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865A -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 Google Patents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865A
KR20180052865A KR1020160149955A KR20160149955A KR20180052865A KR 20180052865 A KR20180052865 A KR 20180052865A KR 1020160149955 A KR1020160149955 A KR 1020160149955A KR 20160149955 A KR20160149955 A KR 20160149955A KR 20180052865 A KR20180052865 A KR 2018005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re
local heating
injection mold
crash pa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051B1 (ko
Inventor
김병민
이명근
김재홍
조용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근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9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0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7Tempering units for temperature control of moulds or cores, e.g. comprising heat exchangers, controlled valves, temperature-controlled circuits for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2045/735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heating a mould part and cooling another mould part during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은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응하는 사출금형 본체의 설정부위에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삽입되어 균일한 가열과 냉각이 국부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웰드라인이 효과적으로 완화되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품질향상이 도모될 수 있으며,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3D 프린터에 의해 적층성형되도록 함으로써 크래시패드의 복합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한 국부적 가열/냉각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은 차량에 사용되는 크래시 패드(1)의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11)가 형성된 사출금형 본체(10)와;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응하는 사출금형 본체(10)의 설정부위에 삽입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 및;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와 연결되어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의 가열과 냉각을 제어하는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를 포함하여, 수지 소재가 사출금형 본체(10)의 캐비티(11)로 사출되는 사출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가열온도만큼 가열되도록 하고,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냉각온도만큼 냉각되도록 하여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이 완화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Vehicle crash pad injection mold mold with local heating insert core for developing weld-line defects}
본 발명은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응하는 사출금형 본체의 설정부위에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삽입되어 균일한 가열과 냉각이 국부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웰드라인이 효과적으로 완화되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품질향상이 도모될 수 있으며,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3D 프린터에 의해 적층성형되도록 함으로써 크래시패드의 복합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한 국부적 가열/냉각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 공정에서의 RHCM(Rapid Heat Cycle Molding) 기술은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여 사출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개선하게 되는 것으로, 금형 내부에 설계되어 있는 냉각 라인(cooling line)을 이용하여 증기(steam)을 이용하여 금형을 가열하는 한편, 상온의 물이나 냉수를 이용하여 금형을 냉각하여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금형 가열시 일반적으로 수지의 유리천이온도(120℃) 이상으로 금형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금형 냉각시 일반적인 금형온도(40℃) 보다 낮은 온도(30℃)로 금형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수지를 좀더 빨리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DMT(Direct Metal Tooling) 기술은 순수 메탈 금속재질의 제품 제작이 가능한 기술로서, 작업 플랫폼에 한 층에 해당되는 두께만큼 미세한 메탈 파우더를 얇게 도포한 다음, 도포된 파우더 위에 정밀한 레이저를 조형하고자 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조사된 파우더 부분이 용융되면서 제품이 성형되는 기술이다. 여기서 레이저가 파우더를 용융하고 있는 동안 산화 방지를 위해 Ar과 같은 불화성 가스가 챔버 내에 공급되며, 한층 한층 플랫폼을 내려가면서 위와 같은 공정이 반복된다.
