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95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950A
KR20180053950A KR1020160151141A KR20160151141A KR20180053950A KR 20180053950 A KR20180053950 A KR 20180053950A KR 1020160151141 A KR1020160151141 A KR 1020160151141A KR 20160151141 A KR20160151141 A KR 20160151141A KR 20180053950 A KR20180053950 A KR 20180053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number
broadcast
information
display device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회
정혜령
김성은
이동희
최우진
김효각
정은경
김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950A/ko
Priority to US15/618,652 priority patent/US10448107B2/en
Priority to CN201780069296.4A priority patent/CN109937576A/zh
Priority to EP17868560.8A priority patent/EP3539287A4/en
Priority to PCT/KR2017/007001 priority patent/WO2018088667A1/en
Publication of KR2018005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5/4403
    • H04N2005/4405
    • H04N2005/44521
    • H04N2005/4456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방송 영상을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셋톱 박스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방송 채널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저장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TV는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TV는 셋톱 박스로부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알 수는 없었다.
TV는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알 수 없어, 다른 채널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V의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셋톱 박스의 리모컨만을 사용하여, TV에서 제공하는 채널 또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능을 이용 받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셋톱 박스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하여,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방송 영상을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셋톱 박스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방송 채널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저장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식된 채널 번호를 이용하여, TV 자체가 제공할 수 있는 채널 추천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 등 다양한 방송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하여,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시청 중인 방송 채널의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채널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배너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 배너 및 서브 배너를 통해서도 채널 번호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셋톱 박스의 종류에 따라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셋톱 박스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하여,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셋톱 박스(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셋톱 박스(50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셋톱 박스(5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셋톱 박스(500)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방송에 대한 정보는 방송 채널, 해당 방송 채널에서 제공하는 시간 대별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500)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셋톱 박스(5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수신된 음성 신호에 기초한 음성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영상은 방송 영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스트리밍 영상일 수도 있다.
방송 영상은 실시간 방송 영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S601).
일 실시 예에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하나 이상의 HDMI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HDMI 단자를 통해 셋톱 박스(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셋톱 박스(500)와 연결되며, 셋톱 박스(5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셋톱 박스(5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는 방송 영상 신호, 컨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트 영상 신호일 수 있다.
방송 영상 신호는 실시간 방송되는 실시간 방송 영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 영상 신호는 방송 영상 신호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1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한다(S603).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제1 방송 영상은 제1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의 변경을 위한 요청이 수신된 경우(S605), 변경된 방송 채널의 제2 방송 영상을 표시한다(S607).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의 변경을 위한 요청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의 변경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방송 채널을 제2 방송 채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경된 방송 채널의 제2 방송 영상을 이용하여, 제2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를 인식한다(S609).
일 실시 예에서 방송 채널이 변경될 경우, 제2 방송 영상은 변경된 제2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및 제2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너를 포함할 수 있다.
배너는 제2 방송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배너는 채널 변경이 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은 3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수치에 불과하다.
배너는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의 명칭,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가 표시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가 표시된 위치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추후, 방송 채널이 재 변경되더라도, 제어부(170)는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된 방송 채널의 번호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배너를 포함하는 제2 방송 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제2 방송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 내에서 광학적 문자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611).
일 실시 예에서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는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는 해당 채널 번호 및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이전 회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는 채널 추천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 방송 프로그램 추천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셋톱 박스(500)와 연결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채널 번호 및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들을 시간 순에 따라 배열한 가이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한 경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인식된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단계 S601 내지 S611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하여,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하고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701)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701)에는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701)을 제공하는 방송국을 식별하는 방송국의 명칭(711)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7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셋톱 박스(5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7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셋톱 박스(500)의 전원이 켜진 후,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 변경을 위한 요청에 따라 제1 방송 채널을 제2 방송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701)을 제2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을 변경하면서,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너(73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배너(730)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의 채널 번호 및 방송국의 명칭(731), 현재 시청 중인 채널 번호의 이전 및 이후 채널 번호(732, 733),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회차 및 명칭(734),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735), 컨텐트 제공자가 제공 가능한 VOD 서비스(736) 및 기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옵션(7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 및 배너(730)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 중인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의 채널 번호<022>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 및 배너(730) 상에 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022>가 표시된 영역(75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역(750)의 위치를 통해 영역(750) 내에 있는 채널 번호<022>를 인식할 수 있다.
