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040A -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040A
KR20180054040A KR1020160151343A KR20160151343A KR20180054040A KR 20180054040 A KR20180054040 A KR 20180054040A KR 1020160151343 A KR1020160151343 A KR 1020160151343A KR 20160151343 A KR20160151343 A KR 20160151343A KR 20180054040 A KR20180054040 A KR 20180054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obesity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314B1 (ko
Inventor
이기범
문성익
피경배
박관순
Original Assignee
영어조합법인 제주창해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어조합법인 제주창해수산 filed Critical 영어조합법인 제주창해수산
Priority to KR102016015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3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7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첨가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 추출물,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식이섬유 및 감초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향상된 체중 감량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져 인체에 무해한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ntaining seeweed extract}
본 발명은 식품 첨가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 추출물,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식이섬유 및 감초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향상된 체중 감량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져 인체에 무해한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및 심장병과 같은 다양한 대사 질환을 야기하는데, 지방 세포 수의 증가와 지방 세포 크기의 증가로 인한 지방 조직 덩어리의 증가에 기인한다. 비만을 야기하는 지방세포 분화는 형태, 호르몬 민감성 및 유전자 발현에서의 변화가 수반되는 복잡한 과정으로, 융합 지방전구세포는 클론 증식, 성장 정지 및 호르몬성 유도에 의한 지방세포 마커의 발현을 통해 지방세포가 되게 된다. 따라서, 하기의 특허문헌처럼 섬유아세포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성숙 지방세포로의 지방형성의 억제 및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분해의 유도를 통해 즉 지방 조직 덩어리의 양을 감소시켜 비만을 예방하고자 하는 다양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공보 제10-0645385호(2006. 11. 23. 공고) "비만 억제용 조성물"
하지만, 인진쑥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은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항비만용 조성물보다 효과가 좋은 새로운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미역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추가로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고 체중감량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 0.1 내지 20중량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0.1 내지 20중량부 및 식이섬유 0.1 내지 6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의 감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식품첨가제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은 가압가열 상태에서 열수 추출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역 추출물은 액상 또는 분말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역추출물을 함유하여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추가로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고 체중감량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의 세포 독성 평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의 지방구 생성 억제 효능 평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의 중성지방 생성 억제 효능 평가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액상 및 분말을 포함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식품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역은 피를 맑게 하고 기(氣)를 회복시키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거친 피부를 좋게 하고 변비를 개선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필수산후조리식품으로 자리 잡아 왔다. 또한, 미역 속에는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과 기능들을 가지고 있어 일반인에게도 기능식품 및 기호식품으로 애용되어 오고 있으며, 미역 속에는 우리 몸이 필요한 모든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고 그 함유비율은 식품 중에서 우리 몸에 들어 있는 미네랄과 가장 유사하며, 미역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알긴산과 후코이단은 미끌미끌한 점질물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로 콜레스테롤 감소,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과 개선, 당뇨병 개선효과와 예방, 변비예방과 치료, 정장 효과, 항암, 면역력 증대, 궤양, 위벽의 점막 보수, 병원성균 살균효과 등 현대인의 생활습관병에 좋은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지방구 및 중성지방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는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미역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가압가열 상태에서 정제수를 사용하는 열수 추출을 통해 액상의 미역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액상의 미역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과립형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가압상태에서 열수 추출 및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태는 갈조식물문(Phaeophyta) 갈조식물강(Phaeophyceae)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갈조류로서 깊은 곳에서 해중림을 형성하여 서식하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1∼2m, 줄기 길이 5∼10cm, 지름 3∼5mm, 가운뎃잎은 길이 20∼30cm, 너비 4cm정도이다. 상기 감태 추출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가 사용되게 된다.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구티페라(Guttifera)과 가르시니아(Garcinia) 종의 하나로 과피에는 HCA(Hydroxy Citric Acid)가 10∼30% 함유되어 있으며, HCA는 오렌지나 다른 밀감류에 존재하는 구연산과 매우 비숫한 물질로서, HCA를 가장 많이 함유하는 종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가 사용되게 되며,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로부터 얻어지게 된다. 상기 감태 추출물 및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식이섬유는 신체의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않는 난분소화성 고분자 섬유 성분을 말하며 주로 식물세포의 세포벽 또는 식물 종자의 껍질 부위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기능으로 변비, 치질, 대장암, 충수염 등의 예방에 효과적이며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순환기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혈당치의 상승이 억제되어 당뇨병에도 좋은 효과를 가진다. 