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128A - 경량 해충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경량 해충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128A
KR20180054128A KR1020160151683A KR20160151683A KR20180054128A KR 20180054128 A KR20180054128 A KR 20180054128A KR 1020160151683 A KR1020160151683 A KR 1020160151683A KR 20160151683 A KR20160151683 A KR 20160151683A KR 20180054128 A KR20180054128 A KR 2018005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air
enclosure
housing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406B1 (ko
Inventor
최홍수
김미경
정태우
김승노
김준수
왕제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5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 내부에 설치되고 포집된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포충망;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상기 함체 내부로 해충을 유입시킬 수 있는 제1 포트와 상기 함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제2 포트가 분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포트 어셈블리;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는 해충 유입관; 함체에 설치되어 함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잉 팬; 및 일단이 상기 블로잉 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어 블로잉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포트 어셈블리로 이송하는 공기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잉 팬에서 송풍된 공기가 상기 포트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해충 유입관과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함체 내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해충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경량 해충 포집 장치{LIGHTWEIGHT APPARATUS FOR COLLECTING HARMFUL INSECTS}
본 발명은 경량 해충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을 이용해 흡입력을 발생시켜서 해충을 강제로 포집하는 구조를 가진 경량 해충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년마다 해충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고 해충의 종류 및 계수를 파악하기 위한 스마트 공중 포집기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스마트 공중 포집기에 대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강제 흡입되어 포집망설치부로 이동되는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포집된 해충의 개체수를 연산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유닛의 결과값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해충에 대한 계수를 정확히 할 수 있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공중에서 흡입팬을 이용해 포집 대상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여 포집 장치 내에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포집기는 강한 흡입력이 요구되므로 기존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통상적으로 흡입팬 4개를 가동하여 140W 이상의 전력으로 2m/s의 풍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의 팬이 포집기 내에 장착됨으로 인해 기존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부피가 크고 무거울 뿐만 아니라 단가가 비싸고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는 장치의 크기가 크고 전력 소모가 많으므로, 인프라가 부족한 도서 지역이나 외국 지역에 설치 운영 시 이동과 취급이 어렵고 유지비용이 많이 들어 현실적으로 상용화에 어려움이 많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491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경량화가 가능하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팬과 덕트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경량 해충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함체 내부에 설치되고 포집된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포충망;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상기 함체 내부로 해충을 유입시킬 수 있는 제1 포트와 상기 함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제2 포트가 분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포트 어셈블리;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는 해충 유입관; 함체에 설치되어 함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잉 팬; 및 일단이 상기 블로잉 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어 블로잉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포트 어셈블리로 이송하는 공기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잉 팬에서 송풍된 공기가 상기 포트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해충 유입관과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함체 내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해충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포트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포트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포트와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포트와 연통되고 지면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분 배출구를 제공하는 제3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잉 팬은 단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함체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송풍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관의 끝부분은 상기 포트 어셈블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 어셈블리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 속도는 5m/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잉 팬의 송풍 작용을 이용하여 해충 유입관 내부의 공기 흐름 속도를 빠르게 개선함으로써 단일한 팬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해충 포집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1개의 팬만을 사용하고 70W 이하의 전력으로 가동함으로써 기존의 스마트 공중 포집기 대비 1/4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절반 미만의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 해충 포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 해충 포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 해충 포집 장치는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가진 함체(130) 내부에 설치된 포충망(150)과, 함체(130)에 설치되어 해충과 공기를 함체(130) 내부로 유입시키는 포트 어셈블리(100)와, 포트 어셈블리(100)에 연결되는 해충 유입관(120)과, 함체(1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블로잉 팬(140)과, 블로잉 팬(140)과 포트 어셈블리(100)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공기 배출관(110)을 포함한다.
포충망(150)은 포집된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다공성의 망형 수용부재이다.
포트 어셈블리(100)는 접속포트(103)를 통해 함체(130)의 한쪽 벽체에 설치되어 해충과 공기를 함체(13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포트들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포트 어셈블리(100)에는 함체(130) 내부로 해충을 유입시키기 위한 관형체인 제1 포트(101)와, 함체(13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관형체인 제2 포트(102)가 분기 형성되어 있다.