차후, 채널 변경이 이루어지더라도, 획득된 영역(750)의 위치는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70)는 변경된 채널의 번호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채널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채널 번호<022>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인식된 채널 번호<022> 및 셋톱 박스(5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관련 방송 정보(800)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022>에 대응하는 제2 방송 프로그램의 이전 회차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810 내지 840)을 포함하는 관련 방송 정보(800)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채널 번호 <022>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비교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이전 회차를 시청 가능한 관련 방송 정보(800)를 추천할 수 있다.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810 내지 84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전 회차의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셋톱 박스(500)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방송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TV 자체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어, TV 본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채널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시청 중인 방송 채널의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단계 S609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제2 방송 영상을 캡쳐한다(S9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채널 변경 시, 배너가 출력될 시점을 인지하여, 배너가 출력된 경우, 배너를 포함하는 제2 방송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배너가 출력될 시점을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배너가 출력될 시점은 채널 변경 후, 0.3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수치이다.
제어부(170)는 캡쳐된 제2 방송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한다(S903).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은 인접하는 영역과 일부분이 중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 내에 있는 글자의 개수를 획득한다(S905).
여기서, 글자는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다. 문자는 알파벳이나, 한국어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의 오픈 소스인 teeserac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 내의 글자 또는 글자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영역 내의 글자 개수가 기준 개수 이하인지를 확인한다(S907).
여기서, 기준 개수는 3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번호는 3글자 이하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만약, 분할된 영역 내의 글자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추가로 분할한다(S909).
제어부(170)는 분할된 영역 내의 글자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채널 번호의 정확한 인식을 위해, 분할된 영역을 더 작은 영역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분할된 영역 내의 글자 개수가 많아질수록, 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분할된 영역 내의 글자 개수가 기준 개수 이하인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영역 내의 텍스트를 인식한다(S911).
일 실시 예에서 분할된 영역 내의 글자 개수가 3개 이하인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영역 내에 있는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의 오픈 소스인 teeserac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 내의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텍스트가 유효한 텍스트인지를 확인하고(S913), 인식된 텍스트가 유효하지 않은 텍스트인 경우, 해당 영역을 후보군에서 제외시킨다(S91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글자가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경우, 유효한 텍스트로 판단할 수 있고, 텍스트를 구성하는 글자 중 어느 하나가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해당 텍스트를 유효하지 않은 텍스트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영역들 각각은 일부가 중첩될 수 있기에, 숫자 또는 문자가 영역 내에 일부만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텍스트가 유효한 텍스트인 경우, 해당 영역을 후보군으로 등록하고, 후보군 정보를 저장한다(S917).
제어부(170)는 분할된 영역 내의 텍스트가 유효한 텍스트로 판단된 경우, 해당 영역을 채널 번호 인식을 위한 후보군 영역으로 등록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70)는 후보군 영역에 대응하는 후보군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후보군 정보란, 해당 영역의 좌표, 해당 영역 내에 인식된 글자, 인식된 글자의 크기, 인식된 글자의 길이, 글자 인식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인식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캡쳐된 방송 영상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을 후보군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캡쳐된 방송 영상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을 후보군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도 7의 실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채널의 변경에 따라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 및 배너(730)를 표시하고 있다.
