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438A - stroller - Google Patents
stro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1438A KR20180051438A KR1020177032899A KR20177032899A KR20180051438A KR 20180051438 A KR20180051438 A KR 20180051438A KR 1020177032899 A KR1020177032899 A KR 1020177032899A KR 20177032899 A KR20177032899 A KR 20177032899A KR 20180051438 A KR20180051438 A KR 201800514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wheel
- driving
- handle
- dr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3—Measuring a fo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for two or more childr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2—Stee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1)는,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 및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갖는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륜(4)을 구동하는 구동원(5)과, 핸들(20)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는 검지 요소(6)와,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 가능한 조작 부재(91)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91)가 조작 상태(op)에 있는 동안,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baby carriage 1 includes a baby carriage body 2 having a frame body 10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wheels 4 and a handle 20 connected to the frame body 10, A driving source 5 for driving at least one wheel 4, a detecting element 6 provided on the handle 20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handle 20, A control device 7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wheel 4 by the driving source 5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ng element 6,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source 5 to the wheels 4 while the operating member 91 is in the operating state op.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동원에 의해 차륜을 구동시키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for driving wheels by a driving source.
예를 들면 JP2011-68336A에는, 전동 모터 부착의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에서는, 레버가 압압(押壓)되면, 차륜에 접속된 전동 모터가 구동된다. 특히,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전동 모터에 의해 자주(自走)한다. 즉,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조작자에 의해 밀리지 않아도, 전동 모터의 구동력만으로 독립적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JP2011-68336A, a stroller with an electric motor is disclosed. In the baby carriage described in JP2011-68336A, when the lever is pressed, the electric motor connected to the wheel is driven. Particularly, the baby carriage described in JP2011-68336A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That is, the baby carriage described in JP2011-68336A can be driven independentl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without being pushed by the operator.
그러나,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으로 독립적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조작자가 의도한 대로 유모차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레버를 잘못 압압해 버린 경우에도, 유모차가 자주해 버리기 때문에, 유모차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baby carriage described in JP2011-68336A runs independentl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baby carriage as intended by the operator. In addition, even if the lever is pressed down incorrectly, since the baby carriage often breaks down, the baby carriage may cause unintended operation.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구동원에 의해 차륜을 구동시키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that drives a wheel by a driving source, which can be operated as intended.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복수의 차륜과,A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A stroller body having a frame body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wheels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frame body,
상기 프레임 본체에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A driving source supported by the frame bod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t least one wheel;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A detecting element provided on the handle for detecting information about a load applied to the handle,
상기 핸들에 상기 검지 요소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동 보조 스위치와,A drive assisting switch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etecting element on the handle and operated by an operator,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 및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sourc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element and information on which the drive assist switch is operated,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차륜에 전하는 것이 가능한 어시스트 모드와,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차륜에 전할 수 없는 비어시스트 모드를 전환하게 되어 있고,Wherein the control device switches the assist mode in which the drive force from the drive sou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whee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drive assist switch and the non-assist mode in which the drive force from the drive source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wheel However,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어시스트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한다.The control device adjusts the driving force to the wheel from the driving sourc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ng element in the assist mode.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는, 입력 상태와 비입력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상기 입력 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비어시스트 모드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assist switch is switchable between an input state and a non-input state, and when the drive assist switch is operated in the input state, It may be possible to switch to the assist mode.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가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비어시스트 모드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모드로 전환하지 않게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assist switch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detecting element detects a load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the control device does not switch from the non-assist mode to the assist mode .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가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 경고를 발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may issue a warning when the driving assist switch is operated while the detecting element is detecting a loa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magnitude.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그립과, 상기 그립과 상기 유모차 본체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를 갖고,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 및 상기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 본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ay include a grip for gripping an operator's hand, and a handle body for connecting the grip and the baby carriage body, wherein the drive assist switch and the detection element are installed .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어시스트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그립이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 상기 차륜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키고,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그립이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 상기 차륜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켜서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ist mode, when the information that the grip has been pushed forward by the detecting element or the information pushed downward is detected in the assist mode, the driving force for advancing the wheel to the driving source And when the information that the grip is pulled back by the detecting element is detected, a driving force for retracting the wheel to the driving sour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의 상기 핸들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는, 상기 그립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연신되고 또한 상기 그립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수축되거나, 또는, 상기 그립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수축되고 또한 상기 그립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연신되어도 된다.In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ng ele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handle body of the handle, and at least one strain gauge is arranged so that when the grip is pushed forward or downwardly Or when the grip is pulled backward, it is contracted, or when the grip is pushed forward or downwardly, it is contracted, and when the grip is pulled backward, the grip may be stretched.
본 발명에 따르면, 어시스트 모드에 있어서, 검지 요소에 의해 검지된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맞춰, 구동원으로부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를 의도한 바와 같이 조작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핸들에 잘못 하중이 가해져도, 구동 보조 스위치를 조작하여 어시스트 모드로 설정한 후가 아니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에 전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예기하지 않은 동작을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ist mode, since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source to the wheel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pplied to the handle detected by the detecting element, it contributes to operating the stroller as intended. Further, even if a wrong load is applied to the handle, the drive force from the drive source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wheel unless the drive assist switch is operated to set the assist mode.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 force from the drive sour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wheel,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and it is possible to avoid unexpected operation.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를 전개 상태에서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좌석 유닛을 분리한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절첩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동 요소 및 차륜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구동 요소를 구성하는 직류 모터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에 설치된 검지 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검지 요소의 회로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구성하는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검지 요소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 요소에 의한 구동력을 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전방으로 전진시켰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하방으로 밀어 내렸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후방으로 당겼을 때 및 비탈길을 내려갈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선회시켰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도 7에 나타내는 핸들에 배치된 조작 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7에 나타내는 핸들에 배치된 조작 부재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7에 나타내는 핸들에 배치된 조작 부재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deployed state; Fig.
Fig. 2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in the deployed state shown in Fig. 1, with the seat unit removed. Fig.
Fig. 3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2 in a folded state;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element and a wheel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rom behind. 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DC motor constituting a driving element;
Fig. 7 is an enlarged top view of the handle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etecting element provided on a handle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ig.
