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397B1 -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 Google Patents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397B1
KR102238397B1 KR1020200106346A KR20200106346A KR102238397B1 KR 102238397 B1 KR102238397 B1 KR 102238397B1 KR 1020200106346 A KR1020200106346 A KR 1020200106346A KR 20200106346 A KR20200106346 A KR 20200106346A KR 102238397 B1 KR102238397 B1 KR 10223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ousing
elevating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구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스웨이
조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스웨이, 조구현 filed Critical (주)한국에스웨이
Priority to KR102020010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3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which enables a user to enter and exit a guest room even though not passing a front desk of a hotel,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comprising: a customer terminal receiving guest room information of a hotel to be booked and customer information required for booking the guest room from a customer and sending a request for booking the guest room of the hotel; a management server checking whether the customer information required for booking the guest room is provided and payment is finished according to the book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if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booking the guest room is checked to be provided and the payment is checked to be finished, encrypting the smart key for unlocking the guest room requested to be booked; and a door lock terminal installed at each guest room door to lock a corresponding door for not opening the door, if the customer terminal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receiving the smart key from the customer terminal to check whether the received smart key is a valid key for opening the guest room door in which the smart key itself has been installed, and if the received smart key is the valid key, unlocking the door such that the customer can enter the corresponding guest room.

Description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key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본 발명은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텔 프런트를 거치지 않고도 객실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implement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by enabling access to a room without going through a hotel front desk. .

최근 들어 무선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잠금해제용 NFC 무선 카드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NFC wireless card key technology for unlocking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has been in the spotlight in various fields.

종래기술에 따른 NFC방식의 무선 카드키 기술은 도어의 문을 잠금해제 시키기 위해서 NFC방식의 카드키를 반드시 소지해야 하며 상기 카드키를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해당 도어의 문을 열수 있었다.The NFC-type wireless card key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ior art must possess an NFC-type card key to unlock the door of the door, and anyone with the card key could open the door of the corresponding door.

이와 같이 NFC 방식의 카드키를 구비하여 도어를 잠금해제 하는 방식은 무선 카드키를 소지한 자에게 모든 접근 권한이 주어질 수 있기 때문에 호텔서비스와 같은 편의를 받기 위해 서는 반드시 프런트를 방문해 카드키를 발급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카드키를 타인에게 맡길 경우 사용자의 관리를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method of unlocking the door with an NFC-type card key, a person who has a wireless card key can be given full access rights, so be sure to visit the front desk and issue a card key to receive the same convenience as a hotel service. There is a hassle to receive, and if the card key is left to another per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out of management.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to be known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88115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1151 한국등록특허 제10-174961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9616