제어부(170)는 배너(730)가 출력된 시점에서,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을 캡쳐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70)는 배너(730)를 포함하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 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너(730)의 일부분만을 분할하였으나, 배너(730) 전체 또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703)을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 내에 있는 글자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인식된 영역들(1101 내지 1109)을 보여준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영역들(1101 내지 1109) 각각 내에 있는 글자의 개수가 3개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101), 제3 영역(1105) 및 제5 영역(1109) 내의 글자 개수는 3개로 확인될 수 있다. 제2 영역(1103) 내의 글자 개수는 5개, 제4 영역(1107) 내의 글자 개수는 2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1103) 내의 글자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므로, 제2 영역(1103)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영역(1201) 및 제2 서브 영역(1203)으로 분할 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1201)의 글자 개수는 2개이고, 제2 서브 영역(1205)의 글자 개수는 3개이므로, 기준 개수 이하 조건을 만족한다.
그 후, 제어부(17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복수의 영역들 내의 텍스트가 유효한 텍스트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영역을 후보군으로 등록시키거나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영역(1107) 내의 텍스트<23> 중 3의 숫자가 잘려나간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부(170)는 제4 영역(1107)을 후보군에서 제외할 수 있다.
나머지 영역들(1101, 1105, 1109, 1201, 1203)은 숫자 또는 문자가 잘려나가지 않았으므로, 제어부(170)는 유효한 텍스트라 판단하고, 각 영역을 후보군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등록된 후보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등록된 후보군의 정보는 해당 영역의 좌표, 해당 영역 내에 인식된 글자, 인식된 글자의 크기, 인식된 글자의 길이, 인식된 글자의 집합인 텍스트의 길이, 글자 인식의 정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등록된 후보군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필터링하고, 채널 번호 인식을 위한 최종 후보군을 선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등록된 후보군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필터링하고, 채널 번호 인식을 위한 최종 후보군을 선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9의 흐름도 이후에 수행되는 과정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등록된 후보군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필터링한다(S13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후보군 내의 글자 중 숫자가 아닌 문자를 포함하는 후보군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번호는 숫자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등록된 후보군들(1101, 1105, 1109, 1201, 1203) 중, 문자가 섞여 있는 후보군들(1109, 1203)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필터링 후, 남아 있는 후보군들(1101, 1105, 1201) 중
텍스트의 크기가 가장 큰 후보군(1105)만을 남기고, 나머지 후보군들(1101, 1201)을 삭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방송 중인 채널의 번호는 인접한 채널 번호보다 더 크게 표시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후보군의 좌표가 유사하지만, 텍스트의 길이가 다를 경우, 텍스트의 길이가 작은 후보군을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보군의 텍스트 길이가 5이고, 제2 후보군의 텍스트 길이가 6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후보군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는 분할 인식 과정에서, 텍스트의 일부가 잘려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170)는 후보군의 인식된 텍스트가 동일할 경우,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 후보군을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는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제어부(170)는 3개 이하의 숫자로 구성된 텍스트가 동일한 후보군의 추출 횟수를 누적하여 카운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3개 이하의 숫자로 구성된 텍스트가 동일한 후보군들을 누적된 추출 횟수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필터링된 후보군의 개수가 2개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1303).
필터링된 후보군의 개수가 2개 미만인 경우(후보군이 1개만 남는 경우), 제어부(170)는 남아 있는 후보군의 좌표를 저장한다(S1305).
제어부(170)는 필터링된 후보군의 개수가 1개만 남은 경우, 남아 있는 후보군을 최종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최종 후보군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선정된 최종 후보군은 현재 시청 중인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가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등록된 후보군들(1101 내지 1109) 중 선정된 최종 후보군(1105)가 도시되어 있다. 최종 후보군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는 최종 후보군의 꼭지점 좌표 값인 (x1, y1), (x2, y2), (x3, y3), (x4, y4)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최종 후보군의 가로 길이(W) 및 세로 길이(H)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9)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후보군의 좌표 정보 이외에, 셋톱 박스(500)의 정보, 채널 전환 시간, 배너 출력 시점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셋톱 박스(500)의 정보는 셋톱 박스의 모델명, 셋톱 박스의 버전 등 셋톱 박스(5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전환 시간은 방송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채널이 변경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배너 출력 시점은 방송 채널의 변경 후, 배너가 출력되는 시점, 배너의 표시가 유지되는 시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후보군의 좌표에 기초하여, 후보군 내에 있는 채널 번호를 제2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로 획득한다(S1307).
