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235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235A
KR20180052235A KR1020160149314A KR20160149314A KR20180052235A KR 20180052235 A KR20180052235 A KR 20180052235A KR 1020160149314 A KR1020160149314 A KR 1020160149314A KR 20160149314 A KR20160149314 A KR 20160149314A KR 20180052235 A KR20180052235 A KR 2018005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housing
substrate
couple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745B1 (ko
Inventor
김동균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7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를 둘러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부재를 덮도록 몰딩(molding)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내부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용 CCTV,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의 주차 등에 사용되는 후방카메라 차량의 백미러 대용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차량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차량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차량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차량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차량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예는, 내부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를 둘러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부재를 덮도록 몰딩(molding)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에폭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폴리머(polym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렌즈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커버부재가 결합하는 부위에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일측이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후방부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를 둘러싸는 커버부재; 및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부재를 덮도록 몰딩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커버부재가 결합하는 부위에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기판부와 외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부재를 하우징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커버부재에 의해 기판부 등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부품과 하우징이 커버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됨으로써, 하우징의 몰딩과정에서 몰딩재의 가열, 수축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 내부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커버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0), 하우징(200), 기판부(300), 커버부재(400), 렌즈홀더(500), 커넥터(600) 및 케이블(7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00)는 외부의 광이 입사하는 부위이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배럴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은 단품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렌즈가 광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정렬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렌즈배럴없이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가 렌즈홀더(50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렌즈부(100)는 렌즈홀더(500)와 나사결합,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렌즈부(100)와 렌즈홀더(500)의 결합부위의 틈새로 수분, 먼지 기타 이물질의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하우징(200)은 상기 렌즈부(100)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이 상기 렌즈홀더(500)에 결합하고, 상기 렌즈홀더(5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렌즈부(100)는 상기 하우징(200)에 장착 및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기판부(300)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기판부(3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지만, 상기 수용공간에는 커버부재(400)가 상기 기판부(300)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은 몰딩(mol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400)를 배치하지 않고, 기판부(30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내부부품 전체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200)을 몰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하우징(200)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부품 전체를 감싸는 경우, 기판부(300) 등의 내부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하우징(200)에는 형성될 수 없다. 이는 렌즈부(100)를 렌즈홀더(500)에 결합하고, 카메라 모듈의 내부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 후 경화성 재질의 몰딩제 사용하여 몰딩하여 하우징(200)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하우징(20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몰딩제가 경화하면서 몰딩제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크랙과 함께 카메라 모듈의 내부부품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제가 경화되면서 수축할 수 있고, 이러한 수축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부품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제가 경화되면서 수축하는 경우, 렌즈부(100)에 구비되는 렌즈와 기판부(300)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301) 사이의 광축정렬이 어긋날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초점 정렬이 불량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열하여 몰딩제를 경화시키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내부부품이 약 120℃ 이상의 고온에 노출됨으로 인해, 상기 내부부품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0) 내부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커버부재(400)를 배치하고, 상기 커버부재(400)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200)을 몰딩할 수 있다.
커버부재(400)는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기판부(3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3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예를 들어, 기판부(300)와, 렌즈홀더(500) 일부 및 렌즈부(100)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커버부재(400)를 덮도록 몰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커버부재(400) 전체와, 상기 렌즈홀더(500)의 일부를 덮도록 몰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은 경화되어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400)와 상기 렌즈홀더(500)와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에폭시(epoxy)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부재(400)를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커버부재(400)에 의해 기판부(300) 등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SP)을 확보할 수 있다.
