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858A -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 Google Patents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858A
KR20180053858A KR1020160150928A KR20160150928A KR20180053858A KR 20180053858 A KR20180053858 A KR 20180053858A KR 1020160150928 A KR1020160150928 A KR 1020160150928A KR 20160150928 A KR20160150928 A KR 20160150928A KR 20180053858 A KR20180053858 A KR 2018005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fan
flow passage
swir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6968B1 (en
Inventor
황성훈
김원태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968B1/en
Publication of KR2018005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9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al ventilator comprises an additional second flow path to apply a wind to a user in addition to a first flow path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and can alleviate heat generated when cooking through an air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th. 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ventilator comprises an evaporation filter detachably installed in a thermoelectric module (TEM) mounted on any one surface of a covered auxiliary case or an inlet. Therefore, a cold wind can be generated.

Description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풍, 송풍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기능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rtex-type local exhaust system for sucking contaminated air and discharging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local exhaust system having a function of cooling air,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공장이나 가정과 음식점의 주방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local exhaust system is installed in a factory where a lot of pollutants are generated, a kitchen of a home and a restaurant, and is widely used for sucking contaminated ai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국소배기장치 중 가정의 주방에서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주방후드이다.Among the conventional local exhaust systems used for this purpose, a kitchen hood is used to exhaust air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in the kitchen of a home.

상기 주방후드는 일정 공간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기팬을 사용한다. The kitchen hood uses an exhaust fan to remove contaminants in a certain space.

상기 배기팬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기압이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기체의 성질을 이용한다. 날개를 회전시키면 공기를 밀어내어 날개 주변의 공기밀도가 낮아져 기압이 낮아진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아진 주변의 공기가 날개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날개의 뒤틀림 방향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한다. The exhaust fan uses the property of a gas moving from a high air pressure to a low air pressure. When the wing is rotated, the air is pushed out to lower the air density around the wing, and the air pressure is lowered. Then, the ambient air with relatively high air pressure moves to the wing. At this time, the air is sucked o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warping direction of the wing.

그리고 상기 배기팬을 통한 흡입능력을 보완해주기 위해, 배기팬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스월러(swirler)가 있다. 상기 스월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공기흐름은 스월러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배기팬의 흡입구를 향해 상승하는 오염 공기의 배기흐름의 둘레에 와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와류는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영역을 주변영역으로부터 차단하는 에어커튼 역할을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기팬의 흡입구로 흡입시키게 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uction capability through the exhaust fan, there is a swirler provided on the suction port side of the exhaust fan to form a vortex. The air flow created by the rotation of the swirler forms a vortex around the exhaust stream of contaminated air rising towards the inlet of the exhaust fan along the swirl center axis of the swirler. This vortex serves as an air curtain for blocking the area where the pollutant is genera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thereby allowing the contaminated air to be sucked into the intake port of the exhaust fan more efficiently.

한편, 주방후드의 인접 지역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더운 환경을 조성한다. 그리고 주방의 온도를 높여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하기 힘들다. On the other hand, adjacent areas of the kitchen hood create a hot environment for the user due to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create a pleasant kitchen environment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kitchen.

종래의 주방후드는 배기팬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함으로써 간접적으로나마 주방의 열기를 식힐 수 있다. 다만, 배기를 통하거나 실외 공기와의 환기를 통해 주방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며, 특히 여름철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조성하기가 어려워 그 효과가 미미하다. The conventional kitchen hood can cool the heat of the kitchen indirectly by exhausting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fan. However, it takes a long tim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kitchen through ventilation or ventilation with outdoor air. Especially in summer, it is difficult to create an environment desired by the user.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주방의 쾌적한 조리환경을 위하여 별도의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주방에 설치할 수 있으나, 공간활용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추가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user can install a separate air conditioner, air purifier, etc. in the kitchen for a pleasant cooking environment of the kitchen, but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nd additional costs may occur.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더위를 해결할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exhaust system capable of solving the user's feeling of heat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높아지는 주방의 온도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exhaust system capable of appropriately managing the temperature of a kitchen which is increased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월러팬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exhaust system for efficiently utilizing a swirl fa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풍량 및 온도가 설정되어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exhaust system in which air volume and temperature are se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ir can be discharged into a roo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조건이나 조리자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원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l exhaust device that can provide cool wind to a user without being affected by physical condition or cooking pos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유증기 등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주방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exhaust system capable of purifying air in a kitchen in which most of fine dust, vapor, and the like generated in a cooking process are most distributed.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는 제 1 유동통로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바람을 가해주기 위한 제 2 유동통로와 상기 제 2 유동통로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구비함으로써, 조리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더위를 느끼는 사용자에게 바람을 불어줄 수 있다.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ow passage for exhausting polluted air as well as a second flow passage for applying wind to a user and a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The generated heat can blow the user who feels the heat.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비닉된 보조케이스의 어느 일면에 설치되는 열전모듈(TEM) 또는 흡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화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냉풍을 생성할 수 있다.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cold air by providing a thermoelectric module (TEM)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subcituted auxiliary case or a vaporization filter removably installed on the suction port.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1개의 모터의 회전축의 일단이 스월러의 중심과 결합되고 타단이 송풍팬의 중심에 결합됨으로써, 스월러팬과 송풍팬을 하나의 모터로 동축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rotary shaft of one motor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wirle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lower fan, so that the swirl fan and the blower fan can be coaxially rotated by one motor .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풍량, 온도조절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조작부를 구비함으로써, 풍량, 토출 공기의 온도 등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setting air volume, temperature control, etc.,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air volum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토출구에 설치되는 베인을 구비함으로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by providing a vane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흡입구에 탈착 가능한 공기정화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주방 후드 주변부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contaminated air around the kitchen hood by providing an air purifying filter detachable to the air inlet.