본 발명의 일측면은 호텔 프런트를 거치지 않고도 객실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implement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since it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a room without going through a hotel front desk.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은, 고객으로부터 예약하고자 하는 호텔의 객실 및 객실 예약에 필요한 고객 정보를 입력받아 호텔 객실의 예약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예약 요청에 따라 객실 예약에 필요한 고객 정보의 구비 여부 및 대금 결제 완료 여부를 확인하며, 객실 예약에 필요한 정보 구비 및 대금 결제가 완료되었다고 확인되면 예약 요청된 객실의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스마트 키를 암호화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 및 각 객실의 도어 마다 설치되어 해당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잠그며, 상기 고객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받아 자신이 설치된 객실의 도어 열림을 위한 정당 키 여부를 확인하며, 수신받은 스마트 키가 정당 키인 경우 고객이 해당 객실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도어락 단말기;를 포함한다.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tomer terminal for requesting a reservation of a hotel room by receiving input from a customer and customer information required for room re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it checks whether the customer information required for room reservation and payment is completed, and unlocks the room requested for reserva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room reservation and payment has been completed. A management server for encrypting the smart key for performing and transmitting it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it is installed for each door of each room and locks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and when the customer terminal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it receives a smart key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checks whether or not a valid key for opening the door of the room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a door lock terminal that unlocks the door so that the customer can enter the corresponding room when the received smart key is a legitimate key.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은, 객실 도어가 설치되기 위한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 단말기의 작동 또는 도어를 여는 동안 임시적으로 짐을 거치해 두기 위한 거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one side of an opening for installing a room door, and a user temporarily loads while operating the door lock terminal or opening the door. A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장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승하강홈;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조절홈;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승하강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용자의 짐이 거치될 수 있도록 전단이 상기 높이조절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거치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oun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formed in a box shape forming an inner space; An elevating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 height adjustment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it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rear end is seated in the elevating groove and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 end passes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so that the user's load can be mounted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ar;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바아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부가 전단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안착되는 경사 바아; 상기 승하강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후단이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승하강 바아; 짐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홈을 통과하여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바아;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바아; 및 상기 밀착 바아와 상기 승하강 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밀착 바아를 상기 승하강 바아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unting bar includes: an inclined bar that is seated so that an upper portion is inclined toward an upper front end from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An elevating bar connected to the elevating groove and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ing groove, and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bar is rotatable to the front end; An exposed bar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to mount a load, passing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and exposing an upper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close contact bar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rotates in a shear direction; And a support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contact bar and the elevating bar to pull the contact bar in the elevating bar direction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바아는, 상기 승하강홈에 안착되어 상기 승하강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승하강 블록; 및 상기 승하강 블록의 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홈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vating bar, the elevating block is seated in the elevating groove and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elevating groove so as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ing groove; And a drive gear installed at least one at a rear end of the elevating block and connected to the rack gear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elevating groove and rotated by the elevating motor.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바아는,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안착 바아; 상기 안착 바아의 후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홈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경사 바아가 더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안착 바아의 후단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홈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경사 바아가 더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1 프레임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요철;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2 프레임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act bar includes: a seating bar that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to extend and exten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ating bar, and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rotates in the shear direc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located 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o prevent further rotation of the inclined bar. 1 frame;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ating bar, and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rotates in the shear direc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o prevent further rotation of the inclined bar. A second frame; The first frame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as the first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rst frame is engaged with a rack gea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first frame from being lowered. Irregularities; And an agent that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is engaged with a rack gea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s the second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second frame from being lowered. 2 irregularities; may includ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호텔 프런트를 거치지 않고도 객실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a room without going through a hotel front desk,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that is appar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거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거치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거치 바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밀착 바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바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device of FIG. 2.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the mounting apparatus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bar of FIG. 3.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dhesion bar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10)은, 고객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도어락 단말기(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hotel management system 10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tomer terminal 100, a management server 200, and a door lock terminal 300.

고객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또는 PDA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단말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 구현을 위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고객으로부터 예약하고자 하는 호텔의 객실 및 객실 예약에 필요한 고객 정보를 입력받아 호텔 객실의 예약을 요청받으며, 해당 요청받은 예약 요청을 네트워크(N)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한다.The customer terminal 100 is a personal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and ha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providing a hotel management service using a smart key for realizing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receives a request for reservation of a hotel room by receiving a room of a hotel to be reserved from a customer and customer information required for room reservation, and transmits the requested reserv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N). do.

여기서, 고객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Here, the customer terminal 10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and is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a desktop computer (PC), a notebook (Notebook), a smart phone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Tablet PC), etc. It is a broad concept that refers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that support wired and wireless network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한편,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network N may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optical ultrasound, or a combination thereof. Body Area Network (BAN), satellite communication, cellular communication,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IrDA), Wireless Fidelity (Wi-Fi),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r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Examples of possible wireless communication are Ethernet, Digital Subscriber Line (DSL), Fiber to the Home (FTTH), and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are examples of wired communic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traverse multiple network topologies and distance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direct connectio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it may be achieved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including LoRaWAN, NB-Fi, and RPMA. However, for the network N,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ny latest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관리 서버(200)는, 네트워크(N)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예약 요청에 따라 객실 예약에 필요한 고객 정보의 구비 여부 및 대금 결제 완료 여부를 확인하며, 객실 예약에 필요한 정보 구비 및 대금 결제가 완료되었다고 확인되면 예약 요청된 객실의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스마트 키를 암호화한 뒤 네트워크(N)를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 management server 200 checks whether customer information required for room reservation and payment has been completed according to a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100 through a network (N) network, and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for room reservation.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the smart key for unlocking the room requested for reservation is encrypt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N).

