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390A - A seedling guide member and a seedling transplanting unit having the seedling guide member - Google Patents
A seedling guide member and a seedling transplanting unit having the seedling guide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3390A KR20180053390A KR1020187010812A KR20187010812A KR20180053390A KR 20180053390 A KR20180053390 A KR 20180053390A KR 1020187010812 A KR1020187010812 A KR 1020187010812A KR 20187010812 A KR20187010812 A KR 20187010812A KR 20180053390 A KR20180053390 A KR 201800533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ling
- guide
- mat
- food
- cl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식부 클로(22)는 모종 매트(M)의 하단부에 진입해서 모종(S)을 긁어내고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형성된 모종 통과구를 통과해서 하방으로 상기 모종(S)을 안내하여 지면에 심는다.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 (50b)와, 모종 측방 가이드부 (50cl, 50cr)를 구비한다.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는 그 선단이 모종 통과구를 통과한 후에 식부 클로가 지나는 공간인 식부 클로 통과 공간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는 식부 클로 통과 공간의 측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그 기단부에서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접속하고 있고,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The food compartment claw 22 enters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mat M to scrape the seedling S and guides the seedling S downward through the seedling passage formed in the lower guide rail 28 to be planted on the ground . The seedling draw-out guide member 50 is provided with a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50b and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50cl and 50cr.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50b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which is the space through which the food claw passes after the tip of the seedling forward claw 22 passes through the seedling passing hole and is arranged to follow the trajectory of the tip end of the food claw 22 . The seedling side guide portions 50cl and 50cr are arrang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and are connected to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50b at the base end thereof. And the gap with the guide portion 50b is gradually wide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요하게는 모종 매트의 하단부로부터 긁어낸 모종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for guiding a seedlings scraped down from a lower end portion of a seedling mat downward, and a seedling planting machine having the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종래부터 모종 매트의 하단부로부터 긁어낸 모종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은 이 종류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로서의 모종 가이드 구조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이앙기)를 개시한다. 이 특허문헌 1의 모종 가이드 구조는 모종 매트가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와, 모종 매트 중 하단부의 모종을 열상(列狀)으로 지지하는 모종 적재대 레일(가이드 레일)과, 모종 매트로부터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을 인출하여 지면에 심는 식부 클로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설치된다. 특허문헌 1의 이앙기에서는 식부 클로는 모종 매트 중 하단부에 진입해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을 긁어내어서 모종 적재대 레일에 형성된 모종 인출구(모종 통과구)를 통해 하방으로 상기 모종을 안내한다. 상기 모종 가이드 구조는 이 모종 인출구의 주변에 설치된다.Background Art [0002] There has been known a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including a seedling-withdrawing guide member for guiding seedlings scraped off from the lower end of a seedling mat downwar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특허문헌 1의 상기 모종 가이드 구조는 좌우 1쌍의 측방 가이드체와, 전방 모종 가이드체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우 1쌍의 측방 가이드체는 모종 인출구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전방 모종 가이드체는 좌우 1쌍의 측방 가이드체의 전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양 전단 가장자리부를 대략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허문헌 1의 모종 가이드 구조에서는 식부 클로로 긁어낸 모종을 좌우 1쌍의 측방 가이드체에 의해 끼워 넣으면서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모종의 자세의 좌우방향으로의 흐트러짐이 규제된다. 또한, 모종의 전면은 전방 모종 가이드체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므로 모종의 자세의 전방으로의 흐트러짐도 규제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edlings guide structure of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우 1쌍의 측방 가이드체와, 전방 모종 가이드체가 서로 간에 거의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 하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다(상기 특허문헌 1의 도 2 참조). 그 때문에, 모종이 좌우 1쌍의 측방 가이드체와 전방 모종 가이드체에 끼인 상태에서 하방으로 안내됨에 따라 상기 모종의 흙의 부분(블록부)이 모종 가이드 구조의 내부에서 마찰됨으로써 반죽되어 버려 모종의 식부 정밀도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모종의 블록부가 모종 가이드 구조와 마찰됨으로써 상기 블록부가 무너져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모종 가이드 구조의 내부에서 흙이 퇴적되고, 퇴적된 흙이 모종의 반송을 저해하여 나아가서는 식부 불량을 일으켜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잠재적인 목적은 모종을 안정된 상태에서 유지하여 하방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모종의 생육에 적합한 상태에서 지면에 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potential object is to maintain the seedlings in a stable state to guide them downward and to plant them on the ground in a state suitable for growing seedlings.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이어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가 제공된다. 즉, 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는 모종 적재대와, 가이드 레일과, 식부 클로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에 부착되는 부재이다. 상기 모종 적재대에는 모종 매트가 적재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모종 매트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식부 클로는 상기 모종 매트의 하단부에 진입해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을 긁어내고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모종 통과구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상기 모종을 안내해서 지면에 심는다. 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는 그 선단이 상기 모종 통과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식부 클로가 지나는 공간인 식부 클로 통과 공간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식부 클로 통과 공간의 측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그 기단부에서는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접속되어 있어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having the following constitution. That is, the seedling drawing-out guide member is a member attached to the seedling-seedling machine having the seedling rack, the guide rail, and the food claw. The seedling mat is loaded with the seedling mat. The guide rail supports a lower end portion of the seedling mat. The food part claw enters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mat to scrape off the seedlings to be scratched, passes through the seedling passage formed in the guide rail, and guides the seedlings downward to be planted on the ground. The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has a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which is the space through which the food claw passes after its tip passes through the seedling passage, and is formed to follow the trajectory of the tip of the food claw.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re dispos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and are connected to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t the base end thereof. As shown in FIG.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로 유지되어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모종이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 사이를 지난다. 이 때문에 긁어낸 모종의 자세의 좌우방향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모종의 전면은 모종 전방 가이드부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긁어낸 모종의 자세의 전방으로의 경도(傾倒)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식부 클로로 유지되어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모종은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기단부에서는 흙의 부분(블록부)이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어느 정도 단단해진다. 그 후, 모종이 하방으로 안내됨에 따라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가 모종과 접촉하는 부분이 점점 잎의 선단쪽으로 이행되고,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와 모종 사이에서 생기는 저항력에 의해 모종의 식부 클로에 대한 유지각이 원심력에 의해 극단적으로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종을 식부 클로에 의해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어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적절한 자세로 지면에 심을 수 있다. 또한,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와 모종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모종이 식부 클로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의 간격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내부에서 흙이 하방으로 배출되기 쉽고,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내부에 흙이 퇴적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흙의 모종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종의 이식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edling which is kept in the food chloe and guided downward passes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isturb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some scraped postures. At this time, the front face of the seedlings is guided downward along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ward hardness (tilt) of the scraped postures. Further, when seen from the side,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face downward, and the distance from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is widened. For this reason, in the seedling which is held down by the food portion and guided downward, the portion of the soil (block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t the base end portion of the seedling- Thereafter, as the seedlings are guided downward, a portion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contacting the seedling gradually moves toward the tip of the leaf, and by the resistanc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nd the seedling, The hol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food claw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extremely larg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Therefore, the seedlings can be held in a stable posture by the food part claws, can be guided downward, and further, can be planted on the ground in an appropriate pos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edlings from escaping from the food claws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nd the seedlings. Further, when viewed from the sid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widens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the soil is easily discharged downward from inside the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So that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soil to accumulate inside the guide memb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il from adhering to the seedlings, so that the seedlings can be transplanted well.
상기 모종 인출 안내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re integrally formed.
이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종래는 식부 클로로 유지되어 지면까지 반송할 때에 모종의 전면을 안내하는 부재와, 상기 모종의 좌측면을 안내하는 부재와, 상기 모종의 우측면을 안내하는 부재를 개별로 설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에의 조립이 번잡했다. 이 점, 본 구성에서는 식부 클로로 유지되어 지면까지 반송하는 모종의 전면을 안내하는 부재와, 상기 모종의 측면을 안내하는 부재를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특히, 모종을 안내하는 부재는 모종과 접촉되어 표면이 마모되기 때문에 마모 시에는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본 구성에서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착탈 작업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This brings about the following effects.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since the food cloil is held and transported to the ground, a member for guiding the front side of the seedlings, a member for guiding the left side of the seedlings, and a member for guiding the right side of the seedlings are separately provided, The assembly of the battery pack was complicated. In this respect,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ember for guiding the front side of the seedlings which is held by the food portion claw and carried to the ground and the member for guiding the side of the seedlings are integrally formed, assembly is facilitated. Particularly, since the member for guiding the seedling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edlings and the surface is worn,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brasion. However, in the present construction, the removal of the seedlings is facilitated.
