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017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017A
KR20180050017A KR1020160146660A KR20160146660A KR20180050017A KR 20180050017 A KR20180050017 A KR 20180050017A KR 1020160146660 A KR1020160146660 A KR 1020160146660A KR 20160146660 A KR20160146660 A KR 20160146660A KR 20180050017 A KR20180050017 A KR 2018005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layer
dispose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의진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017A/ko
Priority to EP17866815.8A priority patent/EP3537027B1/en
Priority to PCT/KR2017/012418 priority patent/WO2018084639A1/ko
Priority to US16/346,996 priority patent/US10845528B2/en
Priority to CN201780068193.6A priority patent/CN109906338B/zh
Priority to JP2019523853A priority patent/JP7048599B2/ja
Publication of KR2018005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017A/ko
Priority to US17/074,061 priority patent/US1116931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일면과 타면을 포함하는 광 변환모듈; 및 상기 광 변환모듈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제1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은 상기 광 변화모듈의 두께 방향이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광 변환모듈의 일면보다 높게 배치된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실시 예는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는 각종 광원을 이용하여 어두운 곳을 밝게 하는 장치이다. 조명 장치는 특정 대상이나 장소에 빛을 비추고 원하는 모양이나 색상으로 분위기를 표현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최근, LED(Light Emitting Diode)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LED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조명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기술의 조명 장치는 LED 광원과 LED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판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의 조명 장치 대부분은 발광면 전체에 균일한 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원하는 모양이나 색상으로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의 일부 조명 장치에서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거나 원하는 모양의 투광구를 갖는 필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이나 색상으로 분위기를 표현하는 경우, 장치의 구성이 기구적으로 복잡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원하는 모양에 있어서 설계 자유도가 제한되고, 설치나 조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원하는 모양이나 색상의 분위기나 광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갖고 설치나 조작이 간편한 조명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실시 예는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는 두께를 얇은 입체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인쇄회로기판이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자체가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반 조명, 디자인 조명, 차량 조명 등의 각종 조명 분야에서 다양한 형상의 입체효과를 갖는 광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일면과 타면을 포함하는 광 변환모듈; 및 상기 광 변환모듈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제1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은 상기 광 변화모듈의 두께 방향이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광 변환모듈의 일면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광 변환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배치되는 광가이드층;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층은 복수 개의 광학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학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의 출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 변환모듈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으로 광 변환모듈보다 높이 위치한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광 변환모듈의 상면으로 입사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층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층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과 광학층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층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광학층, 및 상기 복수 개의 광학패턴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은 제1회로기판 및 상기 제1회로기판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1광원모듈; 및 제2회로기판 및 상기 제2회로기판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2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2회로기판의 연장 방향은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두께를 얇은 입체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조명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조명, 디자인 조명, 차량 조명 등의 각종 조명 분야에서 다양한 형상의 입체효과를 갖는 광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a는 발광소자의 높이에 따라 광이 휘어지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높이가 다른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선형광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a는 높이가 다른 2개의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3a는 높이가 다른 2개의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60도 각도에서 본 사진이고,
도 3a는 높이가 다른 2개의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75도 각도에서 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광 변환모듈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구현하는 입체 영상을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구현하는 입체 영상을 우측에서 본 사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구현하는 입체 영상을 좌측에서 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후방 램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구성 A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구성 B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면, 구성 A와 구성 B가 결합된 실시 예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a는 발광소자의 높이에 따라 광이 휘어지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높이가 다른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선형광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일면(P1)과 타면을 포함하는 광 변환모듈(100), 및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200)을 포함한다.
광원 모듈(200)은 회로기판(210) 및 제1방향(Y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를 포함한다. 회로기판(210)은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는 제1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광원 모듈(200)과 광 변환모듈(100)이 90도 각도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광원 모듈(200)과 광 변환모듈(100)은 90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광원 모듈(200)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광 변환모듈(100)에 입사되어 관찰자에게 관찰될 수 있도록 각도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발광소자의 이격 거리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의 제1방향 이격 거리는 5mm 내지 50mm일 수 있다. 이격 거리가 5mm이하인 경우에는 선형광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 입체감을 느끼기 어려우며, 50mm를 초과하는 경우 간격이 너무 벌여져 통일된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제1방향으로 광 변환모듈(100)의 일면(P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광 변환모듈(100)의 두께 방향이거나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장 하부에 배치된 제1발광소자(201)는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발광소자(202)와 제3발광소자(203)는 제1방향으로 광 변환모듈(1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발광소자(201)에서 출사된 광(L1)은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발광소자(202)와 제3발광소자(203)에서 출사된 광(L2)은 광 변환모듈(100)의 일면(P1)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2발광소자(202)와 제3발광소자(203)에서 출사된 광(L2)은 광 변환모듈의 상면으로 입사하는 거리만큼 제1발광소자(201)보다 길어진다. 즉, 발광소자가 높이 배치될수록 광 경로는 길어지게 된다. 광 경로가 길어질수록 깊이감은 커질 수 있다.