제어부(170)는 추후, 방송 채널이 변경된 경우, 최종 후보군의 좌표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의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최종 후보군의 좌표가 획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경된 채널의 방송 영상 내에서 획득된 최종 후보군의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를 이용하여, 빠르게 변경된 채널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70)는 획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611).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한 번의 채널 번호 인식 과정을 통해, 채널이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방송 채널의 번호를 복잡한 과정 없이,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채널의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재부팅 된 경우, 저장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 중인 영상의 채널 번호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이미 획득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채널 번호를 찾기 위한 알고리즘을 재차 이용할 필요가 없다.
한편, 필터링된 후보군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제어부(170)는 채널 변경에 따른 제3 방송 영상을 캡쳐한다(S1309).
제어부(170)는 필터링된 후보군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최종 후보군을 선정하기 위해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필터링된 후보군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최종 후보군을 선정하기 위해 방송 채널의 변경을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제2 방송 채널을 제3 방송 채널로 변경할 수 있고, 제3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3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3 방송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 획득된 2개 이상의 후보군의 좌표에 대응하는 새로운 후보군들을 획득한다(S1309).
제어부(170)는 획득된 2개 이상의 후보군들 각각의 좌표를 이용하여, 해당 캡쳐된 제3 방송 영상 내에서, 새로운 2개 이상의 후보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새로운 2개 이상의 후보군들 각각은 기 획득된 2개 이상의 후보군들 각각의 좌표와 동일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70)는 새로운 2개 이상의 후보군들 각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새로운 후보군들을 필터링하고(S1311), 남아있는 후보군의 좌표를 저장한다(S1313).
제어부(170)는 새로운 후보군들 각각의 정보에 기초하여, 1개의 후보군만을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새로운 후보군들 각각의 텍스트 (좌우)길이가 동일한 경우, 텍스트의 상하 길이가 큰 후보군을 최종 후보군으로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남아있는 후보군 내의 채널 번호를 제3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로 획득하고(S1315), 획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611).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170)는 최종 후보군을 선정하고, 선정된 최종 후보군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이 경우에도, 도 15와 같이, 최종 후보군의 좌표 정보 이외에도 다른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채널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캡쳐 모듈(171), 분할 인식 모듈(172), 후보군 추출 모듈(173), 후보군 필터링 모듈(174) 및 채널 번호 인식 모듈(175)을 포함할 수 있다.
캡쳐 모듈(171)은 표시 중인 방송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특히, 캡쳐 모듈(171)은 채널의 변경 시, 변경된 방송 채널의 방송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분할 인식 모듈(172)은 캡쳐된 방송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 인식 모듈(172)은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내의 글자를 인식할 수 있다.
분할 인식 모듈(172)은 복수의 영역들 각각 내에 포함된 글자의 개수를 확인하고, 글자의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추가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 인식 모듈(172)은 복수의 영역들 각각 내의 글자 개수가 기준 개수 이하인 경우, 해당 영역 내의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후보군 추출 모듈(173)는 인식된 텍스트가 유효한 텍스트인지를 확인하고, 인식된 텍스트가 유효하지 않은 텍스트인 경우, 해당 영역을 후보군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후보군 추출 모듈(173)은 인식된 텍스트가 유효한 텍스트인 경우, 해당 영역을 후보군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후보군 추출 모듈(173)은 등록된 후보군의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후보군 필터링 모듈(174)는 등록된 복수의 후보군들 각각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군을 필터링할 수 있다.