상기 인출 안내 부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는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만곡된 판 형상의 만곡판부를 갖는다. 상기 만곡판부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그 좌우폭이 상기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 The draw-out guide member preferably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at is,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has a curved plate portion curved along the locus of the tip of the food part claw. And at least a part of the curved plate portion has a left-right width larg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로 긁어낸 모종의 블록부로부터 무너진 흙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전방을 향해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흙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전측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부재나 장치(예를 들면, 플로트) 상에 퇴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scattering of the broken soil from a certain kind of block portion scraped from the food clove toward the front of the seedling-drawing guide memb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ccumulation of the soil on a member or device (for example, a float) dispose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seedling guiding member.
상기 모종 인출 안내 부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만곡판부의 좌우 중앙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The seedling drawing-out guide member is preferably configured as follows. That is, protrusions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curved plate portion. The projecting portion is elongat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tip of the food claw.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를 돌출부를 따라 하방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식부 클로로 긁어낸 모종이 식부 클로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지면의 근처까지 반송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move the food part claw downward along the protruding part and to carry it to the vicinity of the ground while suppressing the falling of the food part claw from the food part claw.
상기 모종 인출 안내 부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에는 상기 만곡판부의 하단으로부터 봉 형상의 안내 봉이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봉과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eedling drawing-out guide member is preferably configured as follows. That is, the seedling-type front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bar-shaped guide rod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locus of the tip of the food claw from the lower end of the curved plate portio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ntinuous with the guide bar.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로 긁어낸 모종을 안내 봉을 따라 모종이 식부 클로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지면의 근처까지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모종과의 접촉 면적이 작은 봉 형상의 안내 봉에 의해 모종의 안내가 행해지므로 모종의 매트부의 흙의 부착 및 퇴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와 안내 봉에 의해 형상이 연속되어 있으므로 돌출부에 의한 모종의 안내로부터 안내 봉에 의한 모종의 안내에 스무스하게 이행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transport the seedlings scraped from the food clovers to the vicinity of the ground while suppressing the dropping of the seedlings from the food clogs along the guide rods. In addition, since the seed rod is guided by the rod-like guide rod having a small contact area with the seedlings, adhesion and accumulation of the soil of the seedling mat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shapes are continuous by the projecting portions and the guide rods, the guides can smoothly shift from the guide of the seedling by the projecting portions to the guide of the seed rods by the guide rods.
상기 모종 인출 안내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 모두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both of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pair of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re formed of resin.
이것에 의해 모종 인출 안내 부재를 종래의 금속 재료와는 다른 진동의 감쇠가 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공진 현상에 의해 모종 인출 안내 부재가 파손되어 버린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edling guide member from being broken by the resonance phenomenon by forming the seedling guide member from a material having a large vibration damping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metal material.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상기 모종 인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comprising the seedling drawing-out guide member.
이것에 의해 모종을 식부 클로에 의해 안정된 자세로 유지하여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적절한 자세로 지면에 심을 수 있다. 또한,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내부에 흙이 퇴적되기 어려워지므로 흙의 모종에의 부착을 방지하여 식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edling can be guided downward by keeping the seedling claw in a stable posture, and further, it can be planted on the ground in an appropriate posture. In addition, since the soil is hardly accumulated in the inside of the seedling drawing-out guide member, adherence of the soil to the seedling can be prevented, and the food can be satisfactorily performed.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인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이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식부 클로의 회전 궤적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모종 적재대의 하단부 주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하부 가이드 레일에 형성되는 모종 통과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부 가이드 레일의 좌측은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의 모종 통과구의 가장자리부에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를 부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부 가이드 레일의 좌측은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과는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모종 매트로부터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이 잘라내어질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과는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긁어낸 모종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통상의 긁어내기량일 때에 단독으로 하부 가이드 레일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긁어내기량을 소량으로 할 때에 도 13의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에 부가적으로 부착해서 변형예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로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변형예에 의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를 모종 통과구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rice milling machine including a seedling draw-out guid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ice miller.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 locus of the food claw.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bearing ba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edling through-hole formed in a lower guide rail. The left side of the lower guide rail is shown in sec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is attached to an edge portion of the seedl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seedling passing through of FIG. 5 is attached. The left side of the lower guide rail is shown in sec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view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edlings to be scratched are cut out from the seedling mats.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eedling-drawing guide member.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withdrawing guide member when view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aped seedlings are guided by the seedling guide member.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tandard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to be attached to a lower guide rail alone when the scraping amount is normal;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edling mat support member forming member used for forming a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of a modified example by additionally attaching to a standard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of Fig. 13 when a scraping amount is small.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is attached to a seedling passing hole;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를 구비하는 이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2점 쇄선의 원 안에는 모종 인출구(N)의 주변의 개략적인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식부 클로(22)의 회전 궤적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를 구비하는 이앙기(모종 이식기)(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과, 상기 주행 기체(2)의 후방에 배치된 식부부(3)를 구비한다.1 and 2, the rice plant (seedling planting machine) 1 having the seedling drawing
주행 기체(2)는 좌우 1쌍의 전륜(4)과, 좌우 1쌍의 후륜(5)을 구비하고 있고, 엔진(10)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엔진(10)의 구동력은 미션 케이스(9)를 거쳐 전륜(4) 및 후륜(5)에 전달된다. 엔진(10)은 보닛(11)의 내부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의 전후방향이며 전륜(4)과 후륜(5) 사이의 위치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 좌석(6)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6)의 전방에는 오퍼레이터가 주행 기체(2)를 조향 조작하기 위한 조향 핸들(7)이 배치되어 있다.The running
이앙기(1)는 도시 생략의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앙기(1)의 각 부에 구비된 센서 등의 신호에 의거하여 이앙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ransplanting
식부부(3)는 주행 기체(2)의 후방에 승강 링크 기구(1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의 후방부에는 엔진(10)의 구동력을 식부부(3)에 출력하기 위한 PTO축(13), 및 식부부(3)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승강 실린더(14) 등이 배치되어 있다.The
도 1에 나타내는 승강 링크 기구(12)는 톱 링크(18) 및 로어 링크(19)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링크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어 링크(19)에는 승강 실린더(14)가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승강 실린더(14)를 신축 동작시킴으로써 식부부(3) 전체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The elevating
식부부(3)는 식부 입력 케이스(26)와, 복수(3개)의 식부 유닛(20)과, 모종 적재대(17)와, 복수의 플로트(1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The eating and drinking
도 1에 나타내는 식부 입력 케이스(26)에는 엔진(10)으로부터 미션 케이스(9)를 거쳐 PTO축(13)에 입력된 동력이 전달된다. 이렇게 엔진(10)으로부터 미션 케이스(9)를 경유한 동력은 전륜(4) 및 후륜(5)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식부부(3)의 식부 입력 케이스(26)에도 전달된다. 식부 입력 케이스(2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후술의 식부 유닛(20)이 구동되거나, 모종 적재대(17)이 왕복 이동되거나 한다.Power input to the
각각의 식부 유닛(20)은 식부 전동 케이스(27)와, 회전 케이스(21)를 구비한다. 식부 전동 케이스(27)에는 식부 입력 케이스(26)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각각의 식부 전동 케이스(27)에는 회전 케이스(21)가 2개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회전 케이스(21)가 2쌍의 식부 클로(22)에 의해 1조분의 식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Each food unit (20) has a food-feeding transmission case (27) and a rotary case (21). Power from the food-part input case (26) is transmitted to the eating-part transmission case (27). Two
