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918A - Plc시스템 - Google Patents

Plc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918A
KR20180050918A KR1020160147543A KR20160147543A KR20180050918A KR 20180050918 A KR20180050918 A KR 20180050918A KR 1020160147543 A KR1020160147543 A KR 1020160147543A KR 20160147543 A KR20160147543 A KR 20160147543A KR 20180050918 A KR20180050918 A KR 20180050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module
convert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918A/ko
Publication of KR2018005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06Safety, monitoring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98Switching power on only when system needs control, stand 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제어대상기기들과 연결되는 PLC 시스템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모듈은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커넥터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파워 모듈의 출력신호를 DC/DC 변환하여 제 1 전원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전원신호를 상기 아날로그부로 출력하는 컨버터,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감시신호를 제어 모듈로 출력하는 감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LC시스템{PLC system}
본 발명은 아날로그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각 공정을 수행하는 제어대상기기들을 공정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릴레이는 제어대상기기들을 공정의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 제어하기 위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PLC 시스템은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과 수치 연산 기능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어를 수행하고 내부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의 로직을 수행한다. 이러한 PLC 시스템은 장치제어, 장치 수치세팅, 시간제어, 실시간감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안전장치 가동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LC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날로그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PLC 시스템(10)은 다수의 모듈(11, 12, 13) 및 다수의 모듈(11, 12, 13)이 실장되는 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한다.
다수의 모듈(11, 12, 13)은 외부의 교류전원(AC)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파워모듈(11), 각 제어대상기기(미도시)의 신호 및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12) 및 각 제어대상기기를 위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모듈(1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PLC 시스템(10)의 아날로그 모듈(13)은 제어 모듈(도 1의 12)에 의한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부(13a), 제어대상기기(미도시)에 의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부(13b), 및 파워 모듈(도 1의 11)의 출력신호를 DC/DC변환하여, 아날로그부(13b)에 전원신호를 공급하는 컨버터(13c)를 포함한다.
그런데, 컨버터(13c)는 노이즈 및 정전기 등에 의한 수명이 단축되는 수동소자들을 포함함으로써, 디지털부(13a) 및 아날로그부(13b)에 비해 수명이 짧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모듈(13)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되는 부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컨버터(13c)만을 교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컨버터(13c)의 고장으로 인한 아날로그 모듈(13)의 오동작이 발생되더라도, 컨버터(13c)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아날로그 모듈(13)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아날로그 모듈(13) 및 이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10)의 신뢰성 확보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 및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컨버터가 탈착될 수 있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하는 PLC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날로그 모듈을 통해 컨버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PLC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버터의 고장 발생 시, 구동을 중지하지 않고서도 컨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하는 PLC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시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PLC 시스템에 있어서, 교류전원신호를 변환하는 파워 모듈, 상기 각 제어대상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각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하는 PLC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아날로그 모듈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부, 상기 파워 모듈의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전원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전원신호를 상기 아날로그부로 출력하는 컨버터, 상기 파워 모듈의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제 2 전원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전원신호를 상기 아날로그부로 출력하는 예비전원부, 상기 컨버터와 상기 예비전원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 및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감시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로 출력하는 감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시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포함되면 제 1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시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신호와 상이한 제 2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2 스위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전원부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 모듈은 상기 아날로그부, 상기 예비전원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감시부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컨버터가 접속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 제 1 소켓과,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 제 2 소켓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PLC 시스템의 아날로그 모듈은 컨버터와 예비전원부 중 어느 하나와 파워 모듈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컨버터가 제거되더라도, 예비전원부를 통해 아날로그부에 전원신호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구동을 중지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컨버터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로 인해, PLC 시스템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PLC 시스템의 아날로그 모듈은 감시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컨버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감시신호를 제어 모듈로 전달하고, 제어 모듈은 감시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모듈을 통해, PLC 시스템은 컨버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컨버터의 고장 발생 시 아날로그 모듈의 구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컨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PLC 시스템의 유지 보수에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LC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날로그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아날로그 모듈에 있어서, 정상상태의 컨버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어 모듈이 컨버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아날로그 모듈에 있어서, 고장상태의 컨버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 및 그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모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아날로그 모듈에 있어서, 정상상태의 컨버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어 모듈이 컨버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도 6은 도 3의 아날로그 모듈에 있어서, 고장상태의 컨버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100)은 복수의 장착부(미도시)가 실장되고 백플레인버스(110)를 구현하는 신호배선을 포함하는 베이스(미도시)와 복수의 장착부를 통해 베이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120, 130, 140, 150, 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모듈(120, 130, 140, 150, 160) 중 적어도 하나(150, 16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기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모듈(120, 130, 140, 150, 160) 각각은 다양한 IC칩, 다양한 수동소자 및 슬롯이 실장된 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장착부 각각은 슬롯이 삽입되는 슬롯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백플레인버스(110)는 복수의 모듈(120, 130, 140, 150, 160)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이다.
