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373A -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373A
KR20180052373A KR1020160149604A KR20160149604A KR20180052373A KR 20180052373 A KR20180052373 A KR 20180052373A KR 1020160149604 A KR1020160149604 A KR 1020160149604A KR 20160149604 A KR20160149604 A KR 20160149604A KR 20180052373 A KR20180052373 A KR 20180052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necting plate
handle
gas discharg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024B1 (ko
Inventor
전성권
Original Assignee
전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4539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523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전성권 filed Critical 전성권
Priority to KR102016014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0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 일단이 상기 음료 저장부와 연통 설치되는 음료 이송관;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음료 이송관의 타단과 연통되며, 하단에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가스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되 상기 중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음료 배출구 하단으로 돌출되는 가스배출부; 및 상기 가스배출부에 연통 설치되는 가스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DEVICE TO EMIT CARBONATED WATER}
본 발명은 탄산수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수, 맥주,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보관하였다 배출시킬 수 있는 탄산수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맥주, 콜라, 사이다와 같이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탄산수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탄산수, 맥주,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이 포함된 음료는 탄산가스(CO2)가 음료에 주입된다.
이러한 탄산이 포함된 음료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이 용기에 탄산가스(CO2)를 주입하는 탄산가스 주입기를 구비하며, 이 용기에 음용수, 쥬스 등의 음료를 넣고 탄산가스 주입기로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만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탄산이 포함된 음료 제조기에서 적정한 탄산가스 용해 비율을 유지하여 최적의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탄산가스가 음료 용액이 저장된 제조 용기 내에 고압으로 주입되어야 하며, 탄산이 포함된 음료 제조 용기의 내부는 고압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 때, 음료 용액과 제조 용기의 온도 또한 물의 결빙 온도에 가깝게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고압 상태의 용기에 저장된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해 밸브를 열면 용기 내부가 고압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탄산이 포함된 음료가 배출유로를 통해 자동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배출 유로의 배관 연결부, 밸브, 컨넥터, 온도 등의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탄산이 포함된 음료 내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파괴 및 기화되어 미세 탄산가스 방울이 아닌 큰 방울의 탄산가스가 배출될 뿐만 아니라, 배출 유로를 통해 고압으로 토출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가 음료수 컵에 취출될 때 대기압과의 상대적으로 큰 압력 차이로 인하여 탄산이 포함된 음료 내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가스가 기화되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취출된 탄산이 포함된 음료 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탄산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배출장치는 탄산음료 제조 용기 내의 탄산음료가 탄성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탄성튜브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되면서 탄산음료의 자연적인 압력 감쇠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취출밸브를 통해 최종적으로 취출되는 탄산음료의 배출 압력과 대기압 간의 압력 차이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탄산음료가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탄산가스의 기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탄산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배출장치는 입구가 넓게 개방된 컵과 같은 용기에 사용할 수는 있어도, 병과 같이 입구가 좁은 용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컵과 같이 입구가 넓게 개방된 용기는 그 입구가 넓기 때문에 탄산 가스와 음료를 배출시켜 손쉽게 용기에 탄산음료를 담을 수 있지만, 병과 같은 용기는 그 구조상 입구가 좁기 때문에 탄산 가스와 음료를 동시에 용기에 담기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좁은 입구로 탄산 가스와 음료를 공급하면서도 용기에 탄산 가스 및 음료를 가득 채우기 위해서는 탄산 가스가 외부로 날아가야만 하고, 이렇게 탄산 가스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입구가 좁으면 탄산 가스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시킬 공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병을 기울인 상태로 음료를 받아야만 하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0-2016-0100683 Y1 (2014. 06. 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과 같이 입구가 좁은 용기로도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쉽게 배출하여 담을 수 있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 일단이 상기 음료 저장부와 연통 설치되는 음료 이송관;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음료 이송관의 타단과 연통되며, 하단에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가스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되 상기 중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음료 배출구 하단으로 돌출되는 가스배출부; 및 상기 가스배출부에 연통 설치되는 가스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손잡이가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1 손잡이 연결판 및 제2 손잡이 연결판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 및 제2 손잡이 연결판 사이에 결합봉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부 중단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이 상기 결합홀을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몸체부 상단에 제1 몸체부 연결판 및 제2 몸체부 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 