구체적으로는 회전 케이스(21)가 식부 전동 케이스(27)로부터의 동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2쌍의 식부 클로(22)의 각각의 선단부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루프 형상의 회전 궤적을 그리며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부 클로(22)의 선단부는 위에서 아래를 향해 움직일 때에 후술의 모종 적재대(17)에 얹혀진 모종 매트(M)의 하단부(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단부)에 위치하는 모종(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모종 매트(M)로부터 긁어내고 상기 모종(S)의 흙의 부분(블록부)을 유지한 채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모종(S)을 논바닥에 심도록 구성되어 있다.Concretely, th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17)는 식부 유닛(20)의 전측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모종 매트(M)를 적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17)는 왕복으로 가로 이송 이동가능(가로방향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종 적재대(17)는 상기 모종 적재대(17)의 왕복 이동단에서 모종 매트(M)를 간헐적으로 하방으로 세로 이송 반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모종 적재대(17)는 모종 매트(M)의 모종을 각 식부 유닛(20)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이앙기(1)에서는 각 식부 유닛(20)에 대하여 모종을 순차 공급하고, 연속적으로 모종의 식부를 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도 1에 나타내는 플로트(16)는 식부부(3)의 하부에 설치되고, 그 하면이 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로트(16)가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모종을 식부하기 전의 논바닥이 정지(整地)된다.The
계속해서, 도 1부터 도 4까지를 참조하여 모종 적재대(17)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모종 적재대(17)의 하단부 주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 bearing table 1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bearing stand 17;
모종 적재대(17)의 상부는 상기 모종 적재대(17)가 기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부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17)의 하부는 상기 모종 적재대(17)가 기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해지도록 하부 가이드 레일(가이드 레일)(28)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그 길이방향을 기체 좌우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17)에 적재된 모종 매트(M)의 하단부(모종 세로 이송 반송방향의 가장 하류측의 열상의 모종)를 지지하는 모종 수용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seedling bearing stand 17 is supported on an upper guide rail (not shown) so that the seedling bearing stand 17 can be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dy. 4, the lower part of the
모종 적재대(17)는 도시 생략의 가로 이송 기구에 의해 가로 이송 왕복 이동가능하게, 또한 그 왕복 이동단에서 도시 생략의 모종 세로 이송 기구에 의해 모종 매트(M)를 간헐적으로 하방으로 세로 이송 반송가능하게 구성된다. 모종 적재대(17)의 상기 가로 이송 기구 및 상기 모종 세로 이송 기구는 도 1에 나타내는 식부 입력 케이스(2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결과, 모종 적재대(17)가 왕복으로 가로 이송 이동함과 아울러 모종 적재대(17)가 왕복 이동단(왕복 이동의 반환 지점)에 도달했을 때에 모종 적재대(17) 상의 모종 매트(M)가 간헐적으로 하방을 향해 세로 이송 반송된다.Th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의 후방에 있는 모종 적재대(17)는 전방부가 높고 후방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17)의 상면에는 모종 매트(M)를 적재가능한 모종 매트 적재면(적재면)(A)이 형성된다. 이 모종 매트 적재면(A)은 모종 매트 적재면 형성 부재(30) 및 하부 레일 프레임(31)의 모종 매트(M)를 적재하는 측에 노출되어 있는 면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6조 심기용의 이앙기이므로 6개의(6조분의) 모종 매트 적재면 형성 부재(30)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1, the
모종 매트 적재면 형성 부재(30)의 부분에는 상기 모종 세로 이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모종 세로 이송 기구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가 모종 매트 적재면(A)에 노출되도록 좌우 1쌍으로 배치된 엔드리스 형상의 모종 세로 이송 벨트(29)를 구비하고 있다. 각 모종 매트 적재면(A)에 직사각형 형상의 모종 매트(M)를 얹은 상태에서 모종 세로 이송 벨트(29)를 구동함으로써 모종 매트 적재면(A)의 모종 인출측(모종 적재대(17)의 하단측)을 향해 모종 매트(M)가 세로 이송 반송된다. 이것에 의해 모종 매트(M)의 모종이 모종 세로 이송 반송방향 선두측으로부터 순번대로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내어진다. The above-mentioned seedling vertical conveying mechanism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forming member (30).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seedling-length vertical conveying mechanisms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endless seedling vertical conveying
또한, 모종 적재대(17) 및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식부 클로(22)의 회전 궤적에 대하여 변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가 도시 생략의 모종 긁어내기량 조정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식부 클로(22)의 회전 궤적은 그대로 하면서 모종 적재대(17) 및 하부 가이드 레일(28)을 일체적으로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도시 생략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서 식부 클로(22)에 대한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모종 적재대(17) 및 하부 가이드 레일(28)을 식부 클로(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종 매트(M)에 대한 식부 클로(22)의 진입 위치가 통상보다 하방이 되도록 변경하여 모종이 1회로 긁어내어지는 세로방향의 길이를 통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양은 예를 들면, 고밀도로 육묘한 모종 매트로부터 모종을 긁어내는 경우 등에 있어서 긁어내어지는 모종의 개수를 통상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하기 위해서 등에 사용된다. 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가이드 레일로서의 하부 가이드 레일(28) 및 그 주변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부터 도 6까지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형성되는 모종 통과구(28n)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모종 통과구(28n)의 가장자리부에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를 부착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17)의 이면(모종이 적재되는 측과는 반대의 면)의 하부에는 수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레일 프레임(31)이 도시 생략의 볼트 등을 사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하부 레일 프레임(31)에는 슈(32)가 고정되어 있고, 이 슈(32)를 통해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감합부(28a)(후술)에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a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모종 적재대(17)의 좌측의 왕복 이동단으로부터 우측의 왕복 이동단에 걸쳐서 수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이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본 실시형태에서는 알루미늄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모종 매트 적재면(A)에 적재된 모종 매트(M)에 있어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포함하는 열(바꿔 말하면, 모종 매트(M)의 세로 이송 반송방향 선두의 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식부 클로(2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모종 통과구(28n)가 노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는 모종 통과구(28n)가 1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6조 심기이므로 하부 가이드 레일(28)에는 6개의 모종 통과구(28n)가 형성된다. 각각의 모종 통과구(28n)의 가장자리부에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가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인출구(N)가 형성되고,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낸 모종(S)을 인출할 때에 상기 모종 인출구(N)를 모종(S) 및 식부 클로(22)의 선단부가 통과한다. 이 구성으로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긁어냄과 아울러 상기 긁어낸 모종(S) 및 식부 클로(22)의 선단부가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해서 도 3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식부 클로(22)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모종(S)을 곡선 형상의 루트로 논바닥까지 반송할 수 있다.2, the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 레일(28)에는 감합부(28a)와, 모종 저면 수용부(28b)와, 연결부(28c)와, 모종 선두 수용부(28d)와, 모종 통과구(28n)와 쌍으로 배치되는 노치부(28e, 28e)와, 홈부(28f)가 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감합부(28a)는 수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부분이며, 상기 슈(32)에 형성된 가늘고 긴 오목부에 감합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28a)가 슈(32)를 통해 하부 레일 프레임(31)의 레일 부분에 감합됨으로써 하부 레일 프레임(31)이 감합부(28a)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모종 적재대(17)가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대하여 슬라이드딩하여 왕복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모종 저면 수용부(28b)는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하단부에 배치된 수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판 형상의 부분이다. 모종 저면 수용부(28b)는 모종 매트(M)의 세로 이송 반송방향 선두측에 있어서 상토 등과 뿌리에 의해 매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하, 매트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저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후측 상방을 향하는 수용면을 갖고 있다. The seedling
연결부(28c)는 수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판 형상의 부분이다. 이 연결부(28c)는 감합부(28a)와, 모종 저면 수용부(28b)의 세로 이송 반송방향 상류측의 단부를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necting
모종 선두 수용부(28d)는 상기 모종 저면 수용부(28b)의 하단(모종 저면 수용부(28b)에 있어서의 모종 매트(M)의 세로 이송 반송방향 하류측 단부)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 가로방향으로 긴 판 형상의 부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선두 수용부(28d)는 모종 적재대(17)의 가로 이송 이동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모종 저면 수용부(28b)와의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모종 선두 수용부(28d)는 모종 매트(M)의 세로 이송 반송방향 선두의 모종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선두의 모종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종 선두 수용부(28d)의 후방부에는 수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28s)가 형성되어 있다.The seedling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통과구(28n)는 모종 선두 수용부(28d), 모종 저면 수용부(28b), 및 연결부(28c)에 걸쳐서 형성되는 노치이다. 모종 통과구(28n)는 모종 선두 수용부(28d)의 선단으로부터 연결부(28c)의 중도부에 이르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세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모종 통과구(28n)의 가장자리부에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가 부착된다(도 6 참조).As shown in Fig. 5, the
도 5에 나타내는 노치부(28e, 28e)는 모종 선두 수용부(28d)에 형성되는 원형상의 노치이다. 노치부(28e, 28e)는 1개의 모종 통과구(28n)에 대하여 2개 형성되고, 상기 모종 통과구(28n)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The notched
홈부(28f)는 모종 선두 수용부(28d)의 저면으로부터 L자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홈부(28f)는 모종 선두 수용부(28d)의 전역에 걸쳐 좌우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부(28f)는 모종 선두 수용부(28d)의 선단측을 향하는 측이 개방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하부 가이드 레일(28)에서는 모종 저면 수용부(28b) 및 모종 선두 수용부(28d)에 의해 모종 매트(M)의 하단부의 모종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상으로 지지된다. 모종 매트 적재면(A)에 적재된 모종 매트(M)의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에 대하여 식부 클로(22)가 진입했을 때, 이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이 식부 클로(22)에 압박됨에 따라 모종 매트(M)의 세로 이송 반송방향선두측의 모종 중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의 근방의 모종의 저면(매트부의 저면)이 모종 저면 수용부(28b)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의 부분에 관해서는 매트부는 모종 통과구(28n)(모종 인출구(N))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모종 저면 수용부(28b)에 접촉하지 않지만 그 근방의 모종의 매트부가 모종 저면 수용부(28b)(및 후술의 매트 수용부(40bl, 40br)에 지지됨으로써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의 자세도 적절하게 조정된다.In the
이어서, 도 6부터 도 8까지를 참조하여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과는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낸 모종(S)을 인출하는 모종 인출구(N)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홈부(28f)에 끼워 넣어짐과 아울러 도 4에 나타내는 볼트(체결 부재)(45)를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감합부(28a)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가 모종 통과구(28n)의 가장자리부를 메우도록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스테인리스 등의 내마모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The seedling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본체(40)와 인출 가이드부(41)를 구비한다.The seedling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40)는 부착용 평면부(40a), 1쌍의 매트 수용부(40bl, 40br), 1쌍의 매트 선두 수용부(40cl, 40cr), 1쌍의 되접힘부(40dl ,40dr), 및 1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40s, 40s) 등을 구비한다.7 and 8, the
부착용 평면부(40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의 부분이다. 부착용 평면부(40a)에는 1쌍의 부착용 구멍(40h, 40h)이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이 부착용 구멍(40h)의 각각에 상기 볼트(45)의 축부를 끼워 넣을 수 있다. 부착용 평면부(40a)의 후단으로부터는 곡면 부분(40k)이 완만한 커브를 그리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곡면 부분(40k)은 후술하는 인출 가이드부(41)가 갖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접속 부분에 모종 매트 지지부(35s)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곡면 부분(40k)은 매트 수용부(40bl) 및 우측 매트 수용부(40br)에 접속되어 있다.The attaching
1쌍의 매트 수용부는 좌측 매트 수용부(40bl)와 우측 매트 수용부(40br)로 구성된다. The pair of mat accommodating portions are constituted by a left side mat accommodating portion 40bl and a right side accommodating portion 40br.