도어락 단말기(300)는, 각 객실의 도어(D) 마다 설치되어 해당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잠그며, 고객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예를 들어, 1m 내지 5m)로 접근하면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받아 자신이 설치된 객실의 도어 열림을 위한 정당 키 여부를 확인하며, 수신받은 스마트 키가 정당 키인 경우 고객이 해당 객실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의 잠김을 해제한다.The door lock terminal 300 is installed for each door D of each room and locks the corresponding door so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and when the customer terminal 100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for example, 1m to 5m), the customer terminal ( 100) receives a smart key and checks whether it is a party key to open the door of the room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if the received smart key is a party key, the door is unlocked so that the customer can enter the room.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10)은, 호텔 프런트를 거치지 않고도 객실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hotel management system 10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since it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a room without going through a hotel front desk.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20)은, 고객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도어락 단말기(300) 및 거치 장치(400)를 포함한다.2, a hotel management system 20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tomer terminal 100, a management server 200, a door lock terminal 300, and a mounting device 400. Includes.

여기서, 고객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도어락 단말기(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since the customer terminal 100,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door lock terminal 30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거치 장치(400)는, 객실 도어(D)가 설치되기 위한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도어락 단말기(300)의 작동 또는 도어를 여는 동안 임시적으로 짐(P)을 거치해 준다.The mounting device 4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in which the cabin door D is installed, and temporarily mounts the luggage P while the user operates the door lock terminal 300 or opens the doo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20)은, 짐(P)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짐(P)을 호텔 바닥에 올려 놓는 대신에 자신의 신장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 가능한 거치 장치(400)에 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짐(P)에 바닥에 있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객실 도어(D) 개폐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otel management system 20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user who has a lot of luggage (P), instead of putting the luggage (P) on the hotel floor By mounting it on the mounting device 400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user's luggage (P),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on the floor ar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as well as the user's cabin door ( D) Ease of opening and closing can be improved.

도 3은 도 2의 거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device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거치 장치(400)는, 하우징(410), 승하강홈(420), 높이조절홈(430) 및 거치 바아(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unting device 400 includes a housing 410, an elevating groove 420, a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and a mounting bar 440.

하우징(41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객실 도어(D)가 설치되기 위한 개구부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411)에 승하강홈(420), 높이조절홈(430) 및 거치 바아(4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housing 410 is formed in a box shape forming an inner space and is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being recessed at one side of an opening for installing the cabin door D, and an elevating groove 420 in the inner space 411 Configurations such as,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and mounting bar 440 are installed.

승하강홈(420)은, 거치 바아(440)의 후단이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410)의 내측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elevating groove 4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housing 410 so that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bar 440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높이조절홈(430)은, 거치 바아(440)가 통과하여 하우징(4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410)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410 so that the mounting bar 440 passe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0.

거치 바아(440)는, 하우징(410)의 내측에 안착되며, 후단이 승하강홈(420)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용자의 짐(P)이 거치될 수 있도록 전단이 높이조절홈(430)을 통과하여 하우징(410)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mounting bar 440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410, the rear end is seated in the elevating groove 420 and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 end height is adjusted so that the user's load (P) can be mounted. It passes through the groove 43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0.

이때, 사용자는, 하우징(410)에 수납되어 있는 거치 바아(44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410)의 전단으로 일부 노출된 거치 바아(440)의 전단을 파지한 뒤 잡아당겨 분리해낼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ser may grip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bar 440 partially exposed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410 so that the mounting bar 44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10 can be separated, and then pull to separate it. will b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수납된 상태로 안착되어 있는 거치 바아(440)가(도 4의 (a)),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한 뒤 사용자의 신장에 대응하여 승하강홈(420)을 따라 승강(도 4의 (b))되어 짐(P)을 거치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도 4의 (c)).The mounting device 4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 the mounting bar 440 that is seated in a state received i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410 (Fig. 4 (a )), when the user's approach is detected, the height of the approaching user is measured, and then it is lifted along the elevating groove 420 in response to the user's height (Fig. It can be in a state (Fig. 4 (c)).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 장치(400)는, 사용자의 접근 및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 또는 측정하기 위한 접근 감지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신체 측정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That is, the mounting device 4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access detection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body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user's approach and the user's body. (Not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be provided separate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 장치(400)는, 짐(P)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짐(P)을 호텔 바닥에 올려 놓는 대신에 자신의 신장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거치 바아(440)에 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짐(P)에 바닥에 있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객실 도어(D) 개폐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ounting device 4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mounting bar whose he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response to his or her height instead of putting the luggage P on the hotel floor. By mounting it on the user's luggage (P),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by attach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on the floor to the user's luggage (P), as well as to improve the e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ser's cabin door (D).