내부공간(SP)에 배치되는 부품과 하우징(200)이 커버부재(400)에 의해 서로 이격됨으로써, 하우징(200)의 몰딩과정에서 몰딩제의 가열, 수축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 내부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렌즈홀더(500)는 상기 렌즈부(100)가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일측이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20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가 상기 렌즈홀더(500)의 표면에 몰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렌즈홀더(500)는 상기 렌즈부(100)를 내부공간(SP)에 수용하는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렌즈홀더(500)는 전방부에 상기 렌즈부(100)가 장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렌즈홀더(500)에는 상기 렌즈부(100)가 장착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부(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이미지 센서(3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00)의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커버부재(400)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400) 내부공간(SP)에 상기 기판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300)는 1개 또는 2개 이상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쇄회로기판들은 각각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300)는 상기 렌즈부(10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고, 입사하는 광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3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기판부(300)는 제1기판(310), 제2기판(320), 제3기판(330) 및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기판부(300)는 2개 이하의 기판 또는 4개 이상의 기판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판(310)은 상기 렌즈부(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330)은 상기 제1기판(310)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상기 제1기판(310)과 상기 제3기판(330) 사이에, 상기 제1기판(310)과 상기 제3기판(330)과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10)은 상기 렌즈부(100)와 대향하되, 상기 렌즈부(10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렌즈부(100)와 마주보는 면 즉, 전면에 이미지 센서(301)가 장착될 수 있고, 기타 각종의 회로소자 등이 구비되는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100)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301)에서 센싱하고, 상기 제1기판(310)은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것은 다른 기판들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상기 제1기판(310) 및 제3기판(3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310) 및 상기 제3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상기 제1기판(31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통로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제1기판(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판(320)은 제1기판(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거나, 제3기판(3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정류하여 제1기판(31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판(320)은 제1기판(310)과 제3기판(3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판(310)과 제3기판(330)이 수행하는 역할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3기판(330)은 상기 제2기판(32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판(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기판(330)은 후술하는 커넥터(600) 및 케이블(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330)은 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제1기판(310) 및 제2기판(320)에 보내고, 상기 제1기판(310) 및 제2기판(32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기판(330)에는 카메라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적절한 전압 및 전류를 가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덴서, 정류기, 변압기 등의 소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기판(330)에는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이미지 재생장치, 카메라 모듈 제어장치 등과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판(330)에는 커넥터(600)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판부(300)는 상기 기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유연한 재질로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따라서, 상기 기판들의 개수보다 하나 더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기판들이 총 3개로 구비되므로, 상기 연결부는 제1기판(310)과 제2기판(320)을 연결하는 것과, 제2기판(320)과 제3기판(330)을 연결하는 것으로 총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는 각 기판과 결합작업이 용이한 점, 카메라 모듈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진동에 파손되지 않도록 이러한 충격, 진동을 흡수할 필요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것으로 연결부는 유연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충격, 진동에 강한 것이라면 견고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선 다발을 사용하여 연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와 각 기판의 결합을 위해 솔더링, 전기전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기판(310) 내지 제3기판(330)과 적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각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B2B(board to board) 커넥터(6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격부재(340)는, 상기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 사이를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340)들은 상기 기판들과 예를 들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각 기판들에서 소자 또는 회로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에 결합할 수 있다.
