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714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714A
KR20180047714A KR1020160144365A KR20160144365A KR20180047714A KR 20180047714 A KR20180047714 A KR 20180047714A KR 1020160144365 A KR1020160144365 A KR 1020160144365A KR 20160144365 A KR20160144365 A KR 20160144365A KR 20180047714 A KR20180047714 A KR 2018004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efrigerator
information
food
fres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5622B1 (en
Inventor
최태홍
강연아
전수진
이상원
시에즈마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622B1/en
Publication of KR2018004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7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8Food, e.g. fruit or vege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comprises: at least one drawer disposed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er compartment to form a space for storing foods in the drawer; at least one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drawers and disposed in a door of the refrigerator to output light;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receives a sensing result of internal environments of a first drawer among the drawers from a sensor apparatus installed in the first drawer,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freshness of the foods stored in the first drawer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result. Moreover, the controller outputs the generated freshness information using a first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wer among the output units.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드로어 각각에 구비되는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신선도를 감지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at senses the freshness of foods by using a sensor device provided in each drawer.

음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형되어가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부패가 시작된다. 이러한 변형 및 부패를 늦추기 위해 저온의 냉장고 내에 음식물을 보관하나, 냉장고에 보관된 음식물 또한 결국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 및 부패될 수 있다.Food is slowly transformed over time, and corruption begins when a certain amount of time passes. In order to slow down such deformation and corruption, food is stored in a low-temperature refrigerator, but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may eventually deform and decay over time.

음식물의 부패는,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현상을 의미하고, 주로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일컫는다.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면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 등의 가스가 발생하고, 이러한 가스에 의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음식물의 부패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다.Corruption of food means the phenomenon that organic matter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microorganisms, and mainly refers to decomposition of proteins. When organic matter is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gases such as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methane are generated, and odors may be generated by these gases. Food corruption can proceed at a faster rate in a hot and humid environment.

음식물이 변형되거나 부패되었음에도, 사람들은 이를 육안으로만 잘못 판단하여 음식물을 취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음식물을 잘못 섭취함에 따른 식중독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Even though food is deformed or decayed, people often misjudge it and eat food.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food poisoning or the like due to the wrong eating of the food. Measures are needed to prevent these risks.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오픈하지 않고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어에 보관 중인 음식물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confirm the freshness of food stored in a drawer provided in a refrigerating chamber or a freezing chamber without a user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종류에 기초한 보다 정확한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generate more accurate freshness information based on the type of foo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본 발명의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냉장고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대응하고,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어 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중 제1 드로어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제1 드로어의 내부 환경에 대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결과로부터 상기 제1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생성된 신선도 정보를 상기 제1 드로어에 대응하는 제1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t least one drawer for storing food, at least one refrigerato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And may include one output unit. The refrigerator receives the sensing result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first drawer from the sensor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drawer among the at least one drawer and generates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drawer from the received sensing result . The refrigerator may output the generated freshness information using a first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wer.

본 발명의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선도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제1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상기 제1 드로어에 대응하는 제1 신선도 아이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displaying at least one freshness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The refrigerator can display th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drawer through the first freshness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wer.

본 발명의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제1 드로어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센싱 결과 및 상기 센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드로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로부터, 식별된 상기 제1 드로어에 보관된 상기 음식물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음식물의 정보 및 상기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The refrigerator can receive the sensing result from the sensor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draw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device, and can identify the sensor device and the first draw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refrigerator obtains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drawer identified from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an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sensed result, Lt; / RTI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드로어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드로어의 내부 환경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드로어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신선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receives the internal environment sensing result of the drawer from the sensor device installed in the drawer, and intuitively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freshness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result .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에 구비된 출력 유닛이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신선도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드로어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신선도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reshness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or th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door,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freshness of food stored in the drawer without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ed state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shown i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reshness information of food through a display unit.
7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ed state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11) 및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1, 22)가 포함될 수 있다.1 and 2, a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1 having a storage room therein and a cabinet 11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room Doors 21 and 22 may be included.