제1 포트(101)와 제2 포트(102)는 포트 어셈블리(100)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된다. 제1 포트(101)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2 포트(102)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포트(101)와 수직을 이룬다. 포트 어셈블리(100)에는, 제1 포트(101)와 연통되고 지면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분 배출구를 제공하는 제3 포트(104)가 부가될 수 있다.
해충 유입관(120)은 제1 포트(101)에 연결되어 해충을 포트 어셈블리(10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덕트이다.
제1 포트(101)를 통해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포트 어셈블리(100)로 유입된 해충은 포트 어셈블리(100)를 통과한 후 해충 이송관(112)을 통해 이송되어 포충망(150)에 수용된다. 여기서, 해충 이송관(112)과 포충망(150) 사이에는 해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블로잉 팬(140)은 함체(130)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관(141)을 통해 유입되는 함체(1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블로잉 팬(140)은 단일하게 구비되고 함체(130)의 외부를 향하여 송풍을 하도록 그 송풍단이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블로잉 팬(140)으로는 60W급의 파워를 가진 팬이 채용될 수 있다.
공기 배출관(110)은 일단이 블로잉 팬(140)의 송풍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포트 어셈블리(100)의 제2 포트(102)에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블로잉 팬(14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포트 어셈블리(100)로 안내한다. 즉, 블로잉 팬(140)에서 송풍된 함체(130)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관(110)을 통해 이동한 후 포트 어셈블리(100)를 통과하여 함체(130)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블로잉 팬(140)에 의해 송풍되어 포트 어셈블리(100)의 제2 포트(102)로 유입된 공기는 함체(130)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제1 포트(101)를 통해 함체(130) 내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해충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이 생성된다.
포트 어셈블리(100) 내부에서 빠른 유속의 흡입력이 얻어지도록 공기 배출관(110)은 그 단부(111)가 포트 어셈블리(100)의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 배출관(110)의 단부(111)는 제1 포트(101)의 중심을 지난 지점인,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직경의 1/2을 초과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따르면, 블로잉 팬(140)이 60W의 팬으로 이루어진 경우 포트 어셈블리(100)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 속도를 5m/s 이상으로 빠르게 설계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함체(130)에는 장치의 제어와 운용을 위한 전기/전자 설비와, 컴퓨터, 모니터 등의 설비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 해충 포집 장치는 블로잉 팬(140)에서 함체(130)의 외부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해충에 대한 포집력을 발생시킨다.
블로잉 팬(140)에서 송풍된 함체(130)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관(110)을 통해 함체(130)의 외부로 배출된 후 공기 배출관(110)에 의해 다시 포트 어셈블리(100)로 유입된다.
포트 어셈블리(100)의 제2 포트(10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포트 어셈블리(100)를 통과한 후 해충 이송관(112)으로 이동한다.
제2 포트(10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포트 어셈블리(100)를 통과함에 따라 제2 포트(102)와 연통되는 제1 포트(101)를 통해 함체(130) 내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해충을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이 생성된다. 따라서, 제1 포트(101)에 연결된 해충 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해충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포트 어셈블리(100)를 통과한 후 해충 이송관(112)을 통해 이송되어 포충망(150) 속에 수용된다.
블로잉 팬(140)의 송풍 동작에 의해 포트 어셈블리(100)의 내부와 해충 유입관(120)의 내부에는 5m/s 이상의 빠른 공기 흐름이 발생하여 해충을 강제 흡입하는 포집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공기 흐름 속도 범위는 강우 시 포집 해충과 물기를 분리시키고 포집된 해충만을 최종적으로 포충망(15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 해충 포집 장치는 블로잉 팬(140)을, 공기 배출관(110)을 통해 포트 어셈블리(100)에 연결하여 해충 유입관(120)과 연통시킴으로써 해충 유입관(120) 내부의 공기 흐름 속도를 빠르게 개선하고 이에 따라 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포트 어셈블리 101: 제1 포트
102: 제2 포트 103: 접속포트
104: 제3 포트 110: 공기 배출관
112: 해충 이송관 120: 해충 유입관
130: 함체 140: 블로잉 팬
141: 공기 흡입관 150: 포충망

Claims (6)

  1. 함체 내부에 설치되고 포집된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포충망;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상기 함체 내부로 해충을 유입시킬 수 있는 제1 포트와 상기 함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제2 포트가 분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포트 어셈블리;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는 해충 유입관;
    함체에 설치되어 함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잉 팬; 및
    일단이 상기 블로잉 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어 블로잉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포트 어셈블리로 이송하는 공기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잉 팬에서 송풍된 공기가 상기 포트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해충 유입관과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함체 내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해충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포트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포트와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포트와 연통되고 지면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분 배출구를 제공하는 제3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팬은 단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함체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송풍을 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관의 끝부분이 상기 포트 어셈블리의 내부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 속도는 5m/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해충 포집 장치.
