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890A -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890A
KR20180053890A KR1020160151001A KR20160151001A KR20180053890A KR 20180053890 A KR20180053890 A KR 20180053890A KR 1020160151001 A KR1020160151001 A KR 1020160151001A KR 20160151001 A KR20160151001 A KR 20160151001A KR 20180053890 A KR20180053890 A KR 20180053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esistor
vehicle
dampers
solenoid valv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115B1 (ko
Inventor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15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1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to an external condition, e.g. rough road surface, side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댐퍼; 솔레노이드 밸브에 직렬 연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가변저항; 및 전류를 생성하도록 가변저항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Apparatus for controlling damper and suspension system su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면의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감쇠력을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시스템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며 주행할 때 차축에 노면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한편, 반능동형 현가시스템은 차체 가속도센서, 휠 가속도센서 높이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댐퍼 속도 및 차체의 수직 속도를 추정하며, 기타 차량의 유동에 관한 신호를 새시(Chassis) CAN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각 휠에 필요한 댐퍼 힘을 계산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류를 각 댐퍼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하는 방식이다. 이에 의해 전류에 따라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반능동형 현가시스템은 감쇠력의 연속적인 변화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인지하지 못하는데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제어가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반능동형 현가시스템은 차량의 유동에 따른 적합한 감쇠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유동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와 이를 기초로 감쇠력을 결정하기 위한 ECU 등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시스템 전체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JP 2008-238922 A(공개일 : 2008.10.09)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면의 상황에 의해 운전자가 느끼는 정도에 따라 운전자가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감쇠력 제어를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댐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가변저항; 및 상기 전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저항은 사용자가 직접 조절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또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저항은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류를 조절하도록 저항값이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전륜 및 후륜에 연결되며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복수의 댐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저항; 및 상기 전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현가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하나의 가변저항에 의해 종속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서로 직렬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가변저항 및 상기 전원부는 직렬 연결된 상기 복수의 댐퍼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복수의 가변저항에 의해 독립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가변저항은 상기 복수의 댐퍼에 각각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상기 복수의 가변저항 및 상기 복수의 댐퍼 각각은 상기 전원부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저항은 사용자가 직접 조절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또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저항은 상기 복수의 댐퍼 각각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류를 조절하도록 저항값이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은 댐퍼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정하도록 가변저항을 구비함으로써, 노면의 상황에 의해 운전자가 느끼는 정도에 따라 감쇠력을 직접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 저항 및 전원부를 이용하여 댐퍼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댐퍼의 감쇠력 제어를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에 대한 댐퍼 힘과 댐퍼 속도의 관계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시스템의 일례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시스템의 다른 예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댐퍼(11) 및 전류조절부(13)를 포함하는 현가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댐퍼(11)는 차량(10)의 전륜 및 후륜에 각각 연결되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112)를 구비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내장형 또는 외장향일 수 있다.
전류조절부(13)는 각 댐퍼(11)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도록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류조절부(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변저항 및 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에 대한 댐퍼 힘과 댐퍼 속도의 관계그래프이다.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100)는 댐퍼(110), 가변저항(120) 및 전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10)는 지면 상황에 따라 감쇠력을 형성하는 제공하며, 솔레노이드 밸브(112), 및 피스톤로드(114)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112)는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댐퍼(110)의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고, 피스톤로드(114)는 차축 또는 차체에 연결되며, 솔레노이드 밸브(112)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댐퍼(110)의 감쇠력을 차축 또는 차체에 전달할 수 있다.
가변저항(120)은 솔레노이드 밸브(112)와 전원부(130)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저항(120)은 댐퍼(110)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1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도록 저항값(R)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저항(120)은 차량의 주행 중에 사용자가 직접 조절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가변저항(120)은 운전석 전면의 클러스터 또는 변속기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변저항(120)은 회전형 가변저항 또는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일 수 있다. 이러한 가변저항(120)은 저항값(R)이 연속적으로 가변되거나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가변저항(120) 및 솔레노이드 밸브(112)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댐퍼(110)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12)의 제어 전류를 생성하도록 가변저항(120)에 전원(Vdc)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30)는 차량(10)의 적재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부(13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 또는 알터네이터를 통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원일 수 있다. 즉, 전원부(130)는 차량(10)의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전자부품 등의 전원으로서 제공되는 전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저항(120) 및 전원부(130)는 솔레노이드 밸브(1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13)로서 솔레노이드 밸브(112)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100)는 노면의 상황에 맞추어 운전자가 가변저항(120)의 저항값을 선택함으로써, 알맞은 감쇠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10)는 가변저항(120)의 저항값(r1~rn)에 따라 감쇠력(댐퍼힘)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값(r1~rn)은 솔레노이드 밸브(112)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에 대응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112)의 사용 전류 범위 및 내부저항과 가변저항(120)에 인가되는 전원부(130)의 전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100)는 노면의 상황에 의해 운전자가 느끼는 정도에 따라 감쇠력을 직접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댐퍼의 감쇠력 제어를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100)는 차량의 현가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현가시템은 복수의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댐퍼는 하나의 가변저항에 의해 종속제어되거나 개별의 가변저항에 의해 독립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시스템의 일례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현가시스템(200)은 복수의 댐퍼(210~240), 하나의 가변저항(120) 및 전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가시스템(200)은 복수의 댐퍼(210~240)가 하나의 가변저항(120)에 의해 종속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댐퍼(210~240)는 솔레노이드 밸브(212~242)를 각각 구비하고, 차량(10)의 전륜 및 후륜 각각에 배치되며, 피스톤로드(214~244)를 통하여 차축 또는 차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댐퍼(210~240)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댐퍼(210~240)의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 사이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솔레노이드 밸브(212)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222)에 연결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222)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232)에 연결되며, 제3솔레노이드 밸브(232)는 제4솔레노이드 밸브(242)에 연결된다.
