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750A - 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750A
KR20180051750A KR1020160148387A KR20160148387A KR20180051750A KR 20180051750 A KR20180051750 A KR 20180051750A KR 1020160148387 A KR1020160148387 A KR 1020160148387A KR 20160148387 A KR20160148387 A KR 20160148387A KR 20180051750 A KR20180051750 A KR 2018005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resonance
signal
frequency
b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와이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브레인 filed Critical (주)와이브레인
Priority to KR102016014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750A/en
Publication of KR2018005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7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3Somatosensory stimuli, e.g. electric stimulation
    • A61B5/0484
    • A61B5/0478
    • A61B5/048
    • A61B5/048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Provided is a network scan apparatus through individual brain area resonance reaction which comprises: an electrode part disposed at predetermined stimulation positions in a brain wave measurement area; a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part providing a stimulation signal having a frequency preset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through the electrode part; and a resonance reaction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rt and setting a position resonating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signal as an optimum brain stimulation area.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setting an individual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a brain wave measurement area.

Description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n scanning apparatus and a brain scan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의 영역별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개인별 뇌 영역의 최적 자극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 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canning apparatus through individual brain region resonance response, and to a personal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an EEG measurement region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canning apparatus through individual brain region resonance reaction capable of setting an optimum stimulation range, and a personal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a method for setting an EEG measurement region using the same.

통상, 인체의 뇌는 인접한 신경들 혹은 다른 영역의 뇌 사이에 가변적인 동기화와 비동기화를 통해 특정의 주파수 범위에서 활동이 가변된다.Typically, the human brain is variable in activity over a specific frequency range through variable synchronization and asynchronization between adjacent neurons or brain regions of other regions.

이와 같은, 생리적 원리를 기초로 자발적 뇌파 반응을 관찰함을 통해, 뇌의 상태 파악이 가능하다.By observing the spontaneous EEG response on the basis of such physiological principles, the state of the brain can be grasped.

그러나, 종래에는 능동적인 뇌 영역별 네트워크의 구성을 스캔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However, in the past, there has not been developed a technique for scanning the active brain area network configuration.

따라서, 근래에 들어 미세 합성주파수를 이용한 개인에 따른 뇌 영역별 공진(resonance)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교류자극과 직류와 합성된 교류자극 또는 주기적 펄스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장비를 통해서 개인의 뇌의 상태를 능동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recently, a resonance frequency band of each brain region according to an individual using a fine synthesis frequency is confirmed, and based on this, an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an effective alternating current stimulus and a synthesized alternating current stimulus or periodic pulse stimul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actively examine the state of an individual's brain.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68191호가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8191.

본 발명의 목적은, 뇌의 영역별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개인별 뇌의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를 스캐닝하여 뇌 영역의 최적 자극 범위를 설정 할 수 있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twork scanning apparatus for a personal brain region resonance reaction capable of setting an optimal stimulation range of a brain region by scanning a network through a resonance reaction of individual brain, And an individual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an EEG measurement area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의 주파수 또는 일정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와 뇌파 자극 신호를 뇌 영역에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뇌 자극 영역을 설정함과 동시에 뇌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in region capable of measuring the activity of the brain while setting an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by providing a synthetic frequency and a brain wave stimulation signal having a specific frequency or a certain range to the brain region, A network scan device through a resonance reaction, and an individual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an EEG measurement area setting method using the device.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scanning device through individual brain area resonance response.

상기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는 뇌파 측정 영역의 설정된 자극 위치들에 배치되는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자극 위치들로 기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제공부; 및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며,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공진되는 위치를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공진 반응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network scanning apparatus includes an electrode unit disposed at predetermined stimulation positions of an EEG measurement region; A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timulation signal having a frequency preset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a resonance reacting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rt and setting a position, which is resonated according to provision of the stimulation signal, among the stimulation positions as an optimum brain stimulation area.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는, 상기 자극 신호를 하나의 주파수 또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전극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imulus signal provider preferably provides the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 unit so as to form a synthesized frequency having one frequency or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상기 공진 반응부는,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진됨에 따르는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공진 주파수 검출부와,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공진 주파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자극 위치를 추출하는 공진 위치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자극 위치에 따르는 위치 정보를 상기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뇌 자극 영역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esonance frequency detec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and detecting a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resonance; and a resonance posi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resonance position detected by the resonance frequency detecting unit, And a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imulation position as the optimum brain stimulation region.