캐비닛(11)은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11)에는 냉장고(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60) 및 아우터 케이스(6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실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70)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아우터 케이스(60)와 이너 케이스(70) 사이에는, 냉장고(10)의 외부와 상기 저장실 간에 단열을 수행하기 위한 캐비닛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11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its front surface opened. The cabinet 11 may include an outer case 6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10 and an inner case 7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60 and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lthough not shown, a cabinet thermal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60 and the inner case 70 to perform heat insulation between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10 and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저장실에는, 냉장실(12) 및 냉동실(13)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냉장실(12)은 캐비닛(11)의 상부에 형성되고, 냉동실(130)은 캐비닛(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냉장실(12)은 냉동실(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식품의 보관 또는 인출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냉장실(12)이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장실(12)을 사용할 때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torage chamber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hamber 12 and a freezing chamber 13. For example,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1, and the freezing chamber 1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1. [ That is,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may be disposed above the freezing chamber 13.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2, which is relatively frequently used for storage or retrieval of food, can be disposed at the waist height of the user, it is not necessary to bend the waist when the user use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2, .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variously changed.

냉장고(10)에는,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구획하는 격벽(50)이 더 포함된다. 격벽(50)은 캐비닛(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캐비닛(11)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격벽(50)은 캐비닛(11)의 전방부로부터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50) for partitio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3). The partition 5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 and may extend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of the cabinet 11. [ In one example, the partition 50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cabinet 11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냉장실(12)과 냉동실(13)에 형성되는 온도는 서로 상이하므로, 격벽(50)에는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단열하기 위한 격벽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temperatures form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mpartment wall 5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insulating material for inspect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3.

도어(21, 22)에는, 냉장실(12)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21) 및 냉동실(13)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동실 도어(22)가 포함된다. 다른 예로서, 냉동실 도어(22)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The doors 21 and 22 include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rotat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22 rotat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 As another example,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2 may be configured as a drawer door provided so as to be drawable forward.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 손잡이(21a)가 구비되며, 냉동실 도어(22)의 전면에는 제2 손잡이(22a)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has a first handle 21a which can be held by the user and a second handle 22a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2. [

냉장고(10)에는, 냉장고(10)의 저장실 온도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25)는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the storage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1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5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냉장고(10)에는,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31)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선반(31)은 냉장실(12)에 구비되며,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further includes a shelf (31) provided in the storage room for storing food. For example, the shelves 31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nd a plurality of shelves 31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냉장고(10)에는, 상기 저장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어(35)가 더 포함된다. 드로어(35)는 냉장실(12) 및 냉동실(13)에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 음식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전후 방향 폭이 클수록 드로어(35)의 전후방향 길이는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로어(35)의 인출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드로어(35)의 인출거리가 증가되면, 사용자가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further includes a drawer (35) provided so as to be pulled forward from the storage room. The drawer 35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3, respectively, and a storage space for foods can be formed therein. As the front-rear direction width of the storage chamber is larger, the length of the drawer 35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draw-out distance of the drawer 35 can be increased. When the draw-out distance of the drawer 35 is increased, convenience for the user to store the food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드로어(35) 각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100_1~100_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2개의 드로어가 냉장실(12)에 포함되고, 3개의 드로어가 냉동실(13)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device 100_1 to 100_5 provided in each of the drawers 35. [ 1 and 2, two drawers are inclu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nd three drawers are shown as being included in the freezing chamber 13, but this is only an example.

센서 장치들(100_1~100_5) 각각은 드로어 각각에 설치, 부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센서 장치들(100_1~100_5) 각각은, 설치된 드로어의 내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장치들(100_1~100_5) 각각은 드로어의 내부 온도, 습도, 및/또는 음식물의 부패시 발생하는 가스(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메탄 등)와 같은 내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장치들(100_1~100_5) 각각은 감지 결과를 냉장고(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 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Each of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may be installed, attached, or mounted on each of the drawers. Each of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can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installed drawer. For example, each of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can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awer, the humidity, and / or the gas (ammonia, carbon dioxide, methane, etc.) generated when the food is decayed. Each of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may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refrigerator 10.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nsor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냉장고(10)는, 센서 장치들(100_1~100_5) 각각 또는 드로어(35)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 유닛(26_1~26_5)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유닛(26_1~26_5)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출력 유닛(26_1~26_5) 각각은 도어(21, 22) 의 외벽에 의해 가려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유닛(26_1~26_5) 자체는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고, 사용자는 출력 유닛(26_1~26_5)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output units 26_1 to 26_5 corresponding to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or the drawers 35, respectively. The output units 26_1 to 26_5 may be implemented by a light emitting diode (L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ach of the output units 26_1 to 26_5 may be embodied as being covered by the outer walls of the doors 21 and 22. Accordingly, the output units 26_1 to 26_5 themselves are not observed from outside, and the user can only confirm the light emitted from the output units 26_1 to 26_5.