광 변환모듈(100)은 제1베이스 기판(110), 제1베이스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광가이드층(150), 및 제1베이스 기판(110)과 광가이드층(150)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패턴층(180)을 포함한다.
제1베이스 기판(110)은 소정두께를 갖는 기판일 수 있다. 제1베이스 기판(110)은 광 변환모듈(100)을 지지하는 기판일 수 있다. 제1베이스 기판(110)을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베이스 기판(110)은 브라켓일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은 투명 기재로 마련된다. 광가이드층(150)은 2% 이하의 헤이즈(Haze)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필름 형상의 투명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광가이드층(150)의 광투과율은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광가이드층(150)의 광투과율은 선형광, 입체광 또는 입체효과선형광의 구현시 원하는 형상의 선형광이나 입체효과를 갖는 광이미지에 따라 약 60% 이상에서 선택될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의 광투과율이 60%보다 작으면 선형광 또는 입체광을 적절하게 표현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은 일면과 타면을 가질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은 플레이트 또는 필름 형상으로 마련될 때, 일면과 타면은 광가이드층(150)의 다른 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대략 서로 평행한 두 개의 면들이 된다. 일면은 광이 방출되는 광추출면일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은 글래스(Glass), 레진(Resin)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의 재료로는 열가소성 고분자, 광경화성 고분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광가이드층(150)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광가이드층(150)의 두께는 약 0.1mm 이상, 약 10.0mm 이하일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의 두께가 0.1mm보다 작으면, 광원부(30)의 LED 소자의 광출사면의 높이를 100㎛보다 작게 제조하기가 어렵거나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광가이드층(150)의 두께가 10.0mm보다 크면 장치의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고 재료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광가이드층(150)의 두께는 약 100㎛ 이상, 약 250㎛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광가이드층(150)은 롤(roll) 장치에 적절하게 감기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광가이드층(150)의 두께는 약 250㎛ 이상, 약 10.0m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광가이드층(150)은 롤(roll) 장치에 감기 어려우므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응용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보호층(160)은 광가이드층(150)의 상부에는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은 PET 필름일 수 있다.
반사패턴층(180)은 복수 개의 광학패턴(141)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광학패턴(141)은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의 출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입사된 광은 수직한 광학패턴(141)에 의해 상측으로 반사되어 선형광을 구현할 수 있다.
반사패턴층(180)은 제1베이스 기판(110)과 광가이드층(150)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층(120), 및 반사층(120)과 광가이드층(150) 사이에 배치되고 반사층(120)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광학패턴(141)을 포함하는 광학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층(120)과 광학층(140) 사이에는 이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130)는 접착층(170)이 배치된 공간 이외의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반사층(120)은 코팅층이나 반사필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반사층(120)은 평평한 반사필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반사층(120)을 이용하면, 후술하는 광학층(140)의 복수의 패턴(141)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되어 광가이드층(150)의 일면을 통과하여 광가이드층(150)의 외부로 진행하려는 빛을 반사시켜 광가이드층(150) 내부로 다시 반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학층(140)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선형광이나 입체효과 선형광의 광이미지에 변화를 주어 광 이미지를 더욱 뚜렷하게 표현하거나 더 뚜렷하지 않게 표현할 수 있다.