본 발명에 따르면, 더위를 느끼는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n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ho feels the hea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시 발생하는 열기로 인하여 높아진 주방의 온도를 냉풍을 제공함으로써 낮출 수 있으므로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kitchen, which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can be lowered by providing cold air, a pleasant kitchen environment can be cre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팬과 스월러팬은 하나의 모터로 동축 상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구성 장치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wing fan and the swirl fan are rotated coaxially by a single motor,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stitution device efficiently, and waste of energy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의 오염 공기를 배기하는 것과는 별도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풍량 및 온도가 설정되어 주방에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맞은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exhausting contaminated air from the kitchen, air volume and temperature are se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kitchen, so that a kitche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user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여 조리 자세나 신체조건 등에 관계없이 쾌적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wind regardless of the cooking posture or the body condition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정화필터가 주방의 오염공기를 정화하므로 주방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purifying filter purifies polluted air in the kitchen, the air quality of the kitchen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에 별도의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air conditioner, an air purifier or the like in the kitchen, so that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A-A' 입체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구성의 일 부분을 하방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송풍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배기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확대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solid section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a blowing path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haust path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류형 국소배기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스(10), 보조케이스(20), 침니케이스(30) 및 배기덕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case 10, an auxiliary case 20, a chimney case 30 and an exhaust duct 40 which form an outer appearance .

상기 메인케이스(10)는 외관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방으로는 침니케이스(30)와 배기덕트(40)가 위치할 수 있다. The main case 10 forms the lower part of the outer tube and the chimney case 30 and the exhaust duct 4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main case 10.

상기 메인케이스(10)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켜 실외로 배기시키기 위한 제 1 유동통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통로(34)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내부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유동통로(34)는 상기 메인케이스(10) 및 침니케이스(30)의 내부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케이스(10)는 침니케이스(30)와 연통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The main case 10 may include a first flow passage 34 for introducing polluted air into the room and exhausting the air to the outside. The first flow passage (34) may be formed as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case (10). In detail, the first flow passage 34 may be formed as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case 10 and the chimney case 30. That is, the main case 10 may be connected to the chimney case 30 to communicate with the chimney case 30.

또한, 상기 메인케이스(10)는 보조케이스(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main case 10 can receive the auxiliary case 20 therei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메인케이스(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케이스(10)는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침니케이스(30)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main case 10 can be variously formed. For example, the main case 1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have a wider area than the chimney case 30.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은 상기 침니케이스(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케이스(10)의 하면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안내하는 유입구(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월러팬 등과 같은 배기도움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may be connected to the chimney case 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may have an inlet 16 for guiding contaminated air. The same exhaust assist device may be installed.

상기 메인케이스(10)의 하면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상기 제 1 유동통로(34)의 가이드에 따라 유동하여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flows along the guide of the first flow passage 34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om.

한편, 상기 메인케이스(10)는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와류형 국소배기장치(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case 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visual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and an opera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vortex-type local exhaust system 1.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조작부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케이스(10)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와류형 국소배기장치(1)의 설치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 touch screen method. The main case 1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o interlock with the display unit.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nsed and visually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조작부는 풍향, 풍량 및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후술할 제 2 유동통로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냉방 온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t at least one of a wind direction, an air flow rate, and a temperature.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air blowing direction of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second flow path,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operating portion, and set the cooling temperature value.

상기 보조케이스(20)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상면의 일 부분은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상면 중 어느 일 부분은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의 중앙 부분에 돌출되어 실내 공간 방향으로 노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The auxiliary case (20)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case (10).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 For example, one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may protrude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and be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room space.

즉,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상면은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상기 보조케이스(20)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제 2 유동통로(24)와, 설치공간(실내)의 일정 지역 또는 영역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2)와, 상기 흡입구(22)를 흡입한 공기를 전면을 향하여 토출하는 토출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case 20 includes a second flow passage 24 for providing a flow path for air, a suction port 22 for sucking air in a certain region or reg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room), a suction port 22 for sucking the suction port 22 And a discharge port 23 for discharging one air toward the front.

상기 흡입구(22)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입구(22)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내부가 아닌 외부를 향하여 노출되는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22)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에 돌출되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구(22)의 형성 위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ction port 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In detail, the suction port 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rather than the inside of the main case 10. That is, the suction port 22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and can guide the air sucked.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22 is not limited.

상기 흡입구(22)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상면에 사각형 형상의 다수 개의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2)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suction port 22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rectangular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 The suction port 22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case 20.

상기 흡입구(22)는 국소배기장치(1)가 설치된 공간의 천장 부근 공기를 흡입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22)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 방향에 존재하는 공기를 상기 제 2 유동통로(24)로 유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The suction port 22 can guide air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of the space where the local exhaust device 1 is installed to suck. Specifically, the suction port 22 may guide the air existing in the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main case 10 into the second flow passage 24.

상기 메인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보조케이스(20)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1 유동통로(34)와는 별개의 공기 유동통로인 제 2 유동통로(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참고)A second flow passage (24), which is an air flow passage separate from the first flow passage (34), may be formed by accommodating the auxiliary case (20) in the main case (10). (See FIG. 2)

상기 흡입구(22)가 흡입하는 실내 공기는 본 발명의 와류형 국소배기장치(1)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천장 부근에 존재하는 공기일 수 있다. 상기 천장 부근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유증기 등 오염물질의 입자가 적게 포함된 실내 공기이다. 즉, 국소배기장치(1)의 메인케이스(1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는 비오염지역으로 이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오염지역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팬(60)을 통해 사용자의 방향으로 토출시킨다면 열기를 식히고 사용자가 활동하기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e indoor air sucked by the suction port 22 may be air existing near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air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is room air containing relatively little particles of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and vapor. That is,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main case 10 of the local exhaust device 1 may be called a non-contaminated area. Therefore, if the air in the non-contaminated area is sucked and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 through the blowing fan 60, the user can cool down the heat and create a pleasant kitche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active.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생성되는 지역은 레인지, 쿡탑 등의 요리를 수행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요리를 수행하는 공간의 공기는 배기가 필요한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공기에 해당한다. 즉, 상기 레인지, 쿡탑 등의 주위를 오염지역이라 이름할 수 있다. The area in which pollutants are concentrated is a space for cooking dishes such as a range and a cook top. Therefore, the air in the space where the cooking is performed corresponds to the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pollution requiring exhaust. That is, the periphery of the range, the cooktop, and the like can be called a contaminated area.

