger for acquiring and recording sensor data associated with a transport container
WO2024014039A1 (ja) 無線装置、及び、物流トラッキングシステム
JP740170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314282A1 (en) Positioning system
US11378402B2 (en) Signal evaluation of an acceleration sensor
KR20180059109A (ko) 탑재여부 및 탑재위치 확인장치
WO2016034955A1 (en) Device for the localization and tracking of luggage
CN113966473A (zh) 用于定位可由飞行器运输的元件的方法和装置
KR20200087356A (ko) 자산 추적 장치
WO2021165874A1 (en) Tracking mov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