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047A - 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 Google Patents

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047A
KR20180051047A KR1020160147870A KR20160147870A KR20180051047A KR 20180051047 A KR20180051047 A KR 20180051047A KR 1020160147870 A KR1020160147870 A KR 1020160147870A KR 20160147870 A KR20160147870 A KR 20160147870A KR 20180051047 A KR20180051047 A KR 20180051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ensor
main frame
side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9271B1 (en
Inventor
김평중
오영규
이형대
홍성웅
Original Assignee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치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치오텍 filed Critical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71B1/en
Publication of KR2018005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nyl 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comprises: a main frame; and a vinyl house having a plastic sheet surrounding the main frame. The vinyl housing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comprises: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s, each of which is provided on lower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frame; humidity detection sensors, each of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frame; a sunlight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carbon dioxide spraying nozzles, each of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frame; water spraying nozzles, each of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frame; a lighting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values measured respectively by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s, the humidity detection sensors, and the sunlight detection sensor and compares the measured values with predetermined values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carbon dioxide spraying nozzles, the water spraying nozzles, and the lighting device operate.

Description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nyl 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습도 및 일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nyl 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nyl hous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humidity and daylight inside a vinyl house.

비닐하우스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시켜 사계절 내내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시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Greenhouses are widely used as facilities for cultivating crops throughout the seasons with minimal impact of the external environment.

초기의 비닐하우스는 비나 눈, 차가운 공기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농작물을 격리시키기 위한 기능만을 갖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나아가 농작물이 성장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Early greenhouses had only a function to isolate crops from outside environments such as rain, snow, and cold air, but more recently, interest in provid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growing crops is increasing.

농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대표적인 것에는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일광량 및 온도 등이 존재한다.Representativ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crops includ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sunlight and temperature.

따라서, 농작물이 보다 잘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농작물이 성장하기에 적합한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일광량 및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 is continuing to provid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humidity, sunlight and temperature suitable for growing crops in order to allow crops to grow better.

한국등록특허 제10-1456620호에는 냉난방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하우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456620 discloses a house system having a cooling and heating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위 한국등록특허에서는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온풍기와 에어 커튼을 포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ld / hot air fan and an air curtai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e is disclos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따라 농작물이 보다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일광량과 같은 내부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비닐하우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할 때 원거리에서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eenhouse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ternal environment such a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and sunlight so that crops can grow better according to the above requirements. 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vinyl 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even at a remote place when the environment inside the vinyl house is controlled.

본 발명의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감싸는 비닐(vinyl)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마련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마련된 습도 감지 센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된 일광 감지 센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마련된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마련된 물 분사 노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된 조명장치; 및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와 상기 습도 감지 센서와 상기 일광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값들을 선정된(predetermined) 기준값들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과 상기 물 분사 노즐과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green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and a vinyl enclosing the main frame, the greenhouse comprising: a carbon dioxide sensor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 humidity sensor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frame; A daylight sensor disposed on the main frame; A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 water jet nozzl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frame; An illumination device provided on the main fram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each of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carbon dioxide sensor, the humidity sensor, and the sunlight sensor,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s,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llumination device is operated or not.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는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과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main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rail longitudin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Here,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carbon dioxide senso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and is movable as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2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분사 노즐은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습도 감지 센서는 상기 물 분사 노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물 분사 노즐과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second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water spray nozzle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humidity sensor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water spray nozzle so as to be movable with the water spray nozzle.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3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는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t a low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May be included. Here, the carbon dioxide sensor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third guide rail.

이때,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1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선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을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들 중 상기 제1 위치확인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The first position detection sensor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or that moves along the third guide rail, and the first position sensor may transmit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or to the control unit . Here, whe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measured value received from the carbon dioxide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f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from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is operated.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4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물 분사 노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 감지 센서는 상기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main frame may further include fourth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water jet nozzl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 RTI > Here, the humidity sensor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fourth guide rail.

이때, 상기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2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습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선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물 분사 노즐을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들 중 상기 제2 위치확인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습도 감지 센서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물 분사 노즐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도록 마련된다.The humidity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sition sensor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umidity sensor moving along the fourth guide rail,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may transmit the position of the humidity sensor to the controller . Here, whe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injection nozzle should be operated,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water received from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nozzl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injection nozzle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humidity sensor is operated.

또한, 상기 일광 감지 센서 및 상기 조명장치는 각각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일광 감지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측정값들을 선정된 기준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 조명장치를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해당 측정값이 수신된 일광 감지 센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의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The daylight sensor and the illumin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ensor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ain frame. Here, whe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measurement value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aylight detection sensors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hen the event occurs, it is necessary that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value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received daylight detection sensor To operate the illumination device.