상기 오염지역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는 주로 상기 제 1 유동통로(34)로 유입되어 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덜 오염된 비오염지역 공기는 상기 제 2 유동통로(24)로 유입되어 토출구(23)를 통해 재차 실내의 사용자에게 토출할 수 있다.The contaminated air existing in the contaminated area can mainly flow into the first flow passage 34 and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the relatively less contaminated non-contaminated area air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ssage 24 And can be discharged again to the user in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23.

여기서, 비오염지역 공기를 제 1 공기라 이름하며, 오염지역 공기를 제 2 공기라 이름한다.Here, the non-contaminated area air is referred to as a first air, and the contaminated area air is referred to as a second air.

상기 제 2 유동통로(24)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내부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22)와 상기 토출구(23)를 연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유동통로(34)와 구획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유동통로(34)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유동통로(24)를 유동하는 공기와 섞이지 않으며 별개로 유동한다. The second flow passage 24 may be formed as an internal space of the auxiliary case 20 and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the suction port 22 and the discharge port 23. And the first flow passage (34). Therefor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34) does not mix wit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24) but flows separately.

상기 토출구(23)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전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구(23)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전면부의 중앙 부분에 사각형상의 다수 개의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유동통로(24)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23)는 흡입구(2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2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case 10. For example, the discharge port 23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square hole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case 10,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ssage 24. Therefore, the discharge port 23 can discharge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2 to the indoor space again.

상기 토출구(23)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베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베인은 상기 토출구(23)를 따라 세로 및/또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제 2 유동통로(24)를 유동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방향은 상기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nes (not shown) for guid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The plurality of vanes may be installed longitudinally and / or laterally along the discharge port 23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24. The discharge direc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상기 침니케이스(30)는 외관의 상부를 이루며,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침니케이스(30)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과 연결되며, 각각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The chimney case 30 forms the upper part of the outer appearance, and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case 10. The chimney case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and the respective inner spaces ar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침니케이스(3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 1 유동통로(34)의 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니케이스(30)의 내부에는 후술할 배기팬(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팬(50)의 작동으로 상기 제 1 유동통로(34)를 유동하는 오염된 공기는 상기 배기팬(50)에 유입되어 배기덕트(40)를 통해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chimney case 30 may form a part of the first flow passage 34. An exhaust fan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himney case 30.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34 by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50 flows into the exhaust fan 5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40.

상기 배기덕트(40)는 상기 침니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팬(50)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침니케이스(3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침니케이스(30)는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침니케이스(30)와 상기 배기덕트(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duct 40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exhaust fan 50 installed inside the chimney case 30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chimney case 30. The chimney case 30 may extend upward so as to receive the exhaust duct 40. The chimney case 30 and the exhaust duct 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have.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A-A’ 입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난 구성의 일 부분을 하방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as viewed from below.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류형 국소배기장치(1)는 보조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팬(60)과, 와류를 생성시켜 오염된 공기의 흡입능력을 강화시키는 스월러(swirler, 70)와, 상기 송풍팬(60) 및 스월러(7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80)와, 상기 침니케이스(3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기덕트(40)와 연결되는 배기팬(50)을 더 포함한다.2 to 4, the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ilation fan 60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auxiliary case 20, A motor 80 for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to the blower fan 60 and the swirler 70 and a motor 80 disposed in the inside of the chimney case 30 so as to rotate the exhaust duct 40 And an exhaust fan 50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50.

상기 배기팬(50)은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 1 유동통로(34)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팬(50)의 작동을 통하여 상기 메인케이스(10)의 하면에서 오염된 공기는 상기 제 1 유동통로(34)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유동통로(34)를 따라 상기 배기팬(50)에 유입되어 상기 배기덕트(40)를 통해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The exhaust fan (50) can provide a suction force so that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flows into the first flow passage (34) through rotation. That is, the contaminated air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50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ssage 34, Can be introduced into the exhaust fan (50)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40).

상기 송풍팬(60)은 상기 보조케이스(20)의 내부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60)은 축류팬, 원심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슬림한 메인케이스(10)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원심팬을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ventilation fan (60)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case (20). The blowing fan 60 may include an axial flow fan, a centrifugal fan, and the like. Hereinafter, a centrifugal fan suitable for forming the slim main case 10 so as to improve the aesthetics will be described.

상기 송풍팬(60)의 상기 보조케이스(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 즉, 제 2 유동통로(24)에 설치할 수 있다. It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auxiliary case 20 of the blowing fan 60, that is, in the second flow passage 24.

상기 보조케이스(20)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노출된 상면과 상기 침니케이스(30)의 외주면이 이루는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토출구(23)까지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외부케이스(21)와, 상기 침니케이스(30)의 내부 방향을 향하여 비닉된 상기 보조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내부케이스(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case 20 includes an outer case 21 surrounding an inner space from the edg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himney case 30 to the discharge port 23, And an inner case 25 surrounding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case 20, which is confined toward the inner direction of the chimney case 30.

상기 내부케이스(25)는 후술할 모터의 회전축(81)을 기준으로 상기 침니케이스(30)의 하단을 향해 형성되는 보조케이스(20)를 의미하며, 상기 외부케이스(21)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81)을 기준으로 메인케이스(10)의 전면부를 향해 형성되는 보조케이스(20)를 의미한다. The inner case 25 refers to a subsidiary case 20 formed toward a lower end of the chimney case 30 with respect to a rotation axis 81 of a motor to be described later, Means an auxiliary case 20 which is form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case 10 with respect to the base 81 as a reference.

상기 송풍팬(60)의 설치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송풍팬(60)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81)에 연결되며,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토출하기 때문에 송풍팬(60)의 공기 흡입 방향과 상기 흡입구(22)의 형성 위치는 대응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lowing fan 60 is not limited. Since the air blowing fan 6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81 of the motor and sucks the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the air suction direction of the air blowing fan 60 and the air suction direction of the air inlet 22 Positions can be mapped.