9 is a circuit diagram of the detecting element shown in Fig.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ig.
11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element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detecting element.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detecting element when the handle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is advanced forward; Fig.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detecting element when the handle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is pushed downward; Fig.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detecting element when the handle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is pulled backward and when the slope is lowered.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n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is turne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operating member arranged on the handle shown in Fig.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operating member arranged on the handle shown in Fig. 7; Fig.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operating member arranged on the handle shown in Fig. 7;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정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1)에서는, 유모차 본체(2)에, 제1 좌석 유닛(8a) 및 제2 좌석 유닛(8b)이 지지되어 있다. 제1 좌석 유닛(8a) 및 제2 좌석 유닛(8b)은, 유유아가 착석하는 장소이고,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좌석 유닛(8a, 8b)에 착석한 유유아를 햇볕이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각 좌석 유닛(8a, 8b)에는, 덮개(9a, 9b)가 설치되어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to 1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를, 핸들(20)을 파지하면서 조작하는 조작자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더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d1)」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표리(表裏)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핸들을 미는 조작자가 향하는 측이고,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표측이 전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d3)」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d3)」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우 방향(d2)」이란 폭 방향이기도 하고, 「전후 방향(d1)」 및 「상하 방향(d3)」의 어디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before", "after", "upper",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lateral direction" Quot ;, " upper ", " upper ", " lower ", " front ", " lower ", "Quot;, " vertical direction ", and " horizontal direction ". More specifically, the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d1 " corresponds to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in Fig.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term " before " means the side toward which the operator pushes the handle, and the front side of the paper in Fig. 1 becomes the front side. On the other hand, the " vertical direction (d3) "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plane. Therefore, when the ground plane is a horizontal plane, " vertical direction d3 " indicates a vertical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2" is also a width direction and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1" and "up and down directions d3".
도 2에, 유모차(1)를 좌석 유닛(8a, 8b)을 분리한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2)는,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Fig. 2 shows the
프레임 본체(10)에 있어서, 복수의 차륜(4)이 지지된 베이스 프레임(11)에, 2개의 좌석 유닛(8a, 8b)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2)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의 전방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전방 부분이 전방 링크 부재(13)를 통해 접속되고, 상부 프레임(12)의 중간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후방 부분이 중간 링크 부재(1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전방 링크 부재(13) 및 중간 링크 부재(14)는, 링크로서 기능하고,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n
특히, 베이스 프레임(11)에는,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후단은,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의 파이프를 굽혀 성형함에 의해,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과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과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Particularly, the
각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는, 전륜(41) 및 후륜(42)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륜(41)은, 캐스터(3)를 통해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스터(3)는, 회전 축선(Ar1)을 중심으로 해서 전륜(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회전 축선(Ar1)과 비평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 축선(As1)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하다. 즉, 전륜(41)은, 자전 가능함과 함께 그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되도록 캐스터(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A front wheel 41 and a rear wheel 42 are attached to the respective side base frames 11a and 11b.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front wheels 4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한편, 전륜(4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각 후륜(42)은, 캐스터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후륜(42)은, 후술하는 구동원(5)의 구동축(51b)(도 5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회 가능하게는 되어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wheels 42 located behind the front wheel 41 are not pivotally supported by the casters.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rear wheels 42 is rotatably supported by a
상부 프레임(12)에는,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 사이에는, 중간 프레임(12c)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과 중간 프레임(12c) 사이에 제1 좌석 유닛(8a)이 배치되고, 우측의 측방 상부 프레임(12b)과 중간 프레임(12c) 사이에 제2 좌석 유닛(8b)이 배치되어 있다.The
좌우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 및 중간 프레임(12c)의 후단은,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는, 핸들(20)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으로 조작되는 부분이다. 핸들(20)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해서 후술한다.The left and right side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좌우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과 후방 상부 프레임(12d)이, 단일의 파이프를 굽혀 성형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과 후방 상부 프레임(12d)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eft and right side
좌우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의 전단(前端)은, 횡 연결바(12e) 및 상부 측 링크 프레임(13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중, 횡 연결바(12e)는, 좌우 방향(d2)을 따라 직선상(直線狀)으로 형성되고, 횡 연결바(12e)의 중간 부분에 중간 프레임(12c)의 전단이 접속되어 있다.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상부 측 링크 프레임(13a)은, 링크로서 기능하고, 횡 연결바(12e)보다 전방으로 되는 영역으로 돌출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 측 링크 프레임(13a)의 전방 부분과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전단에, 베이스 측 링크 프레임(13b)이 걸쳐놓여 있다. 베이스 측 링크 프레임(13b)은, 그 전단에 있어서 상부 측 링크 프레임(13a)에 고착되고, 그 좌우의 후단은, 횡 연결 링크바(13c)를 통해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횡 연결 링크바(13c)는, 좌우 방향(d2)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부 측 링크 프레임(13a)과 베이스 측 링크 프레임(13b)과 횡 연결 링크바(13c)에 의해, 링크로서 기능하는 전방 링크 부재(13)가 구성된다.The upper side link frame 13a functions as a link and has a curved shape protruding to a region forward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또한, 좌우의 중간 링크 부재(14)는, 좌우의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의 중간 부분과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후방 부분에 걸쳐놓여 있다. 각 중간 링크 부재(14)는, 링크로서 기능하고,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 및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양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이상과 같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유모차(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로 절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1)를 절첩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우선, 측방 상부 프레임(12a, 12b)과 상부 측 링크 프레임(13a)의 로크를 해제하고, 핸들(20)을 자중(自重)을 이용해서 하방으로 내려 간다. 이 동작에 의해, 상부 측 링크 프레임(13a), 베이스 측 링크 프레임(13b) 및 중간 링크 부재(14)가 도 2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해서,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겹치도록 절첩되어 간다.First, the locks of the side