한편,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 무선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측정값들 및 상기 제어부에 선정된 기준값들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의해 확인 또는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wireless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Here, the measurement value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and reference value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r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confirmed or manipulated by th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일광량을 측정한 후 이들이 적절한 값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humidity and the daily light amount in the vinyl house, and then maintain the appropriate valu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일광량이 부족한 공간에만 이산화탄소, 물 및 빛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산화탄소 내부 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rbon dioxide, water, and light can be supplied only to a space wher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and sunlight amount are insufficient in the inside of a plastic house, so that the carbon dioxide internal environment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거리에서도 비닐하우스 내부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부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vinyl house even at a long distance, and to operate the devices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에서 비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에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및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에서 습도 감지 센서 및 물 분사 노즐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에서 일광 감지 센서 및 조명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vinyl is removed from the vinyl house shown in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and a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in the greenhous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humidity sensor and a water injection nozzle in the greenhouse shown in FIG. 2. FIG.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daylight sensing sensor and a lighting device in the greenhouse shown in FIG. 2.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green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과 비닐(vinyl, 2)을 포함한다.The vinyl house 100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 and a vinyl 2 as shown in FIG.

상기 메인 프레임(1)은 비닐하우스(10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의 형태와 크게 다르지 않다.The main frame 1 constitutes the basic framework of the greenhouse 100 and is not largely different from a general vinyl house.

상기 비닐은 상기 메인 프레임(1)을 감싸도록 마련된 것으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농작물을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vinyl is provided to enclose the main frame 1, thereby isolating crop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메인 프레임(1)과 비닐(2)은 기존의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와 동일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ain frame 1 and the vinyl 2 are the same as those of a conventional vinyl hous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와 습도 감지 센서(120)와 일광 감지 센서(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green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bon dioxide sensor 110, a humidity sensor 120, and a daylight sensor 130.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마련된 것으로,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carbon dioxide sensor 110 is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 and is used to detec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greenhouse 100.

이산화탄소는 공기중에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를 위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의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비닐하우스(100) 내부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carbon dioxide is located below the air,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greenhouse 100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by locating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110 below the main frame 1 as described above.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각각에 마련된 것으로,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humidity sensor 120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frame 1 and is used for sensing the humidity inside the greenhouse 100.

공기중의 수분은 이산화탄소와 달리 공기중에서 특정 방향으로 위치하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측면에서 임의의 높이에 위치시키게 된다.Unlike carbon dioxide, moisture in the air is not located in a specific direction in the air, so that the humidity sensor is positioned at an arbitrary height on the side of the main frame 1.

상기 일광 감지 센서(130)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 마련된 것으로, 비닐하우스(100)에 조사되는 일광량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daylight detection sensor 130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1 and is used to detect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to the greenhouse 100.

비닐하우스(1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주변 건물로 인한 그늘이 형성되지 않는 곳이 대부분이라 할 것이나, 비닐하우스(100) 내의 구조물 또는 장애물로 인하여 상기 일광 센서에 그늘막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광 센서를 위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비닐하우스(100)에 조사되는 일광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 location where the vinyl house 100 is installed is mostly a place where no shade is formed due to surrounding buildings. However, a shade can be formed on the daylight sensor due to a structure or an obstacle in the plastic house 100. Therefore, by positioning the daylight sensor on the main frame 1 as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to the greenhouse 100.

위와 같이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 습도 감지 센서(120) 및 일광 감지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값들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는 이산화탄소, 습도, 일광량에 대한 각각의 기준값이 선정(predetemined)되어 있다.The values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sensor 110, the humidity sensor 120 and the daylight sensor 13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reference values for carbon dioxide, humidity, and sunlight amount are predetected.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측정값들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들을 각각 비교하여,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환경이 적절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ler compares the received measured values with previously set reference values to determine whether the environment inside the vinyl house 100 is appropriate or not.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을 포함한다.The green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as shown in FIG.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은 이산화탄소 탱크(미도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을 경우 이산화탄소를 분사하여 적절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is used to inject carbon dioxide from a carbon dioxide tank (not shown) to inject carbon dioxide.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greenhouse 100 is low, carbon dioxide is injected to maintain an appropriat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을 개방시키게 된다.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sensor 110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

한편,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 한 개 만으로는 상기 비닐하우스(100)의 내부 전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entire interior of the greenhouse 100 can not be detected by only one of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s 110. Accordingly, the green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irst guide rails 140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는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과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Here,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40.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1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to be movable with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따라서,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가 상기 제1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한 감지 구역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어부에 설정된 이산화탄소 농도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을 개방하여 상기 감지 구역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sensing zone measured while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110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14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t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Is opene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sensing zone.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와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이 위와 같이 제1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경우, 비닐하우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공간을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When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110 and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40 as described above,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0 o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the space inside the greenhouse 100 flexibly.