한편, 상기 송풍팬(60)의 설치 위치가 상기 내부케이스(25)에서 토출구(23)로 가까워질수록, 송풍팬(60)의 구동 모터와 스월러(70)의 구동 모터(80)는 동일하기 때문에, 스월러(70)의 설치위치도 상기 송풍팬(60)의 설치위치에 대응되어 토출구(23)에 가까워지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유입구(16) 근처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는 배기팬(50)과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므로 흡입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즉, 배기팬(50)에 의한 흡입능력은 제 1 유동경로(34)가 길어지기 때문에 약화될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of the blower fan 60 and the driving motor 80 of the swirler 70 are the same a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lower fan 60 from the inner case 25 toward the outlet 23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wirler 70 can also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which corresponds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lowing fan 60 and approaches the discharge port 23. [ At this time, the contaminated air existing near the inlet 16 is gradually distanced from the exhaust fan 50, so that the suction force can be reduced. That is, the suction performance by the exhaust fan 50 can be weakened because the first flow path 34 is long.

이러한 이유로, 상기 송풍팬(60)은 상기 배기팬(50)의 흡입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송풍팬(60)은 일부는 상기 내부케이스(25)에, 나머지 일부는 외부케이스(21)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송풍팬(60)은 내부케이스(25)와 외부케이스(21)로 구획되는 위치에 그 중심이 오도록 설치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blowing fan (60) can be installed to maintain the suction capability of the exhaust fan (50). For example, the blowing fan 6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case 25 and the outer case 21 in part. That is, the air blowing fan 60 can be installed so that its center is located at a position defined by the inner case 25 and the outer case 21.

이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22)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상면과 침니케이스(30)의 전면에 위치하는 외주면이 이루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토출구(23)를 향하는 상기 송풍팬(60)의 반경 끝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블레이드(65)의 거리까지 대응되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스(25)에 위치하는 송풍팬(60)의 길이만큼 상기 스월러(70)의 형성위치도 상기 배기팬(50)에 가까워지므로 상기 제 1 유동경로(34)가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The suction port 22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blowing fan 60 toward the discharge port 23 from an edg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locat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chimney case 30, To the distance of the blade 65 located at the end portion. The position of the swirler 70 is closer to the exhaust fan 50 by the length of the blower fan 60 located in the inner case 25 so that the first flow path 34 is shortened .

상기 송풍팬(60)의 작동을 통하여 장기 제 2 유동통로(24)로 실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동시에 토출구(23)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60)은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구(22)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23)로 송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송풍팬(6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in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ong-term second flow passage 24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60, and at the same time, can be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23. That is, the blowing fan 60 can suck air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22 by rotation and blow the air to the discharge port 23.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blowing fan 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송풍팬(60)은 원판 형상의 주판(61)과, 상기 주판(61)의 배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블레이드(65)와, 상기 블레이드(65)의 상측면에 연결하며, 흡입구(22)에 인접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ing fan 60 includes a disk-like main plate 61, a blade 65 vertically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plate 61 and guiding the flow of air, And may include a shroud adjacent the inlet 22.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송풍팬(60)에 구비되는 다수의 블레이드(65)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hrou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connecting outer ends of a plurality of blades (65) provided in the blowing fan (60).

상기 주판(61)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허브(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62)의 중심에는 모터(80)의 회전축(81)이 삽입되는 삽입홈(63)이 형성될 수 있다.A hub 62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61. An insertion groove 63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81 of the motor 8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b 62.

상기 흡입구(22)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65)를 타고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판(61)에 의하여 회전축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축 방향으로 토출되지 않고 상기 블레이드(65)를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guided by the suction port 22 can be radially discharged on the blade 65. That is, the air intro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by the main plate 61 can be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blade 65 without being discharged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블레이드(65)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65)에는 상기 송풍팬(6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타고 흐르며, 볼록하게 솟아오른 부분인 정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정압면 반대편에 상기 정압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부압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65)의 앞전은 상기 송풍팬(60)의 내측을 향하며, 상기 블레이드(65)의 뒷전은 상기 송풍팬(6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The blade 65 is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air sucked into the blowing fan (60) flows in the blade (65), and a positive pressure surface which is a convexly raised por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atic pressure surface, a negative pressure surface . The front blade of the blade 65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blowing fan 60 and the rear blade of the blade 65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lowing fan 60.

한편, 상기 메인케이스(10)는 오염된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베이스(b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메인케이스(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케이스(10)의 하면은 조리기기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해 조리기기의 상방에 위치하여 조리기기와 마주보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case 10 may further include a base for providing a path of contaminated air. The base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For example, the base may be integrally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can be understood as a surface locat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and facing the cooking appliance for sucking vapor, dust or the like generated in the cooking appliance.

상기 베이스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6)를 구비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거나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may include a flow guide having an inlet 16 for the inflow of contaminated air. The flow guide may be fastened to the base by a fastening member 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상기 유입구(16)는 상기 제 1 유동통로(34)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The inlet 16 may be regarded as an inlet for sucking air contaminated with the first flow passage 34. Therefore,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16 can be exhausted outdoors.

상기 유동 가이드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함몰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6)는 일 예로 상기 함몰부(15)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guide may include a depression (15) for guiding the flow of air. The inlet 16 may be formed in the depression 15, for example.

또한, 상기 메인케이스(10)는, 내부에서 모터(80)와 체결되며 상기 모터(80)를 지지하는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를 상기 유동 가이드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ase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that is coupled to the motor 80 and supports the motor 80,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connects the supporter to the flow guide.

상기 서포터는 상기 유입구(16)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80)가 상기 서포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80)는 상기 유입구(16)를 관통할 수 있다. The supporter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inlet 16. Therefore, when the motor 80 is installed on the supporter, the motor 80 can pass through the inlet 16.

상기 모터(80)는 상기 서포터의 상측에서 상기 서포터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80)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16)의 상방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유입구(16)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motor 80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er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Thus, a portion of the motor 80 may be located above the inlet 16, while the other portion may be located below the inlet 16.

상기 모터(80)는 상기 조작부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The motor 80 can be operated by a user's operation by the operation unit.

상기 모터(80)는 상기 모터(80)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8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80)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otor 80 may include a rotary shaft 81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80. The motor (8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case (10).