다만, 반사층(120)의 배치시, 이격부(130)의 간격은 0 초과, 수 ㎛ 이하로 설계할 수 있다. 이것은 이격부(130)에서의 빛의 원하지 않는 산란에 의해 광학층(140)에서 선형광 또는 입체효과 선형광이 잘 구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구현에 따라서 반사층(120)은 이격부(130)가 생략되도록 광가이드층(150)의 타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140)은 복수의 패턴(1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패턴(141)은 반사층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경사면(141a)을 갖는다. 복수의 패턴(141)은 소정 방향(x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패턴(141)은 별도의 광학층(140)에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가이드층(150)의 타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소정 방향(예컨대, z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광학패턴(141)의 경사면(141a)은 광가이드층(150) 내부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연장 방향에 의해 제1경로로 한정하며, 입사광을 제1경로상에서 광가이드층(150) 외부로 순차적으로 방출시키도록 기능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선형광의 길이 방향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전술한 경사면(141a)은 입사광의 난반사를 제한하며 입사광이 입사각으로 되돌아가는 빛이 거의 없도록 마련된다. 즉, 경사면(141a)은 입사광의 굴절 및 정반사에 의해 입사광을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학층(140)이 제1베이스 기판(110)과 광가이드층(15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학층(140)의 광학패턴(141)은 광가이드층(150)을 향해 돌출되고, 반사층(120)은 그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층은 광학패턴(141)을 따라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광가이드층(150) 내부에서 이동하는 빛(입사광)은 광학층(140)의 복수의 패턴(141)에서 의해 반사 및 굴절되고, 이러한 유도광에 의해 조명 장치는 복수의 패턴(141)들의 각 패턴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제1경로의 선형광(line shaped light)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순차 배열되고 경사면(141a)을 갖는 복수의 패턴(141)을 이용하면, 광학층(140) 상에 선형광 또는 입체효과 선형광을 표현할 수 있다. 복수의 패턴(141)의 각 패턴 연장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계하면, 광학층(140)을 지나는 입사광의 광경로를 각 패턴 연장 방향과 직각인 경로(제1경로)로 한정하면서 제1경로상에서 입사광의 제1면 방향으로의 순차 방출을 유도하여 입사광의 광폭 및 광도를 원하는 형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형광은 광학층(140) 상의 반구 영역(광 유효 영역)에 조사되는 빛을 소정 폭(광폭)과 이 광폭보다 긴 길이를 갖고 제1경로로 유도할 때 생성되는 빛 줄기를 지칭한다. 다시 말해서, 선형광은 광원의 광 유효 영역 내에서 기준점 또는 관측지점의 위치에 따라 제1경로의 빛이 주변 영역의 빛에 비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보이는 빛 줄기를 지칭한다.
패턴 연장 방향(z방향)은 경사면(141a) 상의 특정 직선이 연장하는 방향이거나 또는 경사면(141a)상의 곡선에 접하는 특정 접선이 연장하는 방향이다. 패턴 연장 방향은 복수의 패턴(141)에 빛을 비추는 광원의 출사광에 대한 광경로를 원하는 방향 즉 제1경로로 한정하고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즉, 각 패턴(141)의 경사면(141a)의 연장 방향은 대략 패턴의 배열면과 평행하고 제1경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광학층(140)의 각 광학패턴(141)의 경사면(141a)과 만나는 빛은 그 입사각에 따라 굴절되거나 반사된다. 즉, 입사각이 임계각(θc)보다 작으면, 광가이드층(150)을 지나는 빛은 일면 또는 광학패턴(141)을 투과하면서 굴절률의 차이에 따라 굴절되어 진행한다. 또한, 광가이드층(150)을 지나는 빛은 입사각이 임계각(θc) 이상일 때 일면 또는 광학패턴(141)의 경사면(141a)에서 반사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은 광가이드층(150)과 공기의 굴절률 차에 의해 굴절한다. 여기서, θA는 Resin에서 나온 빛(In Air)이 Detector로 들어가는 각도이고, θd 모듈의 중심과 디텍터(관찰자) 사이의 각도이고, θn은 Resin 내에서 빛의 굴절 각도이고, OC는 LED에서부터 모듈의 중심까지의 거리이고, OA는 모듈의 중심에서 빛이 공기 중으로 나가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이때,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된 제1발광소자(201)에서 출사된 광에 비해 광 변환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된 제2발광소자(202)에서 출사된 광은 광 경로(AC)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3발광소자(203)에서 출사된 광은 상대적으로 θn이 작아지게 되어 휘어짐이 작아진다.