도 5는 도 3의 거치 바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bar of FIG. 3.

도 5를 참조하면, 거치 바아(440)는, 경사 바아(441), 승하강 바아(442), 노출 바아(443), 밀착 바아(444) 및 지지 탄성체(44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ounting bar 440 includes an inclined bar 441, an elevating bar 442, an exposed bar 443, a contact bar 444, and a support elastic body 445.

경사 바아(441)는, 하우징(410)의 내측에서 상부가 전단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안착되고, 후단이 승하강 바아(442)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inclined bar 441 is mounted so that the upper part is inclined in the front end up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410,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bar 442 so as to be rotatable.

승하강 바아(442)는, 승하강홈(420)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홈(4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경사 바아(441)의 후단이 전단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elevating bar 442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groove 420 and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ing groove 420, and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bar 441 is a bolt (B) and a nut (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N).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바아(442)는, 승하강 블록(4421) 및 구동 기어(4422-1, 4422-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vating bar 442 may include a elevating block 4241 and drive gears 4242-1 and 4422-2.

승하강 블록(4421)은, 승하강홈(420)에 안착되어 승하강홈(4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승하강홈(420)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4422-1, 4422-2)가 연결 설치된다.The elevating block 4241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vating groove 420 so as to be seated in the elevating groove 420 and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ing groove 420, and at least one at the rear end The above drive gears 4242-1 and 4422-2 are connected and installed.

구동 기어(4422-1, 4422-2)는, 승하강 블록(4421)의 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승하강홈(42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At least one drive gear 4242-1 and 4422-2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elevating block 4241, and engaged with the rack gear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groove 420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And, it is rotated by an elevating motor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때, 승하강 모터는, 상술한 신체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사용자 신장 측정값에 따라 승하강 블록(4421)를 승강시켜 줄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구동 제어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 기어(4422-1, 4422-2)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motor is transmitted from a separately provided driving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o elevate the elevating block 4241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body measurement sensor. The driving gears 4242-1 and 4422-2 may be rotated in response to the driving request signal.

노출 바아(443)는, 짐(P)을 거치할 수 있도록 경사 바아(44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높이조절홈(430)을 통과하여 상부가 하우징(410)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exposed bar 443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441 to mount the load P, passes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and exposes the upper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0.

이때, 노출 바아(443)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하우징(410)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경사 바아(441)가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41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 4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이 하우징(4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exposed bar 443 is shown in Fig. 4A, even when the inclined bar 441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411 of the housing 410 so that the user can grasp it and take it out from the housing 410. As shown in (b), the front end should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0.

밀착 바아(444)는, 경사 바아(441)의 상측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경사 바아(441)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The contact bar 444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441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410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441 rotates in the shear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밀착 바아(444)는, 안착 바아(4441), 제1 프레임(4442), 제2 프레임(4443), 제1 요철(4444) 및 제2 요철(4445)을 포함한다.The contact bar 444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eating bar 441, a first frame 4442, a second frame 443, a first concave and convex 4444, and a second concave and convex 4451. .

안착 바아(4441)는, 높이조절홈(430)을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홈(430)의 폭에 대응하는 좌우 너비로 형성되며, 노출 바아(443)와의 사이 공간(4431)에 짐(P)을 걸어서 거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 바아(441)의 상측에서 노출 바아(443)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측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일측 후단에 제1 프레임(4442)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 후단에 제2 프레임(4443)이 형성된다.The seating bar 441 is formed with a left and right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as shown in (b) of FIG. 6 so that it can be mov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and the exposed bar The inclined bar 441 is separated from the exposed bar 443 at the rear end so that a space for hanging the load P can be formed in the space 441 between the 443 and it is bent in the upper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ed. Is formed, a first frame 4442 is formed at one rear end, and a second frame 4443 is formed at the other rear end.

제1 프레임(4442)은, 안착 바아(4441)의 후단 일측에 형성되며, 경사 바아(441)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높이조절홈(430)의 일측(431)에 위치하는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경사 바아(441)가 더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The first frame 44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ating bar 441, and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441 rotates in the shear direction, the housing located at one side 431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410 and prevents the inclined bar 441 from rotating any more.

