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877A -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 Google Patents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2877A KR20180052877A KR1020160149978A KR20160149978A KR20180052877A KR 20180052877 A KR20180052877 A KR 20180052877A KR 1020160149978 A KR1020160149978 A KR 1020160149978A KR 20160149978 A KR20160149978 A KR 20160149978A KR 20180052877 A KR20180052877 A KR 20180052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oor lock
- authentication information
- light
- modul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시 또는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using LED-ID technology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device using an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apparatus using LED-ID technology based on visible light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 closing a door lock through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비밀번호 입력, 지문 인식 또는 RFID카드, 버스카드 등과 같은 전자식 열쇠의 접촉 또는 근접 등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Generally, the digital door lock is unlocked by a password input, fingerprint recognition, or contact or proximity of an electronic key such as an RFID card or a bus card.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은 전면에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사람이 비밀번호를 누를 경우 개폐되게 되어 있다. A conventional general digital door lock has a keypad for inputting numbers on the front side, and is opened or closed when a person presses a password.
그러나,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록을 개폐하는 경우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기 쉽고 지문 등이 키패드에 남아 있어 보안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록을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별도로 전자식 열쇠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when the door lock is opened or closed by inputting the password, the password is easily exposed to others, and the fingerprint or the like remains on the keypad, resulting in a very low security. In addition, when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electronic ke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needs to have the electronic key separately.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77824호(도어록 시스템)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도어록부의 개폐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60864호(중계기를 이용한 도어록 인터폰 시스템)에는 도어록과 방문자의 단말기를 외부의 중계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거주자가 부재중에도 방문자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방문을 허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77824 (door lock system) discloses a technique for remotely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a door lock section using a remote controller,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60864 (door lock interphone system using a relay ) Discloses a technique for connecting a door lock and a visitor's terminal using an external relay to confirm that a visitor is present even when a resident is absent, and to allow visitors to visit afte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visitor.
그러나, 종래의 도어록 시스템에 의하면 도어록 개폐를 위해서 별도의 사용자가 항상 소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중계기를 이용하는 도어록 인터폰 시스템의 경우 중계기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중계기가 거주자의 비상연락처로 전화걸기를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 후 도어록을 개폐하는 방식이므로 전화선망 사용에 의한 과금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oor lock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user must always possess a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In the case of the door lock interphone system using the relay, not only the relay is installed separately, And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losed aft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스마트폰의 플래시,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을 개폐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locks through OCC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and VLC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apparatus using visible-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은 OCC 및 VLC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키패드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접촉식 방식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비밀번호 오류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광 노이즈에 강하며 해킹 등의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problems caused by a password leakage due to a contact-type method of touching and inputting a preset password on a keypad installed in a digital door lock by applying OCC and VLC communication method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apparatus using LED-ID technology based on visible light capable of solving security problems such as strong and hack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는 서버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인증정보요청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제1인증정보수신부와, 상기 인증정보수신부에 수신된 인증정보를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제1변조부와, 상기 제1변조부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제1광원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이미지센서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와, 상기 제1복조부에서 복조된 정보를 저장 및 상기 제1변조부 및 제1복조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부와; 상기 서버에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제2인증정보수신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2이미지센서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와, 상기 제2복조부에서 복조된 정보와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인증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부와, 상기 비교판정부의 동일 여부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록과, 상기 사용자단말부로 추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정보생성부와,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추가정보를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제2변조부와, 제2변조부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제2광원부 및 상기 제2복조부와 상기 도어록 및 상기 제2변조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개폐단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 apparatus using LED-ID technology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unit for sending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 first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r into a light control signal, a first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light control signal modulated by the first modulator, A first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n optical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 second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demodulator, 1 modulating unit and a first demodulating unit; A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when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 second image sensor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outside, A comparison se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demodulated by the second demodulation sec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ection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 second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into a light control signal, a second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into a ligh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demodulating unit, the door lock and the second modulating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modulating unit, the second modulating unit,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는 각각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에 의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can selectively emit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by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respectively.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2광원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의 파장에 대응되는 파장을 갖는 광이 상기 제1광원부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light source unit so that light having a wavelength corresponding to a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received by the first image sensor can be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 실시간 저장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e sensor to be stored in real time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는 기존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시 또는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LED-ID technology based o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device that uses a flash or an LED and a display light installed in an existing smart phone to transmit a door lock through OCC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and VLC (Visual Light Commun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또한, 본 발명은 OCC 및 VLC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키패드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접촉식 방식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비밀번호 오류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광 노이즈에 강하며 해킹 등의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problems caused by a password leakage due to a contact-type method of touching and inputting a preset password on a keypad installed in a digital door lock by applying OCC and VLC communication method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lve security problems such as strong and hacking.
