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470A -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470A
KR20180051470A KR1020180052648A KR20180052648A KR20180051470A KR 20180051470 A KR20180051470 A KR 20180051470A KR 1020180052648 A KR1020180052648 A KR 1020180052648A KR 20180052648 A KR20180052648 A KR 20180052648A KR 20180051470 A KR20180051470 A KR 2018005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power
additional function
charging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KR102018005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470A/ko
Publication of KR2018005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주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을 부가기능부로 공급하는 충전부,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활성화명령을 생성하는 입력부 및 주전원을 통해 동작하고, 활성화명령이 입력되면 충전부와 부가기능부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가 음성출력, 근거리 무선통신, 컬러 디스플레이 등의 부가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제어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기본 기능뿐 아니라 WiFi 통신, 음성출력, TFT LCD 등의 부가기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도제어시스템은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에어컨, 보일러 등 각종 냉/난방 장치 및 이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냉/난방 장치들(이하, '주장치'라 칭함)은 실내 천장, 다용도실 등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공간과 분리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하게 주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실내 벽면 등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하게 주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실내 벽면에 설치된 제어장치를 조작하여 주장치의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거나 실내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는 주장치와 2개의 직류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주장치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고, 주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주장치는 상용 전원(예를 들어 AC 220[V])에 연결되어 직류 전력선을 통해 제어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주장치와 제어장치는 직류 전력선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장치(또는 제어장치)는 제어장치(또는 주장치)로부터 10[V] 이상이 수신되면 '0'으로 인지하고, 10[V] 미만이 수신되면 '1'로 인지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장치는 직류 5[V]에서 동작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주장치는 10[V] 이상 및 10[V] 미만의 전압을 번갈아서 전송할 수 있고, 제어장치는 수신된 전압을 이용하여 주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주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압을 구비된 레귤레이터를 통해 평활하여 주장치 제어 등과 같은 기본 동작에 필요한 5[V]의 전압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제어장치의 동작에 기본 동작보다 많은 전류가 사용되면 주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기본 전압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통신 오류가 발생하거나, 제어장치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할 수 없게 된다. 앞선 예시에서 주장치는 12[V]를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0'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제어장치에서 많은 전류가 사용되어 12[V]의 전압이 9[V]로 떨어지게 되면 제어장치는 주장치가 전송한 '0'을 '1'로 잘못 인식할 수 있어 통신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선 예시에서 제어장치에서 많은 전류가 사용되어 기본 전압이 5[V] 미만으로 떨어지면 제어장치는 기본 동작조차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의 사용전류가 일정 전류보다 큰 경우 제어장치에 별도의 전력선이 연결되거나 주장치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최근 무선 통신의 발전에 따라 제어장치에 주장치의 전원 및/또는 온도를 제어하는 기능(이하, '주기능'이라 칭함) 외에 컬러디스플레이(예를 들어 TFT LCD 등), 무선 통신(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음성 출력 등 주기능보다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기능(이하, '부가기능'이라 칭함)이 구비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거나 주장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무선 통신, 음성 출력, TFT LCD 등의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주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된 충전원을 제공하는 충전부; 연결된 주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주전원을 제공하는 주전원부; 상기 충전원 및 상기 주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동작되는 부가기능부; 및 상기 주전원을 통해 동작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충전원모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원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원모드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충전원모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원모드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계전류 이상이 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상기 임계전류 미만이 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상기 임계전류 미만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주전원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전원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전원의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전원의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부가기능부는 컬러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무선통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충전원의 전압은 상기 주전원의 전압을 초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주장치는 2개의 직류 전력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거나 주장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무선 통신, 음성 출력, TFT LCD 등의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전력 사용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충전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시스템(1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시스템(10)은 주장치(100), 사용자기기(200) 및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장치(100)는 가정이나 공공건물 등에 사용되는 냉/난방장치 및 공기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장치(100)는 보일러, 에어컨 및/또는 온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장치(100)는 제어장치(300)와 2개의 직류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300)로 미리 설정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어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장치(10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 및/또는 전원상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어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고,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선을 통해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주장치(10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장치(100)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기 위하여 제어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고,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선을 통해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주장치(10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사용자기기(200)는 온도제어장치(300)와 연결되어 온도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기기(200)는 적외선을 사용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무선랜(Wireless LAN) 등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기기(200)는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온도제어장치(300)와 연결되어 원격에서 온도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온도제어장치(300)는 유무선을 통해 인터넷(Internet)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온도제어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기기(200)를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기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된 온도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온도제어장치(300)는 사용자기기(20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기기(200)를 조작하여 원격에서도 주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주장치(100)와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주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장치(300)는 전력선을 통해 주장치(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고, 주장치(100)와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주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구비된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장치(100)의 온도를 제어하고, 주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동작은 제어장치(300)의 주기능에 해당된다.