이상의 절첩 동작의 결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이, 유모차(1)를 측면에서 볼 때 접근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유모차(1)를 도 3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상술한 절첩 조작과 역의 수순을 밟으면 된다.3, the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에서는,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차륜(4)에 구동원(5)이 접속되어 있다. 단, 배경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는 소위 자주식의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의도한 바와 같이 유모차를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조작자의 주행 조작에 따라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구동식의 핸드-푸시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다.Incidentally, in the
도 4에, 차륜(4)의 구동을 보조하는 기구를 블록도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차륜(4) 중 몇 개에, 구동 요소(51, 52)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요소(51, 52)는,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성 요소, 환언하면,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동 요소 즉 제1 구동 요소(51) 및 제2 구동 요소(52)가 설치되고, 제1 구동 요소(51)가 좌측의 후륜(42)을 구동하고, 제2 구동 요소(52)가 우측의 후륜(42)을 구동하게 되어 있다.Fig. 4 schematically shows a mechanism for assisting the driving of the wheel 4 in block diagrams. As shown in Fig. 4, the driving
도 5에, 구동 요소(51, 5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구동 요소(51, 52)는,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과, 구동축(51a, 52a)을 구동시키는 직류 모터(51b, 5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51a, 52a)의 일단은,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되고, 당해 후륜(42)을 회전 축선(Ar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하고, 선회 가능하게는 지지하고 있지 않다. 구동축(51a, 52a)의 타단은,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에 도시 생략된 동력 전달 요소(예를 들면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51a, 52a)은,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직류 모터(51b, 52b)는, 좌우의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걸쳐놓인 수용 박스(70) 내에 배치되고, 당해 수용 박스(70) 내에서 측방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직류 모터(51b, 52b)의 접속 관계를 회로도로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는, 전원(75)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음에 의해, 접지면으로부터의 부하에 따라 구동력을 조정하는데 공헌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direct
도 4로 돌아가서, 각 구동 요소(51, 52)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되고, 당해 제어 장치(7)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장치(7)에는, 검지 요소(6)가 더 접속되어 있고, 검지 요소(6)로부터의 정보가 입력으로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각 구동 요소(51, 52)를 제어해서, 각 구동 요소(51, 52)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7)는, 수용 박스(7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전원(75)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및 레지스터(REGISTER)를 구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의 형태로서 실현될 수 있다.4, each of the driving
도 2로 돌아가서, 검지 요소(6)는,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요소(6)는, 핸들(20)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 환언하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핸들(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핸들(20)에 설치된 검지 요소(6)에 대해 설명해 간다.Returning to Fig. 2, the detecting
도 7에, 핸들(20)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에는,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그립(21)이 배치되고, 그립(21)과 유모차 본체(2)를 핸들 본체(22)가 연결하고 있다. 핸들 본체(22)는, 상부 프레임(12)과의 연결 개소(c1)에 있어서, 당해 상부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있다.7, the
특히, 핸들 본체(22)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후방 상부 프레임(12d)으로부터 칼럼(22a)이 연장해 나오고, 칼럼(22a)의 양측에 사이드바(22b, 22c)가 배치되어 있다. 그립(21)은, 좌우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 2개의 그립 부분(21a, 21b)으로서 구성되고, 좌측의 그립 부분(21a)이, 좌측의 사이드바(22b)와 칼럼(22a) 사이에 걸쳐놓이고, 우측의 그립 부분(21b)이, 우측의 사이드바(22c)와 칼럼(22a) 사이에 걸쳐놓여 있다.Particularly, the
도 8에, 칼럼(22a)에 설치된 검지 요소(6)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도 9에, 검지 요소(6)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요소(6)로서의 복수의 변형 게이지(61)가, 칼럼(22a) 내의 이너 각재(22d)에 첩부(貼付)되어 있다. 복수의 변형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의 변형을 계측하도록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형(角型)의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2개의 변형 게이지(61)가 배치되고,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2개의 변형 게이지(61)가 배치되고, 이들 4개의 변형 게이지(61)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시하는 이너 각재(22d)는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지만, 중실(中實)이어도 된다.Fig. 8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detecting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하고, 이 하중의 크기에 따라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제공되는 구동력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주행 조작에 맞춰 구동력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핸들(20)에 잘못 하중을 가해 버린 경우에는,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전에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보조 스위치(81)와,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하기 위해 주행 중에 조작되는 조작 부재(91)가, 핸들(20)에 설치되어 있어,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이 의사에 반하여 전해지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하, 우선 조작 부재(91)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구동 보조 스위치(81)에 대해 설명해 간다.The load applied to the
조작 부재(91)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재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91)는, 조작되어 있지 않은 비조작 상태(nop), 환언하면, 부하를 받고 있지 않은 비조작 상태(nop)와, 조작되어 있는 조작 상태(op), 환언하면, 부하를 받고 있는 조작 상태(op)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91)가 비조작 상태(nop)에 있을 경우, 가령 그립(21)에 하중이 가해져도,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조작 부재(91)가 조작 상태(op)에 있을 경우, 그립(21)에 가해지는 손으로부터의 하중에 따라,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유모차(1)는, 조작 부재(91)를 조작 상태(op)로 하지 않으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할 수 없다.The operating
특히, 도 7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91)는, 칼럼(22a)에 설치된 조작 레버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로서의 조작 부재(91)는, 그립(21)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91)가 좌우에 1개씩 설치되고, 좌우의 조작 부재(91)는, 좌우의 그립 부분(21a, 21b)에 각각 대향해 있다. 각 조작 부재(91)의 장변 축은, 비조작 상태(nop)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그립 부분(21a, 21b)의 장변 축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operating
각 조작 부재(91)는, 기단부(91a)에 있어서 사이드바(22b, 22c)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고, 선단부(91b)에 있어서 그립(21)에 대해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좌측의 조작 부재(91)의 기단부(91a)가 좌측의 사이드바(22b)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고, 우측의 조작 부재(91)의 기단부(91a)가 우측의 사이드바(22c)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Each operating