이격부재(340)는 적절한 개수로 선택할 수 있으나, 각 기판들의 이격상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2개 배치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커넥터(600)는 일측이 상기 기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 케이블(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케이블(700)과 상기 기판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600)의 일단은 제3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600)의 타단은 상기 케이블(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600)와 케이블(7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넥터(600)와 케이블(70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500)에는 삽입홈(5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510)은 상기 커버부재(400)가 결합하는 부위에 상기 커버부재(40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400)의 개방된 전방부가 상기 삽입홈(51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400)와 상기 렌즈홀더(50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510)은 상기 커버부재(400)의 전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렌즈홀더(500) 후방부에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0), 즉 상기 커버부재(400)의 전방부는 상기 삽입홈(510)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삽입홈(510)에 꽉 끼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억지끼워맞춤으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400)에 하우징(200)을 형성하는 경화제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작업의 진행 중에 상기 커버부재(400)가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400) 내부공간(SP)에 수용되는 기판부(300) 등의 손상, 렌즈초점 정렬이 불량해지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510)에 상기 커버부재(400) 전방부가 삽입되어 상기 렌즈홀더(500)와 상기 커버부재(400)가 결합한 후, 상기 렌즈홀더(500)와 커버부재(400)의 결합부위 즉, 결합홈 주위에 하우징(200)이 몰딩되므로, 렌즈홀더(500)와 커버부재(400)는 하우징(20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커버부재(4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커버부재(400)는, 도 3을 참조하면,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SP)을 가지며 대략적으로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공간(SP)에는 상기 기판부(300), 렌즈홀더(500) 일부, 렌즈부(100)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400)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가벼운 폴리머(polymer)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00)과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00)과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에폭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 가격이 싸고 가공이 용이한 다른 재질 예를 들어, PP수지, ABS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400)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하우징(20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400) 외측면의 모서리 부분은 날카로운 부분을 모두 곡선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400)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4 등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간명한 설명을 위해, 도 4에서는 이격부재(340) 등 일부 구성요소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에서는 커버부재(400)가 렌즈홀더(500)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이미 상술한 바,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4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10)은 상기 커버부재(400)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6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41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관통홀(410)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부(410a)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어, 커넥터(600)가 결합한 기판부(300)가 설계된 위치에 배치된 후, 커버부재(400)가 렌즈홀더(500)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후방으로 돌출된 커넥터(600)사 상기 관통홀(410)에 삽입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홀(410)을 둘러싸고 커버부재(400)의 외측표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0a)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410a)는 상기 커넥터(600)가 상기 관통홀(4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10a)에 상기 커넥터(600)이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410a)는 상기 커넥터(6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커넥터(600)의 흔들림으로 인한 커넥터(600)와 제3기판(330) 사이의 전기적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렌즈부
200: 하우징
300: 기판부
400: 커버부재
410: 관통홀
410a: 돌출부
500: 렌즈홀더
510: 삽입홈
600: 커넥터
700: 케이블

Claims (11)

  1.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를 둘러싸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부재를 덮도록 몰딩(molding)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에폭시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폴리머(polymer)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렌즈홀더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커버부재가 결합하는 부위에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후방부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1.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를 둘러싸는 커버부재; 및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렌즈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부재를 덮도록 몰딩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커버부재가 결합하는 부위에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기판부와 외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149314A 2016-11-10 2016-11-10 카메라 모듈 KR10261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14A KR102614745B1 (ko) 2016-11-10 2016-11-1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14A KR102614745B1 (ko) 2016-11-10 2016-11-1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35A true KR20180052235A (ko) 2018-05-18
KR102614745B1 KR102614745B1 (ko) 2023-12-15

Family

ID=6245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314A KR102614745B1 (ko) 2016-11-10 2016-11-1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7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87B1 (ko) * 2018-10-04 2020-02-04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KR20200108155A (ko) * 2019-03-06 2020-09-17 (주)탑중앙연구소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0771A (ja) * 2008-08-22 2010-03-04 Kyocera Corp 撮像装置モジュール
KR20120046935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0771A (ja) * 2008-08-22 2010-03-04 Kyocera Corp 撮像装置モジュール
KR20120046935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87B1 (ko) * 2018-10-04 2020-02-04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KR20200108155A (ko) * 2019-03-06 2020-09-17 (주)탑중앙연구소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745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4652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用回路基板固定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248086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248085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US10859785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CN112042177B (zh) 相机模块
KR100982271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20230150932A (ko) 카메라 모듈
KR102550823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52235A (ko) 카메라 모듈
KR102561939B1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CN111919169B (zh) 透镜模块和相机模块
CN113132595B (zh) 摄像头模块
KR102338395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572852B1 (ko) 카메라 모듈
KR102330673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20210052419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CN115943345A (zh) 相机模块
CN117882387A (zh) 相机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