또한, 본 발명은 일반 가정집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텔이나 무인텔, 피트니트 센터의 개인 라커룸 등에 적용할 수 있어 안내데스크 및 상주 인력이 없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general households, but also to a private locker room of a hotel, a non-Intel, a pit-knit center,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제2이미지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제2이미지센서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제2이미지센서에 획득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image sensor of a door lock devic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second image sensor of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obtained by a second image sensor of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oor lock (250) device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olog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를 참조하면,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사용자단말부(100)와, 개폐단말부(200) 및 서버(300)를 구비한다.1 to 4 illustrate a
상기 사용자단말부(1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부(10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적용한다.The
상기 사용자단말부(100)는 인증정보요청부(110)와, 제1인증정보수신부(120), 제1변조부(130), 제1광원부(140), 제1이미지센서(150), 제1복조부(160), 제1제어부(170)를 구비한다.The
상기 인증정보요청부(110)는 서버(300)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단말부(100)에 탑재된 인증정보요청모듈의 실행과 동시에 서버(300)로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증정보요청모듈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일반적인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The authentication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인증정보요청부(11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둔 지역 또는 영역(지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인증정보요청모듈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서버(300)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자동으로 송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지정위치에 위치하는지 아닌지의 여부는 사용자단말부(100)에 구비된 GPS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의 지정위치를 집으로 지정한 후, 사용자가 집 근방(일 예로,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에 위치하는 경우,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송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정보요청모듈을 꼭 실행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authentication
상기 제1인증정보수신부(120)는 서버(3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인증정보는 제1제어부(170)에 의해 제1변조부(130)에 전달된다. 이때 제1변조부(130)로 전달되는 인증정보는 이진(Binary) 데이터 형태로 전달된다.The first
상기 제1변조부(130)는 제1인증정보수신부(120)에 수신된 디지털 인증정보를 아날로그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것으로서, 제1변조부(130)를 통해 변조되는 광제어신호는 펄스 또는 구형파 형태의 전기신호이며, 이 전기신호에 따라 제1광원부(140)가 온/오프 된다. The first modulating
상기 제1변조부(130)는 기존의 여러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변조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변조부(130)는 온-오프 키잉(OOK; On-Off keying), 펄스진폭변조(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위상변조(PPM;Pulse Phase Modulation), 펄스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해당 인증정보를 변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제1광원부(140)는 제1변조부(130)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도록 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플래시용 LED 및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용 LED는 백색광을 방출하며, 디스플레이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빛 즉,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140)는 제1제어부(170)에 의해 플래시용 LED가 구동 또는 디스플레이가 구동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추가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이미지센서(150)는 조명을 위한 조명광 또는 태양광 등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이나, 후술하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적용한다. 상기 제1이미지센서(150)는 CCD 또는 CMOS 이미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CMOS 이미지센서를 적용한다.The
상기 제1복조부(160)는 제1이미지센서(150)에서 수신되는 광신호 즉, 후술하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광원부(280)에서 송출되는 광신호를 복조한다. 이때 복조되는 정보는 서버(300)로부터 개폐단말부(200)로 전송되는 인증정보이거나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된 추가정보일 수 있다.The
상기 제1제어부(170)는 인증정보요청부(110), 제1인증정보수신부(120), 제1변조부(130), 제1이미지센서(150)의, 제1복조부(16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며, 제1복조부(160)에서 복조된 정보를 내부에 장착된 메모리(180)에 저장처리한다.The
그리고, 제1제어부(170)는 제1광원부(140)로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방출되게 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제1제어부(170)는 후술하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광원부(280)로부터 방출되어 제1이미지센서(150)에서 수신된 광신호의 파장에 대응되는 파장을 갖는 광신호가 제1광원부(140)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제1광원부(140)를 제어한다.The