각 조작 부재(91)는, 비조작 상태(nop)에 있어서, 그 선단부(91b)가 그립(21)으로부터 이간하고, 조작 상태(op)에 있어서, 그 선단부(91b)가 그립(21)에 접근하게 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91)의 선단부(91b)를 그립(21)에 근접시키도록 파지함으로써, 조작 부재(91)를 비조작 상태(nop)로부터 조작 상태(op)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Each of the operating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그립 부분(21a, 21b)의 장변 축 및 각 조작 부재(91)의 장변 축은 좌우 방향(d2)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각 조작 부재(91)는, 대응하는 그립 부분(21a, 21b)의 하방 또한 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가 그립 부분(21a, 21b)에 손을 건 상태에서, 조작 부재(91)에도 손을 거는 것이 용이해진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long-side shaft of each
각 조작 부재(91)가 조작 상태(op) 또는 비조작 상태(nop)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는, 제어 장치(7)에 의해 감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7)는, 조작 부재(91)가 모두 조작 상태(op)에 있을 경우에, 전원(75)으로부터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전류를 공급 가능하게 되도록 제어하고, 조작 부재(91) 중 어는 것이 비조작 상태(nop)에 있을 경우에는, 전원(75)으로부터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전류를 공급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The
다음으로, 핸들(20)에 설치된 구동 보조 스위치(81)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보조 스위치(81)는,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하기 위해, 유모차(1)를 주행시키기 전에 미리 조작되는 입력 요소이다. 조작 부재(91)가 유모차(1)의 주행 중에 조작되는 레버임에 반해, 구동 보조 스위치(81)는, 유모차(1)를 주행시키기 전에 미리 조작되는 스위치인 점에서 크게 상위하다. 도 7에 나타내는 구동 보조 스위치(81)는, 소위 버튼 스위치로서 구성되고, 밀어 넣기에 의해, 입력 상태(on)와 비입력 상태(off)가 전환되게 되어 있다.Next, the
구동 보조 스위치(81)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되고,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검지한 정보는, 제어 장치(7)에 받아들여진다. 제어 장치(7)는,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조작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할 수 없는 비어시스트 모드(nas)와,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하는 것이 가능한 어시스트 모드(as)를 전환하게 되어 있다. 특히, 비어시스트 모드(nas)가 유지된 경우, 검지 요소(6)가 변형을 검지했다고 해도,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한편,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된 경우, 검지 요소(6)가 검지한 변형에 의거하여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The drive assist
도 10은, 제어 장치(7)에 의한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구동 보조 스위치(81)는 비입력 상태(off)로 유지되고, 조작 부재(91)는, 비조작 상태(nop)로 유지되고, 제어 장치(7)는, 비어시스트 모드(nas)로 유지되어 있다.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control by the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를 주행시킬 때는, 우선 구동 보조 스위치(81)를 단시간만 압압해서 비입력 상태(off)로부터 입력 상태(on)로 일시적으로 전환한다(STEP1). 이어서, 제어 장치(7)는,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입력 상태(on)로 되면, 검지 요소(6)가 검지하고 있는 변형(α)의 크기를 검사한다(STEP2).As shown in Fig. 10, when driving the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입력 상태(on)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검지 요소(6)가 검지하고 있는 변형(α)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α0) 이상일 경우,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면 유모차(1)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가 검지하고 있는 변형(α)의 크기가 설정값(α0) 이상일 경우,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지 않는 비어시스트 모드(nas)를 유지한다(STEP3-1). 또한, 설정값(α0)은,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져도 유모차(1)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할 우려가 없다고 판단되는 값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미리 경험칙(經驗則)에 의거하여 결정된다.When the magnitude of the de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ng
이어서, 조작자에게, 구동력을 전하는 것이 가능한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기 위해, 경고를 발한다(STEP4-1). 여기에서, 발해지는 경고는, 조작자에게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되어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는, 경고음을 발하거나,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표시 화면에 소정의 문자를 표시하거나 해서, 조작자에게의 경고를 실행한다.Then, a warning is issued to inform the operator that the assist mode (a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is not switched (STEP4-1). Here, the warning issu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assist mode is not switched to the assist mode (as). Typically, a warning sound is issued, a warning light is turned on, or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 warn the operator.
한편,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입력 상태(on)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검지 요소(6)가 검지하고 있는 변형(α)의 크기가 설정값(α0)보다 작은 경우, 유모차(1)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할 우려는 없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7)는,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하는 것이 가능한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한다(STEP3-2).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de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ng
이어서, 어시스트 모드(as)에 있어서, 조작 레버(91)가 조작 상태(op) 및 비조작 상태(nop) 중 어디에 있는지 검사된다(STEP4-2). 조작 레버(91)가 비조작 상태(nop)에 있을 경우, 가령 핸들(20)에 손으로부터의 하중이 가해졌다고 해도,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구동원(5)을 제어한다(STEP5-1). 이 경우, 이 상태가 설정 시간(Ta)만큼 연속해서 경과하면(STEP6), 제어 장치(7)는,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할 수 없는 비어시스트 모드(nas)로 전환한다(STEP7). 또한, 설정 시간(Ta)은, 조작자가 유모차(1)를 주행시킬 의사가 없어졌다고 판단하는데 충분한 시간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미리 경험칙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값이다.Next, in the assist mode (as), it is checked whether the
한편, 조작 레버(91)가 조작 상태(op)에 있을 경우, 도 11의 그래프에 따라 검지 요소(6)가 검지한 변형(α)의 크기에 따라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시킨다(STEP5-2). 이에 의해, 조작자가 유모차(1)를 전방으로 미는 부담이 경감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도 11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변형(α)에 따라, 구동 요소(51, 52)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의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검지 요소(6)로서의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을 나타내고,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연신된 경우 내지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수축된 경우를 양의 값으로 하고,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수축된 경우 내지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연신된 경우를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 종축은,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나타내고,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양의 값으로 하고,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11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trol for determin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α)의 크기가 하한값(α1)보다 작은 경우,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외란이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유모차(1)에 가해져도, 유모차(1)가 의도치 않게 움직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1, when the magnitude of the strain? Detected by the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α)의 크기가 하한값(α1)보다 커지면,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에 비례해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의 그래프에서는, 대상으로 되는 변형 게이지(61)가 연신된 경우에는,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대상으로 되는 변형 게이지(61)가 수축된 경우에는,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When the magnitude of the strain? Detected by the