복수의 모듈은 교류전원(AC)의 교류전원신호를 변환하는 파워 모듈(120), 각 제어대상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130), 각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모듈(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모듈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의 제어대상기기와 연결되는 통신모듈(150) 및 통신선로를 통해 근거리의 제어대상기기와 연결되는 입출력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파워 모듈(120)은 교류전원(AC)의 교류전원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전압레벨의 DC전원신호를 출력한다. 파워 모듈(120)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DC전원신호(이하, "파워 모듈의 출력신호"라 함)는 파워 모듈(120)을 포함한 복수의 모듈(130, 140, 150, 160)에 구동전원으로 공급된다.
제어 모듈(130)은 각 제어대상기기의 신호 및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 제어대상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아날로그 모듈(140)은 각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한다. 예시적으로, 아날로그 모듈(140)은 각 제어대상기기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증폭, 필터링, 분배 및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등과 같은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0)은 소정의 통신망으로 연결된 원거리의 제어대상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입출력 모듈(160)은 소정의 통신선로로 연결된 근거리의 제어대상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모듈(140)은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부(141), 파워 모듈(120)의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전원신호를 생성하고 제 1 전원신호를 아날로그부(141)로 출력하는 컨버터(143), 컨버터(143)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감시신호를 출력하는 감시부(144), 파워 모듈(120)의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제 2 전원신호를 생성하고 제 2 전원신호를 아날로그부(141)로 출력하는 예비전원부(145), 컨버터(143) 및 예비전원부(145) 중 어느 하나와 파워 모듈(120)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146)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부(147)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아날로그 모듈(140)은 아날로그부(141), 감시부(144), 예비전원부(145) 및 스위치(146)가 실장되는 회로기판(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부(147)도 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모듈(140)은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컨버터(143)가 접속되는 커넥터(14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커넥터(142)는 컨버터(143)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 제 1 소켓(1421)과, 컨버터(143)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 제 2 소켓(1422)을 포함한다.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로기판은 소정 두께의 기판과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배선층과, 적어도 하나의 금속배선층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에는 아날로그부(141), 커넥터(142), 감시부(144), 예비전원부(145), 스위치(146) 및 디지털부(147)가 실장된다.
예시적으로, 아날로그부(141), 감시부(144), 예비전원부(145), 및 디지털부(147) 각각은 회로기판에 실장된 수동소자 및/또는 집적회로 반도체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42) 및 스위치(146) 또한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먼저, 디지털부(147)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제어 모듈(130)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한다. 예시적으로, 디지털부(147)는 제어 모듈(130)과 송수신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수동소자 및/또는 집적회로 반도체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부(147)는 파워 모듈(120)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아날로그부(141)는 제어대상기기와송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증폭, 필터링, 분배 및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수동소자 및/또는 집적회로 반도체칩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42)는 컨버터(143)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제 1 소켓(1421)과, 컨버터(143)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제 2 소켓(14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및 제 2 소켓(1421, 1422)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버터(143)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파워 모듈(120)의 출력신호를 DC/DC 변환하여 제 1 전원신호를 생성하며, 제 1 전원신호를 아날로그부(141)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컨버터(143)는 커넥터(142)의 제 1 소켓(1421)을 통해 파워 모듈(12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파워 모듈(120)의 출력신호를 DC/DC 변환하여 제 1 전원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컨버터(143)는 컨버터(143)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 2 소켓(1422)를 통해 제 1 전원신호를 아날로그부(141)로 공급한다.
감시부(144)는 컨버터(143)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감시신호를 제어 모듈(13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감시부(144)는 컨버터(143)의 출력단자가 접속된 제 2 소켓(1422)에 연결되고, 컨버터(143)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감시신호를 제어 모듈(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감시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치(14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비전원부(145)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파워 모듈(120)의 출력신호를 DC/DC 변환하여 제 2 전원신호를 생성하며, 제 2 전원신호를 아날로그부(141)로 출력한다.