후보군 필터링 모듈(174)은 필터링 후, 최종 후보군의 좌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채널 번호 인식 모듈(175)은 저장된 최종 후보군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채널 번호 인식 모듈(175)은 인식된 채널 번호 및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배너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배너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위치가 2개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는, 채널에 따라 표시되는 배너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방송 채널 그룹에 포함된 방송 채널들의 채널 번호는 제1 위치의 메인 배너에 표시될 수 있고, 제2 방송 채널 그룹에 포함된 방송 채널의 채널 번호는 제2 위치의 서브 배너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방송 채널 그룹에 포함된 방송 채널들의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메인 채널 영역이라 명명하고, 제2 방송 채널 그룹에 포함된 방송 채널들의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을 서브 채널 영역이라 명명한다.
제어부(170)는 메인 채널 영역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17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도 9 내지 도 13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메인 채널 영역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위치 정보는 메인 채널 영역이 표시되는 위치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인 배너가 획득되었는지를 확인하고(S1703), 메인 배너가 획득된 경우, 메인 배너 내에서 메인 채널 영역이 인식되는지를 확인한다(S1705).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채널 변경 시, 방송 영상 간의 비교를 통해 메인 배너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송 영상과 변경된 채널의 제2 방송 영상에 표시되는 메인 배너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의 변화정도에 기초하여, 메인 배너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변화량 미만 인 경우, 해당 영역을 메인 배너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메인 배너 내에서 제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채널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인 채널 영역이 인식된 경우, 인식된 메인 채널 영역과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1707).
한편, 제어부(170)는 매인 배너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서브 채널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709).
즉, 제2 방송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서브 배너의 표시 위치가, 메인 배너의 표시 위치와 달라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메인 채널 영역 내의 채널 번호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170)는 서브 채널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정보가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서브 배너가 획득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711).
서브 채널 영역의 제2 위치 정보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170)는 메인 배너의 획득 과정을 이용하여, 서브 배너가 획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브 배너가 획득된 경우, 제어부(170)는 서브 배너 내에서 서브 채널 영역을 인식했는지를 확인한다(S1713).
제어부(170)는 서브 배너 내에서 서브 채널 영역의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배너 내에서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서브 채널 영역이 인식된 경우, 제어부(170)는 인식된 서브 채널 영역과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1707).
한편, 서브 배너 내에서 서브 채널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이전에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1715).
한편, 서브 채널 영역의 제2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서브 이미지에 기초하여, 서브 채널 영역의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1717).
일 실시 예에서 서브 이미지는 제2 방송 채널 그룹에 포함된 방송 채널의 영상을 캡쳐한 이미지들일 수 있다.
서브 이미지는 서브 배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브 이미지에 대응하는 서브 배너를 이용하여, 서브 채널 영역의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9 내지 도 13의 채널 번호 인식에 대한 실시 예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브 배너 내에서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채널 영역을 인식하고(S1719), 인식된 서브 채널 영역과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170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채널에 따라 표시되는 배너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각 배너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 표시 영역을 통해 채널 번호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7의 실시 예에 의해서도 채널 번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셋톱 박스(5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 되어, 메인 배너 및 서브 배너의 위치 자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 배너 및 서브 배너를 통해서도 채널 번호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 인식을 못한 실패 이미지를 획득한다(S1801).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를 인식하지 못한 방송 채널의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 인식 과정을 통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채널 번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실패 이미지 내에 배너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803).
만약, 실패 이미지 내에 배너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실패 이미지를 삭제하고(S1805), 이전에 획득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한다(S1807).
만약, 실패 이미지 내에 배너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이전에 획득한 배너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S1809).
제어부(170)는 이전에 획득된 메인 배너 및 서브 배너와 실패 이미지 내의 배너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배너의 컬러를 이용하여 배너 간 비교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너는 반투명한 컬러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실패 이미지 내의 배너가 이전에 획득한 배너와 동일한 경우, 이전에 획득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한다(S1807).