하나의 가변저항(120)은 제1솔레노이드 밸브(212)와 전원부(130)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저항(120)은 복수의 댐퍼(210~240)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도록 저항값(R)이 가변될 수 있다.
이때, 가변저항(120)은 제1솔레노이드 밸브(212)에 연결되지만, 복수의 댐퍼(210~240)가 직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제공되는 전류는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가변저항(120)의 저항값(R)이 가변됨으로써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동일한 전류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댐퍼(210~240)의 감쇠력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가변저항(120)은 차량의 주행 중에 사용자가 직접 조절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가변저항(120)은 운전석 전면의 클러스터 또는 변속기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변저항(120)은 회전형 가변저항 또는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일 수 있다. 이러한 가변저항(120)은 저항값(R)이 연속적으로 가변되거나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가변저항(120) 및 제4솔레노이드 밸브(242)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복수의 댐퍼(210~240)의 감쇠력을 종속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의 제어 전류를 생성하도록 가변저항(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30)는 차량(10)의 적재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부(13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 또는 알터네이터를 통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원일 수 있다. 즉, 전원부(130)는 차량(10)의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전자부품 등의 전원으로서 제공되는 전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저항(120) 및 전원부(130)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13)로서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 전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즉, 가변저항(120) 및 전원부(130)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212)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24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가시스템(200)은 노면의 상황에 맞추어 운전자가 가변저항(120)의 저항값을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댐퍼(210~240)가 동일하게 종속제어되어 알맞은 감쇠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댐퍼(210~240)는 가변저항(120)의 저항값(r1~rn)에 따라 동일한 감쇠력(댐퍼힘)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값(r1~rn)은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에 대응하는 것으로,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 각각의 사용 전류 범위 및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 전체의 내부저항과 가변저항(120)에 인가되는 전원부(130)의 전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가시스템(200)은 노면의 상황에 의해 운전자가 느끼는 정도에 따라 감쇠력을 동일하게 직접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댐퍼의 감쇠력 제어를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시스템의 다른 예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현가시스템(300)은 복수의 댐퍼(210~240), 가변저항부(320) 및 전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가시스템(300)은 복수의 댐퍼(210~240)가 가변저항부(320)에 의해 독립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댐퍼(210~240)는 솔레노이드 밸브(212~242)를 각각 구비하고, 차량(10)의 전륜 및 후륜 각각에 배치되며, 피스톤로드(214~244)를 통하여 차축 또는 차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댐퍼(210~240)는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댐퍼(210~240)의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는 가변저항부(320)를 통하여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는 일단이 가변저항부(320)에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부(130)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가변저항부(310)는 복수의 가변저항(312~318)을 포함하며, 복수의 댐퍼(210~240)와 전원부(130)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변저항(312~318)은 일단이 솔레노이드 밸브(212~242) 각각에 직렬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부(130)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가변저항(312)은 제1솔레노이드 밸브(212)와 전원부(130)에 연결되고, 제2가변저항(314)은 제2솔레노이드 밸브(222)와 전원부(130)에 연결되며, 제3가변저항(316)은 제3솔레노이드 밸브(232)와 전원부(130)에 연결되고, 제4가변저항(318)은 제4솔레노이드 밸브(242)와 전원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가변저항(312~318)은 복수의 댐퍼(210~240)의 감쇠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도록 저항값(R)이 가변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가변저항(312~318)은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제공되는 전류는 독립적으로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변저항(312~318)의 저항값(R)이 개별적으로 가변됨으로써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서로 상이한 전류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댐퍼(210~240)의 감쇠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저항부(320)는 차량의 주행 중에 사용자가 직접 조절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가변저항부(320)는 운전석 전면의 클러스터 또는 변속기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변저항부(320)는 회전형 가변저항 또는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변저항부(320)는 저항값(R)이 연속적으로 가변되거나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가변저항부(310) 및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복수의 댐퍼(210~240)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의 제어 전류를 생성하도록 가변저항부(3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30)는 차량(10)의 적재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부(13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제너레이터 또는 알터네이터를 통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원일 수 있다. 