연결판에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부 연결판에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제1 몸체부 연결판의 후단에서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부 연결판에의 후단에서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결합홀이 소정 길이를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이 상기 결합홀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가스배출부의 상단에 가스배출량 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량 조절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 유로의 단면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가스배출부의 하단에 탄성가압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탄산 음료 저장부가 탄산 가스를 저장하는 탄산 가스 저장부; 및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료 이송관 내부에 상기 탄산 가스 저장부와 연통되는 탄산 가스 유로; 및 상기 음료 저장부와 연통되는 음료 유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음료 이송관 내부에 상기 탄산 가스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탄산 가스 조절밸브; 및 상기 음료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음료 조절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음료 이송관 외부에 상기 탄산 가스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탄산 가스 조절레버; 및 상기 음료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료 조절레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상기 걸림부가 탈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를 사용하여 병과 같이 입구가 좁은 용기로도 효율적으로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담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를 사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병의 크기에 따라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담을 수 있고, 탄산 및 음료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일부(몸체부, 손잡이, 걸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일부(몸체부, 손잡이, 걸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에는 손잡이가 회전되기 전의 상태, 도 3에는 손잡이가 회전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는 탄산 가스 및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부(100); 일단이 음료 저장부(100)와 연통 설치되는 음료 이송관(200);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음료 이송관(200)의 타단과 연통되며, 하단에 음료 배출구(305)가 형성되는 몸체부(300); 몸체부(300)의 타측면으로 회전되도록 몸체부(30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400);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00);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가스배출 유로(610)가 형성되며, 손잡이(400)에 연결되되 중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손잡이(400)가 몸체부(300)의 타측면으로 회전되었을 때 음료 배출구(305)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가스배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00)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탄산 가스를 저장하는 탄산 가스 저장부(110)와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료 이송관(200)은 음료 저장부(100)에 연통 설치되어 탄산 가스 및 음료를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음료 이송관(200)의 내부에는 탄산 가스 저장부(110)와 연통되는 탄산 가스 유로(210); 및 음료 저장부(120)와 연통되는 음료 유로(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이송관(200)의 내부에 탄산 가스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탄산 가스 조절밸브(미도시)가 설치되고, 음료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음료 조절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음료 이송관(200)의 외부에 탄산 가스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탄산 가스 조절레버(230)가 설치되고, 음료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료 조절레버(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탄산 가스 조절레버(230) 및 음료 조절레버(24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만큼 탄산 가스 및 음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탄산 가스와 음료의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몸체부(300)는 음료 이송관(200)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하단에 음료 배출구(305)가 형성되고, 몸체부(300)의 일측면이 음료 이송관(200)의 타단과 연통된다. 이때 몸체부(300)는 중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중공을 관통하도록 가스배출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400)는 몸체부(300)의 타측면으로 회전되도록 몸체부(30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400)는 손잡이부(410)와 손잡이 연결부(4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손잡이 연결부(420)는 손잡이부(410)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1 손잡이 연결판(421) 및 제2 손잡이 연결판(4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 연결판(421) 및 제2 손잡이 연결판(422) 사이에 결합봉(423)이 형성되고, 가스배출부(600) 중간에 결합홀(6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가스배출부(600) 중간에 형성된 결합홀(610)에 결합봉(423)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0) 상단에 제1 몸체부 연결판(310) 및 제2 몸체부 연결판(320)이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몸체부 연결판(310)에 제1 손잡이 연결판(421)이 힌지 결합되고, 제2 몸체부 연결판(320)에 제2 손잡이 연결판(422)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 연결판(310)의 후단에서 제1 손잡이 연결판(421)이 힌지 결합되고, 제2 몸체부 연결판(320)에의 후단에서 제2 손잡이 연결판(422)이 힌지 결합되며, 결합홀(610)이 소정 길이를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결합봉(423)이 결합홀(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제1 몸체부 연결판(310)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결합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잡이(400) 몸체부(300)의 타측면(전면)으로 회전시켰을 때 가스배출부(600)가 아래로 이동하여 음료 배출구(305)의 하단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가스배출부(600)의 하단은 병 입구를 가압하여 병을 고정시키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살펴본다.
