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397A - Cup holder - Google Patents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397A
KR20180049397A KR1020160144339A KR20160144339A KR20180049397A KR 20180049397 A KR20180049397 A KR 20180049397A KR 1020160144339 A KR1020160144339 A KR 1020160144339A KR 20160144339 A KR20160144339 A KR 20160144339A KR 20180049397 A KR20180049397 A KR 20180049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main body
gripp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9397A/en
Publication of KR2018004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3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which can be compatibly used for cups of various external diameters and stably and steadily supported by the entire cups so as to be used for cups of various sizes and to enable a user to stably and easily grasp the c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can comprise: a holder main body in which a cup is inserted to form a gripping portion for a user at an outer side of the cup; and a gripping wing unit unfol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p is inserted and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lder main body to com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up. Moreover, the holder main body can have a rim for maintaining an interval for forming a gap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gripping wing unit to form a ga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Description

컵홀더{Cup holder}Cup holder

본 발명은 다양한 외경의 컵에 호환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이때 서로 다른 외경의 컵 모두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에 공통 적용되면서 해당 컵들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ups of various outer diameters and can be stably and firmly supported on both cups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Thus, the cups can be applied to various sizes of cups, To the cup holder.

일반적으로 컵홀더는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의 외면에 결합되어 음료의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이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즉, 컵홀더는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을 더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다.In general, the cup holder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containing the hot or cold beverage to prevent the hot or cold energy of the beverag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and. That is, the cup holder is used to make it easier to grasp a cup containing a hot or cold drink.

따라서, 컵홀더는 커피전문점, 편의점, 패스트 푸드점 등 일회용 컵의 사용이 많은 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Accordingly, the cup holder is mainly used in a place where a disposable cup such as a coffee shop, a convenience store, or a fast food shop is used.

이러한 컵홀더의 일반적인 예로는 비교적 두꺼운 종이 내지 골판지(이하 “종이”라 통칭함)를 원통형으로 말아 제작하거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형태가 있다.As a typical example of such a cup holder, there is a form in which a relatively thick paper or corrugated cardboard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paper ")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or a synthetic resin is injection molded.

종이로 제작된 컵홀더의 경우 무게가 매우 가벼운 동시에 반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나, 습기에 약하고 방수 기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에 적용 시 해당 컵의 표면에 결로 현상으로 발생되는 수분이 그대로 흡수되면서 쉽게 젖고, 이는 해당 컵홀더가 쉽게 찢어지는 등의 내구성 약화로 이어져 사용 상 큰 불편함을 주는 것이었다.The cup holder made of paper is very light in weight and it can be folded in half, so it has excellent space utilization, but it is weak in moisture and waterproof. Accordingly, when applied to a cup containing cold beverages, the moisture generated by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cup is absorbed as it is easily absorbed, which leads to weakness of durability such as tearing of the cup holder easily, .

그리고 합성수지로 제작된 컵홀더의 경우 방수 기능이 있어 종이 컵홀더에서 발생되는 상술한 불편함을 유발하진 않지만, 비교적 경질인 소재의 특성상 다양한 크기의 컵에 호환 적용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up holder made of a synthetic resin does not cause the aforementioned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aper cup holder due to its waterproof function, it is difficult to use the cup holder in a variety of sizes.

커피전문점을 예로 부연 설명하면, 대부분의 커피전문점에서는 커피 종류별로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을 서로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고, 이에 따라 사이즈가 다른 컵별로 그에 맞는 크기의 컵홀더가 필요한 실정이다.For example, in coffee shops, most coffee specialty stores sell different sizes of coffee products at different prices. Therefore, different sizes of cups are required for each type of cup.