한편 제어장치(300)는 상기 주기능 외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주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컬러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는 등의 부가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기능은 주기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높다. 그런데 주장치(100)는 제어장치(300)의 주기능 동작에 상응하는 전력을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300)가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부가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어장치(3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3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장치(300)는 제어부(310), 주기능부(320), 입력부(330), 충전부(340), 제1 스위치부(350), 부가기능부(360), 제2 스위치부(370), 주전원부(380), 주전원모니터링부(385) 및 제3 스위치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주전원부(380)에 입력될 수 있다. 주전원부(380)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주전원부(380)에서 주기능에 필요한 전압(이하, '주전압'이라 칭함)으로 평활될 수 있다.
주기능부(320)는 주전원부(380)로부터 입력되는 주전압으로 제어장치(300)의 주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300)는 구비된 온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실내온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실내온도 정보는 컬러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아닌 흑백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기능부(320)는 온도센서, 흑백 디스플레이, 흑백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통신부(395)에 입력될 수 있다. 통신부(380)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판단하여 주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95)가 10[V] 이상의 전압을 인지하면 '0'으로, 10[V] 미만의 전압을 인지하면 '1'로 판단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통신부(395)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12[V]로 판단되면 '0'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지하고,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8[V]로 판단되면 '1'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통신부(395)는 인지된 신호를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
한편, 사용자는 실내온도 설정을 위해 입력부(330)를 조작할 수 있고,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입력부(330)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주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통신부(395)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395)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변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통신부(395)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상응하는 신호를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95)가 주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의하여 주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부(330)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18도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부(330)를 조작한 경우,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310)는 당해 신호가 입력되면 온도설정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395)를 통해)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장치(100)는 수신된 온도설정정보에 따라 실내 온도가 18도로 유지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어장치(3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상응하도록 주장치(1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키패드(Key Pad), 터치패드(Touch Pa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 온도 조절 및/또는 부가기능 활성화 등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주전원은 제어부(310), 주기능부(320), 입력부(330) 및/또는 부가기능부(360)에 공급되어 제어장치(300)의 주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충전부(340)에 공급되어 충전부(34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부(340)는 충전식 배터리, 충전 회로 등과 같은 전력을 충전하고 공급할 수 있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340)는 제어부(310)에 의하여 부가기능부(360)에 충전된 전원(이하 '충전원'이라 칭함)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340)에서 부가기능부(360)에 공급하는 충전원은 주전원 이상의 전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가 100[mA]이고, 부가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가 300[mA]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충전부(340)에서 부가기능부(360)에 제공하는 충전원의 전류는 300[mA]에 상응할 수 있다.
부가기능부(360)는 무선통신부(미도시), 스피커부(미도시), 컬러디스플레이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기능은 스피커(미도시)를 통한 음성 출력 기능, 컬러 디스플레이를 통한 컬러 출력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일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 지그비(Zigbee) 통신 기능, 와이파이(WiFi) 통신 기능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기능부(360)는 주전원부(380)에서 공급되는 주전압 또는 충전부(340)에서 공급되는 충전압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다. 부가기능부(360)에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주전압 또는 충전압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먼저 부가기능부(360)에 주전압이 공급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부가기능부(360)가 주전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경우를 '주전원모드'라 칭한다. 주전원모드에서 부가기능부(360)는 제한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기능부(360)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무선통신 모듈은 데이터를 수신할 때는 많은 전류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전원모드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부(360)의 스피커부(미도시)는 주전원모드에서 활성화되어 (음성 출력을 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부(360)의 컬러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주전원모드에서 활성화되어 (영상을 출력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주전원모드에서, 제1 스위치부(350)는 활성화 상태로 주전원부(38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할 수 있다. 주전원모드에서, 제2 스위치부(370)는 불활성 상태로 충전부(34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31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충전부(34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치부(370)를 활성화시키고, 제1 스위치부(350)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하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경우를 '충전원모드'라 칭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입력부(330) 조작에 따라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설정 온도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입력부(330)를 조작할 수 있다. 스피커부(미도시)는 주전원으로는 정상적으로 음성을 출력할 수 없을 수 있다. 스피커부(미도시)가 음성을 출력할 때 많은 전류를 사용하게 되어 주전원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입력부(330)에서 입력된 신호를 통해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2 스위치부(370)로 활성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입력부(330)에서 입력된 신호를 통해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1 스위치부(350)로 불활성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370)는 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충전부(34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350)는 불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주전원부(380)와 부가기능부(36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부가기능부(360)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 중 스피커부(미도시)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다. 컬러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도 스피커부(미도시)가 음성을 출력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많은 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상술한 예시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미도시)(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가 데이터를 사용자기기(200)로 전송할 때도 많은 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상술한 예시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에서 많은 전류가 사용되는 경우로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될 때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신호를 '충전원모드신호'라 통칭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주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충전원모드정보에 의하여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장치(100)는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충전원모드정보(예를 들어, 주장치(100)의 전원이 ON/OFF 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 등)를 제어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주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충전원모드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스피커부(미도시)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거나, 컬러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기기(200)로 당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2 스위치부(370)로 활성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제1 스위치부(350)로 불활성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370)는 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충전부(34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350)는 불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주전원부(380)와 