상기 공진 반응부는, 상기 자극 위치들에서 공진됨에 따르는 반응 정보를 수집하는 반응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onance reaction unit may include a reac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reaction information as resonated at the stimulation positions.

상기 반응 정보 수집부는, 검출되는 상기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c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preferably includes the resonance frequency to be detected.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는, 상기 자극 신호를 상기 자극 위치들로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imulus signal provider provides the stimulus signal to the stimulus positions at the same time.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는, 상기 자극 신호를 상기 자극 위치들로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sequentially provides the stimulus signal to the stimulus positions.

상기 공진 반응부는, 상기 하나의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가 제공되어 공진되는 제 1공진 주파수와, 상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가 제공되어 공진되는 제 2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상기 제 1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2공진 주파수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율을 산출하고, 상기 오차율을 보상하여 최종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resonance reaction unit detects a second resonance frequency in which a first resonance frequency in which the stimulus signal constituting the one frequency is provided and resonated and a second stimulation signal in which a stimulation signal constituting the synthesized frequency in the set frequency range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error rate by comparing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with each other, and to set the final resonance frequency by compensating the error rate.

상기 뇌 영역 공진 반응 장치는, 상기 전극부에 뇌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뇌 자극 신호 제공부와, 상기 뇌파 측정 영역에서 상기 뇌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신호를 추출하는 반응 신호 추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in region resonance reaction apparatus includes a brain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brain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ctrode unit and a reaction signal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of the brain stimulation signal in the brain wave measurement region .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brain stimulation location and method for setting an EEG measurement area.

상기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은 뇌파 측정 영역에 설정되는 자극 위치들에 기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제공 단계; 및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공진되는 위치를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공진 반응 단계를 포함한다.The individual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EEG measurement region setting method may include: providing a stimulus signal providing a stimulus signal having a frequency preset to stimulation positions set in an EEG measurement region; And a resonance reaction step of setting, as an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a position of the stimulation positions which is resonated according to provision of the stimulation signal.

상기 자극 신호를 하나의 주파수 또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자극 위치들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imulus signals are provided at the stimulus positions so as to form a synthesized frequency having one frequency or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상기 공진 반응 단계는. 상기 공진됨에 따르는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공진 주파수가 검출되는 자극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자극 위치에 따르는 위치 정보를 상기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resonance reaction step comprises: It is preferable to detect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resonance, to extract a magnetic pole position at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is detected among the magnetic pole positions, and to set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tracted magnetic pole position as the optimum brain magnetic stripe region.

상기 자극 위치들에 뇌 자극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뇌파 측정 영역에서 상기 뇌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brain stimulation signal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and to extract a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of the brain stimulation signal in the EEG area.

본 발명은 뇌의 영역별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목적하고자하는 개인별 뇌 영역의 최적 자극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tting an optimum stimulation range of a desired individual brain region 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of each brain region.

또한, 본 발명은 특정의 주파수 또는 일정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 또는 주기적 펄스 뇌파 자극 신호를 뇌 영역에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뇌 자극 영역을 설정함과 동시에 뇌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brain region with a synthesized frequency or periodic pulse EEG stimulation signal having a specific frequency or a certain range, thereby setting an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and measuring the activity of the brain .

도 1은 본 발명의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개인별 뇌파 측정 영역 설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극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뇌 자극 신호 제공부 및, 반응 신호 추출부를 갖는 뇌파 측정 영역 설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인별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인별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dividual brain wave measuring region setting apparatus through a brain region resonance respons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electrod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sonance re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sonance re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EG measurement region setting apparatus having a brain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 and a response signal extracting unit.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n individual EEG measurement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 EE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term "an upper (or lower)" or a "top (or lower)" of the substrate means that any structure is disposed or arranged in any manner, as long as any structure is provided 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include any other configurat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nfiguration provided or disposed on (or under) the substrat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network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스캔 장치를 설명하고,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network scann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nd a method for setting an EEG area using th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극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scanning apparatus through individual brain area resonance respon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n electrod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는 크게 전극부(200)와, 자극 신호 제공부(100)와, 공진 반응부(3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d FIG. 2, a network scanning apparatus for individual brain area resonance re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de unit 200, a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and a resonance reaction unit 300.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전극부(200)In the electrode unit 200,

본 발명에 따르는 전극부(200)는 피험자의 두부에 마련되는 뇌파 측정 영역에 배치된다.The electrode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EEG measurement region provided on a head portion of a subject.