제2 프레임(4443)은, 안착 바아(4441)의 후단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경사 바아(441)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높이조절홈(430)의 다른 일측(432)에 위치하는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경사 바아(441)가 더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The second frame 444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ating bar 441, and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432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30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441 rotates in the shear direction. The inclined bar 4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410 to prevent further rotation.

제1 요철(4444)은, 제1 프레임(4442)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 프레임(4442)가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렉기어(413)에 맞물려 제1 프레임(4442)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The first unevenness 4444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4442, and as the first frame 44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410, the first unevenness 4444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410. It meshes with the installed rack gear 413 to prevent the first frame 4442 from being lowered.

제2 요철(4445)은, 제2 프레임(4443)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2 프레임(4443)가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렉기어(414)에 맞물려 제2 프레임(4443)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The second uneven 445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4443, and as the second frame 444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410, the second uneven 445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410. It meshes with the installed rack gear 414 to prevent the second frame 4443 from being lowered.

지지 탄성체(445)는, 밀착 바아(444)와 승하강 바아(44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착 바아(444)를 승하강 바아(442) 방향으로 잡아당겨 줌으로써, 평상시에는 거치 바아(440)가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411)에 수납되어 있도록 한다.The support elastic body 445 is installed between the contact bar 444 and the elevating bar 442 and pulls the contact bar 444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ing bar 442 using an elastic force. The 44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411 of the housing 41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바아(440a)는, 경사 바아(441)의 전단에서 노출 바아(443)의 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보조 바아(446)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노출 바아(443)와 보조 바아(44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4432)에 추가적으로 짐(P)을 걸어서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unting bar 44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bar 446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exposed bar 443 at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bar 441 and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space 4432 formed between the exposed bar 443 and the auxiliary bar 446, the load P may be additionally mounte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0: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
100: 고객 단말기
200: 관리 서버
300: 도어락 단말기
400: 거치 장치
10: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key
100: customer terminal
200: management server
300: door lock terminal
400: mounting device

Claims (2)

고객으로부터 예약하고자 하는 호텔의 객실 및 객실 예약에 필요한 고객 정보를 입력받아 호텔 객실의 예약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예약 요청에 따라 객실 예약에 필요한 고객 정보의 구비 여부 및 대금 결제 완료 여부를 확인하며, 객실 예약에 필요한 정보 구비 및 대금 결제가 완료되었다고 확인되면 예약 요청된 객실의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스마트 키를 암호화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
각 객실의 도어 마다 설치되어 해당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잠그며, 상기 고객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받아 자신이 설치된 객실의 도어 열림을 위한 정당 키 여부를 확인하며, 수신받은 스마트 키가 정당 키인 경우 고객이 해당 객실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도어락 단말기; 및
객실 도어가 설치되기 위한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 단말기의 작동 또는 도어를 여는 동안 임시적으로 짐을 거치해 두기 위한 거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장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승하강홈;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조절홈;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승하강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용자의 짐이 거치될 수 있도록 전단이 상기 높이조절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거치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바아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부가 전단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안착되는 경사 바아;
상기 승하강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후단이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승하강 바아;
짐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홈을 통과하여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바아;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바아; 및
상기 밀착 바아와 상기 승하강 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밀착 바아를 상기 승하강 바아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바아는,
상기 승하강홈에 안착되어 상기 승하강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승하강 블록; 및
상기 승하강 블록의 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홈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바아는,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안착 바아;
상기 안착 바아의 후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홈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경사 바아가 더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안착 바아의 후단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아의 상부가 전단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홈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경사 바아가 더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1 프레임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요철;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2 프레임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바아는,
상기 경사 바아의 전단에서 상기 노출 바아의 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보조 바아를 구비하는,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
A customer terminal for requesting a reservation of a hotel room by receiving input of a room of a hotel to be reserved from a customer and customer information necessary for room re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it checks whether the customer information required for room reservation and payment is completed, and unlocks the room requested for reserva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room reservation and payment has been completed. A management server for encrypting the smart key for performing and transmitting it to the customer terminal;
It is installed for each door of each room and is locked so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and when the customer terminal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it receives a smart key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checks whether it is a valid key for opening the door of the room in which it is installed, A door lock terminal that unlocks a door so that a customer can enter a corresponding room when the received smart key is a legitimate key; And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for installing the cabin door, and a mounting device for temporarily mounting luggage while the user operates the door lock terminal or opens the door; includes,
The mounting device,
A housing formed in a box shape forming an inner space;
An elevating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 height adjustment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mounting bar that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rear end is seated in the elevating groove and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 end passes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user's luggage can be mounted. Including;
The mounting bar,
An inclined bar that is seated so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inclined toward an upper front end of the housing;
An elevating bar connected to the elevating groove and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ing groove, and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bar is rotatable to the front end;
An exposed bar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to mount a load, passing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and exposing the upper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close contact bar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rotates in a shear direction; And
Includes; a support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contact bar and the elevating bar and pulling the contact bar in the elevating bar direction using an elastic force,
The elevating bar,
An elevating block that is seated in the elevating groove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levating groove so as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ing groove; And
At least one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elevating block, and connected to the rack gear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groove, and a drive gear that is rotated by the elevating motor; and
The adhesion bar,
A seating bar that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side of the inclined bar to extend and exten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ating bar, and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rotates in the shear direc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located 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o prevent further rotation of the inclined bar. 1 frame;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ating bar, and as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bar rotates in the shear direc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o prevent further rotation of the inclined bar. A second frame;
The first frame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as the first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rst frame is engaged with a rack gea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first frame from being lowered. Irregularities; And
The second frame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as the second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econd frame is engaged with a rack gea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second frame from being lowered. Including; irregularities;
The mounting bar,
A hotel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key, comprising an auxiliary bar that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inclined bar an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exposed bar.
삭제delete
KR1020200106346A 2020-08-24 2020-08-24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KR102238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46A KR102238397B1 (en) 2020-08-24 2020-08-24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46A KR102238397B1 (en) 2020-08-24 2020-08-24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397B1 true KR102238397B1 (en) 2021-04-09