여기서, 예비전원부(145)에 의한 제 2 전원신호는 컨버터(143)에 의한 제 1 전원신호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스위치(146)는 컨버터(143)와 예비전원부(145) 중 어느 하나와 파워 모듈(120) 사이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46)는 파워 모듈(1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 1 단자(1461), 컨버터(143)의 입력단자가 접속되는 커넥터(142)의 제 1 소켓(1421)에 연결되는 제 2 단자(1462) 및 예비전원부(145)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제 3 단자(14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46)는 제어 모듈(130)의 스위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단자(1461)와 제 2 단자(1462) 사이를 연결하거나, 아니면 제 1 단자(1461)와 제 3 단자(1463)를 연결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20)은 감시부(144)로부터 감시신호를 수신하면 (S10), 감시신호가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0) 이때, 감시신호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 모듈(120)은 제 1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치(146)는 제 1 스위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143)와 파워 모듈(120) 사이를 연결한다. (S30) 반면, 감시신호가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어 모듈(120)은 제 1 스위치 제어신호와 상이한 제 2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치(146)은 제 2 스위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예비전원부(145)와 파워 모듈(120)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서, 임계범위는 컨버터(143)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 1 전원신호의 오차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의 감시신호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컨버터(143)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 1 전원신호가 출력되므로, 감시신호는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됨에 따라, 제어 모듈(120)은 제 1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컨버터(143)의 고장이 발생하면,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 1 전원신호가 출력되지 못하고, 그로 인해 감시신호는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못하므로, 제어 모듈(120)은 제 2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아날로그부(141)는 컨버터(143)와 예비전원부(145) 중 스위치(146)를 통해 파워 모듈(120)과 연결된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컨버터(143)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아날로그부(141)는 컨버터(143)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신호로 구동된다.
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버터(143)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아날로그부(141)는 컨버터(143)가 아닌 예비전원부(145)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신호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버터(143)가 고장인 경우에도, 아날로그부(141)의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예비전원부(145)에 의한 제 2 전원신호를 아날로그부(141)로 공급하여 아날로그부(141)의 구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넥터(142)와의 탈착 과정을 통해 컨버터(14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컨버터(143)의 이상으로 인해 아날로그 모듈(140)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는 경우, 감시부(144)를 통해 컨버터(143)의 고장 여부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30)이 컨버터(143)의 고장을 감지하면, 아날로그 모듈(140)을 통째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예비전원부(145)를 이용하여 아날로그부(141)의 구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커넥터(142)와의 탈착 과정을 통해 컨버터(143)의 교체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모듈(140) 및 이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100)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유지 보수에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PLC 시스템 110: 백플레인버스
120: 파워 모듈 130: 제어 모듈
140: 아날로그 모듈 141: 아날로그부
142: 커넥터 143: 컨버터
144: 감시부 145: 예비전원부
146: 스위치 147: 디지털부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PLC 시스템에 있어서,
    교류전원신호를 변환하는 파워 모듈;
    상기 각 제어대상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각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모듈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부;
    상기 파워 모듈의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전원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전원신호를 상기 아날로그부로 출력하는 컨버터;
    상기 파워 모듈의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제 2 전원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전원신호를 상기 아날로그부로 출력하는 예비전원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예비전원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 및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감시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로 출력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LC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모듈은
    상기 아날로그부, 상기 예비전원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감시부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컨버터가 접속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 제 1 소켓과,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플러그가 탈착되는 제 2 소켓을 포함하는 PLC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시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포함되면 제 1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시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신호와 상이한 제 2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2 스위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전원부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PLC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부를 더 포함하는 PLC 시스템.
KR1020160147543A 2016-11-07 2016-11-07 Plc시스템 KR20180050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543A KR20180050918A (ko) 2016-11-07 2016-11-07 Plc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543A KR20180050918A (ko) 2016-11-07 2016-11-07 Plc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18A true KR20180050918A (ko) 2018-05-16

Family

ID=6245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543A KR20180050918A (ko) 2016-11-07 2016-11-07 Plc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9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127A (ko) * 2021-02-01 2022-08-09 스마트론파워(주) 방수형 전원장치 및 이의 방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127A (ko) * 2021-02-01 2022-08-09 스마트론파워(주) 방수형 전원장치 및 이의 방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3902B2 (en) Safety controller and input-output unit therefor
US8400092B2 (en) Motor drive component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184417B2 (en)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analog inputs
US8149554B2 (en)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digital inputs
US20080126636A1 (en) Safety module and automation system
US10173321B2 (en) Robot syste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lers which operate a plurality of industrial robots
RU2007116767A (ru)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ем двигател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его оснащение
US20170036622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vehicle electrical system
CN113261396A (zh) 用于开关柜系统的基本模块和功能模块以及开关柜系统
KR101431301B1 (ko) 안전 증설 베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JP4661251B2 (ja) 電力変換制御システム
US20200259432A1 (en) Motor control system and motor control apparatus
KR20180050918A (ko) Plc시스템
US11054879B2 (en) Safety controller
US20120123562A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rocess
EP2937986A1 (en) A control module
JP2012252483A (ja) I/o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2重化システム
US8164216B2 (en) Modular electrical system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9209678B2 (en) Power converter system providing a load with electrical power
US10353448B2 (en) Computer mainboard, voltage supply module and method for voltage supply of a computer mainboard
CN114488769B (zh) 防护模块、具有防护模块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211454281U (zh) 一种报警检测自动断线控制仪
US10234882B2 (en) Electrical function group
CN102189995A (zh) 用于使在汽车中由控制器控制运行的功能单元停止运行的方法
US8559147B1 (en) Providing overvoltage protection by using redundant feedback p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