상기 모터(80)의 회전축(81)의 일단은 상기 삽입홈(63)에 삽입 연결하며, 타단은 후술할 상기 스월러(70)의 축 결합부(82)에 삽입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모터(80)가 동작하여 송풍팬(60) 및 스월러(70)를 작동시킬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81 of the motor 8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3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81 is inserted in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of the swasher 7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one motor 80 operates to operate the blower fan 60 and the swirler 70. [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삽입홈(63)과 후술할 상기 스월러의 축결합부(82)는 하나의 축 상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50)과 스월러(70)는 동축 상에 연결되어 구동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insertion groove 63 and the axially engaging portion 82 of the swallower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 one axis. That is, the blower fan 50 and the swirler 70 can be driven coaxially.

상기 송풍팬(60)의 중심과 상기 스월러(70)의 중심은, 상기 침니케이스(30)와 상기 메인케이스(10)가 수직을 이루어 연결되는 모서리, 즉, 상기 침니케이스(30)의 하단부와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상면이 형성하는 모서리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그어지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blower fan 60 and the center of the swirler 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corner vertically connecting the chimney case 30 and the main case 10, And an imaginary extension line drawn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edg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

상기 가상의 연장선상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81)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 모터의 회전축(81)의 하단은 상기 스월러(70)의 중심에 위치하는 축결합부(82)에 연결되며, 상단은 상기 송풍팬(60)의 중심에 위치하는 삽입홀(63)에 연결될 수 있다. And the rotational axis 81 of the motor may be positioned on the virtual extension line.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81 of the motor located on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is connected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wirler 70 an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6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sertion hole 63 positioned therein.

상기 송풍팬(50)과 스월러(70)를 동축 상에 연결하여 구동하면, 1개의 모터로 2개의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활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며, 부품이 감소되어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When the fan 50 and the swirler 70 are driven coaxially and driven, two motors can be driven by a single moto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energy utilization, .

한편, 상기 배기팬(50)과 스월러(70) 또는, 상기 배기팬(50)과 송풍팬(60)을 1개의 모터로 구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겠으나, 이는 비효율적이며 심각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세히, 배기팬(50)은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시키기 위해 배기량을 최대한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배기팬은 약600 CFM의 풍량 값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exhaust fan 50 and the swirler 70 or the exhaust fan 50 and the blower fan 60 with a single motor may be considered but this is inefficient and has serious drawbacks . In detail, the exhaust fan 50 needs to design the exhaust amount to the maximum in order to suck the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exhaust the air to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exhaust fan used in the home can be designed to have an airflow value of about 600 CFM.

한편, 스월러는 적절한 범위 안의 회전RPM을 가져야 와류를 통한 공기의 흡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월러의 적절한 범위 회전RPM은 상기 배기팬의 풍량에 대응되어 약 150 RPM에서 최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스월러와 배기팬을 동일한 모터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변속기 등을 통하여 배기팬 회전속도를 감속시켜야 한다. On the other hand, Suwaler must have a rotational RPM within an appropriate range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air to swallow through the vortex. The appropriate range of rotation RPM of the swirler has a maximum at about 150 RPM corresponding to the air flow rate of the exhaust fan. Therefore, in order to drive the swower and the exhaust fan with the same motor, the exhaust fan rotational speed must be reduced through a transmission or the like.

즉, 배기팬과 스월러의 1개 모터를 통한 구동은, 스월러의 와류 발생을 통한 흡입능력 향상을 구현하기 위해 배기팬의 회전 속도를 약 150 RPM으로 낮추는 희생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배기팬의 풍량(CFM)감소라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게 된다. That is, the driving through the single motor of the exhaust fan and the swagler requires a sacrifice of lowe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haust fan to about 150 RPM in order to realize the suction performance through swirl generation. This has a fatal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air flow rate (CFM) of the exhaust fan.

마찬가지로, 송풍팬과 배기팬을 1개의 모터로 구동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도, 송풍팬의 실내공기 흡입, 토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RPM범위에 맞춰 설계해야 하며, 결국 배기팬의 능력을 희생시켜야 하는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더하여, 배기팬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해 변속기 등의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Likewise, even if the blower fan and the exhaust fan are designed to be driven by a single motor,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blower fan to the proper RPM range in order to maintain the indoor air sucking and discharging function of the blower fan, The same problem occurs. In addition,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transmission are required to decelerate the speed of the exhaust fan, thereby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s.

반면에, 송풍팬(60)과 스월러(70)는 상호 회전 속도(RPM)의 범위가 중첩된다. 일례로, 송풍팬(60)과 스월러(70)는 100 CFM~200 CFM의 풍량 값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즉, 모터(80)의 파워가 100W로 가정할 경우, 송풍팬(60)은 100 CFM 풍량 값을 가지며, 스월러(70)도 100 CFM의 풍량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anges of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blower fan 60 and the swirler 70 overlap. For example, the blower fan 60 and the swirler 70 may be designed to have airflow values of 100 CFM to 200 CFM. That is, assuming that the power of the motor 80 is 100 W, the blowing fan 60 has a value of 100 CFM, and the swaller 70 has a value of 100 CFM.

스월러(70)의 최적의 회전속도(RPM)에 적합한 회전속도(RPM)를 가지는 송풍팬(60)을 통하여, 1개의 모터로 구동되어도 서로의 장점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어느 하나되는 기능도 희생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배기팬(50)도 최적의 배기량을 유지할 수 있어 주방 공기질을 상대적으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변속기 등의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리하면, 송풍팬(60)과 스월러(70)는 1개의 동일한 구동 모터(80)로 동작함으로써, 국소부분의 와류형성을 통한 오염공기 흡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기량도 최대가 되어 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merits of each other even when driven by a single motor through a blowing fan 60 having a rotation speed RPM suitable for an optimum rotation speed RPM of the swirler 70, There is no need to sacrifice. In addition, the exhaust fan 50 can maintain an optimum amount of exhaust ai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kitchen air quality. Further, since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parts such as a transmiss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summary, the blower fan 60 and the swirler 70 operate with one and the same drive motor 80, so that the polluted air sucking ability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vortex in the local portion can be improved, and the exhaust amount is also maximized, Ability to improve.