출력 유닛(26_1~26_5) 각각은 도어(21,22)에서 센서 장치들(100_1~100_5) 또는 드로어(35)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출력 유닛(26_1)은 제1 센서 장치(100_1)에 대응하고, 제2 출력 유닛(26_2)은 제2 센서 장치(100_2)에 대응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 출력 유닛(26_3) 내지 제5 출력 유닛(26_5) 각각은 제3 센서 장치(100_3) 내지 제5 센서 장치(100_5) 각각과 대응함을 알 수 있다.Each of the output units 26_1 to 26_5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or the drawer 35 in the doors 21 and 22. [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output unit 26_1 corresponds to the first sensor device 100_1 and the second output unit 26_2 corresponds to the second sensor device 100_2 have. Similarly,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third output unit 26_3 to the fifth output unit 26_5 corresponds to each of the third sensor device 100_3 to the fifth sensor device 100_5.

냉장고(10)는 출력 유닛들(26_1~26_5)을 통해 드로어들 내에 보관된 음식물들의 신선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refrigerator 10 can provide freshness information of foods stored in the drawers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s 26_1 to 26_5.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는 냉장고의 센서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0), 센서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센서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 예에 지나지 아니하는 바, 센서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변경될 수도 있다.3, a sensor device 100 of a refrigerator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0, a sensor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memory 140, a controller 150, Battery 160 may be included. The components of the sensor device 100 shown in FIG. 1 are merely exampl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sensor device 100 may be changed.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각종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등)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드로어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통해 냉장고(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신선도 정보를 냉장고(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는 센서 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module that supports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e.g., Bluetooth, zigbee, etc.). The control unit 150 can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drawer using the sensor unit 120 and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o the refrigerator 10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may receive the freshness information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nsor device 100. [

센서부(120)는 드로어(35)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20)는 온도 센서(121), 습도 센서(122), 및 화학 센서(또는 가스 센서; 1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120)는 보다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can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drawer 35 and generate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21, a humidity sensor 122, and a chemical sensor (or a gas sensor) 123, .

온도 센서(121)는 드로어(3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습도 센서(122)는 드로어(35)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 센서(123)는 드로어(35) 내부의 가스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 센서(123)는 암모니아, 메탄, 황화수소, 또는 이산화탄소 등 음식물의 부패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121 is used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drawer 35 and the humidity sensor 122 can be used for measuring the humidity inside the drawer 35. The chemical sensor 123 may be used to detect whether gas is generated in the drawer 35 o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generated gas. The chemical sensor 123 can detect gases generated during decay of foods such as ammonia, methane, hydrogen sulfide, or carbon dioxide.

출력부(130)는 스피커, 버저(buzzer) 등의 음향 출력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장치(100)의 배터리(160)의 잔량이 부족하거나, 기타 각종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150)는 출력부(130)를 제어하여 음향 및/또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냉장고(10)로부터 수신되는 신선도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상기 신선도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 및/또는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speaker, an acoustic output unit such as a buzzer, and / or a light output unit that outputs light having at least one color. The output unit 130 may be used to inform the user of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60 of the sensor device 100 is insufficient or other various events occur,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30 to output sound and / or light.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different sounds and / or lights according to the freshness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30 based on the freshn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메모리(140)는 센서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센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memory 140 may sto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or device 100. [ In addition, the memory 140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device 100,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제어부(150)는 센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칩 형태의 컨트롤러,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nsor device 100. [ The control unit 150 may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that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nsor device 100. The controlle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chip-type controller, a 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 microcomputer, or the like.

배터리(16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서, 센서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160 can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or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및 센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4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는 센서부(120)에 포함된 센서들(121~123)을 이용하여, 드로어(35)의 내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S100).Referring to FIG. 4, the sensor device 100 may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drawer 35 using the sensors 121 to 123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20 (S100).