걸림부(500)는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걸림부(500)에 어떠한 대상물을 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병과 같은 용기를 걸 수 있는데, PET 병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병과 같은 용기는 대부분 뚜껑을 갖고 있고, 뚜껑이 결합되는 바로 아래쪽에 약간 돌출된 부분이 존재한다. 이렇게 병의 입구쪽에서 돌출된 부분이 본 발명의 걸림부(500)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걸림부(500)는 탈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걸림부(500)의 돌출되는 길이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병의 크기에 따라 걸림부(500)를 선택하여 결합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가스배출부(600)는 몸체부(300)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가스배출 유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손잡이(400)가 몸체부(300)의 타측면(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음료 배출구(305)의 하단으로 가스배출부(600)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가스배출부(600)에는 가스배출관(620)이 결합될 수 있는데, 가스배출관(620)은 가스배출 유로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하고, 몸체부(300)의 일측면 방향(도면에서 우측 방향)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걸림부(500)에 병의 입구 쪽 부분이 걸린 다음, 가스배출부(600)의 하단이 음료 배출구(305)의 하단으로 돌출(노출)되어 병의 입구 상단을 가압할 수 있는데, 이러한 힘은 병을 고정하는 보조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즉 병은 걸림부(500)에 의해 걸림과 동시에 가스배출부(600)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가스배출부(600)는 상단에 가스배출량 조절부(630)가 형성될 수 있는데, 가스배출량 조절부(630)는 회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가스배출량 조절부(630)가 회전함에 따라 가스배출 유로의 단면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스배출량 조절부(630)를 회전시켜 가스배출관(620)으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스배출량 조절부(630)는 손잡이(400)와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00)가 내려간 상태에서만 가스배출량 조절부(630)가 노출되기 때문에, 손잡이(400)가 올라간 상태 즉, 가스배출량 조절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잡이(400)가 올라가 가스배출량 조절부(630)를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실수로 가스배출량 조절부(630)가 접촉되어 동작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배출부(600)의 하단에는 탄성가압부재(64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가압부재(640)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부(600)가 음료 배출구(305)의 하단으로 돌출되었을 때, 가스배출부(600)의 하단이 병 입구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가스배출부(600)의 하단에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탄성가압부재(640)가 형성됨으로써 병 입구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00)를 회전시켜 병과 같은 용기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 가스 조절레버(230)를 움직여 탄산 가스를 먼저 용기에 주입시킨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조절레버(240)를 움직여 음료를 용기에 주입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저장부 110: 탄산 가스 저장부
120: 음료 저장부 200: 음료 이송관
210: 탄산 가스 유로 220: 음료 유로
230: 탄산 가스 조절밸브 240: 음료 조절밸브
300: 몸체부 305: 음료 배출구
310: 제1 몸체부 연결판 320: 제2 몸체부 연결판
400: 손잡이 410: 손잡이부
420: 손잡이 연결부 421: 제1 손잡이 연결판
422: 제2 손잡이 연결판 423: 결합봉
500: 걸림부 600: 가스배출부
610: 결합홀 620: 가스배출관
630: 가스배출량 조절부 640: 탄성가압부재

Claims (10)

  1. 탄산 가스 및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부;
    일단이 상기 저장부와 연통 설치되는 음료 이송관;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음료 이송관의 타단과 연통되며, 하단에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가스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되 상기 중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음료 배출구 하단으로 돌출되는 가스배출부; 및
    상기 가스배출부에 연통 설치되는 가스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1 손잡이 연결판 및 제2 손잡이 연결판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 및 제2 손잡이 연결판 사이에 결합봉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부 중단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이 상기 결합홀을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단에 제1 몸체부 연결판 및 제2 몸체부 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 연결판에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부 연결판에 상기 제2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연결판의 후단에서 상기 제1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부 연결판에의 후단에서 상기 제2 손잡이 연결판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결합홀이 소정 길이를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이 상기 결합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상기 제1 몸체부 연결판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의 상단에 가스배출량 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량 조절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 유로의 단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의 하단에 탄성가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산 음료 저장부는