한편, 위와 달리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3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은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111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1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 And a plurality of spacers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of the lower portions.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는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110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third guide rail.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이 위처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경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과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연결하는 호스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a plurality of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111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se connecting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and the carbon dioxide storage tank can be stably maintained.

여기서,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들 중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가 감지한 구역 주변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만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1 위치확인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inject only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1 around the area detected by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110 among the plurality of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111, the carbon dioxide sensing sensor 110, which moves along the third guide rail,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rmin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110.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는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제3 가이드레일 상에 위치하는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carbon dioxide sensor 110 moves along the third guide rail, the first position sensor may be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third guide rail.

상기 제1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선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을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들 중 상기 제1 위치확인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1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is provided to transmit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or 110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measured value received from the carbon dioxide sensor 11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s a result, When the nozzle 111 is operated,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10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or 110 received from the first position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111, (Not shown).

즉,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구역 주변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111)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greenhouse 100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by selectively opening only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111 around the zone whe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사 노즐(121)을 포함한다.The green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jection nozzle 121 as shown in FIG.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은 물 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습도가 낮을 경우 물을 분사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water spray nozzle 121 is used for spraying water from a water tank (not shown) and spraying water when the humidity inside the plastic house 100 is low to maintain proper humidity.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을 개방시키게 된다.The water spray nozzle 12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ler. When th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120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water spray nozzle 121 is opened Lt; / RTI >

한편,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 한 개 만으로는 상기 비닐하우스(100)의 내부 전체의 습도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2 가이드레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umidity of the entire interior of the greenhouse 100 can not be detected by only one humidity sensor 120. Accordingly, the vinyl 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rail 1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은 상기 제2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는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물 분사 노즐(121)과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Here, the water injection nozzle 121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50. The humidity sensor 12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water spray nozzle 121 and is movable with the water spray nozzle 121.

따라서,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가 상기 제2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한 감지 구역의 습도가 제어부에 설정된 습도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을 개방하여 상기 감지 구역의 습도를 증가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umidity of the sensing zone measured while the humidity sensor 120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50 is smaller than the humidity reference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 injection nozzle 121 Thereby increasing the humidity of the sensing zone.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와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이 위와 같이 제2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경우, 비닐하우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습도 감지 센서(12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물 분사 노즐(121)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공간을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When the humidity sensor 120 and the water injection nozzle 121 are mov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50 as described above, the humidity sensor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injection nozzle 121 o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injection nozzle 121. Therefore, the user can utilize the space inside the plastic house 100 flexibly.

한편, 위와 달리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4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물 분사 노즐(121)은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양 측면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water jet nozzle 121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guide rail (not show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pacers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는 상기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humidity sensor 120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fourth guide rail.

물 분사 노즐(121)이 위처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경우, 물 분사 노즐(121)과 물 탱크를 연결하는 호스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a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nozzles 121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se connecting the water injection nozzle 121 and the water tank can be stably fixed without moving.

여기서,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121)들 중 습도 감지 센서(120)가 감지한 구역 주변의 물 분사 노즐(121)만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2 위치확인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pray only the water spray nozzles 121 around the area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120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spray nozzles 121, the humidity sensor 120, which moves along the fourth guide rails, And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120.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는 상기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제4 가이드레일 상에 위치하는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humidity sensor 120 moves along the fourth guide rail, the second position sensor may be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fourth guide rail.

상기 제2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선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물 분사 노즐(121)을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121)들 중 상기 제2 위치확인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물 분사 노즐(121)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is provided to transmit the position of the humidity sensor 120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measured value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12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hen a case in which the nozzle 121 is to be operated is generated, the water injection nozzle 121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humidity sensor 120, which is received from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nozzles 121, (Not shown).

즉, 습도가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구역의 물 분사 노즐(121)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selectively opening only the water injection nozzles 121 having a humidity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the humidity inside the greenhouse 100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31)를 포함한다.The green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ing device 131 as shown in Fig.

상기 조명장치(131)는 비닐하우스(100) 내부에 조명을 비추어 농작물의 성장을 돕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The lighting device 131 is provided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100 to help grow crops and to be positioned above the main frame 1.