만약, 제어부(170)는 실패 이미지 내의 배너가 이전에 획득한 배너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도 17의 단계 S1701로 돌아가, 채널 번호 인식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위치는 셋톱 박스(500)의 종류, 셋톱 박스(500)의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셋톱 박스의 종류에 따라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셋톱 박스가 연결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에는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너(1913)가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제1 배너(1913)는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의 제1 채널 번호(1915)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9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2 셋톱 박스가 연결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1930)을 표시하고 있다.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1930)에는 제2방송 프로그램 영상(193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배너(1933)가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제2 배너(1933)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1930)의 제2 채널 번호(1935)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9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3 셋톱 박스가 연결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제3 방송 프로그램 영상(1950)을 표시하고 있다.
제3 방송 프로그램 영상(1950)에는 제3 방송 프로그램 영상(195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배너(1953)가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제3 배너(1953)는 제3 방송 프로그램 영상(1950)의 제3 채널 번호(1955)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채널 번호(1915)의 표시 위치, 제2 채널 번호(1935) 및 제3 채널 번호(1955)의 표시 위치 각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셋톱 박스(500)의 타입에 따라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배너가 표시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셋톱 박스(500) 또는 셋톱 박스(500)의 버전이 달라지는 경우, 도 9 내제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서 획득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통해서는 채널 번호가 제대로 인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동된 서버로부터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셋톱 박스(500)로부터 제공된 방송 채널의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내지 100_n), 복수의 셋톱 박스들(500_1 내지 500_n) 및 서버(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내지 100_n) 각각은 연결된 셋톱 박스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셋톱 박스들(500_1 내지 500_3) 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셋톱 박스(500)의 정보는 셋톱 박스(500)의 식별 정보,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배너 정보,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500)의 식별 정보는 셋톱 박스(5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셋톱 박스(500)의 식별 정보는 셋톱 박스(500)의 명칭, 셋톱 박스(500)의 모델명, 셋톱 박스(500)의 버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너 정보는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배너가 출력(표시)되는 배너 출력(또는 표시) 시점, 배너의 표시가 유지되는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너 출력 시점은 방송 채널이 변경된 후, 배너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시점일 수 있다.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는 방송 채널의 변경 시, 변경된 방송 채널의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9 내지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채널 번호는 배너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방송 프로그램 영상의 일 지점에 표시될 수도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집된 셋톱 박스(500)의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4)를 통해 서버(2000)와 연결된 경우, 서버(200)에 수집된 셋톱 박스(500)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내지 100_n)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된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방송 채널의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셋톱 박스(500)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떠한 종류의 셋톱 박스(500)가 연결되더라도, 연결된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를 별도의 채널 인식 알고리즘 없이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21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만을 이용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1개를 이용하여, 도 21의 실시 예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셋톱 박스들이 하나씩, 연결되고, 연결된 셋톱 박스의 정보가 서버(20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 제1 배너 정보, 채널 번호의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한다(S21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제1 셋톱 박스로부터 제1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는 제1 셋톱 박스의 종류, 모델, 명칭, 버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배너에 기초하여, 제1 배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배너 정보는 채널 변경 후, 배너가 표시되기 까지 소요되는 배너 출력 시점, 배너의 표시가 유지되는 배너 유지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 및 배너를 이용하여, 배너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배너를 식별하는 예는 도 17에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170)는 제1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방송 채널의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9 내지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의 좌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2개의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2개의 채널 번호의 좌표 값 각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제1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2103).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2000)에 전송한다(S2105).
제어부(170)는 제1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 제1 배너 정보, 채널 번호의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서버(2000)와 네트워크 연결된 경우, 수집된 제1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새로운 셋톱 박스가 연결 때마다, 서버(2000) 새로운 셋톱 박스의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저장한다(S2107).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단계 S2101 내지 S2105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 제2 배너 정보, 채널 번호의 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획득한다(S2109).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제2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211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2000)에 전송한다(S2113).