좌측 매트 수용부(40bl)는 부착용 평면부(40a)의 후단의 좌측에 상기 곡면 부분(40k)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매트 수용부(40bl)는 부착용 평면부(40a)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평면을 이루고 있다. 우측 매트 수용부(40br)는 부착용 평면부(40a)의 후단의 우측에 상기 곡면 부분(40k)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매트 수용부(40br)는 부착용 평면부(40a)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평면을 이루고 있다. 좌측 매트 수용부(40bl)와 우측 매트 수용부(40br)는 모종 인출구(N)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종 저면 수용부(28b)와 마찬가지로 모종 매트(M)의 하단부의 모종을 지지할 수 있다.The left side mat receiving portion 40bl is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rear end of the attaching
1쌍의 매트 선두 수용부는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와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로 구성된다.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는 좌측 매트 수용부(40bl)의 하단으로부터 후측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는 모종 적재대(17)의 가로 이송 이동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 매트 수용부(40bl)와의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는 우측 매트 수용부(40br)의 하단으로부터 후측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는 모종 적재대(17)의 가로 이송 이동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 매트 수용부(40br)와의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와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는 모종 인출구(N)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종 선두 수용부(28d)와 마찬가지로 모종 매트(M)의 하단부의 모종을 수용할 수 있다.The pair of mat lead receiving portions are constituted of a left mat front receiving portion 40cl and a right mat receiving portion 40cr. The left mat front receiving portion 40cl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left mat receiving portion 40bl toward the rear upper side. More specifically, the left-hand mat front receiving portion 40cl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left-hand mat receiving portion 40cl and the left-hand mat receiving portion 40bl becomes an acute angle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ovement direction of the
1쌍의 되접힘부는 좌측 되접힘부(40dl)와 우측 되접힘부(40dr)로 구성된다. 좌측 되접힘부(40dl)는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의 후단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약간의 거리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후, 그 선단부가 전측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즉, 좌측 되접힘부(40dl)는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의 후단에서 외측(좌측)으로 되접힌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 되접힘부(40dl)의 되접힌 후의 부분에는 단차부(40p)가 형성된다. 우측 되접힘부(40dr)는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의 후단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약간의 거리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후, 그 선단부가 전측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즉, 우측 되접힘부(40dr)는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의 후단에서 외측(우측)으로 되접힌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측 되접힘부(40dr)의 되접힌 후의 부분에는 단차부(40p)가 형성된다.The pair of folded back portions is constituted by left folded back portion (40dl) and right folded back portion (40dr). The left folded back portion 40dl horizontally extends a little distance from the rear end of the left mat leading head receiving portion 40cl toward the left side and then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extends toward the front lower side. That is, the left folded back portion 40dl is folded back from the rear end of the left mat leading head receiving portion 40cl to the outside (left side). A stepped
좌측 매트 수용부(40bl) 및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와, 우측 매트 수용부(40br) 및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 사이에는 일측(후측)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의 노치가 형성된다. 이 노치의 내부에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낸 모종(S)을 인출하는 모종 인출구(N)가 배치된다(상세는 후술한다).A rectangular notch with one side (rear side) opened is formed between the left side mat accommodating portion 40bl and the left side mat accepting portion 40cl and between the right side mat accommodating portion 40br and the right side mat accepting portion 40cr. And a seedling outlet N for extracting the seedlings S scraped off by the
도 7에 나타내는 1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40s, 40s)는 1쌍의 되접힘부(40dl,40dr)의 되접히기 직전의 부분에 형성된다. 위치 결정용 돌기(40s)는 되접힘부(40dl, 40dr)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짧은 원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용 돌기(40s)는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형성된 상기노치부(28e)에 끼워 넣을 수 있다.A pair of
또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본체(40)에 부착된 인출 가이드부(41)를 구비한다. 이 인출 가이드부(41)는 후측 상방 또는 전측 상방을 향하는 끝면을 갖고 있고, 이 끝면의 내측의 부분에 모종 인출구(N)가 구성된다. 이 인출 가이드부(41)는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낸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하여 인출되는 모종(S)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인출 가이드부(41)는 본체(40)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The seedling
인출 가이드부(41)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와 1쌍의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 41r)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인출 가이드부(41)는 스테인리스 등의 내마모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The withdrawing
도 8에 나타내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는 본체(40)가 좌우로 분기되는 부분으로부터 전측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는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모종(S)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종(S)의 전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의 후단면은 본체(40)가 갖는 상기 곡면 부분(40k)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의 후단면에는 모종 매트 지지부(35s)가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1쌍의 수용 경계 가이드부는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와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로 구성된다.The pair of receiving boundary guiding portions are constituted by a left receiving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는 좌측 매트 수용부(40bl)의 우단,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의 우단, 및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의 좌단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대략 L자 형상의 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는 좌측 매트 수용부(40bl),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 및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평면을 이루고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선단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는 모종 인출구(N)와 좌측 매트 수용부(40bl)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는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모종(S)의 좌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종(S)의 좌측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left receiving boundary guiding portion 41l has a substantially L-shaped (substantially rectangular) L-shaped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는 우측 매트 수용부(40br)의 좌단,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의 좌단, 및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의 우단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대략 L자 형상의 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는 우측 매트 수용부(40br),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 및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평면을 이루고 있고,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선단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는 모종 인출구(N)와 우측 매트 수용부(40br)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는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모종(S)의 우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종(S)의 우측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right receiving
모종 인출구(N)는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 개방측과는 반대측의 좌측 매트 수용부(40bl)와 우측 매트 수용부(40br)를 접속하는 부분에는 모종 매트 지지부(35s)가 위치하고 있다. 이 모종 매트 지지부(35s)는 본체(40)가 갖는 곡면 부분(40k)의 일부와, 인출 가이드부(41)가 갖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의 후단면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도 4 및 후술의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가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되었을 때, 모종 매트 지지부(35s)는 모종 적재대(17)가 갖는 모종 매트 적재면(A)의 하단(AE)보다 모종 매트 세로 이송 반송방향 하류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과 동시에 모종 매트 지지부(35s)는 모종 인출구(N)보다 모종 매트 세로 이송 반송방향 상류측의 위치에 배치된다.The seedling
이렇게 구성되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대하여 후측 하방으로부터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40)가 갖는 1쌍의 되접힘부(40dl, 40dr)의 선단부를 각각 홈부(28f)에 삽입하고, 그것과 동시에 노치부(28e, 28e)에 위치 결정용 돌기(40s, 40s)를 삽입한 상태로 함으로써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를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용 돌기(40s, 40s)에 의해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 및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를 각각 폭방향에서 위치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좌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l) 및 우측 매트 선두 수용부(40cr)의 변형(예를 들면, 모종 인출구(N)가 폭방향으로 좁아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seedling
이 상태에서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감합부(28a)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도시 생략)에 부착용 평면부(40a)의 부착용 구멍(40h, 40h)의 위치를 맞춰 볼트(45)를 삽입해서 나사 구멍에 나사를 넣어 체결함으로써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대하여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대해서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 외에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도 공동 체결에 의해 부착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state, the positions of the attachment holes 40h and 40h of the attaching
이렇게 구성되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모종 인출구(N)의 상방에 배치되는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은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력이 작용함으로써 모종 매트(M)로부터 잘라내어진다. 도 9는 모종 매트(M)로부터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이 잘라내어질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The seedling S to be scraped arranged above the seedling outlet N of the seedling
상세히 설명하면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의 바로 위쪽의 모종의 저면(매트부의 저면)은 모종 매트 지지부(35s)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모종 적재대(17)의 가로 이송 왕복 이동에 의해 모종은 모종 매트(M)의 좌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순서대로 긁어내어지지만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의 바로 옆쪽의 모종의 저면은 좌측 매트 수용부(40bl) 및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의 상면, 또는 우측 매트 수용부(40br) 및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에 대하여 식부 클로(22)가 진입하면 상기 모종(S)이 식부 클로(22)로부터 식부 클로 진입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1)을 받는다. 이것과 동시에 상기 모종(S)이 모종 매트 지지부(35s)로부터 식부 클로 진입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2)을 받는다. 또한,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모종(S)에 대해서는 좌측 매트 수용부(40bl) 및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의 상면, 또는 우측 매트 수용부(40br) 및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의 상면으로부터도 식부 클로 진입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상기 모종(S)이 모종 매트(M)로부터 잘라내어진다.In detail, the bottom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mat portion) of the seedlings immediately above the seedlings S to be scratched is supported by the seedling