    탄산 가스를 저장하는 탄산 가스 저장부; 및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료 이송관 내부에
    상기 탄산 가스 저장부와 연통되는 탄산 가스 유로; 및
    상기 음료 저장부와 연통되는 음료 유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이송관 내부에
    상기 탄산 가스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탄산 가스 조절밸브; 및
    상기 음료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음료 조절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이송관 외부에
    상기 탄산 가스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탄산 가스 조절레버; 및
    상기 음료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료 조절레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탈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이 포함된 음료의 배출장치.
KR1020160149604A 2016-11-10 2016-11-10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KR10189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04A KR101898024B1 (ko) 2016-11-10 2016-11-10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04A KR101898024B1 (ko) 2016-11-10 2016-11-10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373A true KR20180052373A (ko) 2018-05-18
KR101898024B1 KR101898024B1 (ko) 2018-09-12

Family

ID=6245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604A KR101898024B1 (ko) 2016-11-10 2016-11-10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5429A (zh) * 2018-09-14 2018-12-28 宁波铭匠扎啤设备有限公司 一种带酒头节流阀的分配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73Y1 (ko) 2021-02-08 2023-05-1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음료인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410A (ko) * 2013-06-17 2014-12-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용기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410A (ko) * 2013-06-17 2014-12-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용기 주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5429A (zh) * 2018-09-14 2018-12-28 宁波铭匠扎啤设备有限公司 一种带酒头节流阀的分配器
CN109095429B (zh) * 2018-09-14 2024-05-24 宁波铭匠扎啤设备有限公司 一种带酒头节流阀的分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024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910B2 (en) Fluid pressuriz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67455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rozen alcoholic beverage
US7083071B1 (en) Drink supply canister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4306667A (en)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US4376496A (en)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KR102141408B1 (ko)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CN110234596A (zh) 由啤酒浓缩物生产和调配碳酸啤酒的方法
KR101333154B1 (ko)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KR20170059462A (ko) 혼합 챔버 및 냉각 기능을 이용한 음료 분배 장치
US11938453B2 (en) Water dispensers for dispensing carbonized water and method
IE4415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liquids
CN110072801A (zh) 用于碳酸软饮料设备的单罐碳酸化
US10477883B2 (en) Gas injection assemblies for batch beverages having spargers
US8939324B2 (en) Fizz retain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KR101898024B1 (ko)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US10668437B2 (en) Gas filling system
US9028898B2 (en) Universal and restrictive enclosures for safely repressurizing sparkling wines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
US20140075888A1 (en) Apparatus for the pressurization and evacuation of a container
US9950917B2 (en)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device
EP2915776B1 (en) Beverage infusing and dispensing device
KR101825875B1 (ko) 생맥주 공급장치
US20090230150A1 (en) Refrigerated Core Comprising Carbonating System for Drinks Dispener
US10781093B2 (en) Liquid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and a flavored beverage
CN110234594A (zh) 由啤酒浓缩物生产和调配碳酸啤酒的方法
JP4098124B2 (ja) 炭酸飲料注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77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26

Effective date: 20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