상기 식이섬유는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60중량부가 사용되게 되며, 상기 식이섬유는 분말 형태의 시판 중인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미역 추출물 이외에 감태 추출물,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추가로 포함하여, 동일 양의 추출물이 사용되어도 향상된 비만 개선의 효과를 가지고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감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초 추출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가 사용되게 되며, 상기 미역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본초로서 단맛 성분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을 6∼14% 함유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한약의 구성성분으로 쓰여 그 안전성이 오래전부터 입증되어 왔으며,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사포닌 계통으로 알레르기, 만성간염 및 바이러스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글라브리딘(glabridin), 리쿼리티게닌(liquiritigenin), 리쿼리틴(liquirit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풍부하여 식품 및 의약품,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초 추출물 대신에 여러 식물 성분이 혼합된 식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가 사용되게 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된 돌외잎, 초본식물인 쇠무릎의 뿌리, 초피 열매 및 녹나무 잎을 식초에 침지하고(식초 1L당 돌외잎 10 내지 20g, 쇠무릎 뿌리 10 내지 20g, 초피 열매 10 내지 20g, 녹나무 잎 10 내지 20g이 혼합됨), 10 내지 15℃의 온도에서 2 내지 3일 동안 유지하고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동결 건조하여 얻어지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항비만 조성물의 세포독성 평가, 지방구 생성 억제 효능 평가, 중성지방 생성 억제 효능 평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평가, 항산화 활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세포독성 평가, 지방구 생성 억제 효능 평가, 중성지방 생성 억제 효능 평가는 지방세포형성 분화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포주인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였다. 하기의 항비만용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당업계에서 관용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실시예 1> 항비만용 조성물 시료의 준비
(1) 미역을 세척하고 건조한 후 정제수에 침지하고(정제수는 미역 대비 5배의 중량이 사용됨), 8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열을 가해 액상의 추출물을 얻고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미역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미역 추출물을 얻는 방식과 동일하게 하여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 감초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또한, 시판 중인 분말 형태의 식이 섬유를 준비하였다. 식물 추출물은 돌외잎, 쇠무릎의 뿌리, 초피 열매 및 녹나무 잎을 식초에 침지하고(식초 1L당 돌외잎 30g, 쇠무릎의 뿌리 30g, 초피 열매 30g, 녹나무 잎 30g이 혼합됨), 13℃의 온도에서 3일 동안 유지하고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2) 위에서 준비된 추출물들 및 식이섬유를 하기의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항비만용 조성물 시료를 준비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미역 추출물 100 91 90 90
감태 추출물 0 3 3 3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 0 3 3 3
식이섬유 0 3 3 3
감초 추출물 0 0 1 0
식물 추출물 0 0 0 1
<실시예 2> 항비만용 조성물의 세포 독성 평가
(1) 항비만용 조성물의 세포 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s)에 일정 농도의 각 시료를 처리한 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2) 도 1은 시료 1을 처리한 MTT assay 결과를 나타내는데, 도 1을 보면 시료 1이 200ug/ml 이하의 농도로 처리되는 경우 항비만용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생존율과 마찬가지로 100%의 생존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 2 내지 4의 경우에 있어서도 200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항비만용 조성물의 지방구 생성 억제 효능 평가
(1) 항비만용 조성물의 지방구(lipid droplet) 생성 억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s)에 일정 농도의 각 시료를 처리한 후,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유도 후 지방구만 특이적으로 염색하는 염색시약인 오일 레드 O(Oil red O)를 이용하여 염색 후, 100% 이소프로필알콜을 이용하여 염색된 지방구를 용출시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지방구의 양은 항비만용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생성된 지방구를 standard로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2) 도 2는 시료 1을 처리한 경우 결과를 나타내는데, 도 2를 보면 200ug/ml까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방구의 생성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는 200ug/ml의 농도를 가지는 시료 1 내지 4를 각각 처리한 후 생성된 지방구의 양을 상대적인 비율 나타낸 결과인데, 표 2를 보면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시료 2 내지 4가 미역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시료 1에 비하여 지방구의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대조군(시료 미처리)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지방구 생성량(%) 100 76 60 58 62
<실시예 4> 항비만용 조성물의 중성지방 생성 억제 효능 평가
(1) 중성지방(triglyceride)은 포도당과 함께 세포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만, 여분의 트리글리세리드는 지방세포에 흡수되고 저장되어 비만의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항비만용 조성물의 중성지방(triglyceride) 생성 억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s)에 일정 농도의 각 시료를 처리한 후, 트리글리세리드 분석키트(Triglyceride assay kit)를 사용하여 정량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중성지방의 양은 항비만용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생성된 중성지방을 standard로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3 및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2) 도 3은 시료 1을 처리한 경우 결과를 나타내는데, 도 3을 보면 200ug/ml까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중성지방의 생성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은 200ug/ml의 농도를 가지는 시료 1 내지 4를 각각 처리한 후 생성된 중성지방의 양을 상대적인 비율 나타낸 결과인데, 표 3을 보면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시료 2 내지 4가 미역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시료 1에 비하여 중성지방의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대조군(시료 미처리)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중성지방 생성량(%) 100 52 38 36 37
<실시예 5> 항비만용 조성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평가
(1) 시료 1 내지 4에 대하여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표물질로서 타닌산(Sigma, USA)을 사용하여 작성된 정량곡선을 통해 정량(mg/g)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AlCl3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표물질로서 퀘세틴(Sigma, USA)을 사용하여 작성된 정량곡선을 통해 정량화하였다.