그런데, 종래부터 있는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모종 매트가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의 하단부에 모종 매트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모종 수용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 모종 수용 프레임에 식부 클로를 진입시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을 인출하는 모종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모종을 긁어내어서 인출할 때에는 모종 매트를 모종 적재대의 하단의 위치에서 지지하면서 식부 클로를 진입시키게 된다. 그 때문에 모종 매트가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위치와 식부 클로의 진입 위치 사이에 비교적 긴 거리가 있었다. 그 결과, 모종 매트의 하단부가 덜걱거리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을 전단력에 의해 모종 매트로부터 잘라낼 때에 응력을 충분히 집중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a seedling receiving fram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edling ma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mat on which the seedling mat is loaded so that the seedling claw enters the seedling receiving frame to draw the seedling to be scraped It is known that seedling outlets are formed. In this type of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generally when scraping seedlings out of the seedlings, the seedlings are introduced into the foodcloth while supporting the seedlings mat at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s. Therefore, there was a relatively long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seedling mat is supported from below and the entry position of the food claw. As a resul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edling mat may be rattled. In addition, for the same reason, when the seedlings to be scratched are cut from the seedling mats by the shear force, the stress can not be sufficiently concentrated.
이 점,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매트 적재면(A)의 하단(AE)보다 모종 세로 이송 반송방향 하류측의 위치이며, 모종 인출구(N)보다 모종 세로 이송 반송방향 상류측의 위치에 모종 매트 지지부(35s)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종 매트 지지부(35s)에 의해 모종 매트(M)의 하단부가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구성보다 모종 매트(M)의 하단부가 덜럭거리게 되기 어렵다. 또한, 모종 매트(M)가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종 매트 지지부(35s)에서 지지되는 위치가 이것에 상당한다)와, 식부 클로(22)의 진입 위치 사이의 거리를 종래보다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전단력에 의해 모종 매트(M)로부터 잘라낼 때에 응력을 충분히 집중시켜서 기려하게 잘라낼 수 있다. 특히, 세로방향에서의 모종의 긁어내기 길이가 짧아지도록 모종 적재대(17) 및 하부 가이드 레일(28)을 식부 클로(22)의 회전 궤적에 대하여 상방으로 변위시켰을 경우 등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모종 매트(M)의 하단부가 모종 매트 지지부(35s)에서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안정된 모종의 긁어내기를 실현할 수 있다.9, the lower end AE of the seedling mat mounting surface A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seedling lengthwise transporting transport direction and the seedling outflow opening N is larger than the seedling outflow opening N. In this manner, Since the seedling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서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를 하부 가이드 레일(28)로부터 떼어내어 상기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 비교해서 모종 인출구가 크게 형성된 것 외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와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를 떼어내어 모종 통과구(28n)를 모종 인출구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1쌍의 이앙기(1)로 예를 들면, 고밀도로 육묘를 실시한 모종 매트로부터 짧은 긁어내기 길이만큼 긁어내는 경우와, 일반적인 밀도로 육묘를 실시한 모종 매트로부터 통상의 긁어내기 길이만큼 긁어낸 경우의 양쪽에 대하여 양호한 긁어내기를 행할 수 있다.In the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 등을 참조하여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과는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guiding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는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45)를 사용해서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감합부(28a)에 대하여 체결됨으로써 모종 통과구(28n)의 주변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s. 4 and 9, the seedling drawing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는 부착용 평면부(50a),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 및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 등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착용 평면부(50a),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 및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는 모두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 전체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seedling drawing-
부착용 평면부(50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부착용 평면부(50a)의 좌우 중앙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노치부(50n)가 형성된다. 부착용 평면부(50a)의 상기 노치부(50n)를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부착용 구멍(50h)이 형성된다.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는 노치부(50n)의 개방측을 후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부착용 구멍(50h, 50h)에 상술의 볼트(45)가 삽입되어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 함께 공동 체결됨으로써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감합부(28a)에 부착된다. The attaching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는 모종 통과구(28n)(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후에 식부 클로(22)의 선단부가 지나는 공간인 식부 클로 통과 공간(X)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는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edling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는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판부(50d)와, 돌출부(50e)와, 안내 봉(50f)을 갖는다.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는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만곡된 판 형상의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의 만곡판부(50d)는 전역에 걸쳐 그 좌우폭이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돌출부(50e)는 만곡판부(50d)의 좌우 중앙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50e)는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안내 봉(50f)은 그 상단이 돌출부(50e)의 하단과 연속하도록 설치되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봉 형상의 부분이다. 안내 봉(50f)은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르도록 설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eedling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는 좌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와 우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r)로 구성된다.The pair of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re composed of a lef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 50cl and a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 50cr.
좌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는 식부 클로 통과 공간(X)의 좌측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좌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는 그 기단부에서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의 만곡판부(50d)와 연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좌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는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모종 적재대(17)의 가로 이송 이동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하 동일) 그 기단부에서는 만곡판부(50d)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좌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와 만곡판부(50d)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를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했을 때, 좌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의 내측의 면(식부 클로 통과 공간(X)에 노출되는 면)에 좌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의 외측의 면이 맞닿아 따르게 한 상태가 된다. And the lef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 50cl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eft chamber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X. [ The lef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 50cl is connected to the
우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r)는 식부 클로 통과 공간(X)의 우측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우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r)는 그 기단부에서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의 만곡판부(50d)와 연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우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r)는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그 기단부에서는 만곡판부(50d)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우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r)와 만곡판부(50d)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를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했을 때, 우측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r)의 내측의 면(식부 클로 통과 공간(X)에 노출되는 면)에 우측 수용 경계 가이드부(41r)의 외측의 면이 맞닿아 따르게 한 상태가 된다.The right side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 50cr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ight chamber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X. [ The right side seedling side guide portion 50cr is connected to the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의해 모종(S)이 하방으로 안내될 때의 모습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긁어낸 모종(S)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의해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Next, the manner in which the seedling S is guided downward by the
모종 통과구(28n)(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후의 모종(S)이 상술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도 12 참조) 식부 클로(22)에 유지되어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모종(S)이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 사이를 지난다. 이 때문에, 긁어낸 모종(S)의 자세의 좌우방향의 흐트러짐이 억제된다. 또한, 그 때 모종(S)의 전면은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긁어낸 모종(S)의 자세의 전방으로의 경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식부 클로(22)로 유지되어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모종(S)은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기단부에서는 블록부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에 끼여서 어느 정도 굳혀지지만 과잉으로는 굳혀지지 않는다. 또한, 모종(S)과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 사이에서 생기는 저항력에 의해 모종(S)이 극단적인 앞으로 기운 자세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적절한 자세로 지면에 심을 수 있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의 간격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내부에 흙이 퇴적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퇴적된 흙이 모종(S)에 부착되어서 식부 불량을 일으켜 버린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The seedling S after passing through the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는 모종 적재대(17)와, 하부 가이드 레일(28)과, 식부 클로(22)를 구비하는 이앙기(1)에 부착되는 부재이다. 모종 적재대(17)에는 모종 매트(M)가 적재된다.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모종 매트(M)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식부 클로(22)는 모종 매트(M)의 하단부에 진입해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긁어내고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형성된 모종 통과구(28n)를 통과해서 하방으로 상기 모종(S)을 안내하여 지면에 심는다. 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를 구비한다.