상기 스월러(70)는 상기 함몰부(15)가 형성하는 공간(75)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월러(70)는 상기 유입구(16)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80)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됨에 따라서, 상기 모터(80)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배기 장치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wirler 70 may be located in the space 75 formed by the depression 15. Thus, the swirler 7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inlet 16. As the motor 80 is installed on the base, it is easy to install the motor 80 and the height of the exhaust device can be reduced.

특히, 상기 구동 모터(80)가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16)를 관통하여 상기 유입구(16)의 하방에 위치됨에 따라서, 메인케이스(10)의 내부의 높이가 더욱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as the driving motor 80 passes through the inlet 16 of the base and is positioned below the inlet 16, the height of the interior of the main case 10 can be further reduced.

상기 모터(80)가 상기 유입구(16)를 관통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구(16)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포터가 상기 모터(8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상기 서포터에 의한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서포터는 "C"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er may be positioned so as to overlap with the inlet 16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motor 80 penetrates the inlet 16. At this time, the supporter may be formed in a shape like "C " so that the supporter stably supports the motor 80, but the flow resistance by the supporter is minimized.

상기 스월러(70)는, 회전 동작하는 회전판(71)과, 상기 회전판(71)의 테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wirler 70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71 rotating and a plurality of blades 72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rim of the plate 71.

상기 회전판(71)에는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홀(7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otation plate 71 may be provided with a hole 74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can pass.

상기 스월러(70)는 상기 모터(80)의 회전축(81)과 연결되기 위한 축 결합부(82)와, 상기 축 결합부(82)를 상기 회전판(71)에 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리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wirler 70 includes an axial coupling portion 82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81 of the motor 80 and at least one connecting rib 82 for connecting the axial coupling portion 82 to the rotary plate 71. [ (73).

오염된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상기 홀(74)은,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16)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smooth flow of polluted air, the holes 74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inlet 16 of the b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다수의 날개(72)는 상기 회전판(7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7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lades 72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71 and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plate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축 결합부(82)는 상기 회전판(7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80)의 회전축(81)은 상기 회전판(71)의 홀(741)을 관통한 후에 상기 축 결합부(8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터(80)의 일부도 상기 회전판(71)의 홀(74)을 관통할 수 있다.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may be positioned below the rotary plate 71. Therefore, the rotation shaft 81 of the motor 8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741 of the rotation plate 71. At this time, a part of the motor 80 can also pass through the hole 74 of the rotary plate 71.

상기 축 결합부(82)는 상기 다수의 날개(7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함몰부(15)가 형성하는 공간(7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plurality of blades 72.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space 75 formed by the depression 15.

상기 서포터는 상기 축 결합부(8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서포터는 상기 회전판(71)의 홀(74)을 관통할 수 있다. The supporter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supporter may penetrate the hole 74 of the rotary plate 71. [

상기 축 결합부(82)가 상기 회전판(71)의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80)의 축(81)과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스월러(70)와 상기 모터(80) 간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슬림한 형상의 국소배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wirler 70 and the motor 80 becomes smaller as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is connected to the shaft 81 of the motor 80 in a state where the shaft coupling portion 82 is positioned below the rotation plate 71 It is possible to form a localized exhaust device having a slim shape.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송풍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배기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blowing path of the local exha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hausting path of the local exha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80)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송풍팬(60)의 회전에 따라 주방의 상부 공간에 존재하는 비오염지역 공기는 흡입구(22)를 통해서 상기 송풍팬(60)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65)의 정압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상기 송풍팬(60)의 원주방향 즉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motor 80 is turned on, the non-contaminated area air existing in the upper space of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60 is blown into the blowing fan 60 As shown in Fig. The air flowing along the static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65 may be dischar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owing fan 60, that is,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송풍팬(60)에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 2 유동통로(24)를 따라서 토출구(23)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3)로 이동되는 공기는 베인이 가이드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를 주방(실내)으로 토출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blowing fan (60) is moved toward the discharge port (23) along the second flow passage (24). Th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3 can discharge the air to the kitchen (room) along the direction guided by the vane.

사용자는 조작부 및/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풍향, 풍량, 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조작부의 풍향버튼을 조작하여 상, 하, 좌, 우로 베인을 회전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풍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과정 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한 더위를 해소할 수 있다.The user can set the wind direction, air volume, temperature, and the like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 or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the user can operate the wind direction buttons of the operation unit to rotate the van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et the wind direction suitable for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solve the heat due to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한편, 상기 송풍팬(60)의 회전시 정압면이 고압부가 되고, 부압면이 저압부가 된다. 즉, 상기 송풍팬(60)의 축 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정압면을 따라 흐르면서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lowing fan 60 rotates, the static pressure surface becomes a high pressure portion, and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becomes a low pressure portion.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ir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lowing fan 60 is dischar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flowing along the static pressure surfac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80)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스월러(70)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스월러(70)가 작동하면 일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motor 80 is turned on, and the swirler 70 can operate. When the swirler 70 is operated, rotation starts in one direction.

상기 스월러(7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날개(72)는 상기 회전판(71)의 홀(74)을 향하여 유동하는 오염 공기를 상기 회전판(71)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16)를 공기가 통과하면, 상기 유입구(16)를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공기도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16)를 통과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71)의 하부에는 와류가 형성된다. When the swirler 7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vanes 72 push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toward the holes 74 of the swash plate 71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71.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inlet 16 of the base, not only the contaminated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16 but also the air around the inlet 16 passes through the inlet 16 of the base. A vortex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71 by the flow of air.

이 때, 상기 베이스의 유동 가이드가 상기 스월러(7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함에 따라서, 와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flow guide of the base guides the air flow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wirler 70 downward, a vortex can be effectively formed.

상기 형성된 와류를 통해 오염된 공기는 보다 원할하게 유입구(16)로 유입되며, 상기 배기팬(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유동경로(34)를 따라 배기팬(50)의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배기팬(50)의 토출구와 연결된 배기덕트(4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기팬(50)은 원심팬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팬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r that has been contaminated through the formed vortex flows into the inlet 16 more smoothly and flow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exhaust fan 50 along the first flow path 34 by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50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40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exhaust fan 50. Of course, the exhaust fan 50 may be installed not only as a centrifugal fan but also as various kinds of fans.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A-A’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류형 국소배기장치(1)는 기화가습필터(90)와, 공기청정필터(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aporization humidifying filter 90 and an air purifying filter 95.