즉, 전원부(130)는 차량(10)의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전자부품 등의 전원으로서 제공되는 전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저항부(310) 및 전원부(130)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13)로서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로 각각 직렬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212~242)와 가변저항(312~318) 쌍은 전원부(130)에 대하여 각각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가시스템(300)은 노면의 상황에 맞추어 운전자가 복수의 가변저항(312~318)의 저항값을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댐퍼(210~240)가 서로 상이하게 독립제어되어 알맞은 감쇠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댐퍼(210~240)는 각각의 가변저항(312~318)의 저항값(r1~rn)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감쇠력(댐퍼힘)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값(r1~rn)은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12~242)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에 대응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12~242) 각각의 사용 전류 범위 및 내부저항과 가변저항(312~318)에 인가되는 전원부(130)의 전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가시스템(300)은 노면의 상황에 의해 운전자가 느끼는 정도에 따라 감쇠력을 동일하게 직접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댐퍼의 감쇠력 제어를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차량 11 : 댐퍼
13 : 전류조절부 100 :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110 ; 댐퍼 112: 솔레노이드 밸브
114 : 피스톤로드 120 : 가변저항
130 : 전원부 200,300 : 현가시스템

Claims (12)

  1.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댐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가변저항; 및
    상기 전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은 사용자가 직접 조절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또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원인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은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류를 조절하도록 저항값이 가변되는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5. 차량의 전륜 및 후륜에 연결되며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복수의 댐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저항; 및
    상기 전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현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하나의 가변저항에 의해 종속제어되는 현가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서로 직렬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가변저항 및 상기 전원부는 직렬 연결된 상기 복수의 댐퍼에 직렬 연결되는 현가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복수의 가변저항에 의해 독립제어되는 현가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저항은 상기 복수의 댐퍼에 각각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상기 복수의 가변저항 및 상기 복수의 댐퍼 각각은 상기 전원부에 병렬 연결되는 현가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저항은 사용자가 직접 조절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현가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또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원인 현가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저항은 상기 복수의 댐퍼 각각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류를 조절하도록 저항값이 가변되는 현가시스템.
KR1020160151001A 2016-11-14 2016-11-14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 KR10258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01A KR102580115B1 (ko) 2016-11-14 2016-11-14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01A KR102580115B1 (ko) 2016-11-14 2016-11-14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90A true KR20180053890A (ko) 2018-05-24
KR102580115B1 KR102580115B1 (ko) 2023-09-19

Family

ID=6229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001A KR102580115B1 (ko) 2016-11-14 2016-11-14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1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6592A (en) * 1987-08-03 1989-02-07 Kayaba Industry Co Ltd Controller for damper for two-wheel barrow
KR19990056644A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감쇠력조절장치
JP2005153629A (ja) * 2003-11-21 2005-06-16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8238922A (ja) 2007-03-27 2008-10-09 Hond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JP2009179319A (ja) * 2009-05-18 2009-08-13 Hitachi Ltd 電磁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6592A (en) * 1987-08-03 1989-02-07 Kayaba Industry Co Ltd Controller for damper for two-wheel barrow
KR19990056644A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감쇠력조절장치
JP2005153629A (ja) * 2003-11-21 2005-06-16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8238922A (ja) 2007-03-27 2008-10-09 Hond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JP2009179319A (ja) * 2009-05-18 2009-08-13 Hitachi Ltd 電磁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115B1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8678B2 (en) Vehicle having adjustable suspension
US11912096B2 (en) Adjustable vehicle suspension system
US8880293B2 (en)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and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US9375990B2 (en) Suspension control device
CN107651026B (zh) 用于控制或调节驾驶室安装座的方法和装置
US8744681B2 (en) Damping force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11971212B (zh) 用于调节车辆横向动力学的方法和设备
CN111137096B (zh) 用于可变阻尼力阻尼器的控制系统
KR102097571B1 (ko) 강화학습 기반 서스펜션 제어장치
KR102580115B1 (ko)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가시스템
JP2008544926A (ja) 車両のローリング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対応する車両
KR20220034194A (ko) 차량 운동 제어 장치
JP5291950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H04266513A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