한편 차량에 구비되는 도 1과 같은 크래시 패드(crash pad)(1)는 운전석 전면 유리하단에 부착되는 내장부품으로서, 공조장치, 라디오, 시계, 수납 공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차량의 크래시 패드(1)는 도 2에서와 같은 사출금형(10)에 의해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크래시 패드(1)의 복합한 형상으로 인하여 표면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도 3의 박스 표시에서와 같이 불량의 일종으로 사출물에 선이 생긴 것을 지칭하는 다수의 웰드라인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웰드라인은 용융 수지의 흐름이 만나는 곳에 생성되는 것으로, 사출성형품에서는 웰드라인 부위의 강도가 가장 취약하므로, 가능한 한 제품에 웰드라인이 생기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여기서 웰드라인이 생기는 부분을 국부가열하게 되면 웰드라인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어 사출금형을 국부가열하는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사출금형을 국부가열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47890호 "3차원 메탈프린터를 이용한 핫 스템핑 금형용 냉각블록 제작방법", 등록번호 제10-1316045호 "기능성 경사 복합재를 적용한 형상적응형 냉각회로를 갖는 사출금형 및 그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제10-1119344호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코어 삽입식 냉각장치", 등록번호 제10-1327191호 "냉각 및 가열 통로를 갖는 사출금형"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출금형 국부가열 기술들은 복잡한 형상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가열과 냉각이 통합적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갖추지 않아 웰드라인 완화공정에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47890호 "3차원 메탈프린터를 이용한 핫 스템핑 금형용 냉각블록 제작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16045호 "기능성 경사 복합재를 적용한 형상적응형 냉각회로를 갖는 사출금형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9344호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코어 삽입식 냉각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27191호 "냉각 및 가열 통로를 갖는 사출금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사출금형 본체의 설정부위에 삽입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에 의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한 균일한 가열과 냉각이 국부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웰드라인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품질향상이 도모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 의해 적층성형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사출금형 본체에 삽입 설치되어 크래시패드의 복합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한 국부적 가열/냉각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크래시 패드(1)의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11)가 형성된 사출금형 본체(10)와;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응하는 사출금형 본체(10)의 설정부위에 삽입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 및;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와 연결되어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의 가열과 냉각을 제어하는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를 포함하여, 수지 소재가 사출금형 본체(10)의 캐비티(11)로 사출되는 사출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가열온도만큼 가열되도록 하고,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냉각온도만큼 냉각되도록 하여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이 완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설정된 라인 패턴(line pattern)으로 형성되는 냉각 채널(21)과 히터(22)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온도센서(23)를 구비하여 현재 온도값이 검출되어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설정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된 냉각 채널(21)이 내부에 배치된 냉각층 유닛(20a)과; 설정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된 히터(22)가 내부에 배치되는 가열층 유닛(20b)과; 사출금형 본체(10)의 캐비티(11)에 충진된 수지 소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층 유닛(2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3D 프린터(200)에 의한 적층가공으로 성형된 3D 프린팅 성형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서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는, 수지 소재의 사출공정, 충진공정, 보압 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유리 천이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하고,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사출금형 본체(10)의 현재온도만큼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 의하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응하는 사출금형 본체의 설정부위에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삽입되어 균일한 가열과 냉각이 국부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므로, 웰드라인이 효과적으로 완화되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품질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에 의하면,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3D 프린터에 의해 적층성형되도록 하므로, 크래시패드의 복합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한 국부적 가열/냉각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 크래시패드의 예시도;
도 2는 차량 크래시패드에 생성되는 웰드라인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차량 크래시패드 성형용 사출금형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본체의 닫혀진 상태와 캐비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본체의 하형 표면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본체에 삽입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의 배치 구성도;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의 외형 예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에 형성되는 냉각 채널과 히터의 배치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의 다층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3D 프린터에 의해 적층성형되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성형, 사출금형, 인서트 코어, 3D 프린터, 웰드라인, 금형의 냉각 채널, 히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100)은 도 4에서와 같이 사출금형 본체(10),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사출금형 본체(10)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차량에 사용되는 크래시 패드(1)의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11)가 형성되는 금형으로서, 하형(10a)과 상형(10b)의 결합으로 캐비티(11)가 형성된다.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응하는 사출금형 본체(10)의 설정부위에 삽입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도 7에서와 같이 사출금형 본체(10)의 냉각수 출입구(12)와 냉각수 채널(40)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캐비티(11)를 둘러싸는 사출금형 본체(10)의 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캐비티(11)로 사출되어 충진되는 수지 소재와 성형완료된 크래시패드 성형품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의 상부면 형상은 도 8에서와 같이 크래시패드 성형품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설정된 라인 패턴(line pattern)으로 형성되는 냉각 채널(21)과 히터(22)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냉각 채널(21)은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 하부의 채널 입구(211)와 채널 출구(212)에 연결되고, 히터(22)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 하부의 히터 연결단자(221)에 연결된다.