상기 전극부(200)는 다수의 전극들(210)을 포함한다.The electrode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210.

상기 다수의 전극(210)은 두부에 형성되는 뇌파 측정 영역의 다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위치는 미리 설정되는 위치이며, 상기 다수의 전극(210)이 배치되는 위치는 자극 위치를 이룬다.The plurality of electrodes 210 are dispo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EEG measurement region formed on the head portion. The plurality of positions are preset positions, and the positions at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210 are disposed make the stimulation position.

이에 따라, 상기 뇌파 측정 영역에는 다수의 전극(210)의 배치로 인해, 다수의 자극 위치들이 형성된다.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210 in the EEG measurement region, a plurality of stimulation positions are formed.

자극 신호 제공부(100)In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본 발명에 따르는 자극 신호 제공부(100)는 상기 전극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200.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100)는 기설정되는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를 상기 전극부(200)로 전달한다.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transmits a stimulus signal having a preset frequency to the electrode unit 200.

여기서, 상기 자극 신호를 교류 자극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imulation signal is an AC stimulation signal.

상기 본 발명에 따르는 자극 신호 제공부(100)는 상기 자극 신호를 하나의 주파수 또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전극부(200)로 제공하는 것이 좋다.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 unit 200 so as to form a synthesized frequency having one frequency or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예컨대,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100)는 특정한 하나의 주파수를 통하여 전극부로 자극 신호를 제공하여 자극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may stimulate a stimulation signal to an electrode unit through a specific frequency.

또한,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100)는 뇌파 대역의 범위 0.1 ~250 Hz의 합성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 또는 Chirp 신호를 상기 전극부(200)로 인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may apply a stimulus signal or a Chirp signal having a synthesized frequency of 0.1 to 250 Hz in the range of the EEG band to the electrode unit 200.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자극 신호 제공부(100)는 상술한 자극 신호를 자극 위치들로 동시에 제공하고, 동시에 공진됨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provide the above-mentioned stimulation signal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and simultaneously induce resonance.

또한, 상기 자극 신호는 자극 신호를 자극 위치들로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순차적으로 공진됨을 유도할 수도 있다.Also, the stimulus signal may sequentially provide the stimulus signal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thereby inducing the resonance to be sequentially performed.

공진 반응부(300)In the resonance reaction unit 3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sonance re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300)는 상기 전극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resonance reac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200.

상기 공진 반응부(300)는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공진되는 위치를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resonance reaction unit 300 may set an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as a resonance position according to provision of the stimulation signal among the stimulation positions.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300)는, 공진 주파수 검출부(310)와, 공진 위치 추출부(320)와, 뇌 자극 영역 설정부(330)로 구성된다.The resonance reac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onance frequency detection unit 310, a resonance position extraction unit 320, and a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unit 330.

상기 공진 주파수 검출부(310)는 상기 전극부(200)에서 공진 주파수의 발생을 검출한다.The resonance frequency detector 310 detects the generation of a resonance frequency in the electrode unit 200.

즉, 전극부(200)에는 자극 신호가 제공되며, 자극 신호가 제공되는 다수의 전극들(210) 중 상기 자극 신호의 주파수와 공진 반응하는 전극은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a stimulus signal is provided to the electrode unit 200, and an electrode that resonates with a frequency of the stimulus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210 to which a stimulus signal is provided can generate a resonance frequency.

이때, 상기 공진 주파수 검출부(310)는 상기 공진 주파수의 발생을 검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sonance frequency detector 31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resonance frequency.