도 2b를 참조하면, 광 변환모듈(100)의 상면에서 높이 배치될수록 선형광의 휘어짐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발광소자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곡률을 갖는 선형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는 높이가 다른 2개의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3a는 높이가 다른 2개의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60도 각도에서 본 사진이고, 도 3a는 높이가 다른 2개의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75도 각도에서 본 사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에 제1발광소자(201)를 배치하고, 제1발광소자(201)에서 10mm 이격시켜 제2발광소자(202)를 배치한 경우, 정면에서 관찰하면 제1발광소자(201)에서 출사된 광(1)과 제2발광소자(202)에서 출사된 광(2)은 위치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측면에서 관찰하는 경우 제2발광소자(202)에서 출사된 광(2)은 관찰자의 시선에 따라 크게 휘어지게 되고, 제1발광소자(201)에서 출사된 광(1)의 경우 레진의 굴절률에 따라 약 42도 정도의 한계 값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즉, 발광소자를 광 변환모듈(100)보다 높게 배치하는 경우 측면 관찰시 휘어짐 각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광 변환모듈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광원 모듈(200)은 제2베이스 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제1회로기판(211)과 제2회로기판(212)을 포함한다. 제2베이스 기판(220)은 반원 형상의 홈(222)이 형성되고 홈(222)의 외주면에는 회로기판이 고정되는 슬릿(221)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회로기판(211)과 제2회로기판(212)의 사이 각도(θ2)를 조절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211)과 제2회로기판(212)에는 각각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회로기판(211)과 제2회로기판(212)의 제1발광소자(201)는 광 변환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3발광소자는 제1방향(Y방향)으로 광 변환모듈(100)의 일면(P1)보다 높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제3발광소자(202, 203)는 광 변환모듈(100)보다 높게 배치되어 제1발광소자(201)에 의해 생성되는 선형광보다 깊이감이 있는 선형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구현하는 입체 영상을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구현하는 입체 영상을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구현하는 입체 영상을 정면에서 본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발광소자(201, 202, 203)에서 방출된 광은 상부로 갈수록 휘어져 상부 중심(P1)에서 수렴하는 입체광을 형성한다. 입체 영상은 측면에서 관찰하면 입체감을 더 느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후방 램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자동차의 조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름 형태의 유연한 조명 장치로서 건물, 설비, 가구 등의 조명 설치 대상의 내외측 곡면부나 굴곡부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아우터 렌즈(510)는 광가이드부, 광가이부와 입체효과 형성부 및 반사부가 조합된 광학 부재 및/또는 광원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또는 하우징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렌즈(510)는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는 일정 수준 이상의 광투과율 또는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실시 예의 조명장치는 이륜 자동차(모터 사이클, 1)의 후미등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면과 타면을 포함하는 광 변환모듈; 및
    상기 광 변환모듈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제1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은 상기 광 변화모듈의 두께 방향이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광 변환모듈의 일면보다 높게 배치된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환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배치되는 광가이드층;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패턴층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층은 복수 개의 광학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학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의 출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 변환모듈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광 변환모듈보다 높이 위치한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광 변환모듈의 일면으로 입사하는 조명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층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층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광학층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과 광학층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층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광가이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광학층, 및
    상기 복수 개의 광학패턴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제1회로기판 및 상기 제1회로기판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1광원모듈; 및
    제2회로기판 및 상기 제2회로기판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2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2회로기판의 연장 방향은 소정 각도를 갖는 조명장치.
  10. 제1항에 따른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60146660A 2016-11-04 2016-11-04 조명장치 KR20180050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60A KR20180050017A (ko) 2016-11-04 2016-11-04 조명장치
EP17866815.8A EP3537027B1 (en) 2016-11-04 2017-11-03 Lighting device
PCT/KR2017/012418 WO2018084639A1 (ko) 2016-11-04 2017-11-03 조명장치
US16/346,996 US10845528B2 (en) 2016-11-04 2017-11-03 Lighting device
CN201780068193.6A CN109906338B (zh) 2016-11-04 2017-11-03 照明装置
JP2019523853A JP7048599B2 (ja) 2016-11-04 2017-11-03 照明装置
US17/074,061 US11169318B2 (en) 2016-11-04 2020-10-19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60A KR20180050017A (ko) 2016-11-04 2016-11-04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17A true KR20180050017A (ko) 2018-05-14

Family

ID=6218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60A KR20180050017A (ko) 2016-11-04 2016-11-04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0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199B2 (en) Lighting device having non-planar diffuser with array of 3D elements
US10317607B2 (en) Optical member having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ortion and multiple effect forming portion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US9732939B2 (en)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80080327A (ko) 조명 장치
US10767837B2 (en)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64665A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164531B1 (ko) 조명 장치
US10746355B2 (en) Lighting device
KR20180050017A (ko) 조명장치
CN109906338B (zh) 照明装置
CN110249172B (zh) 照明装置
KR102354291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249867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KR102399334B1 (ko) 조명 장치
KR102468322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2362337B1 (ko) 발광표시 장치
KR102142533B1 (ko) 조명 장치
KR102157687B1 (ko)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KR102249869B1 (ko) 측면 반사를 이용하는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