상기 조명장치(131)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광 감지 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일광량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조명장치(131)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illumination unit 131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amount of light measured by the daylight detection sensor 130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

한편, 상기 일광 감지 센서(130) 한 개 만으로는 상기 비닐하우스(100)에 조사되는 일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상기 일광 감지 센서(130)와 상기 조명장치(131)를 복수개씩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to the greenhouse 100 can not be accurately measured by only one daylight sensor 130. Therefore, the green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daylight sensing sensors 130 and the lighting devices 131.

이때, 상기 일광 감지 센서(130) 및 상기 조명장치(131)는 각각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익 복수의 일광 감지 센서(130)들로부터 수신된 측정값들을 선정된 기준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 조명장치(131)를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해당 측정값이 수신된 일광 감지 센서(130)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의 조명장치(131)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daylight sensor 130 and the lighting device 131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ain frame 1, respectively. Whe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measured value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aylight detecting sensors 130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at the measured value is the received daylight detection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illumination device 131 closest to the sensor 130.

따라서, 일광량이 부족한 위치의 조명장치(131)만 작동시킴으로써, 농작물에 빛이 과다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operating only the illumination device 131 at a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light is sh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from being excessively introduced into the crop.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일광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reen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maintai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humidity, and the sunlight amount inside the greenhouse 1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100)는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 무선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nyl house 100 ha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terminal (not shown) provided to b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측정값들 및 상기 제어부에 선정된 기준값들을 확인 또는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Here, th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to be able to confirm or manipulate measurement values received by the controller and reference values selected by the controller.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를 직접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상기 비닐하우스(100) 내부의 환경을 확인하고 이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not only can the user directly operate the control unit, but also the environment inside the greenhouse 100 can be checked and manipulated outside by using the wireless termin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except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110: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111: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
120: 습도 감지 센서 121: 물 분사 노즐
130: 일광 감지 센서 131: 조명장치
140: 제1 가이드레일 150: 제2 가이드레일
1: 메인 프레임 2: 비닐
100: Greenhouse with internal environmental control function
110: carbon dioxide sensor 111: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120: humidity sensor 121: water jet nozzle
130: Daylight sensor 131: Lighting device
140: first guide rail 150: second guide rail
1: Mainframe 2: Vinyl

Claims (9)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감싸는 비닐(vinyl)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마련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마련된 습도 감지 센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된 일광 감지 센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마련된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마련된 물 분사 노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된 조명장치; 및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와 상기 습도 감지 센서와 상기 일광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값들을 선정된(predetermined) 기준값들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과 상기 물 분사 노즐과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1. A vinyl house comprising a main frame and a vinyl wrapping the main frame,
A carbon dioxide sensor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 humidity sensor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frame;
A daylight sensor disposed on the main frame;
A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 water jet nozzl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frame;
An illumination device provided on the main frame; And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carbon dioxide sensor, the humidity sensor, and the sunlight sensor,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s, and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with the carbon dioxide spray nozzl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ighting device is operated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는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과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The carbon dioxide sensor includes a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2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 노즐은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습도 감지 센서는 상기 물 분사 노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물 분사 노즐과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guide rail longitudin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Wherein the water spray nozzle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humidity sensor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water spray nozzle, and is movable with the water spray nozzl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3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하부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는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guide rail longitudin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predetermined length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Wherein the carbon dioxide sensor has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third guide rai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1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선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을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들 중 상기 제1 위치확인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이산화탄소 분사 노즐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first position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or moving along the third guide rail,
Wherein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is adapted to transmit a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or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should be opera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received from the carbon dioxide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vinyl 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al control function for operating a carbon dioxide injection nozzle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제4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물 분사 노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습도 감지 센서는 상기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ourth guide rail longitudinally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water jet nozzl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umidity sensor has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fourth guide rai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2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습도 감지 센서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습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선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물 분사 노즐을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들 중 상기 제2 위치확인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습도 감지 센서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물 분사 노즐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umidity sensor moving along the fourth guide rail,
Wherein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is adapted to transmit the position of the humidity sensor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humidity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if the measured value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vinyl 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injection nozzle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sensor is op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광 감지 센서 및 상기 조명장치는 각각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일광 감지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측정값들을 선정된 기준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 조명장치를 작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해당 측정값이 수신된 일광 감지 센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의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ylight sensor and the ligh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ain frame,
Whe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measurement value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aylight detection sensors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necessary to turn on the illumination device, A vinyl house having an internal environmental control function adapted to operate the devic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 무선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측정값들 및 상기 제어부에 선정된 기준값들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의해 확인 또는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measurement value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reference value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re capable of being confirmed or operated by the wireless terminal.
KR1020160147870A 2016-11-08 2016-11-08 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KR101959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70A KR101959271B1 (en) 2016-11-08 2016-11-08 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70A KR101959271B1 (en) 2016-11-08 2016-11-08 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47A true KR20180051047A (en) 2018-05-16
KR101959271B1 KR101959271B1 (en) 2019-03-28