상기 공진 위치 추출부(320)는 상기 공진 주파수가 검출되는 자극 위치 즉, 해당 전극(210)의 위치 또는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The resonance position extractor 320 extracts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pole at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is detected, that is, the position o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de 210.

상기 뇌 자극 영역 설정부(300)는, 상기와 같이 추출되는 위치 정보들을 통해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한다.The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unit 300 sets the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extracted as described above.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300)는 반응 정보 수집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nce reac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ction information collector 340.

상기 반응 정보 수집부(340)는, 상기와 같이 전극들(210)의 위치되는 자극 위치들에서 공진됨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reac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40 may collect and store reac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resonance at the pole positions of the electrodes 210 in real time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반응 정보에는, 상술한 공진 주파수 검출부(310)에 의해 검출되는 공진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a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resonance frequency detected by the resonance frequency detector 310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sonance re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공진 반응부(400)는 검출기(410)와, 산출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esonance reac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ector 410 and a calculator 420.

상기 검출기(410)는 하나의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가 제공되어 공진되는 제 1공진 주파수와,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가 제공되어 공진되는 제 2공진 주파수를 검출한다.The detector 410 detects a second resonance frequency in which a stimulation signal constituting one frequency is provided and resonated and a stimulation signal constituting a synthesis frequency having a preset frequency range is provided and resonated.

상기 산출기(420)는 검출되는 상기 제 1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2공진 주파수를 상호 신호 연결성 분석을 하여 최종 공진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The calculator 420 may perform mutual signal connectivity analysis between the detected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to set the final resonance frequency.

이에 따라, 공진 위치 추출부(430)는 제 1,2공진 주파수를 상호 신호 연결성 분석을 하여, 공진이 발생되는 해당 전극들(210)의 위치를 추출하고, 뇌 자극 영역 설정부(440)는 상기 자극 위치들에서의 최종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최적 뇌 자극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resonance position extracting unit 430 extract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ode 210 where the resonance is generated by performing mutual signal connectivity analysis on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frequencies, and the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unit 440 It is possible to set the final resonance frequency at the stimulation positions and to set it as an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on the basis of the final resonance frequency.

도 5는 뇌 자극 신호 제공부 및, 반응 신호 추출부를 갖는 뇌파 측정 영역 설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EG measurement region setting apparatus having a brain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 and a response signal extracting unit.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뇌 영역 공진 반응 장치는 상기 전극부(200)에 뇌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뇌 자극 신호 제공부(500)와, 상기 뇌파 측정 영역에서 상기 뇌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신호를 추출하는 반응 신호 추출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for stimulating a brain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in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 500 for providing a brain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ctrode unit 200, And a reaction signal extraction unit 600 for extracting a reaction signal generated along with the reaction signal.

상기 뇌 자극 신호 제공부(500)는 뇌 자극 신호를 전극부를 통해 다수의 자극 위치들로 제공한다.The brain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 500 provides brain stimulation signals to the plurality of stimulation positions through the electrode unit.

그리고, 상기 반응 신호 추출부(600)는 다수의 자극 위치에서의 반응 신호를 추출한다.The reaction signal extractor 600 extracts reaction signals at a plurality of stimulus positions.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전극들(210)이 배치되는 자극 위치들에서, 공진 주파수 발생 여부 및, 상기 뇌 자극 신호 제공에 따르는 반응 신호 추출을 동시에 실시하여, 뇌 자극 영역에서의 반응 및, 뇌의 활성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a resonant frequency is generated at the stimulation positions wher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210 are disposed and extraction of the reaction signal accompanying the provision of the stimulation signal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activity of the brain can be measured.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를 사용한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Next, individual brain stimulation positions and methods for setting an EEG area using the network scan device through the individual brain area resonance reac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 네트워크 스캔 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scann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individual brain stimulation positions and an EE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 하면, 자극 신호 제공부(100)를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특정 주파수를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is used to set any one specific frequency.

한편, 피험자의 두부에는 뇌파 측정 영역이 형성되는데, 다수의 전극(210)을 상기 뇌파 측정 영역에 미리 설정되는 자극 위치에 배치한다.On the other hand, a brain wave measuring region is formed in the head of the subject,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21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magnetic pole position in the brain wave measuring region.