그리고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도 11에서와 같이 설정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된 냉각 채널(21)이 내부에 배치된 냉각층 유닛(20a), 냉각층 유닛(20a) 상부에 적층되고 설정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된 히터(22)가 내부에 배치되는 가열층 유닛(20b), 가열층 유닛(20b) 상부에 적층되고 사출금형 본체(10)의 캐비티(11)에 충진된 수지 소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층 유닛(2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온도센서(23)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온도센서(23)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의 현재 온도값을 검출하여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로 전달하게 된다.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에 구비되는 온도센서(23)는 가열층 유닛(20b)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도 12에서와 같이 3D 프린터(200)에 의한 적층가공으로 성형된 3D 프린팅 성형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와 연결되어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의 가열과 냉각을 제어하는 것으로, 수지 소재가 사출금형 본체(10)의 캐비티(11)로 사출되는 사출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가열온도만큼 가열되도록 하고,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냉각온도만큼 냉각되도록 하여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이 완화되도록 한다. 특히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는 수지 소재의 사출공정, 충진공정, 보압 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수지의 유리 천이온도(통상 120℃)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하고,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사출금형 본체(10)의 현재온도(통상 40℃)만큼 냉각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는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사출금형 본체(10)의 현재온도보다 낮은 온도(통상 30℃)만큼 냉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100)은 사출금형 본체(10)의 설정부위에 삽입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에 의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한 균일한 가열과 냉각이 국부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므로, 웰드라인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품질향상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100)은 3D 프린터(200)에 의해 적층성형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사출금형 본체(10)에 삽입 설치되어 크래시 패드(1)의 복합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한 국부적 가열/냉각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크래시 패드
10 : 사출금형 본체
10a : 하형
10b : 상형
11 : 캐비티
12 : 냉각수 출입구
20 :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
20a : 냉각층 유닛
20b : 가열층 유닛
20c : 접촉층 유닛
21 : 냉각 채널
211 : 채널 입구
212 : 채널 출구
22 : 히터
23 : 온도센서
231 : 히터 연결단자
30 :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
40 : 냉각수 채널
100 :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200 : 3D 프린터

Claims (6)

  1. 차량에 사용되는 크래시 패드(1)의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11)가 형성된 사출금형 본체(10)와;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 발생부위에 대응하는 사출금형 본체(10)의 설정부위에 삽입되는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 및;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와 연결되어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의 가열과 냉각을 제어하는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를 포함하여,
    수지 소재가 사출금형 본체(10)의 캐비티(11)로 사출되는 사출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가열온도만큼 가열되도록 하고,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설정된 냉각온도만큼 냉각되도록 하여 크래시패드 성형품의 웰드라인이 완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설정된 라인 패턴(line pattern)으로 형성되는 냉각 채널(21)과 히터(22)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온도센서(23)를 구비하여 현재 온도값이 검출되어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설정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된 냉각 채널(21)이 내부에 배치된 냉각층 유닛(20a)과;
    설정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된 히터(22)가 내부에 배치되는 가열층 유닛(20b)과;
    사출금형 본체(10)의 캐비티(11)에 충진된 수지 소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층 유닛(20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는 3D 프린터(200)에 의한 적층가공으로 성형된 3D 프린팅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인서트코어 온도조절장치(30)는,
    수지 소재의 사출공정, 충진공정, 보압 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유리 천이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하고, 냉각공정에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20)가 사출금형 본체(10)의 현재온도만큼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KR1020160149955A 2016-11-11 2016-11-11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KR10192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55A KR101928051B1 (ko) 2016-11-11 2016-11-11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55A KR101928051B1 (ko) 2016-11-11 2016-11-11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65A true KR20180052865A (ko) 2018-05-21
KR101928051B1 KR101928051B1 (ko) 2018-12-11

Family

ID=6245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55A KR101928051B1 (ko) 2016-11-11 2016-11-11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88A (ko) * 2018-06-29 2020-01-08 노형래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차량 사출금형 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514U (ko) * 1999-06-29 2001-01-15 윤종용 웰드 라인 방지부를 가지는 사출 성형용 금형
KR20060034771A (ko) * 2004-10-19 2006-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분가열방식의 사출성형금형장치
KR20090101006A (ko) * 2008-03-21 2009-09-24 (주) 천복금형 웰드라인 방지용 코어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
KR20110009795A (ko) * 2009-07-23 2011-01-31 다이모스(주)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KR20110067669A (ko) * 2009-12-15 2011-06-22 김미숙 사출성형 금형 가열 장치
KR101069594B1 (ko) * 2008-11-13 2011-10-05 주식회사 유도 사출 성형기용 금형에 장착되는 순간 가열, 순간 냉각용 열교환 장치.