상기 개폐단말부(200)는 출입문 등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와, 제2이미지센서(220)와, 제2복조부(230)와, 비교판정부(240)와, 도어록(250)과, 추가정보생성부(260)와, 제2변조부(270)와, 제2광원부(280) 및 제2제어부(290)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출입문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에 내장된다.The opening and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210)는 사용자단말부(100)에서 송출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서버(300)에 수신될 시, 서버(3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2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증정보와 제2이미지센서(220) 및 제2변조부(27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비교판정부(240)에서 비교시 사용된다.The second authentication
상기 제2이미지센서(220)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제1이미지센서(150)와 마찬가지로 조명을 위한 조명광 또는 태양광 등의 외부 광이나, 사용자단말부(100)의 제1광원부(140)에서 방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Like the
상기 제2복조부(230)는 제2이미지센서(220)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것으로서, 제1복조부(160)와 동일한 방식으로 복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복조부(230)에서 복조되는 정보는 펄스 또는 구형파 형태의 아날로그 전기신호이며, 상기 제2복조부(230)에서 복조된 전기신호는 일반적인 디지털 샘플링 및 양자화를 통해 이진데이터로 변환된다.The
상기 비교판정부(240)는 제2복조부(230)에서 복조된 정보와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인증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정한다.The comparison and
그리고, 상기 도어록(250)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비교판정부(240)의 판정 결과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게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출입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제2제어부(290)에 의해 동작된다.The
상기 추가정보생성부(260)는 사용자단말부(100)로 추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되는 추가정보는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인증정보일 수도 있고, 제2이미지센서(220)에서 수신한 이미지정보 또는 기타 정보일 수 있다.The additional
상기 제2변조부(270)는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된 추가정보를 제2광원부(280)를 통해 사용자단말부(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광제어신호로 변조한다.The
상기 제2광원부(280)는 제2변조부(270)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광원부(280)는 백색광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선택적 또는 함께 방출할 수 있도록 R, G, B LED를 갖는 LED모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2제어부(290)는 각각의 LED를 선택 구동함으로써 제2광원부(280)로부터 다양한 색상의 광이 방출되게 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제어부(290)는 제2인증정보수신부(210), 제2이미지센서(220), 제2복조부(230), 도어록(250) 및 제2변조부(27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제2제어부(290)는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에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이와 동시에 사용자단말부(100)의 제1광원부(140)로부터 송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이미지센서(220)를 작동시킬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인증정보의 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제2이미지센서(220)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을 실시간 수신할 수 있도록 상시 작동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2제어부(290)는 제2이미지센서(220)에서 수신된 광신호 즉, 촬영된 이미지정보를 추가정보생성부(260)에 저장 및 제2변조부(270)로 송출 후 제2광원부(280)를 통해 사용자단말부(100)로 해당 이미지정보를 전송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추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한편, 상기 제2제어부(290)는 제2이미지센서를 롤링셔터(Rolling Shutter) 방식을 통해 제1광원부(140)로부터 송출되는 광신호에 노출시켜 광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방식은 제2이미지센서(220)를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픽셀들을 복수의 픽셀어레이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으로서,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X×Y로 배치된 픽셀들 중 세로방향으로 어레이된 픽셀들을 가로방향을 따라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로 구분한다.Meanwhile, the
그리고,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를 제1광원부(140)에서 송출되는 광신호에 순차적으로 노출되게 제어함으로써, 각 픽셀어레이에 광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를 각각 하나의 픽셀로 설정하고,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에 각각 수신되는 광신호를 종합하여 제1광원부(140)에서 송출되는 광신호를 이진데이터로 결정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pixel array to the Y pixel array (# 1 to # Y) are controlled to be sequentially exposed to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원부에서 송출되는 광신호의 상태가 ON이면 제2이미지센서의 첫 열 즉, 제1픽셀어레이만 노출되어 이를 인식하고, 그 다음 광신호의 상태가 OFF이면, 둘째 열의 제2픽셀어레이만 노출되어 이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이미지센서의 각 열은 ON이나, OF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if the state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section is ON, only the first column of the second image sensor, that is, the first pixel array, is exposed and recognized, and if the state of the next optical signal is OFF, Only the second pixel array of the column is exposed and recognized. Therefore, each column of the image sensor includes information on ON or OFF.
이때, 각 픽셀어레이의 노출시간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의 데이터전송시간에 맞춰 동기화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동안에 하나의 선택된 픽셀어레이에 광신호가 수신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osure time of each pixel array is synchronized with the data transmission time of the optical signal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optical signal is received in one selected pixel array during a time for transmitting one data.