한편, 핸들(20)에 가해지는 변형(α)의 크기가 상한값(α2)보다 커지면,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상한 구동력(F)으로 해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strain? Applied to the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를 주행시킬 때는, 우선, 조작자는, 그립(21)에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 보조 스위치(81)를 압압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가 검지하고 있는 변형(α)의 크기가 설정값(α0)보다 작은 상태에서,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입력 상태(on)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STEP1, 2), 이 조작을 받고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하는 것이 가능한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한다(STEP3-2).As shown in the flow chart of Fig. 10, when driving the
다음으로, 조작자는, 조작 레버(91)를 파지하고 그립(21)에 가깝게 하여 당해 조작 부재(91)를 조작 상태(op)로 유지한다(STEP4-2). 이 상태에서, 유모차(1)를 주행시키는 다양한 조작이 행해진다. 유모차(1)를 주행 중에 그립(21)에 가해지는 손으로부터의 하중은, 검지 요소(6)에 의해 검지되어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그 후,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에 의해 검지된 변형(α)의 크기에 따라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TEP5). 이에 의해, 조작자가 유모차(1)를 전방으로 미는 부담이 경감된다.Next, the operator grasps the
특히, 유모차(1)를 주행시키는 조작은, 전진, 단차 타고넘기, 후퇴 및 선회로 분류될 수 있다. 이하, 각 조작에 대해 설명해 간다.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단, 전제로서, 검지 요소(6)를 구성하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는, 그립(21)보다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립(21)은, 연결 개소(c1)보다 후방 또한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해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이하의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게이지(61)가 작용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핸들(20)에 각 조작을 행했을 때의 변형 게이지(6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너 각재(22d)를 그 장변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2개의 부분으로 구획했을 때에, 상측으로 되는 부분을 상측 영역(A1)으로 하고, 하측으로 되는 부분을 하측 영역(A2)으로 한다(도 8 참조).As a premise, the four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91)를 그립(21)에 끌어 당긴 상태(STEP4-2)에서 그립(21)을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전진시켰을 경우, 이너 각재(22d)의 상측 영역(A1)이 늘어나고 하측 영역(A2)이 줄어든다. 상측 영역(A1)이 늘어나고 하측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된다.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된 정보는,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전방으로 전진되었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졌다고 인식하고,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STEP5-2). 이에 의해,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에 의해, 조작자가 유모차(1)를 전방으로 미는 부담이 경감된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operator advances the
주행면에 단차가 있을 경우에는, 조작자는 조작 레버(91)를 그립(21)에 끌어 당긴 상태(STEP4-2)에서 그립(21)을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밀어 내려, 전륜(41)을 들뜨게 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유모차(1)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 경우, 도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d)의 상측 영역(A1)이 늘어나고 하측 영역(A2)이 줄어든다. 상측 영역(A1)이 늘어나고 하측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고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전방으로 전진되었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졌다고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STEP5-2). 이에 의해,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그립(21)이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경우, 그립(21)이 전방으로 전진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 중이어도, 구동원(5)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을 수 있어,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없이 밀고 진행시킬 수 있다.When there is a step on the running surface, the operator pushes the
한편, 내리막에서 유모차(1)를 전진시킬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레버(91)를 그립(21)에 끌어 당긴 상태(STEP4-2)에서 그립(21)을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끌어 당긴다. 이 경우, 도 12 및 도 13의 경우와는 반대로, 이너 각재(22d)의 상측 영역(A1)이 줄어들고 하측 영역(A2)이 늘어난다. 상측 영역(A1)이 줄어들고 하측 영역(A2)이 늘어난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고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후방으로 당겨졌다고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도 12 및 도 13의 경우와 역 방향으로 제공한다(STEP5-2). 이에 의해,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에 의해, 조작자가 유모차(1)를 후방으로 미는 부담이 경감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다음으로, 유모차(1)를 선회시킬 때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91)가 그립(21)에 끌어 당겨진 상태(STEP4-2)에서 2개의 그립 부분(21a, 21b)을 전방으로 미는 힘에 차이를 발생시킴에 의해, 유모차(1)를 선회시킬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좌측의 그립 부분(21a)보다 우측의 그립(21b)에 걸리는 힘을 크게 함에 의해, 유모차(1)를 좌회전(반시계 회전)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2개의 그립 부분(21a, 21b)에 서로 다른 힘을 걸어도, 도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d)의 상측 영역(A1)이 늘어나고 하측 영역(A2)이 줄어든다. 상측 영역(A1)이 늘어나고 하측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고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전방으로 전진되었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졌다고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STEP5-2). 도 6에 나타내는 직렬 회로에서는,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을 경우, 2개의 직류 모터(51b, 52b)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도 동등하기 때문에,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차륜(4)에 제공하는 구동력도 서로 동등하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15, when the
단, 유모차(1)를 좌회전으로 선회시키면, 내륜으로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외륜으로 되는 우측의 차륜(4)보다 접지면으로부터의 큰 저항이 걸려, 내륜으로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내륜으로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의 회전수가 저하하면, 당해 직류 모터(51b)에 생기는 역기전력이 저하하여, 직렬 회로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외륜으로 되는 우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2b)에 흐르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외륜으로 되는 우측의 차륜(4)에 보다 큰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외륜으로 되는 우측의 차륜(4)을 회전시키기 쉬워지고, 이 결과, 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그리고, 도 10으로 돌아가서, 유모차(1)의 주행 조작이 완료되고 유모차(1)를 정지시키면, 그립(21) 및 조작 레버(91)로부터 손이 떨어진다. 이 동작에 의해, 조작 레버(91)가 조작 상태(op)로부터 비조작 상태(nop)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설정 시간(Ta)만큼 연속해서 경과하면(STEP6), 제어 장치(7)는, 어시스트 모드(as)로부터 비어시스트 모드(nas)로 전환한다(STEP7). 비어시스트 모드(nas)로 전환되면, 조작자가 의도치 않게 핸들(20)에 하중을 가해 버렸다고 해도,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입력 상태(on)로 조작되지 않는 한,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전하는 것이 방지된다.10, when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복수의 차륜(4)과,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 및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갖는 유모차 본체(2)와, 프레임 본체(10)에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5)과, 핸들(20)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6)와, 핸들(20)에 검지 요소(6)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 가능한 조작 부재(91)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을 제어해서,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조작 부재(91)가 조작 상태(op)에 있는 동안,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에 의해 검지된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맞춰,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1)를 의도한 바와 같이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 부재(91)를 조작 상태(op)로 조작한 상태에서 핸들(2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모차(1)가 예기치 않은 동작을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91)가 비조작 상태(nop)에 있는 동안에는,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전하는 경우가 없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force is not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그립(21)과, 그립(21)과 유모차 본체(2)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22)를 갖고, 조작 부재(91) 및 검지 요소(6)는, 핸들 본체(22)에 설치되어 있다. 