그러나 현재 사용되거나 제안된 합성수지 소재의 컵홀더 중 다양한 크기의 컵에 호환되어 적용될 수 있는 동시에 우수한 호환 기능을 갖는 형태는 없었다. 이에 더하여 다양한 크기의 컵에 호환 적용되면서도 음료의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형태는 더더욱 없는 상황이다.However, there is no compatible type that can be applied to cups of various sizes among currently used or proposed synthetic resin cup holders. In addition, it is compatible with cups of various sizes, and there is no form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hot or cold air of drinks.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01241호(2016.04.15.공개), “음료용 컵 홀더”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1241 (published on April 15, 2015), "Cup holder for beverage" 한국 등록특허 제10-1243076호(2013.03.18.공고), “종이컵 홀더”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43076 (Announcement on March 31, 2013), "Paper Cup Hold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외경의 컵에 호환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이때 서로 다른 외경의 컵 모두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에 공통 적용되면서 해당 컵들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ups of various outer diameters and can be stably and firmly supported on both cups of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y are commonly applied to cups of various sizes, And a cup holder for holding the cup hol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컵의 외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러한 접촉 면적의 최소화를 위한 구조가 사용자의 파지에는 도움을 주는 형태로 이루어져, 컵에 담긴 음료로부터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의 전달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컵홀더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nd the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contact area has a shape that helps the user to grasp the hot and cold A cup holder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grasp more stably and comfortably while minimizing the transmission of energ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컵 홀더는 컵이 삽입되어 상기 컵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홀더 본체와, 상기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컵의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홀더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파지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main body having a cup inserted therein and forming a grip region of the user from the outside of the cup and a holder body extending from the cup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cup, And a phage w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또한, 상기 파지 날개부는 복수의 단위 파지 날개가 상기 홀더 본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blade portion may hav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gripping blades ar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또한, 상기 파지 날개부는 5개의 상기 단위 파지 날개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불연속적인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blade portion may be a discontinuous shape in which the five unit gripping blades are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또한, 5개의 상기 단위 파지 날개는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 본체의 하부는 5개의 상기 단위 파지 날개를 제외한 나머지 관통 영역이 5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ve unit finger wings may be formed into an arcuate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main body may have a pentagon shape except for the five unit finger wings.

또한, 상기 홀더 본체는 하단 및 상기 파지 날개부와의 사이에 상기 컵의 외면과 갭(gap) 형성을 위한 간격 유지용 테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may be provided with a gap-maintaining frame for forming a ga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gripping wing.

또한, 상기 홀더 본체는 내경이 하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형태일 수 있다.Also, the holder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또한, 상기 홀더 본체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The holder body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are alternately formed.

또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projections and the second projections may b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컵홀더가 다양한 외경의 컵에 호환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이때 컵홀더는 서로 다른 외경의 컵 모두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에 공통 적용되면서 그 사용자는 해당 컵들을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can be applied to be compatible with cups of various outer diameters, and at this time, the cup holder can be stably and firmly supported on both cups of different outer diameters, The user can grasp the cups more stably and comfortably.

또한, 컵홀더가 컵의 외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러한 접촉 면적의 최소화를 위한 구조가 사용자의 파지에는 도움을 주는 형태임에 따라, 사용자는 컵홀더의 파지 시 컵에 담긴 음료로부터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을 적게 전달받는 동시에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up holder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nd the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contact area is a form for helping the user to grasp the user, It is possible to receive less heat or cold air from the beverage and at the same time to be more stable and comfortable to gras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를 아래쪽에서 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the cup holder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ever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 " "... Module " or the like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에 대해 설명한다.1 to 4,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를 아래쪽에서 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 3 is a bottom view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100)는 홀더 본체(110) 및 파지 날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100)는 간격 유지용 테(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body 110 and a gripping blade 120. Further,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ap holding frame 130.

설명에 앞서, 컵홀더(100)의 컵(10) 삽입을 위해 관통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컵(10)의 삽입이 시작되는 쪽을 상측이라 정하고 이러한 상측의 반대되는 쪽을 하측이라 정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측 내지 하측 및 상방향 내지 하방향의 기재는 이에 따른 것임을 밝혀 둔다.Prior to the explanation, the side where the insertion of the cup 10 is started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cup holder 100 is inserted for inserting the cup 10 is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opposite side to the upper side is defined as the lower side, The description of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s as follows.

홀더 본체(110)는 컵(10)이 삽입되어 이렇게 삽입되는 컵(10)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홀더 본체(110)는 컵홀더(100)의 기본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실제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홀더 본체(110)는 내경이 하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main body 110 functions to form a grip region of the user on the outside of the cup 10 into which the cup 10 is inserted. In other words, the holder main body 110 forms a basic outer shape of the cup holder 100 and is a portion that the user actually grasps by hand. The holder body 11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파지 날개부(120)는 홀더 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이러한 파지 날개부(120)는 홀더 본체(110)에 대한 컵(10)의 삽입 시 컵(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펼쳐지는 방향의 선단이 컵(10)의 외면에 접한다.The gripping wings 120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lder main body 110. The gripping wings 120 are exten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up 10 is inserted when the cup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ain body 110 So that the tip of the cup 1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파지 날개부(120)는 홀더 본체(110)에 삽입되는 컵(10)의 하단에 밀려 하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컵(10)의 외면에 접한다. 다시 말해, 파지 날개부(120)는 홀더 본체(110)에 대한 컵(10)의 삽입 시 컵(10)의 하단에 밀려 하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펼쳐지는 방향의 선단 내지 내면이 컵(10)의 외면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홀더 본체(110)는 컵(10)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gripping blade 120 is pushed by the lower end of the cup 10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110 and spreads downward to abut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In other words, when the cup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ain body 110, the gripping wing portion 120 is pushed by the lower end of the cup 10 and spreads downward. So that the holder body 110 can be held in a more stable and firmly supported state in the cup 10.