부가기능부(36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사용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충전원모드신호에 의하여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기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현재 설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충전원모드신호를 부가기능부(360) 중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모듈은 주전원모드에서도 정상적으로 사용자기기(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당해 충전원모드신호에 따라 현재 설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기기(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이 사용자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류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2 스위치부(370)로 활성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1 스위치부(350)로 불활성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370)는 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충전부(34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350)는 불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주전원부(380)와 부가기능부(36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사용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부가기능부(360)가 충전원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사용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계전류 이상이 되면 제2 스위치부(370)로 활성화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사용하는 전류가 임계전류 이상이 되면 제1 스위치부(350)로 불활성화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370)는 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충전부(34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350)는 불활성화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주전원부(380)와 부가기능부(36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충전원모드의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입력부(330) 조작에 따른 부가기능부(360)의 동작이 완료되면 충전원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스피커부(미도시)의 음성 출력이 완료되거나, 컬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의 영상 출력이 완료되거나 사용자기기(200)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충전원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주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부가기능부(360)의 동작이 완료되면 충전원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사용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부가기능부(360)의 동작이 완료되면 충전원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사용하는 전류가 임계전류 미만이 되면 충전원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부가기능부(360)가 사용하는 전류가 임계전류 미만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충전원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부가기능부(360)가 사용하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임계전류 미만이 되었다가 다시 임계전류 이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310)는 충전원모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부(350)로 활성화명령을 출력하고, 제2 스위치부(370)로 불활성화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350)는 활성화명령의 입력에 의하여 주전원부(380)와 부가기능부(3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370)는 불활성화명령의 입력에 의하여 충전원부(340)와 부가기능부(36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부가기능부(360)는 다시 주전원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충전부(340)에 입력되어 충전부(34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340)는 주전원모니터링부(385) 또는 주전원부(38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충전부(340)는 제3 스위치부(390)를 통해 주전원모니터링부(385) 또는 주전원부(380)와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340)가 과도한 전력을 사용하여 주전원의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전원부(380)에서 출력되는 주전원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전원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충전부(340)가 전력을 소비할 수 없도록 제3 스위치부(390)로 불활성화명령을 출력할 할 수 있다. 제3 스위치부(390)는 불활성됨에 따라 주전원모니터링부(385)와 충전부(34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임계전압이 4.5[V]로 미리 설정된 경우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전원이 4.5[V] 이하가 되면 제3 스위치부(390)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충전부(340)가 전력을 소비할 수 없도록 제3 스위치부(390)는 불활성화될 수 있다. 주전원부(380)가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평활하여 일정한 주전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충전부(340)가 사용하는 전력에 의하여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주전원부(380)가 일정한 주전원을 출력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제3 스위치부(390)로 불활성화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임계전압은 주전압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3 스위치부(390)는 불활성화명령에 따라 주전원모니터링부(385)와 충전부(34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충전부(340)는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이후,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주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제3 스위치부(390)로 활성화명령을 출력하여 충전부(340)가 다시 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주전압'이 임계전압 초과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제3 스위치부(390)로 활성화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주전압이 순간적으로 임계전압을 초과하였다가 다시 임계전압 이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주전원모니터링부(385)가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주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제3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주전원모니터링부(385)의 동작은 제어부(31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310)는 제3 스위치부(39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주장치(100)와 연결되는 전력선과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주전원모니터링부(385)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제어부(310)의 기능 중 충전부(340)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논리적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300)는 구비된 충전부(360)를 이용하여 많은 전류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음성 출력, TFT LCD 등의 부가기능을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거나 주장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300)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충전부(340)가 과도한 전력을 사용하여 주기능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300)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장치(300)는 실내 벽면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주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실내온도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내온도 설정을 위한 버튼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26도로 희망한다면 온도 조절을 위한 버튼 입력과 화면으로 출력되는 설정 온도 정보를 통해 설정 온도를 26도로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3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따라 주장치(10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어장치(300)의 설정온도가 18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장치(300)는 주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주장치(100)는 당해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실내온도를 낮추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실내온도가 18도 이하로 내려간 경우 제어장치(300)는 주장치(100)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주장치(100)는 당해 신호에 의하여 불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부가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부가기능 사용을 위하여 버튼을 조작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부가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 충전지를 이용하여 부가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구비된 충전지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구비된 충전지를 이용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300)는 사용자가 설정온도를 변경하면 그에 따른 온도정보를 충전지를 활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사용자가 난방사용버튼, 온수사용버튼 및 그 외의 버튼을 누른 경우, 버튼에 상응하는 동작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충전지를 활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용자기기(200)를 조작하여 주장치(100)의 온도 제어 및 전원 온/오프제어, 설정 온도 변경, 취침 예약, 온수 사용 등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장치(300)는 사용자기기(200)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충전지를 활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구비된 충전지를 이용하여 주장치(100)의 설정온도정보 및 전원상태, 실내온도정보 및/또는 온수, 난방 등의 기능 사용상태 등을 TFT LCD와 같은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영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300)는 텍스트와 같은 단순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닌, 실시간으로 온도변화를 그래프로 출력하거나, 사용상태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컬러 및 동영상으로 다양하게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전력 사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300)의 전력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장치(3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부가기능은 주전원모드로 동작되고 있다.