그립(21)과 유모차 본체(2)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22)에 조작 부재(91)가 설치되어 있음에 의해, 조작자가 그립(21)에 손을 걸치고 조작했을 때에, 조작 부재(91)에도 용이하게 손을 걸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91)는, 핸들 본체(22)에 설치된 조작 레버(9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조작 레버(91)를 파지하는 것으로,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21)을 손으로 조작하는 동작에 연동해서 조작 부재(91)를 조작하기 쉽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레버(91)는, 그립(21)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조작 레버(91)는, 기단부(91a)에 있어서 핸들 본체(22)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고, 선단부(91b)에 있어서 그립(21)에 대해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레버(91)를 그립(21)에 근접시키도록 파지함으로써,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21)을 손으로 조작하는 동작에 연동해서 조작 부재(91)를 더욱더 조작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차륜(4)과,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 및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갖는 유모차 본체(2)와, 프레임 본체(10)에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5)과, 핸들(20)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6)와, 핸들(20)에 검지 요소(6)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동 보조 스위치(81)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 및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조작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7)는,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조작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하는 것이 가능한 어시스트 모드(as)와,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할 수 없는 비어시스트 모드(nas)를 전환하게 되어 있고, 제어 장치(7)는, 어시스트 모드(as)에 있어서,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을 제어해서,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유모차(1)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어시스트 모드(as)에 있어서, 검지 요소(6)에 의해 검지된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맞춰,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를 의도한 바와 같이 조작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핸들(20)에 잘못 하중이 가해져도, 구동 보조 스위치(81)를 조작하여 어시스트 모드(as)로 설정한 후가 아니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차륜(4)에 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모차(1)가 예기치 않은 동작을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 보조 스위치(81)는, 입력 상태(on)와 비입력 상태(off)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어 장치(7)는,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입력 상태(on)로 조작되면, 비어시스트 모드(nas)로부터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 보조 스위치(81)를 입력 상태(on)로 조작함으로써, 비어시스트 모드(nas)로부터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어시스트 모드(as)로의 전환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assist
또한, 검지 요소(6)가 검지하고 있는 하중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인 상태에서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하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돌연 전해진 결과, 유모차(1)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가 미리 정해진 크기(설정값(α0)에 대응하는 하중의 크기) 이상의 하중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조작된 경우에는, 비어시스트 모드(nas)로부터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갑자기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모차(1)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sudden transfer of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가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조작된 경우에, 경고를 발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7)가 비어시스트 모드(nas)로부터 어시스트 모드(as)로 전환되어 있지 않음을, 조작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자가 유모차(1)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 유모차(1)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 보조 스위치(81)는, 핸들 본체(22)에 설치되어 있다. 그립(21)과 유모차 본체(2)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22)에 구동 보조 스위치(81)가 설치되어 있음에 의해, 구동 보조 스위치(81)에 용이하게 손가락을 맞닿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assist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차륜(4) 중, 구동원(5)으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이 후륜(42)이고, 복수의 차륜(4) 중 전륜(41)은, 캐스터(3)를 통해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전륜(41)이 캐스터(3)를 통해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유모차(1)의 선회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하는 핸들(20)이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나,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면, 후륜(42)은 하중이 걸리기 쉽고 접지면에 안정되게 접지된다고 할 수 있다. 안정되게 접지한 후륜(42)에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구동원(5)에 의한 구동 보조를 안정되게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plurality of wheels 4, the wheel provided with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원(5)은, 복수의 차륜(4) 중 적어도 1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요소(51)와, 복수의 차륜(4) 중 제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4)과는 다른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1 구동 요소(51)와는 별개로 설치된 제2 구동 요소(52)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차륜(4)에 서로 다른 구동력을 제공함에 의해, 유모차(1)의 주행 상태에 따른 적절한 구동력의 분배를 실현하는 것에 기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4)과, 제2 구동 요소(52)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4)은, 좌우 방향(d2)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제1 구동 요소(51) 및 제2 구동 요소(52)는, 직류 모터를 각각 포함하고, 제1 구동 요소(51)의 직류 모터(51b)와 제2 구동 요소(52)의 직류 모터(52b)는, 전원(75)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유모차(1)를 선회시킬 경우, 내륜으로 되는 차륜(4)에 외륜으로 되는 차륜(4)보다 접지면으로부터의 큰 저항이 걸린다. 이 때문에,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를 직렬로 접속했을 경우, 내륜으로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내륜으로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의 회전수가 저하하면, 직류 모터(51b)에 생기는 역기전력이 저하되어, 직렬 회로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외륜으로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2b)에 흐르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외륜으로 되는 차륜(4)에 보다 큰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점에서,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를 직렬로 접속했을 경우, 선회 동작 중에 외륜으로 되는 차륜(4)을 회전시키기 쉬워져, 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eel 4 provided with the driving force from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7)는, 어시스트 모드(as)에서 조작 부재(91)가 조작 상태(op)에 있는 동안, 검지 요소(6)에 의해 그립(21)이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정보가 검지되면, 구동원(5)에 차륜(4)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키고, 검지 요소(6)에 의해 그립(21)이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구동원(5)에 차륜(4)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킨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그립(21)의 조작에 맞춰,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지면의 단차 등을 타고 넘기 위해 전륜(41)을 띄우도록 그립(21)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 경우여도, 구동원(5)이 차륜(4)을 전진시키도록 구동한다. 이 때문에,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 중이어도, 구동원(5)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으면서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없이 밀어 진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는, 핸들(20)의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61)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61)는, 그립(21)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연신되고 그립(21)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수축되거나, 또는, 그립(21)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수축되고 그립(21)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연신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가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그립(21)을 조작하는 정보를, 복잡한 구조를 회피하면서 안정되게 검지할 수 있다. 