그리고 파지 날개부(120)는 홀더 본체(110)에 삽입되는 컵(10)의 외경에 따라 홀더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펼치지는 각도가 자연스럽게 조절되며, 파지 날개부(120)의 이러한 기능에 따라 컵홀더(110)는 다양한 외경의 컵(10)에 호환되면서 적용 가능한 동시에 서로 다른 외경의 컵(10)에 공통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angle of the wing blade 120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110 is natur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up 10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110, The cup holder 110 can be applied while being compatible with the cups 10 having various outer diameters and can be stably and firmly supported in common to the cups 10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또한, 파지 날개부는(120)는 복수의 단위 파지 날개(121)가 홀더 본체(110)의 지름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파지 날개부(120)가 홀더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태에 비해 컵(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펼침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재료의 사용량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gripping wing 12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gripping blades 121 ar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long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110. With this configuration, unfolding oper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p 10 is inserted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compared with the form in which the gripping wing portion 120 is continuously formed lo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1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material used.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단위 파지 날개(121)가 홀더 본체(110)의 지름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예로 하였으며, 이는 복수의 단위 파지 날개(121)가 홀더 본체(110)의 지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보다 더욱 컵(10) 삽입 방향으로 펼침 동작이 원활한 동시에 제조비용의 절감을 가능케 하는 것이지만, 상대적으로 컵홀더(100)의 컵(10)에 대한 지지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unit finger vanes 121 are dis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110.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unit finger vanes 121 ar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unfolding operation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up 10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cup holder 100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up 10. However, .

따라서, 컵(10)의 외경 등을 고려하여 단위 파지 날개(121)의 개수 및 간격 등이 적절히 선택되면 될 것이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up 10,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unit finger blades 121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또한, 본 출원인은 파지 날개부(120)를 형성하는 단위 파지 날개(121)의 개수 및 형상 등에 대해 더 연구한 결과, 5개의 단위 파지 날개(121)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불연속적인 형태일 때 해당 컵홀더(100)의 컵(10)에 대한 지지력이 최적의 상태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further study on the number and shape of the unit finger wings 121 forming the finger wing 120, the present applicant has found that the five unit finger wings 121 are dispos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It is confirmed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up holder 100 with respect to the cup 10 becomes optimal.

이에 더하여, 5개의 단위 파지 날개(121)가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홀더 본체(110)의 하부가 5개의 상기 단위 파지 날개(121)를 제외한 나머지 관통 영역이 5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 해당 컵홀더(100)의 컵(10)에 대한 지지력이 최적의 상태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five unit gripping blades 121 are each formed into an arcuate shape, and thus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main body 110 has a pentagon shape except for the five unit finger wings 12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up holder 100 with respect to the cup 10 becomes optimal.

간격 유지용 테(130)는 홀더 본체(110)의 하단 및 파지 날개부(1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간격 유지용 테(130)는 컵홀더(100)에 컵(10)을 삽입 시 컵홀더(100)의 내면과 컵(10)의 외면 사이에 갭(gap)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gap holding frame 13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older main body 110 and the gripping wing portion 120. The gap holding frame 130 is formed by inserting the cup 10 into the cup holder 100 So that a gap can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즉, 컵홀더(100)의 내면과 컵(10)의 내면 간 접촉되는 면적이 작을수록 컵(10)에 담긴 음료의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이 컵홀더(100)에 적게 전달될 것이고, 이는 사용자가 컵홀더(100)를 보다 쉽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간격 유지용 테(130)가 하는 것이다.That is, as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10 is smaller, the hot or cold energy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10 will be less transmitted to the cup holder 100,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up holder 100 more easily and comfortably, so that the gap retaining frame 130 performs this function.