KR101406998B1 (ko) * 2013-07-31 2014-06-12 장성진 성형기를 위한 온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514U (ko) * 1999-06-29 2001-01-15 윤종용 웰드 라인 방지부를 가지는 사출 성형용 금형
KR20060034771A (ko) * 2004-10-19 2006-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분가열방식의 사출성형금형장치
KR20090101006A (ko) * 2008-03-21 2009-09-24 (주) 천복금형 웰드라인 방지용 코어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
KR101069594B1 (ko) * 2008-11-13 2011-10-05 주식회사 유도 사출 성형기용 금형에 장착되는 순간 가열, 순간 냉각용 열교환 장치.
KR20110009795A (ko) * 2009-07-23 2011-01-31 다이모스(주)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KR20110067669A (ko) * 2009-12-15 2011-06-22 김미숙 사출성형 금형 가열 장치
KR101406998B1 (ko) * 2013-07-31 2014-06-12 장성진 성형기를 위한 온도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88A (ko) * 2018-06-29 2020-01-08 노형래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차량 사출금형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051B1 (ko)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5734B2 (ja) 射出成形機用金型装置
CN102971129B (zh) 制造具有适形流体循环通道的模具的方法及根据所述方法制造的模具
CN104221469B (zh) 具有层加热部的模具镶块、具有这种模具镶块的模板以及用于操作这种模具镶块的方法
JP2010094998A (ja) 金型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563806A (zh) 一种粉床增材制造的电磁感应加热供铺粉一体化系统
JP6649384B2 (ja) 熱間成形された構造部材のための道具
CN101746017A (zh) 注塑成型机
KR101928051B1 (ko) 웰드라인 완화를 위한 국부가열용 인서트 코어가 구비된 차량 크래시패드 사출금형 모듈
JP5877460B2 (ja) 樹脂部品の溶着装置及び樹脂部品の溶着方法
KR100644922B1 (ko) 열전달부재를 구비한 사출성형기용 분리형 금형장치
CN101946558B (zh) 加热器、树脂成形装置、树脂成形方法以及树脂成形体
JP2009172945A (ja) 成形金型の加熱システム及び加熱方法並びに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3400344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射出成形法
MX2012013020A (es) Disposito de molde de moldeo por inyeccion para producir gabinete de dispositivo de visualizacion delgado y metodo para producir gabinete de dispositivo de vizualizacion delgado.
JP2010105363A (ja) 成形金型装置の温度制御装置及び成形金型システム
KR101030595B1 (ko) 웰드레스 방식의 사출금형 장치
JP2008137275A (ja) 金型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7223168A (ja) 成形金型装置
KR20110131828A (ko) 사출금형 장치
CN102729437B (zh) 注塑件面板成型方法及空调显示装置
US20150021831A1 (en) Injection molding method with infrared preheat
KR100784344B1 (ko) 금형의 웰드 라인 발생 방지 장치
JPH09314610A (ja) ウェルドラインの発生を防止する射出成形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金型
KR100696289B1 (ko) 난성형 소재의 무금형 점진 판재 성형방법
KR20060034771A (ko) 부분가열방식의 사출성형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