단계 S420에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어 부가기능이 구비된 충전지를 통해 동작되어야 하는지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조작한 경우, 주장치(10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기기(20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및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임계전류 이상인 경우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단계 S420에서의 판단 결과 부가기능이 구비된 충전지를 통해 동작되어야 하는 경우 제1 스위치를 불활성화시키고 제2 스위치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의하여 부가기능은 주전원과 연결이 해제되고 충전지와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부가기능은 충전원모드로 동작된다.
단계 S450에서, 충전원모드의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동작이 완료되면 충전원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임계전류 미만이 되면 충전원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임계전류 미만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충전원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충전원모드의 해제로 판단되면 제1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고 제2 스위치를 불활성화시킨다. 이에 의하여 부가기능은 주전원과 연결되고 충전지와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부기기능은 다시 주전원 모드로 동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충전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300)의 충전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장치(3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구비된 충전지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된다.
단계 S520에서,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한다. 충전부(340)가 과도한 전력을 사용하여 주전원의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300)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평활되어 출력되는) 주전원의 전압이 임계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장치(300)는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임계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판단 결과 주전원의 전압이 임계전압 이하이거나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임계전압 이하인 경우 제3 스위치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제3 스위치의 불활성화에 의하여 충전지는 주장치(1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단계 S550에서, 주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주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제3 스위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단계 S560).
단계 S570에서, 제3 스위치의 활성화에 의하여 충전지는 주장치(1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주장치
200: 사용자기기
300: 제어장치
310: 제어부
320: 주기능부
330: 입력부
340: 충전부
350: 제1 스위치부
360: 부가기능부
370 : 제2 스위치부
380 : 주전원부
385 : 주전원모니터링부
390 : 제3 스위치부
395 : 통신부

Claims (18)

  1. 연결된 주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된 충전원을 제공하는 충전부;
    연결된 주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주전원을 제공하는 주전원부;
    상기 충전원 및 상기 주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동작되는 부가기능부; 및
    상기 주전원을 통해 동작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충전원모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원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원모드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충전원모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원모드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계전류 이상이 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충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상기 임계전류 미만이 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부가 사용하는 전류가 상기 임계전류 미만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부가기능부가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주전원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전원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전원의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전원의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충전부와 상기 주장치를 연결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부는 컬러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무선통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원의 전압은 상기 주전원의 전압을 초과하는,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2개의 직류 전력선으로 연결된,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20180052648A 2018-05-08 2018-05-08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180051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648A KR20180051470A (ko) 2018-05-08 2018-05-08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648A KR20180051470A (ko) 2018-05-08 2018-05-08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226A Division KR101959896B1 (ko) 2016-01-13 2016-01-13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470A true KR20180051470A (ko) 2018-05-16

Family

ID=6245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648A KR20180051470A (ko) 2018-05-08 2018-05-08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4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2509A1 (en) Occupancy based switching with advance notification
US70500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X2014013057A (es) Dispositivo de ahorro de energia y/o de seguridad.
JP2011038705A (ja) 空調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KR20110070409A (ko) 대기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6351829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959896B1 (ko)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TW201636773A (zh) 電子機器控制裝置、電子機器控制系統、電子機器、及其控制方法
CN113063221B (zh) 一种线控器及其供电控制方法、空调
KR20180051470A (ko) 온도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JP2019024239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US10368314B2 (en) Wireless control system
KR2010012713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절전 방법
CN101749798B (zh) 一种空调器
KR20180104381A (ko) 전원 공급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선택 방법
KR101098432B1 (ko) 멀티탭 및 리모트 콘트롤러 및 멀티탭의 원격 제어 방법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JP2010206675A (ja) 電源起動制御機能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装置
KR20110080618A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JP2019103333A (ja) 充放電器、制御装置および充放電システム
KR101000319B1 (ko)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KR19990069472A (ko) 유에스비 보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약회로 및 절약방법
JP2006229422A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に接続可能な通信アダプタ
KR20170091190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17940A (ko) 멀티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