그리고,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에 각각 수신되는 광신호는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신호는 샘플링 및 양자화를 통해 각각의 전압값으로 산출되며, 각각의 전압값은 임계값과의 대조를 통해 0 또는 1의 이진 데이터로 결정된다. The optical signals respectively received in the first to Y-th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에 대한 데이터의 결정이 완료되면, 일련의 이진데이터가 생성되며, 생성된 이진데이터는 비교판정부(240)에 의해 인증정보와 비교된다.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data for the first pixel array to the Y pixel array (# 1 to # Y) is completed, a series of binary data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binary data is compared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the comparison / do.
도면 2에서 미설명부호 `P`, `A`, `C`는 각각 픽셀, 증폭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이다.In FIG. 2, `P`,` A`, and `C` are pixel, amplifier, and analog digital converters,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의 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부(100)에 탑재된 인증정보요청모듈을 실행하면, 서버(300)에서는 사용자단말부(100) 및 개폐단말부(200)도 인증번호를 발송한다.First, when the user execut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module loaded in the
사용자단말부(100)는 수신한 인증정보를 제1변조부(130)를 통해 광제어신호로 변환시키며, 제1제어부(170)는 제1광원부(140)가 광제어신호에 맞춰 동작하도록 제1광원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제1광원부(140)로부터 광신호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이미지센서(220)측으로 제1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광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제2이미지센서(220) 측으로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개폐단말부(200)측에서는 서버(300)에서 발송된 인증번호를 수신 및 메모리에 수신된 인증번호를 저장하며, 제2이미지센서(220)를 통해 제1광원부(140)로부터 발생한 광신호를 수신한다. 제2이미지센서(220)에 수신된 광신호는 제1복조부(160)를 통해 디지털 정보로 변환되며 이 정보는 비교판정부(240)에 의해 이전에 이미 수신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 또는 불일치한지를 비교 및 판정하며, 판정정보를 제2제어부(290)로 송출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
제2제어부(290)는 비교판정부(240)에서 송출되는 판정정보에 따라 도어록(250)을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시키거나, 폐쇄상태로 유지시킨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개폐단말부(200) 주변의 조명광 또는 태양광 등에 의해 제1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광신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제1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을 단색상으로 가변하여 송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기존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시 또는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250)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또한, 본 발명은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디지털 도어록(250)에 설치된 키패드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접촉식 방식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비밀번호 오류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광 노이즈에 강해 해킹 등의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password is leaked by a touch-type method of touching and inputting a preset password on a keypad installed i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100 : 사용자단말부
110 : 인증정보요청부
120 : 제1인증정보수신부
130 : 제1변조부
140 : 제1광원부
150 : 제1이미지센서
160 : 제1복조부
170 : 제1제어부
200 : 개폐단말부
210 : 제2인증정보수신부
220 : 제2이미지센서
230 : 제2복조부
240 : 비교판정부
250 : 도어록
260 : 추가정보생성부
270 : 제2변조부
280 : 제2광원부
290 : 제2제어부
300 : 서버100:
110: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0: first modulation section
140: a first light source
150: 1st image sensor
160: first demodulation section
170:
200: opening / closing terminal unit
210: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r
220: Second image sensor
230: second demodulator
240: comparative judgment section
250: Door lock
260: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70: second modulation section
280: second light source
290:
300: server
Claims (4)
상기 서버에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제2인증정보수신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2이미지센서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와, 상기 제2복조부에서 복조된 정보와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인증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부와, 상기 비교판정부의 동일 여부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록과, 상기 사용자단말부로 추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정보생성부와,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추가정보를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제2변조부와, 제2변조부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제2광원부 및 상기 제2복조부와 상기 도어록 및 상기 제2변조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개폐단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for sending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 first modulator configured to modulate the light modulated by the first modulator, a first modulator configured to modulate the light modulated by the first modulator, a first modulator configured to modulate the light modulated by the first modulator, A first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n optical signal to be demodulated by the first demodulator, and a first controller for storing information demodulated by the first demodulator and controlling the first demodulator and the first demodulator;