KR1020160151683A 2016-11-15 2016-11-15 경량 해충 포집 장치 KR10188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683A KR101889406B1 (ko) 2016-11-15 2016-11-15 경량 해충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683A KR101889406B1 (ko) 2016-11-15 2016-11-15 경량 해충 포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128A true KR20180054128A (ko) 2018-05-24
KR101889406B1 KR101889406B1 (ko) 2018-08-20

Family

ID=6229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683A KR101889406B1 (ko) 2016-11-15 2016-11-15 경량 해충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842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265U (ko) * 1997-12-19 1999-07-15 조용기 해충 포집기
JP3136423U (ja) * 2007-08-15 2007-10-25 株式会社シューサン 害虫捕獲器
KR100905418B1 (ko) * 2008-06-03 2009-07-01 대한민국 모기 채집기
KR20130081553A (ko) * 2012-01-09 2013-07-17 채수조 해충 포획기
KR101642711B1 (ko) * 2015-07-22 2016-07-28 대한민국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1283B1 (fr) * 1991-01-08 1995-05-12 Alain Durand Catheter multilumiere intravasculaire, susceptible d'etre implante avec tunnellis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265U (ko) * 1997-12-19 1999-07-15 조용기 해충 포집기
JP3136423U (ja) * 2007-08-15 2007-10-25 株式会社シューサン 害虫捕獲器
KR100905418B1 (ko) * 2008-06-03 2009-07-01 대한민국 모기 채집기
KR20130081553A (ko) * 2012-01-09 2013-07-17 채수조 해충 포획기
KR101642711B1 (ko) * 2015-07-22 2016-07-28 대한민국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842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06B1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06B1 (ko) 경량 해충 포집 장치
CN206339884U (zh) 一种idc机房静电监控装置
KR102183035B1 (ko) 샘플 프로브 입구 유동 시스템
CN104408864A (zh) 一种具有除湿和除尘功能的吸气式飞机货舱火灾探测器
CN105122422A (zh) 质谱分析装置
CN110979677A (zh) 一种多区域空气采集一体化无人机及工作方法
KR20150106580A (ko) 바이오 에어로졸 포집을 위한 축상유입형 습식 사이클론
CN103977897A (zh) 以太阳能发电为供电源用于收集空气中颗粒物的装置
CN210893820U (zh) 气体预处理装置
JP2019120696A (ja) 半揮発性又は難揮発性物質の収集装置
CN107356505A (zh) 颗粒物浓度传感器及传感系统
JP4809100B2 (ja) 火災検出装置
CN204256878U (zh) 一种具有除湿和除尘功能的吸气式飞机货舱火灾探测器
CN209525223U (zh) 具有除湿功能的空气质量检测装置和车辆
CN213398095U (zh) 一种便携式气体、粉尘、烟尘采样仪检验装置
RU190444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личественной оценк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й аэрозоля примесей вредных веществ в воздухе
JP3758944B2 (ja) ガス中イオン量測定装置
CN207081639U (zh) 颗粒物浓度传感器及传感系统
JP7273613B2 (ja) 捕虫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捕虫装置
JP2003130766A (ja) ガス分析装置
JP2961526B2 (ja) 集塵装置
KR20200073842A (ko) 풍속 감응형 해충 포집 장치
CN204618105U (zh) 一种肩背式气流吸尘器
CN214956745U (zh) 质谱仪电喷雾离子源排废气系统
CN117205729B (zh) 一种分段式等离子场除尘除雾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