서버(20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수신된 제2 정보를 저장한다(S2115).
서버(20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수신된 제2 정보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셋톱 박스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베이스(2200)는 셋톱 박스의 종류(2210), 채널 번호의 제1 위치 정보(2220), 채널 번호의 제2 위치 정보(2230), 배너의 출력 시점(2240), 셋톱 박스의 버전(2250),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 타입 정보(226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트 베이스(2200)는 셋톱 박스의 종류에 따라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 배너의 출력 시점, 셋톱 박스의 버전,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 타입 정보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의 종류(2210)는 셋톱 박스(2210)를 공급하는 제조사 또는 셋톱 박스(2210)의 모델을 나타낼 수 있다.
채널 번호의 제1 위치 정보(2220)는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 내에서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제1 좌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좌표 값은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의 x,y 좌표 및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의 너비,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번호의 제2 위치 정보(2230)는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 내에서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제2 좌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좌표 값은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의 x,y 좌표 및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의 너비, 채널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배너의 출력 시점(2240)은 방송 채널의 변경된 후부터, 배너가 표시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셋톱 박스의 버전(2250)은 셋톱 박스가 업데이트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 타입 정보(22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떠한 타입의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인식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2000)에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시, 어떠한 타입의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은 도 9 내지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영역 분할 인식을 통한 방법일 수도 있고,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인식될 수 있다.
다시 21을 설명한다.
서버(2000)는 데이터 베이스(2200)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전송한다(S2117).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주기적으로, 데이터 베이스(2200)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200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데이터 베이스(2200)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20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셋톱 박스(500)가 연결된 경우, 데이터 베이스(2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저장부(140)는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한다(S2119).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새로운 셋톱 박스(500)가 연결되었는지 또는 셋톱 박스(500)의 버전이 달라졌는지를 확인한다(S2121).
제어부(17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기존에 연결된 제2 셋톱 박스가 아닌 다른 셋톱 박스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셋톱 박스의 종류가 다른 셋톱 박스가 새롭게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동일한 종류의 셋톱 박스라도 버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70)는 셋톱 박스의 버전이 달라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연결된 셋톱 박스(500)로부터 셋톱 박스(5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셋톱 박스(500)가 연결되었는지, 셋톱 박스(500)의 버전이 달라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새로운 셋톱 박스가 연결된 경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123).
제어부(170)는 새롭게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롭게 연결된 셋톱 박스의 종류가 A인 경우(도 22 참조), 제어부(170)는 A의 셋톱 박스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20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를 인식했는지를 확인한다(S2125).
제어부(170)는 별도의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의 구동 없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영상 내의 해당 위치에 있는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 변경 시에도, 기 획득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를 인식한 경우,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S2127).
즉, 제어부(170)는 새로운 셋톱 박스가 연결되거나, 셋톱 박스의 버전이 달라지더라도, 별도의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구동시킬 필요 없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의 구동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는 빠르게 관련 방송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채널 번호의 위치에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만약,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통해 채널 번호가 인식되지 못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단계 S2109의 과정을 수행한다.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통해 채널 번호가 인식되지 못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재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도 9 내지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채널 정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셋톱 박스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경우, 서버(2000)는 새로운 셋톱 박스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서버(2000)는 해당 셋톱 박스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2000)는 지속적으로, 데이터 베이스(2200)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를 인식하여,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된 셋톱 박스(500)로부터 입력된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에는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을 제공하는 제1 방송국의 명칭(1911)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방송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1 방송 프로그램 영상(1910)을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70)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너(2303)를 표시할 수 있다. 배너(2303)는 방송 채널의 변경 후, 0.3초 이후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배너(2303)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10)의 채널 번호(2307), 제2 방송 프로그램(2310)의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2000)로부터 도 22에 도시된 데이터 베이스(2200)를 수신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방송 채널이 변경된 경우, 저장부(140)에 저장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출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00) 내의 채널 번호(2307)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인식된 채널 번호(2307)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2320)를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01) 내에 표시할 수 있다.