그리고 홀더 본체(11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1) 및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12)가 번갈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111) 및 제2 돌출부(112)에 의해서 홀더 본체(110)의 외면 및 내면은 각각 요철면의 형태를 이루며, 이에 따라 홀더 본체(110)의 내면과 컵(10)의 외면 간 접촉 면적이 축소되면서 컵(10)에 담긴 음료의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이 컵홀더(100)에 보다 적게 전달되고, 또한 홀더 본체(110)의 외면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동작 시 미끄럼 현상 등이 적극 방지되면서 사용자가 보다 안정감 있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The holder body 11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first protrusion 111 protruding outward and a second protrusion 112 protruding inward are alternately formed.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main body 110 are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12 respectively in the form of uneven surface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up 10 and the holder body 110 is reduced so that the hot or cold energy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10 is less transmitted to the cup holder 100 and the slip phenomenon during the user's gripp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110 It is possible to grasp the user more comfortably and comfortably.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돌출부(111) 및 제2 돌출부(112)가 홀더 본체(110)의 지름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111) 및 제2 돌출부(112)는 상하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는 형태 등 번갈아 형성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12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trusions 111 and the second protrusions 112 may be alternatively formed within the range of alternately forming the protrusions 111 and the protrusions 11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다양한 외경의 컵에 호환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이때 서로 다른 외경의 컵 모두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에 공통 적용되면서 해당 컵들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1 to 4,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ups of various outer diameters in a compatible manner, and at this time, a stable and firm support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user to grasp the cups more reliably and comfortably while being commonly applied to cups of various sizes.

또한, 컵홀더가 컵의 외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러한 접촉 면적의 최소화를 위한 구조가 사용자의 파지에는 도움을 주는 형태임에 따라, 사용자가 컵홀더의 파지 시 컵에 담긴 음료로부터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을 적게 전달받는 동시에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cup holder has a configuration that minimizes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nd the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contact area helps the user to grip the cup, It is able to receive less heat or cold energy from the beverage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it more stable and comfortable to grasp.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set forth below,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컵홀더 110 : 홀더 본체
111 : 제1 돌출부 112 : 제2 돌출부
120 : 파지 날개부 121 : 단위 파지 날개
130 : 간격 유지용 테 10 : 컵
100: cup holder 110: holder body
111: first protrusion 112: second protrusion
120: Finger blade section 121: Unit finger blade
130: gap holding frame 10: cup

Claims (8)

컵이 삽입되어 상기 컵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홀더 본체;
상기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컵의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홀더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파지 날개부를 포함하는 컵홀더.
A holder body having a cup inserted therein to form a gripping region of the user outside the cup;
And a gripping blad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lder body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while being exten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up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날개부는 복수의 단위 파지 날개가 상기 홀더 본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wing portion i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grip wings ar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날개부는 5개의 상기 단위 파지 날개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불연속적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ipping blade has a discontinuous shape in which five unit finger van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5개의 상기 단위 파지 날개는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 본체의 하부는 5개의 상기 단위 파지 날개를 제외한 나머지 관통 영역이 5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ve unit finger wings are each formed into an arcuate shape so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lder main body has a pentagonal shape with the remaining through-holes excluding the five unit finger w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하단 및 상기 파지 날개부와의 사이에 상기 컵의 외면과 갭(gap) 형성을 위한 간격 유지용 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ap holding frame for forming a ga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older main body and the grip w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내경이 하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body has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body has a shape in which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are alternately form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protrusions and the seco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KR1020160144339A 2016-11-01 2016-11-01 Cup holder KR201800493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339A KR20180049397A (en) 2016-11-01 2016-11-01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339A KR20180049397A (en) 2016-11-01 2016-11-01 Cup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397A true KR20180049397A (en) 2018-05-11

Family

ID=6218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339A KR20180049397A (en) 2016-11-01 2016-11-01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939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en) Cup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US7225927B2 (en) Cup holder having frusto-conical cavities
US10045645B2 (en) Portable cup holder
KR20120052215A (en) Production method for disposable cup sleeve
KR101445343B1 (en) The cup holder is provided with a handle
KR200382710Y1 (en) A cup holder
KR20180049397A (en) Cup holder
KR20120134696A (en) Paper cup holder
US11045029B2 (en) Fitted coast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9955809B2 (en) Cup sleeve with pocket
KR101793097B1 (en) Cup carrier
US20040134919A1 (en) Multi-piece vessel
KR200491069Y1 (en) Cup holder
KR20180082730A (en) Takeout food beverage cup holders
US9603474B2 (en) Cup holder with a handle
US20200140180A1 (en) Coffee cup sleeve with outside pouch
KR20190073720A (en) Folding cup holder
KR200281591Y1 (en) Develop type cup holder
CA2930217A1 (en) Cup container having an integrated sleeve
KR20120006515U (en) Cup Holder
KR200310069Y1 (en) a crosspiece
KR20130087782A (en) Paper cup having a united handle
KR20130007168U (en) Prefabricated cupholders
KR20140005803U (en) Safety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