조작자가 그립(21)을 조작하는 정보를 더 안정되게 검지하는 관점에서, 그립(21)은, 핸들 본체(22)와 프레임 본체(10)의 연결 개소(c1)보다 후방 또한 하방으로 되는 위치 또는 전방 또한 상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cting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립(21)은, 연결 개소(c1)보다 후방 또한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변형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 중, 그립(21)과의 접속 개소와 연결 개소(c1) 사이로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로부터 그립(21)에 가해지는 하중에 연동해서, 핸들 본체(22) 중 변형 게이지(61)가 첩부된 부분이 양호한 감도로 신축한다. 이 때문에,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조작자가 그립(21)을 조작하는 정보를 더 정밀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It is also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로 나란히 2개의 좌석 유닛(8a, 8b)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좌석 유닛(8a, 8b)의 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일의 좌석 유닛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좌석 유닛이 설치되고, 이 2개 이상의 좌석 유닛이 전후로 나열되어 있어도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wo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전원(75)에 대해 직렬로 접속된 예를 나타냈지만, 직류 모터(51b, 52b)에 관한 회로 설계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전원(75)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Although the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요소(6)가 변형 게이지(61)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검지 요소(6)의 형태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지 요소(6)는,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할 수 있는 한 임의이고, 다른 예로서,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토크 센서나 압력 센서나 자왜(磁歪) 센서 등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로서는,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작동 유체의 압력의 변화로서 파악하고, 이 압력의 변화를 다이어프램을 통해 감압 소자에서 계측한 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일의 지주로 이루어지는 칼럼(22a)이, 후방 상부 프레임(12d)과 그립(21)을 연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칼럼(22a)의 형태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칼럼(22a)이 복수의 지주로 이루어지고, 후방 상부 프레임(12d)과 그립(21)을 연결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그립(21)이 연결 개소(c1)보다 후방 또한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그립(21)의 배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61)가, 그립(21)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연신되고 그립(21)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수축되거나, 또는, 그립(21)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수축되고 그립(21)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연신되게 되어 있는 한, 그립(21)의 배치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그립(21)이, 연결 개소(c1)보다 전방 또한 상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변형 게이지(61)가, 핸들 본체(22) 중, 그립(21)과의 접속 개소와 연결 개소(c1) 사이로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91)가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조작 부재(91)의 형태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 및 도 17에, 조작 부재(91)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도, 핸들(20)에는,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그립(21)이 배치되고, 그립(21)과 유모차 본체(2)를 핸들 본체(22)가 연결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91)는, 조작 버튼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 버튼(91)은, 예를 들면 손가락에 의해 밀어 넣어짐으로써,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이 중,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그립(21)이, 좌우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 2개의 그립 부분(21a, 21b)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그립 부분(21a, 21b) 사이로 되는 핸들 본체(22)의 부분에, 단일의 조작 버튼(91)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6, the
도 16에 나타내는 형태에 따르면, 조작 버튼(91)을 밀어 넣음으로써,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21)을 손으로 조작하는 동작에 연동해서 조작 레버(91)를 조작하기 쉽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단일의 조작 버튼(91)이 2개의 그립 부분(21a, 21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그립(21)에 손을 건 상태에서, 작업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되지 않는 자세로 조작 버튼(91)에 손가락을 맞닿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since the operation state op and the non-operation state nop can be switched by pushing the
한편,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좌우 방향(d2)으로 장변 축을 갖는 단일의 그립(21)이, 핸들 본체(22)에 지지되어 있다. 단일의 그립(21)의 양단 부근에, 핸들 본체(22)에 지지된 조작 버튼(91)이 1개씩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 a
도 17에 나타내는 형태에 의해도, 조작 버튼(91)을 밀어 넣음으로써,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21)을 손으로 조작하는 동작에 연동해서 조작 레버(91)를 조작하기 쉽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2개의 조작 버튼(91)이 좌우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좌우의 조작 버튼(91)의 양쪽을 조작 상태(op)로 변경하지 않으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륜(4)에 전해지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17, since the operation state op and the non-operation state (nop) can be switched by pushing the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조작 버튼(91)은 핸들 본체(22) 중 유모차 본체(2)보다 그립(21)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그립(21)에 손을 건 상태에서, 작업자에게 있어서 더 부담이 되지 않는 자세로 조작 버튼(91)에 손가락을 맞닿게 할 수 있다.16 and 17, the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91)가 좌우 방향(d2)을 따른 장변 축을 갖는 횡(橫)파지식의 조작 레버(91)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조작 부재(91)의 형태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에, 조작 레버(91)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도, 핸들(20)에는,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그립(21)이 배치되고, 그립(21)과 유모차 본체(2)를 핸들 본체(22)가 연결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91)는, 종(縱)파지식의 조작 레버(91)로서 구성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그립 부분(21a, 21b)에 각각 대향해서 좌우의 조작 부재(91)가 설치되어 있다. 각 조작 부재(91)의 장변 축은, 비조작 상태(nop)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그립 부분(21a, 21b)의 장변 축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조작 부재(91)의 장변 축 및 각 그립 부분(21a, 21b)의 장변 축은, 전후 방향(d1)을 따르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left and
각 조작 부재(91)는, 기단부(91a)에 있어서 핸들 본체(22)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고, 선단부(91b)에 있어서 그립(21)에 대해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조작 부재(91)의 기단부(91a)가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전방에서 핸들 본체(22)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고, 각 조작 부재(91)의 선단부(91b)가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 있다.Each operating
각 조작 부재(91)의 선단부(91b)를 그립(21)에 대해 접리시킴으로써, 조작 부재(91)를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operating
이상과 같이, 도 18에 나타내는 형태에 따르면, 조작 레버(91)는, 그립(21)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조작 레버(91)는, 기단부(91a)에 있어서 핸들 본체(22)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고, 선단부(91b)에 있어서 그립(21)에 대해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그립(21)에 근접시키도록 조작 레버(91)를 파지함으로써, 조작 상태(op)와 비조작 상태(nop)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21)을 손으로 조작하는 동작에 연동해서 조작 부재(91)를 더욱더 조작하기 쉬워진다.18, the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some modified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a plurality of modified examples suitably in combination.