관련된 방송 정보(2320)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00)에서 등장하는 인물의 정보,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00)의 스토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관련된 방송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채널 번호(2307)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정보 아이콘(231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방송 정보 아이콘(2310)은 인식된 채널 번호(2307)에 대응하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00)의 이전 회차를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방송 정보 아이콘(2310)은 제2 방송 프로그램 영상(2300)의 이전 회차를 제공 가능한 컨텐트 제공자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방송 정보 아이콘(2310)은 배너(231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방송 정보 아이콘(2310)은 관련 방송 정보(2320)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방송 정보 아이콘(2310)은 배너(2303) 상에서 표시되다가, 배너(2303)가 사라지면, 관련 방송 정보(2320)가 표시되는 영역 내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관련 방송 정보를 설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 인식에 따른 관련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이 온 되어 있는 경우, 채널 변경에 따라 변경된 채널의 번호를 인식하여, 관련 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채널 번호 인식에 따른 관련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변경된 채널의 번호를 인식하지 않고, 이에 따라, 관련 방송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톱 박스로부터 방송 영상을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상기 셋톱 박스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 채널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저장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방송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크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상기 셋톱 박스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 상기 셋톱 박스의 종류 및 상기 셋톱 박스의 버전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새로운 모델의 셋톱 박스가 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모델의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새로운 버전의 셋톱 박스가 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버전의 셋톱 박스로부터 입력된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번호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방송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영상의 채널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채널 번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현재 연결된 셋톱 박스의 식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방송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내의 글자 개수를 획득하고,
    각 영역 내의 글자 개수가 기준 개수 이하인 경우, 각 영역 내의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가 유효한 경우, 해당 영역을 후보군으로 등록하고,
    후보군으로 등록된 영역의 좌표를 획득하고,
    획득된 좌표를 상기 채널 번호의 위치 정보로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후보군들이 등록된 경우, 복수의 후보군들을 각 후보군의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하고,
    필터링 결과, 1개의 후보군이 남은 경우, 남아 있는 후보군의 좌표를 상기 채널 번호의 위치로 획득하고,
    각 후보군의 정보는
    각 후보군의 좌표 정보, 각 후보군 내에 포함된 텍스트의 길이, 텍스트의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수신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상기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수신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채널 번호와 관련된 상기 방송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 추천, 상기 방송 영상의 정보, 상기 방송 영상의 장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51141A 2016-11-11 2016-11-14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3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41A KR20180053950A (ko) 2016-11-14 2016-11-14 디스플레이 장치
US15/618,652 US10448107B2 (en) 2016-11-11 2017-06-09 Display device
CN201780069296.4A CN109937576A (zh) 2016-11-11 2017-06-30 显示装置
EP17868560.8A EP3539287A4 (en) 2016-11-11 2017-06-30 DISPLAY DEVICE
PCT/KR2017/007001 WO2018088667A1 (en) 2016-11-11 2017-06-3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41A KR20180053950A (ko) 2016-11-14 2016-11-1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50A true KR20180053950A (ko) 2018-05-24

Family

ID=6229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141A KR20180053950A (ko) 2016-11-11 2016-11-1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23A (ko) * 2020-04-02 2021-10-13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방송 송출용 진행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tv 방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23A (ko) * 2020-04-02 2021-10-13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방송 송출용 진행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tv 방송 시스템
US11595712B2 (en) 2020-04-02 2023-02-28 Sk Stoa Co., Ltd. TV broadcast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progress data for broadca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97B1 (ko)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201700956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16636B2 (en) Setting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of display device
KR1017904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448107B2 (en) Display device
KR20150145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16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46067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3184A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168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539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028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529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79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0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33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348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8832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900001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43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540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