Family

ID=7544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346A KR102238397B1 (en) 2020-08-24 2020-08-24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39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726A (en) * 2006-11-27 2008-05-30 김동현 Folding shelf on apartment door
KR100986125B1 (en) * 2008-04-23 2010-10-13 조현주 Portable hanger
KR20150131597A (en) * 2014-05-15 2015-11-25 이영욱 Method for room sales of accommodation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system of the same
KR101749616B1 (en) 2016-10-27 2017-06-22 오아시스스토리(주) Smartphone Key door open and clos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81151B1 (en) 2016-11-11 2018-07-23 한국광기술원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KR20180094375A (en)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대연 door union type multipurpose ra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726A (en) * 2006-11-27 2008-05-30 김동현 Folding shelf on apartment door
KR100986125B1 (en) * 2008-04-23 2010-10-13 조현주 Portable hanger
KR20150131597A (en) * 2014-05-15 2015-11-25 이영욱 Method for room sales of accommodation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system of the same
KR101749616B1 (en) 2016-10-27 2017-06-22 오아시스스토리(주) Smartphone Key door open and clos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81151B1 (en) 2016-11-11 2018-07-23 한국광기술원 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KR20180094375A (en)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대연 door union type multipurpose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7978B2 (en) Control device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9516503B2 (en) Location based access
CN105051795B (en) Access control for the region with multiple leaf door
US20130271261A1 (en) Electronic lock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JP6044917B1 (en) Automatic door unlocking device, automatic door unlocking system and temporary use management system
US100559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and anonymous personal vaults
KR101570463B1 (en) Portable terminals and door locks are interlocked
JP6935965B1 (en) Key system
CN107430793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ccess control system
US202201189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ecording medium, and vehicle interior sharing system for delivering an object stored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KR101722900B1 (en) Door lock system capable of setting a temporary passwo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1426020B2 (en) Delivery door extension
KR101637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KR102238397B1 (en) Hotel managemnet system using smart key
WO2017142098A1 (en) Key unit, key management system, and key management method
US10774569B1 (en) Door security device
CN110800028A (en) On-demand access control authorization using mobile devices
KR102076352B1 (en) Cash box managmenet system using user terminal
US11110890B2 (en) Method for locking and/or unlocking a vehicle
KR101874239B1 (en) A closed smart mailbox system with public mailbox
JP2011102483A (en) Lock management system
JP4647408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CN115668317A (en) Additional area monitoring for building doors
KR20100049260A (en) A movement thing depository which uses the vehicle
KR20200080893A (en) Smart door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