A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when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 second image sensor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outside, A comparison se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demodulated by the second demodulation sec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ection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 second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into a light control signal, a second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into a ligh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demodulating unit, the door lock and the second modulating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modulating unit, the second modulating unit, The door lock device using a visible-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iqu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는 각각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에 의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re configured to selectively emit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by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respectively.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2광원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의 파장에 대응되는 파장을 갖는 광이 상기 제1광원부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light source unit so that light having a wavelength corresponding to a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received by the first image sensor can be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Door lock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LED-ID technology.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 실시간 저장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e sensor to be stor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n real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978A KR101881151B1 (en) | 2016-11-11 | 2016-11-11 |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978A KR101881151B1 (en) | 2016-11-11 | 2016-11-11 |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2877A true KR20180052877A (en) | 2018-05-21 |
KR101881151B1 KR101881151B1 (en) | 2018-07-23 |
Family
ID=6245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9978A KR101881151B1 (en) | 2016-11-11 | 2016-11-11 |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115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75862A (en) * | 2020-02-14 | 2020-06-1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Unlocking method, door lock and door lock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8397B1 (en) | 2020-08-24 | 2021-04-09 | (주)한국에스웨이 |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864A (en) | 2003-07-01 | 2003-07-16 | 차기만 | A doorlock interphone system using the relay equipment |
KR20030077824A (en) | 2002-03-27 | 2003-10-04 | 김영수 | Door lock system |
KR20080097881A (en) * | 2007-05-03 | 2008-11-06 | 한국광기술원 |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close of digital door lock |
JP2010071009A (en) * | 2008-09-19 | 2010-04-02 | Ntt Docomo Inc | Unlocking system and unlocking method |
KR20120135130A (en) * | 2011-06-03 | 2012-12-12 | 래티스 에너지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 Optical device |
-
2016
- 2016-11-11 KR KR1020160149978A patent/KR10188115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7824A (en) | 2002-03-27 | 2003-10-04 | 김영수 | Door lock system |
KR20030060864A (en) | 2003-07-01 | 2003-07-16 | 차기만 | A doorlock interphone system using the relay equipment |
KR20080097881A (en) * | 2007-05-03 | 2008-11-06 | 한국광기술원 |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close of digital door lock |
JP2010071009A (en) * | 2008-09-19 | 2010-04-02 | Ntt Docomo Inc | Unlocking system and unlocking method |
KR20120135130A (en) * | 2011-06-03 | 2012-12-12 | 래티스 에너지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 Optical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75862A (en) * | 2020-02-14 | 2020-06-1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Unlocking method, door lock and door lock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1151B1 (en) | 2018-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93988B2 (en) | Entry control system and entry control method | |
CN103426221B (en) | With the light-operated guard method of two-way authentication | |
CN204926231U (en) | Entrance guard and access control system | |
CN103456062B (en) | A kind of Light-dependent control door guard device with two-way authentication | |
KR101939377B1 (en) | Video phone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 |
KR101881151B1 (en) |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 |
CN109300216A (en) | Intelligent networking locking device based on resident identification card real-name authentication | |
KR101716406B1 (en) | Smart doorbell system and method | |
KR20180070047A (en) | door-lock system used beacon | |
WO2019214401A1 (en) | Visito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access control system | |
CN105913513A (en) |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door lock system | |
CN111968275A (en) | Intelligent lock,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building visual intercom system | |
CN109887127A (en) | A kind of intelligent door lock and its control method and system | |
FR3000984A3 (en) | PORTAL OF A CLOSURE DRIVE DEVICE FOR A BUILDING OR A CLOSURE AND ITS APPLICATION | |
JP2006090006A (en) | Tv door phone with electric lock locking/unlocking function and common vestibule locking/unlocking system | |
CN105960832A (en) |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lighting system having an integrated safety concept | |
CN110853202A (en) |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of two-dimensional code cabinet remotely controlled by Internet of things | |
KR20150035644A (en) | Digital Door-Lock and Door-Loc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Yoon et al. | IoT open-source and AI based automatic door lock access control solution | |
KR20140056647A (en) | Door unlocking system using door camera | |
US20190212088A1 (en) | Systems and methods to prevent hot-wiring of electronic gun racks | |
KR100800050B1 (en) | The protection system which uses door-lock | |
Patil et al. |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pin on android phone | |
CN109451224A (en) | A kind of video and audio meeting camera | |
WO202003562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lock based on wireless optical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