Claims (7)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
상기 핸들에 상기 검지 요소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동 보조 스위치와,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 및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차륜에 전하는 것이 가능한 어시스트 모드와,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차륜에 전할 수 없는 비어시스트 모드를 전환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어시스트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을 제어해서,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유모차.A plurality of wheels,
A stroller body having a frame body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wheels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frame body,
A driving source supported by the frame bod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t least one wheel;
A detecting element provided on the handle for detecting information about a load applied to the handle,
A drive assisting switch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etecting element on the handle and operated by an operator,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sourc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element and information on which the drive assist switch is operated,
Wherein the control device switches the assist mode in which the drive force from the drive sou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whee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drive assist switch and the non-assist mode in which the drive force from the drive source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wheel However,
Wherei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drive source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element in the assist mode to adjust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from the drive source.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는, 입력 상태와 비입력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상기 입력 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비어시스트 모드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assist switch is switchable between an input state and a non-input state,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capable of switching from the non-assist mode to the assist mode when the driving assist switch is operated to the input state.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가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비어시스트 모드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모드로 전환하지 않게 되어 있는, 유모차.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device does not switch from the non-assist mode to the assist mode when the driving assist switch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detecting element detects a load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가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 경고를 발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adapted to issue a warning when the driving assist switch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detecting element detects a loa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magnitude.
상기 핸들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그립과, 상기 그립과 상기 유모차 본체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를 갖고,
상기 구동 보조 스위치 및 상기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handle has a grip on which an operator's hand is extended and a handle body that connects the grip and the baby carriage body,
Wherein the driving assist switch and the detecting element are provided on the handle body.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어시스트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그립이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 상기 차륜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키고,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그립이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 상기 차륜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키는, 유모차.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device provides driving force for advancing the wheel to the driving source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grip has been pushed forward or information pushed downward by the detecting element is detected in the assist mode, When the information that the grip is pulled rearward is detected by the driver, the drive source is provided with driving force for retracting the wheel.
상기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의 상기 핸들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는, 상기 그립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연신되고 또한 상기 그립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수축되거나, 또는, 상기 그립이 전방으로 밀리거나 혹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수축되고 또한 상기 그립이 후방으로 당겨지면 연신되는,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detecting ele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n gages attached to the handle body of the handle,
The at least one strain gauge is stretched when the grip is pushed forward or downwardly and is retracted when the grip is pulled backward or shrinks when the grip is pushed forward or downward And the grip is extended when pulled backw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5/075839 WO2017042959A1 (en) | 2015-09-11 | 2015-09-11 | Baby carri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438A true KR20180051438A (en) | 2018-05-16 |
Family
ID=5823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2899A KR20180051438A (en) | 2015-09-11 | 2015-09-11 | stroller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6629335B2 (en) |
KR (1) | KR20180051438A (en) |
CN (1) | CN107635851B (en) |
HK (1) | HK1243983A1 (en) |
TW (1) | TWI690444B (en) |
WO (1) | WO201704295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7104166U1 (en) * | 2017-07-12 | 2018-10-15 | Cybex Gmbh | Stroller frame and stroller |
DE202018105345U1 (en) * | 2018-09-18 | 2019-12-19 | Cybex Gmbh | Stroller frame and stroller |
US11511785B2 (en) * | 2019-04-30 | 2022-11-29 | Lg Electronics Inc. | Cart robot with automatic following function |
US11585934B2 (en) * | 2019-04-30 | 2023-02-21 | Lg Electronics Inc. | Cart robot having auto-follow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71897B2 (en) * | 2006-03-20 | 2011-07-05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Foldable stroller having discrete handlebar |
EP2114747B1 (en) * | 2007-02-19 | 2015-01-28 | Thorley Industries | Stroller |
JP2009012510A (en) * | 2007-07-02 | 2009-01-22 | Nippon Yusoki Co Ltd | Carriage |
JP5860658B2 (en) * | 2011-10-13 | 2016-02-16 | Kyb株式会社 | Electric assist cart |
JP6029911B2 (en) * | 2012-09-25 | 2016-11-24 | 株式会社ミツバ | Electric vehicle |
JP2014136568A (en) * | 2013-01-18 | 2014-07-28 | Stanley Electric Co Ltd | Electric power assist device for baby carriage |
US9669858B2 (en) * | 2013-07-17 | 2017-06-06 | Cathy Washington | Remote controllable self-propelled stroller |
JP2015047938A (en) * | 2013-08-30 | 2015-03-16 | 船井電機株式会社 | Movable body |
DE102013224885A1 (en) * | 2013-12-04 | 2015-06-11 | Robert Bosch Gmbh | Stroller with drive support |
JP5638712B1 (en) * | 2014-01-17 | 2014-12-10 | シャープ株式会社 | stroller |
-
2015
- 2015-09-11 WO PCT/JP2015/075839 patent/WO201704295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9-11 CN CN201580080344.0A patent/CN107635851B/en active Active
- 2015-09-11 JP JP2017538819A patent/JP6629335B2/en active Active
- 2015-09-11 KR KR1020177032899A patent/KR20180051438A/en unknown
-
2016
- 2016-09-10 TW TW105129433A patent/TWI690444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
- 2018-03-13 HK HK18103527.6A patent/HK1243983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690444B (en) | 2020-04-11 |
HK1243983A1 (en) | 2018-07-27 |
TW201710137A (en) | 2017-03-16 |
CN107635851A (en) | 2018-01-26 |
JP6629335B2 (en) | 2020-01-15 |
CN107635851B (en) | 2020-04-07 |
WO2017042959A1 (en) | 2017-03-16 |
JPWO2017042959A1 (en) | 2018-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635850B (en) | Baby carriage | |
KR20180051438A (en) | stroller | |
KR20180051437A (en) | stroller | |
KR102283384B1 (en) | Stroller | |
JP6556854B2 (en) | baby carriage | |
KR20170031625A (en) | Stroller | |
KR102259631B1 (en) | stroller | |
KR20170031626A (en) | Stroller | |
JP6702674B2 (en) | baby carriage | |
JP6655920B2 (en) | baby carri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