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는 그 선단이 모종 통과구(28n)를 통과한 후에 식부 클로(22)가 지나는 공간인 식부 클로 통과 공간(X)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는 식부 클로 통과 공간(X)의 측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그 기단부에서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접속되어 있어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edling draw-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22)로 유지되어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모종(S)이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 사이를 지난다. 이 때문에 긁어낸 모종(S)의 자세의 좌우방향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모종(S)의 전면은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긁어낸 모종(S)의 자세의 전방으로의 경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식부 클로(22)로 유지되어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모종(S)은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기단부에서는 흙의 부분(블록부)이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에 접촉하여 어느 정도 단단해진다. 그 후, 모종(S)이 하방으로 안내됨에 따라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가 모종(S)과 접촉하는 부분이 점점 잎의 선단쪽으로 이행되고,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와 모종(S) 사이에서 생기는 저항력에 의해 모종(S)의 식부 클로(22)에 대한 유지각이 원심력에 의해 극단적으로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종(S)을 식부 클로(22)에 의해 안정된 자세로 유지하여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적절한 자세로 지면에 심을 수 있다. 또한,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와 모종(S)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모종(S)이 식부 클로(22)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의 간격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내부에서 흙이 하방으로 배출되기 쉬워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내부(내측)에 흑이 퇴적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흙의 모종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종의 식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edling S held by the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있어서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In the seedling drawing
이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즉, 종래는 식부 클로로 유지하여 지면까지 반송할 때에 모종의 전면을 안내하는 부재와, 상기 모종의 좌측면을 안내하는 부재와, 상기 모종의 우측면을 안내하는 부재를 개별로 설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각의 부재를 위치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되어 가이드 레일에의 조립이 번잡했다. 이 점, 본 구성에서는 식부 클로(22)로 유지하여 지면까지 반송하는 모종(S)의 전면을 안내하는 부재(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상기 모종(S)의 측면을 안내하는 부재(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를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특히, 모종(S)을 안내하는 부재는 모종(S)과 접촉하여 표면이 마모되기 때문에 마모 시에는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본 구성에서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착탈 작업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This brings about the following effects.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since a member for guiding the front surface of a seedling, a member for guiding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seedling, and a member for guiding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eedling are separately provided when the food is kept in the chlorine- The member had to be positioned and the assembling to the guide rail was troublesome. In this configuration, in this constitution, the member (the seedling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있어서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는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만곡된 판 형상의 만곡판부(50d)를 갖는다. 만곡판부(50d)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그 좌우폭이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In the seedling drawing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22)로 긁어낸 모종(S)의 블록부로부터 무너진 흙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전방을 향해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흙이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전측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부재나 장치(예를 들면, 플로트) 상에 퇴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scattering of the broken soil from the block portion of the seedling (S) scraped by the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있어서 만곡판부(50d)의 좌우 중앙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50e)가 형성된다. 돌출부(50e)는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In the seedling drawing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22)를 돌출부를 따라 하방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식부 클로(22)로 긁어낸 모종(S)이 식부 클로(22)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지면의 근처까지 반송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있어서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에는 만곡판부(50d)의 하단으로부터 봉 형상의 안내 봉(50f)이 식부 클로(22)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0e)는 안내 봉(50f)과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seedling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22)로 긁어낸 모종(S)을 안내 봉(50f)을 따라 모종(S)이 식부 클로(22)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지면의 근처까지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모종(S)과의 접촉 면적이 작은 봉 형상의 안내 봉(50f)에 의해 모종(S)의 안내가 행해지므로 모종의 매트부의 흙의 부착 및 퇴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0e)와 안내 봉(50f)에 의해 형성이 연속되어 있으므로 돌출부(50e)에 의해 모종(S)의 안내로부터 안내 봉(50f)에 의한 모종(S)의 안내로 스무스하게 이행할 수 있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transport the seedlings S scraped by the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에 있어서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 모두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In the seedling drawing
이것에 의해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를 종래의 금속 재료와는 다른 진동의 감쇠가 큰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공진 현상에 의해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가 파손되어 버린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This can prevent the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상기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를 구비한다.The
이것에 의해 모종(S)을 식부 클로(22)에 의해 안정된 자세로 유지하여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적절한 자세로 지면에 심을 수 있다. 또한, 모종 인출 안내 부재(50)의 내부(내측)에 흙이 퇴적되기 어려워지므로 흙의 모종에의 부착을 방지하여 식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eedling S can be guided downward by keeping the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모종 적재대(17)아, 하부 가이드 레일(28)과, 식부 클로(22)를 구비하는 이앙기(1)에 부착된다. 모종 적재대(17)는 모종 매트(M)를 적재가능한 모종 매트 적재면(A)을 가짐과 아울러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또한 그 왕복 이동단에서 모종 매트(M)를 간헐적으로 세로 이송 반송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 가이드 레일(28)은 모종 매트(M)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식부 클로(22)는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지지되는 모종 매트(M)에 진입해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긁어내고, 상기 모종(S)을 하방으로 안내해서 지면에 심기 위해서 선단이 회전 궤적을 그리도록 동작한다. 이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모종 적재대(17) 및 하부 가이드 레일(28)을 식부 클로(22)의 상기 회전 궤적에 대하여 변위시킴으로써 식부 클로(22)의 세로방향의 긁어내기량을 변경가능하게 구성된 이앙기(1)에 있어서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낸 모종(S)을 인출하는 모종 인출구(N)를 형성하기 위해서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된다. 이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모종 적재대(17)가 갖는 모종 매트 적재면(A)의 하단(AE)보다 모종 매트 세로 이송 반송방향 하류측, 또한 모종 인출구(N)보다 상기 모종 매트 세로 이송 반송방향 상류측의 위치에 배치되어서 모종 매트(M)를 지지하는 모종 매트 지지부(35s)를 구비한다.The seedling
이것에 의해 모종 매트(M)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모종 매트 지지부(35s)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식부 클로(22)가 모종 매트(M)에 진입함으로써 모종 매트(M)가 하단부에서 덜걱거리게 되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낼 수 있다. 또한, 식부 클로(22)의 세로방향의 긁어내기량이 적어지도록 모종 적재대(17)와 하부 가이드 레일(28)의 위치를 변위 시킨 경우이어도 모종 매트 지지부(35s)와 모종 인출구(N)의 경계 부분의 근처를 식부 클로(22)가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경계 부분에 있어서 모종 매트(M)에 강한 전단력을 작용시켜서 모종(S)을 기려하게 긁어낼 수 있다. As a result, the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모종 인출구(N)를 사이에 두고 쌍으로 배치되는 매트 수용부(40bl, 40br)를 더 구비한다. 모종 인출구(N)는 일측을 개방하는 노치로서 형성된다. 모종 매트 지지부(35s)는 모종 인출구(N)의 개방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매트 수용부(40bl, 40br)끼리를 접속하고 있다.The seedling
이것에 의해 쌍으로 배치되는 매트 수용부(40bl, 40br)끼리를 연결시키는 부분을 모종 매트 지지부(35s)로서 사용할 수 있어 모종 인출구(N)를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As a result, a portion connecting the mat storage portions 40bl and 40br arranged in pairs can be used as the seedling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는 모종 인출구(N)의 윤곽을 따라 배치되고, 식부 클로(22)에 의해 긁어내어서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모종(S)을 가이드하는 인출 가이드부(41)를 구비한다. 이 인출 가이드부(41)는 모종 인출구(N)와 모종 매트 지지부(35s)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를 구비한다. 이 지지 경계 가이드부(41a)는 모종 인출구(N)을 통과한 모종(S)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The seedling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22)로 긁어내어서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모종(S)의 흙의 부분(매트부)을 상방으로부터 가이드하여 흩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종(S)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rtion (mat portion) of the seedling S that has been scraped by the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에 있어서 인출 가이드부(41)는 모종 인출구(N)와 매트 수용부(40bl, 40br)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 41r)를 구비한다.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 41r)는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모종(S)의 측방애 위치하고 있다.The
이것에 의해 식부 클로(22)로 긁어내어서 모종 인출구(N)를 통과한 모종(S)의 흙의 부분(매트부)을 측방으로부터 가이드하여 흩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종(S)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Thus, the portion (mat portion) of the seedling S which has been scraped by the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를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이앙기(1)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를 하부 가이드 레일(28)로부터 떼어내어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 비교하여 모종 인출구가 크게 형성된 것 외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예를 들면, 후술의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와 교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t is possible to attach the seedling draw-out
이것에 의해 모종 적재대(17) 및 하부 가이드 레일(28)을 식부 클로(22)의 회전 궤적에 대하여 변위시킴에 따라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를 교환함으로써 1쌍의 이앙기(1)로 예를 들면, 고밀도로 육묘를 실시한 모종 매트(M)로부터 짧은 긁어내기 길이만큼 긁어내는 경우와, 일반적인 밀도로 육묘를 실시한 모종 매트로부터 통상의 긁어내기 길이만큼 긁어내는 경우의 양쪽에 대하여 양호한 긁어내기를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이앙기(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this, by displacing the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이앙기(1)에 구비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에 대하여 도 13부터 도 15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Next, a seedling
우선, 일반적인 밀도의 모종 매트에 사용하는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통상의 긁어내기량일 때에 단독으로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rst, a standard seedling