이어, 자극 신호 제공부(100)를 사용하여 다수의 전극(210)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제공한다.Next,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is used to provide stimulus signals having a frequency set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210. [

여기서,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100)는 상기 자극 신호를 전극들에 동시에 인가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되는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도 있다.Here, the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100 may apply the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s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in a predetermined order.

그리고, 공진 주파수 검출부(310)는 각각의 전극들(210)로부터 공진을 통한 공진 주파수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 resonance frequency detector 3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resonance frequency is generated through resonance from each of the electrodes 210. [

이어, 공진 위치 추출부(320)는 공진 주파수가 검출되는 경우, 이의 전극(210) 위치 즉, 자극 위치를 검출한다.When the resonance frequency is detected, the resonance position extracting unit 32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210, that is, the magnetic pole position.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전극들 각각에서 공진 주파수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 및, 이에 따르는 자극 위치들을 검출한다.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resonance frequency is detected at each of the electrodes and the positions of the stimulation corresponding thereto.

그리고, 뇌 자극 영역 설정부(330)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검출되는 자극 위치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최적의 뇌 자극 영역을 설정한다.Using the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unit 330, the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is set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positions detected as described above.

상기의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뇌의 영역별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목적하고자하는 개인별 뇌 영역의 최적 자극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opera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optimal stimulation range of the individual brain region to be aimed by 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of each brain region.

도 7은 본 발명의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an EEG measurement area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 하면, 특정 주파수를 설정하고, 전극부(200)를 배치하며,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전국들로 인가 또는 제공하는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process of setting a specific frequency, disposing the electrode unit 200, and applying or providing a stimulus signal having a set frequency to all the stations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어, 뇌 자극 신호 제공부(100)를 사용하여 뇌 자극 신호를 전극들로 인가한다.Next, a brain stimul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using the brain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 100.

그리고, 반응 신호 추출부(600)를 사용하여 상기 뇌 자극 신호의 전달에 따라 반응하는 반응 신호를 추출한다.Then, the reaction signal extraction unit 600 extracts a reaction signal responsive to the transmission of the brain stimulation signal.

이어, 공진 주파수 검출부(310)를 사용하여 공진 주파수 발생 여부 및 공진 주파수를 검출한다.Next, the resonance frequency detector 310 detects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sonance frequency.

그리고, 공진이 발생되는 자극 위치들에서의 상기 반응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반응 정보는 상기 반응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n, the reaction information at the stimulation positions where resonance occurs is collected. The reac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action signal.

이어, 뇌 자극 영역 설정부(330)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검출되는 자극 위치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최적의 뇌 자극 영역을 설정한다.Next, using the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unit 330, the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is set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positions detected as described above.

상기의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특정의 주파수 또는 일정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와 뇌파 자극 신호를 뇌 영역에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뇌 자극 영역을 설정함과 동시에 뇌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brain region with the synthetic frequency and the EEG signal having a specific frequency or a certain range, thereby setting the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and measuring the brain activity can do.

도 8은 본 발명의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brain stimulation position and an EEG measurement area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 하면, 설정된 특정의 주파수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전극들(210)에 인가한다.Referring to FIG. 8, a stimulus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210.

이에 따르는 제 1공진 주파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발생되는 제 1공진 주파수를 검출한다.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is generated, and detects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to be generated.

이어,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전극들(210)에 인가한다.Then, a stimulus signal having a set frequency ran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210. [

그리고, 이에 따르는 제 2공진 주파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발생되는 제 2공진 주파수를 검출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econd resonance frequency is detected.

그리고, 상기 제 1,2공진 주파수를 신호처리한다. 또는 상기 제 1,2공진 주파수를 상호 신호 연결성 분석을 한다. 예컨데, coherence, phase locking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n,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frequencies are subjected to signal processing. Or the mutual signal connectiv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frequencies. For example, coherence, phase locking can be used.

따라서, 상기 제 1,2공진 주파수를 상호 신호 연결성 분석을 하여 최종 공진 주파수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2공진 주파수를 평균 처리를 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frequencies are mutually analyzed by signal connectivity to set the final resonance frequenc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frequencies may be averaged.