(2) 표 4를 보면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시료 2 내지 4가 미역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시료 1에 비하여 폴리패놀 및 플라노보이드 함량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함량(mg/g)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총 폴리페놀 함량 2.89±0.14 3.89±0.13 3.94±0.15 4.01±0.1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3.26±0.11 4.26±0.10 4.46±0.10 4.44±0.11
<실시예 6> 항비만용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1) 10mg/ml의 농도를 가지는 각 시료 1 내지 4에 대하여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효과(radical scavenging effect)를 측정하는 Blois법을 이용하였다.
(2) 표 5를 보면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시료 2 내지 4가 미역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시료 1에 비하여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DPPH(%) 3.89±0.44 8.39±0.23 7.88±0.50 7.66±0.91
<실시예 7> 보존기간 증대 효과 평가
(1) 일반 세균수 측정실험에 의한 보존기간 증대 효과 평가
시료 1 내지 4를 수돗물로 10배 희석한 후 30℃ 온도에서 3일 동안 방치한 후 각각을 10배 희석한 후 멸균된 standard methods agar(Difco) 위에 0.1mL씩 접종하여 35℃에서 36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을 세어 1평판 당 30~3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택하여 colony 수를 센 후 희석배율을 곱하여 일반세균수를 산출하였는데, 시료 4, 시료 3, 시료 1, 시료 2 순으로 갈수록 일반세균수가 증가하였다(시료 4는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세균수가 적고 시료 3은 시료 1 및 2에 비하여 월등히 세균수 적음). 이를 통해 감초 추출물이 사용되는 경우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식물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현저하게 세균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2) 관능실험을 통한 보존기간 증대 효과 평가
시료 1 내지 4를 수돗물로 10배 희석한 후 온도 35℃ 및 습도 80%의 환경에 보관한 후 일반인 10명을 대상으로 매일 냄새를 확인하여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는 날짜를 확인하였다. 시료 1의 경우 1일이 지난 이후에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였고, 시료 2의 경우 1.2일이 지난 이후에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였으며, 시료 3의 경우 2일이 지난 이후에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였고, 시료 4의 경우 4일이 지난 이후에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감초 추출물이 사용되는 경우 부패를 느리게 진행시키고, 식물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현저하게 부패를 느리게 진행시킴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미역 추출물, 감태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 0.1 내지 20중량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0.1 내지 20중량부 및 식이섬유 0.1 내지 6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의 감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식품첨가제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추출물은
    가압가열 상태에서 열수 추출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추출물은
    액상 또는 분말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상기 미역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의 식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된 돌외잎, 쇠무릎의 뿌리, 초피 열매 및 녹나무 잎을 식초에 침지하고, 10 내지 15℃의 온도에서 2 내지 3일 동안 유지하고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추출액을 동결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160151343A 2016-11-14 2016-11-14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7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43A KR101871314B1 (ko) 2016-11-14 2016-11-14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43A KR101871314B1 (ko) 2016-11-14 2016-11-14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40A true KR20180054040A (ko) 2018-05-24
KR101871314B1 KR101871314B1 (ko) 2018-06-26

Family

ID=6229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343A KR101871314B1 (ko) 2016-11-14 2016-11-14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428A (ko) 2019-03-08 2020-09-16 남원시 일중항산소 소거능이 개선된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파프리카 추출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642A (ja) * 1998-08-24 2000-03-07 Lion Corp スリミング剤
KR20090021644A (ko) * 2007-08-27 2009-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642A (ja) * 1998-08-24 2000-03-07 Lion Corp スリミング剤
KR20090021644A (ko) * 2007-08-27 2009-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314B1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zharsky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50 plant extracts
Ribeiro-Santos et al. A novel insight on an ancient aromatic plant: The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Mirzaei-Aghsaghali Importance of medical herbs in animal feeding: A review
CN109700753A (zh) 一种具有保湿抗氧化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Chen et al. Natural extracts for antibacterial applications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50042529A (ko) 우수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도라지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6186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Egbuna et al. Aloe species as valuable sources of functional bioactives
KR20160114206A (ko) 황금, 오미자, 금은화, 사상자 및 산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N103923736B (zh) 抗氧化鳄鱼油脂提取方法
Kim et al. Annona muricata leaf extract attenuates hepatic lipogenesis and adipogenesis
Singh et al. The portent plant with a purpose: Aloe vera
Salehi et al. Athyrium plants-review on phytopharmacy properties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1314B1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118417A (ko) 살모사 뱀독 액상 혼합물의 아토피 화장품 및 연고의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1053937A (zh) 一种植物萃取家用除臭除异味消毒组合物及其制备方法
Trifunschi et al. Quantification of phenolics and flavonoids from Petroselinum crispum extracts
Rehman et al. Biochemical,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composition of Equisetum debile Roxb
KR20150121799A (ko) 신이화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케어용/헤어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킨케어용 조성물
Yılmazoğlu et al. Recent Studies 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Ethnobotanical Uses of Hypericum perforatum L.(Hypericaceae)
KR20170140995A (ko) 감국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5661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가려움 완화와 피부염 예방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09939049A (zh) 纯天然植物抗菌保健湿巾配方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