도 13에 나타내는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모종 인출구 커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이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는 긁어내기량을 통상(일반적인 긁어내기량)으로 하는 경우에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단독으로 부착해서 사용된다.The standard seedling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는 부착용 평면부(61a)와, 매트 수용부(61bl, 61br)와, 매트 선두 수용부(61cl, 61cr)와, 되접힘부(61dl, 61dr)와, 위치 결정용 돌기(61s, 61s)를 주로 구비한다.The standard seedling draw-out forming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가 구비하는 매트 수용부(61bl, 61br), 매트 선두 수용부(61cl, 61cr), 되접힘부(61dl, 61dr), 및 위치 결정용 돌기(61s, 61s)는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본체(40)가 구비하는 매트 수용부(40bl, 40br), 매트 선두 수용부(40cl, 40cr), 되접힘부(40dl, 40dr), 및 위치 결정용 돌기(40s, 40s)와 각각 대응한다.The mat receiving portions 61bl and 61br, the mat head receiving portions 61cl and 61cr, the folded back portions 61dl and 61dr and the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는 상술의 모종 매트 지지부(35s)에 상당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고 부착용 평면부(61a)의 근방까지 모종 인출구(N1)가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는 다르다. 또한,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는 인출 가이드부(41)의 수용 경계 가이드부(41l, 41r)에 상당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고 모종 인출구(N1)의 좌우폭이 큰 점에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는 다르다. 또한, 1쌍의 매트 선두 수용부(61cl, 61cr)의 후방부에는 나사 구멍(61h)이 각각 형성된다.The standard seedling draw-out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는 상기와 같이 모종 인출구(N1)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의 모종 인출구(N)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종의 긁어내기량을 세로방향에 있어서도 가로방향에 있어서도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보다 크게 할 수 있다.Since the seedling drawing-out opening N1 of the standard seedling drawing-out forming
이어서, 본 변형예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긁어내기량을 소량으로 할 때에 도 13의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에 부가적으로 부착해서 변형예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로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변형예에 의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를 모종 통과구(28n)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Next, the seedling
도 14에 나타내는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는 긁어내기량을 통상보다 소량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에 부착하고, 통상과 비교해서 작은 모종 인출구(N2)를 형성하는 본 변형예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출 가이드부(41)에 상당한다.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 좌우 1쌍의 수용 경계 가이드부(62bl, 62br), 및 좌우 1쌍의 부착용 스테이(62cl, 62cr) 등을 구비한다.The seedling mat support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는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가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와 함께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되었을 때, 모종 매트 적재면(A)의 하단(AE)보다 모종 세로 이송 반송방향 하류측의 위치로부터 전측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는 모종 인출구(N2)를 통과한 모종(S)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종(S)의 전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1쌍의 수용 경계 가이드부(62bl, 62br)는 좌측 경계 가이드부(62bl)와, 우측 경계 가이드부(62br)로 구성된다.The pair of receiving boundary guide sections 62bl and 62br are constituted by a left boundary guide section 62bl and a right boundary guide section 62br.
좌측 경계 가이드부(62bl)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의 좌단과 연속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좌측 경계 가이드부(62bl)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방 및 후측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가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와 함께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되었을 때,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가 형성하는 모종 인출구(N1)의 좌측의 윤곽을 따르도록 좌측 경계 가이드부(62bl)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The left boundary guide portion 62bl is a plate-like portion provid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left end of the support
우측 경계 가이드부(62br)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의 우단과 연속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우측 경계 가이드부(62br)는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방 및 후측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가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와 함께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되었을 때,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가 형성하는 모종 인출구(N1)의 우측의 윤곽을 따르도록 우측 경계 가이드부(62br)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The right side boundary guide portion 62br is a flat plate-like portion provid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right end of the support
1쌍의 부착용 스테이(62cl, 62cr)는 좌측 부착용 스테이(62cl)와, 우측 부착용 스테이(62cr)로 구성된다. 좌측 부착용 스테이(62cl)는 좌측 경계 가이드부(62bl)의 후단부의 상면과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좌측 경계 가이드부(62bl)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좌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좌측 부착용 스테이(62cl)에는 접시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부착용 구멍(62h)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부착용 스테이(62cr)는 우측 경계 가이드부(62br)의 후단부의 상면과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62br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우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우측 부착용 스테이(62cr)에는 접시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부착용 구멍(62h)이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attaching stays 62cl and 62cr are constituted by a left attaching stay 62cl and a right attaching stay 62cr. The left attachment stay 62cl is provid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eft boundary guide portion 62bl and extends toward the lef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eft boundary guide portion 62bl. An attaching
이상의 구성에서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와 마찬가지의 실시형태로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된다. 그리고, 모종의 긁어내기량을 통상보다 소량으로 하고 싶은 경우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가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에 대하여 부가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부착은 각각의 부착용 구멍(62h)에 접시 나사(고정 부재)를 삽입해서 나사 구멍(61h)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변형예의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를 구성할 수 있다.15, the standard seedling draw-out
이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에 있어서, 지지 경계 가이드부(62a)의 후단면(62e)이 모종 적재대(17)가 갖는 모종 매트 적재면(A)의 하단(AE)보다 모종 매트 세로 이송 반송방향 하류측, 또한 모종 인출구(N2)보다 상기 모종 매트 세로 이송 반송방향 상류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 후단면(62e)은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의 매트 수용부(61bl, 61br)가 갖는 수용면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 후단면(62e)이 모종 매트(M)를 지지하는 모종 매트 지지부(60s)로서 기능한다. 또한,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0)가 갖는 모종 인출구(N2)는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에 본래 형성되어 있는 모종 인출구(N1)와 비교하여 세로방향에 있어서도 가로방향에 있어서도 작아진다.The
이러한 변형예에 의한 이앙기(1)에 있어서도 모종 매트 적재면(A)의 하단(AE)보다 모종 세로 이송 반송방향 하류측의 위치이며, 모종 인출구(N2)보다 모종 세로 이송 반송방향 상류측의 위치에 모종 매트 지지부(60s)(즉, 상술의 후단면(62e))이 배치되므로 상기 모종 매트 지지부(60s)에 의해 모종 매트(M)의 하단부가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구성보다 모종 매트(M)의 하단부가 덜걱거리게 되기 어렵고, 또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S)을 전단력에 의해 잘라낼 때에 응력을 집중시켜서 모종 매트(M)로부터 기려하게 잘라낼 수 있다. In the
또한, 본 변형예의 이앙기(1)에 있어서는 모종의 긁어내기량을 통상의 양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 하부 가이드 레일(28)에 부착되어 있던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를 떼어내는 일 없이 상기 표준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61) 위로부터 포개어 모종 매트 지지부 형성 부재(62)를 부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모종의 긁어내기량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In the rearing
이상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changed, for example, as follows.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 및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의 형상은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곡판부(50d)를 그 좌우폭이 하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만곡판부(50d)의 하단의 높이에 대해서도 상기 구성보다 높아지도록 또는 낮아지도록 변경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seedling-shaped
돌출부(50e)의 상단의 높이는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와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가 접속되는 부분 근방의 높이로 되어 있지만 그것보다 높아도 낮아도 좋다. 또한, 안내 봉(50f)의 형상은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편평한 봉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환봉 형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ng
모종 전방 가이드부(50b)와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50cl, 50cr)가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The seedling
모종 매트 지지부(35s)를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곡면 부분(40k)이 아니고 예를 들면, 모종 매트 적재면(A)과 거의 평행한 평면 부분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edling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35)로부터 인출 가이드부(41)를 생략하고 본체(40)만으로 모종 매트 지지부를 구성해도 좋다.The draw-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종 적재대(17)는 전방부가 높고 후방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종 적재대를 전방부가 낮고 후방부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한 모종 이식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종 적재대(17)에 적재된 모종 매트(M)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부분(모종 저면 수용부(28b) 및 모종 선두 수용부(28d))와, 모종 적재대(17)를 하부 레일 프레임(31)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하는 부분(감합부(28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의 부분이 개별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seedling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기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해서 모종 이식 작업을 행하는 승용 이앙기인 것으로 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퍼레이터가 손으로 누르면서 모종 이식 작업을 행하는 모종 이식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senger turning over machine for carrying an operator to carry out a seedling transplanting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in which an operator performs a seedling transplanting operation while being pressed by han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기는 이앙기인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골풀 등의 이식에 이용되는 모종 이식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앙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와 같은 6조 심기의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8조 심기의 이앙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edling trans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ce transplan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eedling transplanting apparatus used for transplantation of a rush or the like. Further, eve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ice planting perio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ice planting period of the six-planting plan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can also be applied to, for example, a rice planting plant of eight plants.