그리고, 상기 제 1,2공진 주파수가 동시에 발생된 자극 위치들을 검출한다.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frequencies are detected simultaneously.

상기와 같이 검출되는 자극 위치들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뇌자극 영역을 설정한다.The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is se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stimulation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의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개인별 뇌파 측정 영역 설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개인별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dividual EEG measurement area setting apparatus and the individual EEG measurement area setting method using the brain area resonance respons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obviou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자극 신호 제공부
200 : 전극부
210 :전극
300, 400 : 공진 반응부
310 : 공진 주파수 검출부
320 : 공진 위치 검출부
330 : 뇌 자극 영역 설정부
340 : 반응 정보 수집부
500 : 뇌 자극 신호 제공부
600 : 반응 신호 추출부
100: stimulus signal demultiplexer
200: electrode part
210: electrode
300, 400: resonance reaction part
310: Resonance frequency detector
320: Resonance position detector
330: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section
340: reac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00: Brain stimulation signal training
600: reaction signal extraction unit

Claims (12)

뇌파 측정 영역의 설정된 자극 위치들에 배치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자극 위치들로 기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제공부; 및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며,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공진되는 위치를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공진 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An electrode unit disposed at the set stimulation positions of the EEG measurement region;
A stimulus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timulation signal having a frequency preset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And a resonance reaction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and configured to set a position, which is resonated according to provision of the stimulation signal, among the stimulation positions as an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는,
상기 자극 신호를 하나의 주파수 또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전극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mulus signal provider comprises:
Wherein the stimulat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electrode unit so as to form a synthesized frequency having one frequency or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반응부는,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진됨에 따르는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공진 주파수 검출부와,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공진 주파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자극 위치를 추출하는 공진 위치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자극 위치에 따르는 위치 정보를 상기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뇌 자극 영역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onance reaction unit includes:
A resonance frequency detec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and detecting a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resonance,
A resonance posi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magnetic pole position detected by the resonance frequency detecting unit,
And a brain stimulation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position as the optimal brain stimulation reg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반응부는,
상기 자극 위치들에서 공진됨에 따르는 반응 정보를 수집하는 반응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 정보 수집부는, 검출되는 상기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sonance reaction unit includes:
And a reac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reaction information as resonated at the stimulation positions,
Wherein the reac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ncludes the resonant frequency to be detect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는,
상기 자극 신호를 상기 자극 위치들로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imulus signal provider comprises:
And the stimulus signal is provided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at the same ti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는,
상기 자극 신호를 상기 자극 위치들로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imulus signal provider comprises:
And sequentially provides the stimulation signals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반응부는,
상기 하나의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가 제공되어 공진되는 제 1공진 주파수와,
상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는 자극 신호가 제공되어 공진되는 제 2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상기 제 1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2공진 주파수를 상호 신호 연결성 분석을 통해 최종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resonance reaction unit includes:
A first resonance frequency at which the stimulus signal constituting the one frequency is provided and resonated,
Detecting a second resonance frequency in which a stimulation signal constituting a synthesized frequency having the set frequency range is provided and resonated,
Wherei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econd resonance frequency to be detected are set to a final resonance frequency through mutual signal connectivity analys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뇌 영역 공진 반응 장치는,
상기 전극부에 뇌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뇌 자극 신호 제공부와,
상기 뇌파 측정 영역에서 상기 뇌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신호를 추출하는 반응 신호 추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영역 공진 반응을 통한 네트워크 스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in area resonance reaction device comprises:
A brain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 for supplying a brain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ctrode unit;
And a reaction signal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of the brain stimulation signal in the EEG measurement region.
뇌파 측정 영역에 설정되는 자극 위치들에 기설정되는 주파수를 갖는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제공 단계; 및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공진되는 위치를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공진 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
A stimulus signal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stimulation signal having a frequency preset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set in the EEG measurement area; And
And a resonance reaction step of setting, as an optimum brain stimulation region, a resonance position of the stimulation positions according to provision of the stimulation sig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를 하나의 주파수 또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합성 주파수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자극 위치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providing the stimulus signals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as a single frequency or a synthesized frequency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반응 단계는.
상기 공진됨에 따르는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자극 위치들 중, 상기 공진 주파수가 검출되는 자극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자극 위치에 따르는 위치 정보를 상기 최적 뇌자극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sonance reaction step comprises:
Detecting a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resonance,
Extracting a magnetic pole position at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is detected among the magnetic pole positions,
And setting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position as the optimum brain stimulation reg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위치들에 뇌 자극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뇌파 측정 영역에서 상기 뇌 자극 신호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뇌 자극 위치 및 뇌파 측정 영역 설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Providing a stimulation signal to the stimulation positions,
Wherein a response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of the brain stimulation signal is extracted in the EEG measurement region.
KR1020160148387A 2016-11-08 2016-11-08 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 KR201800517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87A KR20180051750A (en) 2016-11-08 2016-11-08 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87A KR20180051750A (en) 2016-11-08 2016-11-08 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50A true KR20180051750A (en) 2018-05-17