상기 공기청정필터(95)는 보조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청정필터(95)는 상기 흡입구(22)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필터(95)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purifying filter 95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case 20. In detail, the air cleaning filter 95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air inlet 22. The air purifying filter 95 may include a pre-filter, a HEPA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상기 비오염지역에도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청정필터(95)는 흡입구(22)로 흡입되는 비오염지역의 공기의 먼지, 보푸라기, 털 등을 걸러주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The air cleaning filter 95 filters dust, lint, hair, and the like of the air in the non-contaminated area, which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2, to purify the air, because contamination such as dust may be included in the non- have.

상기 공기청정필터(95)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60)에 의해 제 2 유동경로(24)를 따라 상기 토출구(23)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필터(95)를 통과한 깨끗한 공기가 토출되므로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깨끗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cleaning filter 95 can flow to the discharge port 23 along the second flow path 24 by the blowing fan 60. Therefore, since the clean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air cleaning filter 95 is discharged, indoor air quality can be improved and clean win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상기 기화가습필터(90)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화가습필터(90)는 토출구(23)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토출구(23)에 끼워지는 기화가습필터(90)를 탈거하여 가볍게 물에 적셔 다시 토출구(23)에 끼워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vaporization and humidification filter (9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case (20). In detail, the vaporization and humidification filter (9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charge port (23).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vaporization and humidification filter 90 fitted into the discharge port 23, lightly wet the discharge port 23, and insert the discharge port 23 into the discharge port 23, which is convenient to use.

상기 제 2 유동경로(24)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기화가습필터(90)를 통과하면서 물의 증발 잠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23)를 통과하는 공기는 시원한 냉풍을 이루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ㅂ또한, 상기 기화가습필터(90)는 수분을 머금은 상태이기 때문에 먼지를 걸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 can be cooled by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vaporization and humidification filter (90).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23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cool and cool air flow. Further, since the vaporization and humidification filter 90 is in a state in which moisture is contained therein,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filter dust.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류형 국소배기장치(1)는 열전모듈(thermoelectric module(TEM), 9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TEM) 97.

상기 열전모듈(97)은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소자로 전지적으로 직렬, 열적으로는 평행인 다수의 반도체 커플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모듈(97)은 전기가 각 N형과 P형 소자를 통해 기판의 위와 아래를 계속해서 교대로 흐르는 동안 열이 열전소자를 통해 오직 한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따라서, 열전모듈(97)의 일 면은 열의 흡수에 의해 저온부(97b)를 형성하며, 반대방향의 타면은 열의 방출에 의하여 고온부(97a)를 형성한다.The thermoelectric module 97 is a device using a Peltier effect,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ouples which are serially connected in series and thermally parallel.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moves heat only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ile electricity continues to alternately flow above and below the substrate through the respective N-type and P-type devices. Therefore,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forms the low temperature portion 97b by the absorption of heat,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forms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97a by the release of heat.

즉, 상기 열전모듈(97)은 고온부(97a)와 저온부(97b)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may include a high temperature portion 97a and a low temperature portion 97b.

상기 열전모듈(97)은 상기 보조케이스(20)에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전모듈(97)은 상기 침니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모듈(97)은 상기 내부케이스(25)의 상판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전모듈(97)은 상기 보조케이스(20) 중 침니케이스(30)의 안측으로 형성되는 비닉된 케이스의 일 면에 설치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may be installed in the auxiliary case 20. In detail,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may form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20 located inside the chimney case. That is,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late of the inner case 25. [ Alternatively,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himney case 30 of the auxiliary case 20.

상기 열전모듈(97)이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일 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내부케이스(25)의 상판은 열전모듈(97)의 저온부(97b)로부터 열전도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온부(97b)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단열재가 부착될 수 있다.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case 20, the upper plate of the inner case 25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hich can be thermally transferred from the low temperature portion 97b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 In order to keep the air cooled by the low temperature portion 97b at a low temperature,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attached.

상기 열전모듈(97)이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일 면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즉, 상기 침니케이스(30)의 안측으로 형성되는 비닉된 보조케이스(20)의 일 면 자체를 열전모듈(97)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열전모듈(97)은 상기 내부케이스(25)의 상판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side of the auxiliary case 20, that is, the one side of the non-assembled auxiliary case 2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hiller case 30, (97), the thermoelectric module (97) may form an upper plate of the inner case (25).

상기 고온부(97a)는 상기 보조케이스(20)의 외측 방향이 되도록 즉, 상기 배기팬(50)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고온부(97a)는 상기 제 1 유동경로(34)의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온부(97a)의 열기는 상기 제 1 유동경로(34)를 따라 배기팬(50)에 의하여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고온부(97a)를 식혀줄 수 있는 별도의 냉각팬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The high-temperature portion 97a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exhaust fan 50 so as to be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case 20. In another aspect,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97a may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34. [ Therefore, the heat of the high-temperature portion 97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om by the exhaust fan 50 along the first flow path 34. [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oling fan for cooling the high temperature part 97a.

상기 고온부(97a)는 열저항 물체인 발열블럭이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열블럭은 상기 열전소자(97)에 전압 인가시 상기 고온부(97a)의 온도가 허용온도를 넘게 되어 소자가 파괴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97a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heat generating block, which is a heat resistant object. The heat generating block can prevent a risk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97a exceeds a permissible temperatur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97 to break the device.

상기 저온부(97b)는 보조케이스(20)의 내측 방향, 즉, 송풍팬(60)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저온부(97b)는 상기 제 2 유동경로(24)의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온부(97a)의 냉기는 상기 제 2 유동경로(24)를 따라 송풍팬(60)에 의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22)의 가이드에 따라 송풍팬(6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저온부(97b)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고 상기 송풍팬(60)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어 상기 토출구(23)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원한 냉풍을 제공할 수 있다. The low-temperature portion 97b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ase 20, that is, toward the blowing fan 60. In other aspects, the low temperature portion 97b may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ath 24. Therefore, the cold air of the low temperature part 97a can be discharged to the room by the blowing fan 60 along the second flow path 24.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blowing fan 60 is cooled by the low temperature portion 97b and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ir blowing fan 60 so as to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opening 23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air inlet 22.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l cold wind to the user.