1
이앙기(모종 이식기)
17
모종 적재대
22
식부 클로
28
하부 가이드 레일(가이드 레일)
28n
모종 통과구
30
모종 매트 적재면 형성 부재
35
모종 인출구 형성 부재
35s
모종 매트 지지부
50
모종 인출 안내 부재
50b
모종 전방 가이드부
50cl, 50cr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
A
모종 매트 적재면(적재면)
M
모종 매트
S
(긁어내기 대상의)모종1 Transplanting Plant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17 Seedling Loading Table
22
28n seedling through-
35 seedling
50 seedling drawing-
50cl, 50cr,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 seedlings Mat loading surface (loading surface) M seedling mat
S (scraped) seedlings
Claims (7)
상기 모종 매트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모종 매트의 하단부에 진입해서 긁어내기 대상의 모종을 긁어내고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모종 통과구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상기 모종을 안내하여 지면에 심는 식부 클로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에 부착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로서,
그 선단이 상기 모종 통과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식부 클로가 지나는 공간인 식부 클로 통과 공간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식부 클로 통과 공간의 측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그 기단부에서는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접속하고 있고,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A seedling mat on which a seedling mat is loaded,
A guide rail for support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seedling mat,
A seedling guiding member which is attached to a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having a food parting claw which enters a lower end of the seedling mat to scrape off the seedling to be scratched and guide the seedling through a seedling passage opening formed in a guide rail downward, as,
A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dispos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which is the space through which the food claw passes after the tip thereof has passed through the seedling passage and formed so as to follow the locus of the tip of the food claw,
And is formed so as to project downward from the lateral side of the food claw passing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t its base end portion and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widen the distance from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toward the bottom end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는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만곡된 형상의 만곡판부를 갖고,
상기 만곡판부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그 좌우폭이 상기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has a curved plate portion curv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tip end of the food claw,
Where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at least a part of the curved plate portions are lar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상기 만곡판부의 좌우 중앙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The method of claim 3,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rearward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curved plate portion,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elongated along the locus of the tip of the food part claw.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에는 상기 만곡판부의 하단으로부터 봉 형상의 안내 봉이 상기 식부 클로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봉과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5. The method of claim 4,
A bar-shaped guide rod is formed in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urved plate por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tip of the food claw,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ntinuous with the guide bar.
상기 모종 전방 가이드부와 상기 좌우 1쌍의 모종 측방 가이드부 모두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인출 안내 부재.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eedling front guide portion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pair of seedling lateral guide portions are formed of resin.
A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comprising the seedling drawing guide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19511 | 2016-02-04 | ||
JP2016019511A JP2017136025A (en) | 2016-02-04 | 2016-02-04 |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and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with the same |
JP2016019512A JP6502273B2 (en) | 2016-02-04 | 2016-02-04 | Seedling takeout guide member and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having the same |
JPJP-P-2016-019512 | 2016-02-04 | ||
PCT/JP2017/002388 WO2017135109A1 (en) | 2016-02-04 | 2017-01-24 | Seedling extraction guide member and seedling transplanter provided with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390A true KR20180053390A (en) | 2018-05-21 |
KR102128182B1 KR102128182B1 (en) | 2020-06-30 |
Family
ID=5949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0812A KR102128182B1 (en) | 2016-02-04 | 2017-01-24 | A member for taking out seedlings and a seedling transplante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8182B1 (en) |
CN (1) | CN108777937B (en) |
WO (1) | WO201713510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75170B (en) * | 2020-08-10 | 2021-08-17 | 昆明理工大学 | Directional transplanting device of pseudo-ginseng seedling based on image recogni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0109A (en) * | 1989-12-08 | 1991-08-06 | Kubota Corp | Seedling transplanter |
JPH0520510U (en) * | 1991-03-09 | 1993-03-19 | 三菱農機株式会社 | B. Planting seedling separating device for grass planting machine |
JPH0551010U (en) * | 1991-12-20 | 1993-07-09 | 三菱農機株式会社 | Seedling guide device for transplanter |
JPH09163828A (en) * | 1996-11-21 | 1997-06-24 | Kubota Corp | Seedling guide structure of rice planting machine |
JP2000175527A (en) | 1998-12-16 | 2000-06-27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Seedling guide structure of rice transplanter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26206A (en) * | 1987-03-13 | 1988-09-20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ling dividing feeder of transplanter |
JPS63148116U (en) * | 1987-03-20 | 1988-09-29 | ||
JPH0179916U (en) * | 1987-11-18 | 1989-05-29 | ||
JPH0179917U (en) * | 1987-11-18 | 1989-05-29 | ||
JP2601445Y2 (en) * | 1992-08-12 | 1999-11-22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Rice transplanter |
JP2589981Y2 (en) * | 1993-06-01 | 1999-02-03 | 株式会社クボタ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JP3294669B2 (en) * | 1993-06-01 | 2002-06-24 | 株式会社クボタ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JP2852279B2 (en) * | 1996-11-21 | 1999-01-27 | 株式会社クボタ | Rice transplanter seedling guide structure |
JP4586403B2 (en) * | 2004-04-19 | 2010-11-24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JP2007143537A (en) * | 2005-11-30 | 2007-06-14 | Iseki & Co Ltd | Seedling stock-transplanting apparatus |
JP4805789B2 (en) * | 2006-11-07 | 2011-11-02 | 株式会社クボタ | Rice transplanter seedling support structure |
CN103125187B (en) * | 2013-03-19 | 2015-05-20 | 东北农业大学 | Inclined interpolation wide and narrow row spacing rice seedling transplanting mechanism |
-
2017
- 2017-01-24 CN CN201780007096.6A patent/CN108777937B/en active Active
- 2017-01-24 WO PCT/JP2017/002388 patent/WO201713510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1-24 KR KR1020187010812A patent/KR1021281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0109A (en) * | 1989-12-08 | 1991-08-06 | Kubota Corp | Seedling transplanter |
JPH0520510U (en) * | 1991-03-09 | 1993-03-19 | 三菱農機株式会社 | B. Planting seedling separating device for grass planting machine |
JPH0551010U (en) * | 1991-12-20 | 1993-07-09 | 三菱農機株式会社 | Seedling guide device for transplanter |
JPH09163828A (en) * | 1996-11-21 | 1997-06-24 | Kubota Corp | Seedling guide structure of rice planting machine |
JP2000175527A (en) | 1998-12-16 | 2000-06-27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Seedling guide structure of rice transplan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777937B (en) | 2021-06-18 |
CN108777937A (en) | 2018-11-09 |
KR102128182B1 (en) | 2020-06-30 |
WO2017135109A1 (en) | 2017-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80428B2 (en) | Molded ribs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tank | |
CA2913484C (en) | Seed entrain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 |
KR101888654B1 (en) | Separating apparatus for breeding of flower beetle with commonality | |
KR20180053390A (en) | A seedling guide member and a seedling transplanting unit having the seedling guide member | |
KR101869622B1 (en) | Granular body feeding device and granular body spraying device | |
JP6502273B2 (en) | Seedling takeout guide member and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DK2449871T3 (en) | Potato laying device | |
US11612100B2 (en) | Converging row unit for potato planter | |
JP5209335B2 (en) | Continuous potted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for dense planting in soft and soft fields | |
JP6126486B2 (en) | Continuous potted seedling transplanter and crop production method | |
KR101545783B1 (en) | Hardening Roller Buffer Structure of Seeding Machine for Tractor | |
JP3365739B2 (en) | Transplanter seedling tray mounting device | |
JP2017136025A (en) | Seedling outlet forming member and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with the same | |
JP2008029289A (en) | Seedling transplanter | |
US20070137871A1 (en) | Machine for bedding out seed or plant tapes | |
JP2019106924A (en) | Combine-harvester | |
JP3996289B2 (en) | Rice transplanter seedling guide structure | |
JP4036686B2 (en) | Transplanter | |
JP2017079682A (en) | Seedling transplanter | |
JP3797339B2 (en) | Seedling planting machine | |
JP2005124581A (en) | Seedling planter | |
JP3738780B2 (en) | Seedling planting machine | |
JP2005052160A (en) | Seedling planter | |
KR20220092342A (en) | Combine | |
JP2005095187A (en) | Seedling pla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