Family

ID=6245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870A KR101959271B1 (en) 2016-11-08 2016-11-08 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27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9647A (en) * 2018-07-23 2018-12-28 刘桂明 A kind of new energy vegetable cultivation storehouse
KR101952728B1 (en) * 2018-10-22 2019-02-27 이종빈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tus using magnetized water
KR20200037516A (en) * 2018-10-01 2020-04-09 김덕중 Springcooler device for vinyl house
FR3091970A1 (en) * 2019-01-25 2020-07-31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Greenhouse carbon fertilization process
CN114916355A (en) * 2022-05-30 2022-08-19 河南农业大学 Greenhouse moisture management decision-making system based on soil-plant-atmosphere continuum water potential gradi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662A (en) * 1996-03-25 1997-09-30 Nepon Inc Self-traveling sensor unit
KR20120118758A (en) * 2011-04-19 2012-10-29 오만식 Auto sprayer for green house
KR20160044841A (en) * 2014-10-16 2016-04-26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LED plant factory automation systems
JP2016146754A (en) * 2015-02-10 2016-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lant observation device and plant observation system
JP2017012057A (en)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Control device and agricultural house
JP2017035025A (en) * 2015-08-10 2017-02-16 富士電機株式会社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662A (en) * 1996-03-25 1997-09-30 Nepon Inc Self-traveling sensor unit
KR20120118758A (en) * 2011-04-19 2012-10-29 오만식 Auto sprayer for green house
KR20160044841A (en) * 2014-10-16 2016-04-26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LED plant factory automation systems
JP2016146754A (en) * 2015-02-10 2016-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lant observation device and plant observation system
JP2017012057A (en)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Control device and agricultural house
JP2017035025A (en) * 2015-08-10 2017-02-16 富士電機株式会社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9647A (en) * 2018-07-23 2018-12-28 刘桂明 A kind of new energy vegetable cultivation storehouse
KR20200037516A (en) * 2018-10-01 2020-04-09 김덕중 Springcooler device for vinyl house
KR101952728B1 (en) * 2018-10-22 2019-02-27 이종빈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tus using magnetized water
FR3091970A1 (en) * 2019-01-25 2020-07-31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Greenhouse carbon fertilization process
CN114916355A (en) * 2022-05-30 2022-08-19 河南农业大学 Greenhouse moisture management decision-making system based on soil-plant-atmosphere continuum water potential gradient
CN114916355B (en) * 2022-05-30 2023-08-18 河南农业大学 Greenhouse moisture management decision-making system based on soil-plant-atmosphere continuum water potential gra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271B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271B1 (en) Vinyl house having inside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Leadley et al. Open top chambers for exposing plant canopies to elevated CO 2 concentration and for measuring net gas exchange
KR101801460B1 (en) Greenhouse monitoring system
KR100530673B1 (en) Multiplex environment controller for greenhouse
US20130008224A1 (en) Method for calibration of a co2 concentration sensor and a measuring device
Lilienthal et al. Gas source tracing with a mobile robot using an adapted moth strategy
JP6634728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DE602004009803D1 (en) REMOTE-CONTROLLED CONTAMINATION MONITORING SYSTEM FOR WATER SUPPLY NETWORK
DE60135928D1 (en) INCUBATOR WITH MOISTURE SENSOR
WO2007002609A3 (en) Thermometer with color changing display
KR101349965B1 (en) Carbon dioxide analyzer having integral filter
KR20070109592A (en) Localiza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the mobile robot using the charging station
KR20160116070A (en) mushroom growing house
KR101469650B1 (en) Vinyl greenhouse growth environment monitoring and control apparatus using multi-point sensor
KR20200056788A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1708204B1 (en) Vinyl switchgear of greenhouses
KR101557551B1 (en) Sensor lamp having sensitivity controling function
DE60205233D1 (en) LASER-OPTICAL SENSOR SYSTEM FOR OBJECT DETECTION
JP6397393B2 (en) Environmental diagnostic system
CN103914081A (en) Greenhouse environment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CN209514102U (en) A kind of movable type weather station
CN107071325B (en) Crop raises system and crop raises situation uploading system
JP2019080517A (en) Plant cultivation facility
JP7481678B2 (en) Fruit growing equipment
TW202000010A (en) Cultivation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for cultiv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