Family

ID=6248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387A KR20180051750A (en) 2016-11-08 2016-11-08 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75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087B1 (en) * 2021-07-06 2021-12-14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optimal stimulus position combination using pre-set guide system
KR102373759B1 (en) * 2021-07-07 2022-03-15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stimulating an eletrode model
WO2023282403A1 (en) * 2021-07-06 2023-01-12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optimum stimulation position combination by using pre-set guide system, and electric stimulation simulatio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optimum stimulation position combination
WO2023282405A1 (en) * 2021-07-07 2023-01-12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for calculating optimal stimulation posi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lectrode model simulatio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KR102513099B1 (en) * 2022-08-09 2023-03-2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using personalize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087B1 (en) * 2021-07-06 2021-12-14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optimal stimulus position combination using pre-set guide system
WO2023282403A1 (en) * 2021-07-06 2023-01-12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optimum stimulation position combination by using pre-set guide system, and electric stimulation simulatio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optimum stimulation position combination
KR102373759B1 (en) * 2021-07-07 2022-03-15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stimulating an eletrode model
WO2023282405A1 (en) * 2021-07-07 2023-01-12 뉴로핏 주식회사 Method for calculating optimal stimulation posi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lectrode model simulatio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KR102513099B1 (en) * 2022-08-09 2023-03-2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using personalize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WO2024035098A1 (en) * 2022-08-09 2024-02-15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using personalize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1750A (en) System for personalized brain wave screening using induced resonance effect from brain region and methods
US202101693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monitoring neural activity in a subject's brain
CN103260506B (en) For measuring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uscle signal
JP48756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interference in electromagnetic multi-channel measurements
EP2624748B1 (en) Device for use in electro-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in the presence of a magnetic field
CN105899255B (en) E.E.G measures and brains stimulating system
EP2851002A1 (en) Device for automatic mapping of complex fractionated atrial electrogram
CN115212456B (en) Device for improving sleep through transcranial real-time asynchronous electrical stimulation
EP2730216B1 (en) Biosignal transmitter, biosignal receiver, and biosignal transmitting method
CN102178524B (en) Synchronization likehood-based electroencephalograph and electromyography synergistic analyzing method
JP2013500115A (en) Deep brain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CN104394762A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measuring muscle signals
JP2015527111A5 (en)
US1174451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non-invasive mechanically tactile and/or thermal neurostimulation
Chen et al. An IC-PLS framework for group corticomuscular coupling analysis
RU2732344C2 (en) System, recorder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method
Xu et al. Towards real-time estimation of muscle-fiber conduction velocity using delay-locked loop
Rodriguez-Falces A new method for the localization of the innervation zone based on monopolar surface-detected potentials
Spencer et al. Exploring the origins of EEG motion artefacts during simultaneous fMRI acquisition: Implications for motion artefact correction
Nawrocka et al. 780. Biomedical signal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Sullivan-Greene et al. Probing to observe neural dynamics investigated with networked kuramoto oscillators
Sander et al. Characterization of motor and somatosensory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KR20200023364A (en) How to detect peripheral nerve activity
JP7238497B2 (en) DATA RECORDING SYSTEM,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PROGRAM
EP3808263B1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stimulus generating timings of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