10 : 메인케이스 20 : 보조케이스
30 : 침니케이스 40 : 배기덕트
10: main case 20: auxiliary case
30: chimney case 40: exhaust duct

Claims (11)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
회전 동작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연결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는 스월러;
상기 모터와 스월러를 수용하며, 오염된 공기인 제 1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유동통로가 형성되는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에 수용되며, 비오염 공기인 제 2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유동통로가 형성되는 보조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어 위치하며, 상기 보조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구;
상기 보조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 및
상기 제 2 유동통로에 설치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과 연결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A motor having a rotating shaft;
A swirler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along a rim of the rotating plate, and a shaf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A main case accommodating the motor and the swirler and having a first flow passage formed therein for sucking the first air, which is contaminated air, to guide the air to be exhausted to the outside;
A second flow passage accommodated in the main case, the second flow passage guiding air to be sucked into the room by sucking second air as non-contaminated air;
A suction po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and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to guide suction of the second air;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and guiding the second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room; And
And a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and having a blad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and an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화필터; 및
상기 흡입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정화필터를 더 포함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aporization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And
And an air purifying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송풍팬의 설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기는 상기 송풍팬의 중심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ort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mounting position of the blowing fan,
Wherein the second air flows in a direction of a center axis of the blowing fan and is discharged in a radi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통로로 상기 제 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팬이 수용되며, 상기 메인케이스와 연결되는 침니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xhaust fan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first air into the first flow passage; And
And a chimney case connected to the main case, the chimney case housing the exhaust fa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제 2 공기의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베인; 및
상기 배기팬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공기를 실외로 배기되도록 가이드하는 배기덕트가 더 포함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vane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to adjust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cond air; And
And an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to guide the first air to be exhausted to the outsi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중심과 상기 스월러의 중심은,
상기 침니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가 수직을 이루어 연결되는 모서리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그어지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enter of the blower fan and the center of the swirler,
Wherein the chimney case is located on an imaginary extension line drawn downward from a center of an edg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himney case and the main c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연장선상에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rotation axis is located on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니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케이스의 일 면에 설치되는 열전모듈(TEM)을 더 포함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thermoelectric module (TE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case located inside the chimney cas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의 고온부는 상기 보조케이스의 외부방향을 향하며 상기 열전모듈의 저온부는 상기 보조케이스 내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igh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rected to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auxiliary case and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formed to face the inside direction of the auxiliary cas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스의 일 면은 상기 열전모듈 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one side of the auxiliary case is formed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tse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스에 설치되며,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main case and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t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ir volume, and wind direction.
KR1020160150928A 2016-11-14 2016-11-14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KR1025569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28A KR102556968B1 (en) 2016-11-14 2016-11-14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28A KR102556968B1 (en) 2016-11-14 2016-11-14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58A true KR20180053858A (en) 2018-05-24
KR102556968B1 KR102556968B1 (en) 2023-07-18

Family

ID=6229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928A KR102556968B1 (en) 2016-11-14 2016-11-14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96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0324A (en) * 2019-09-18 2019-11-12 江门赛琼楼科技有限公司 Kitchen ventilator with refrigeration fresh air
KR20220109977A (en) * 2021-01-29 2022-08-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Vortex-type inhalation ventilation module that increases the inhalation rate of local odor and moisture
KR102545771B1 (en) * 2022-12-06 2023-06-20 (주)벤텍프런티어 Optimal design method for circumferential member of centrifugal fan for air intake and circumferential member of centrifugal fan applied with optimal desig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776A (en) * 1999-02-15 2000-08-29 Daikin Ind Ltd Ventilator
KR20060016178A (en) * 2004-08-17 2006-02-22 주식회사 하츠 Whirlwind range hood equipped with cooling device
KR20110020157A (en) * 2009-08-21 2011-03-02 유한회사 대동 A range hood using swirler
KR200472445Y1 (en)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Range Hood For Kitch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776A (en) * 1999-02-15 2000-08-29 Daikin Ind Ltd Ventilator
KR20060016178A (en) * 2004-08-17 2006-02-22 주식회사 하츠 Whirlwind range hood equipped with cooling device
KR20110020157A (en) * 2009-08-21 2011-03-02 유한회사 대동 A range hood using swirler
KR200472445Y1 (en)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Range Hood For Kitch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0324A (en) * 2019-09-18 2019-11-12 江门赛琼楼科技有限公司 Kitchen ventilator with refrigeration fresh air
KR20220109977A (en) * 2021-01-29 2022-08-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Vortex-type inhalation ventilation module that increases the inhalation rate of local odor and moisture
KR102545771B1 (en) * 2022-12-06 2023-06-20 (주)벤텍프런티어 Optimal design method for circumferential member of centrifugal fan for air intake and circumferential member of centrifugal fan applied with optimal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968B1 (en)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768B1 (en) Hopper sets and swing grill for air flow changing into ceiling mounted type 4 way heating and cooling indoor unit
US6632132B1 (en) Tornado type intake and blowing device
CN212408779U (en) Range hood with turbofan
KR101191414B1 (en) Air mix type air conditioner
KR20130054722A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556968B1 (en)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WO202201263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112902326A (en) Bladeless cooling fan
EP1672285A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KR101241529B1 (en) Multi-functional air circulater using dual pipe structure for green space
KR100714591B1 (en) Inner-door unit of air-conditioner
CN111878906A (en) Induced air module and air conditioner
KR20180128282A (en) Wireless air flow amplifier
JP2001116309A (en)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9027730A (en) Ventilation fan apparatus
KR100714592B1 (en) Inner-door unit of air-conditioner
EP1635121B1 (en) Hood ventilation system
CN218096113U (en) A wind channel structure, integrated kitchen for integrated kitchen
CN218495258U (en) Bathroom air conditioning device
CN211372655U (en)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CN218093602U (en) Fan subassembly, integrated kitchen
JP3454191B2 (en) Ventilation equipment
KR20110060222A (en) Fan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70000896A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030092461A (en) A vantilation fan combined with an electric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