예컨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20)가 온도 센서(121), 습도 센서(122), 및 화학 센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보관 용기(200)의 내부에 대한 온도, 습도, 및 가스 존재 여부(또는 농도)와 같은 내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3, when the sensor unit 120 includes the temperature sensor 121, the humidity sensor 122, and the chemical sensor 123, the controller 150 uses the sensor unit 120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ence (or concentration) of the gas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200, can be detected.

센서 장치(100)는, 감지 결과에 따라 획득된 상태 정보를 냉장고(10)로 전송할 수 있다(S110).The sensor device 100 may transmit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o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S110).

상기 상태 정보는 센서부(120)에 의해 감지된 정보(온도, 습도,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태 정보는 센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20 (temperature, humidity, ga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device 100. [

냉장고(1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드로어(35)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0).The refrigerator 10 can generat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35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S120).

냉장고(10) 내에는 복수의 드로어들, 및 상기 복수의 드로어들 각각에 설치된 센서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10)는 복수의 센서 장치들 중,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한 센서 장치(100)를 식별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냉장고(10)는 수신된 상태 정보로부터 센서 장치(100) 및 센서 장치(100)가 설치된 드로어를 식별할 수 있다.In the refrigerator 10, there may be a plurality of drawers, and sensor device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10 needs to identify the sensor device 100 that transmitted the status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nsor devices. Therefore, the refrigerator 10 can identify the drawer in which the sensor device 100 and the sensor device 100 are installed from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냉장고(10)는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센서 장치(100)가 설치된 드로어(35)에 보관된 음식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식별된 센서 장치(100)가 설치된 드로어(35)에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음식물이 보관 중일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can acquire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35 on which the identified sensor device 100 is insta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That is, the drawer 35 in which the identified sensor device 100 is installed may be storing food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information.

획득된 음식물의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냉장고(10)는 보관 용기(200)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Based on the obtained food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he refrigerator (10) can generat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0).

예컨대, 신선도 정보는 상기 음식물의 상태로서 신선한(fresh), 의심스러운(questionable), 및 부패한(spoiled)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eshness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f fresh, questionable, and spoiled states of the foodstuffs, but this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냉장고(10)는, 복수의 출력 유닛들 중 드로어(35)에 대응하는 출력 유닛을 통해, 상기 생성된 신선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30). 예컨대, 냉장고(10)의 컨트롤러는 상기 신선도 정보에 포함된 음식물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can output the generated freshness information through an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drawer 35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S130). For example, the controller of the refrigerator 10 can output different types of light according to the state of food contained in the freshness information.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장고(10)는 생성된 신선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refrigerator 10 may display the generated freshness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25.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냉장고(10)는 생성된 신선도 정보를 센서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frigerator 10 may transmit generated freshness information to the sensor device 100, or may transmit the freshness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a network.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shown in FIG.

도 5a를 참조하면, 냉장고(10)는 통신 모듈(14), 컨트롤러(15), 및 메모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은, 센서 장치(100)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모듈(14)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용도를 가질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거나, 각종 유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4, a controller 15, and a memory 16. The communication module 14 may have a purpo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to and from the senso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4 may have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data to a user's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14 can support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support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컨트롤러(15)는 냉장고(1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는 통신 모듈(14), 메모리(16)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25), 출력 유닛(26_1~26_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15)는 CPU, AP(application processor), 마이컴 등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5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refrigerator 10. [ The controller 15 can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display unit 25 and the output units 26_1 to 26_5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memory 16.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 may be implemented as a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 microcomputer.

메모리(16)는 냉장고(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6)는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정보(또는 센서 장치들 각각에 매핑된 음식물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 may sto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0. [ In particular, the memory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information of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or information of food mapped to each of the sensor devices).

센서 장치들(100_1~100_3) 각각은, 드로어들 각각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ST1~ST3)를 냉장고(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정보(ST1~ST3) 각각은 드로어 내부의 온도, 습도, 및/또는 가스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태 정보(ST1~ST3) 각각은 센서 장치들(100_1~100_3) 각각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3 can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each of the drawers and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ST1 to ST3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o the refrigerator 10. [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tatus information ST1 to ST3 may include information on temperature, humidity, and / or gas generation inside the drawer.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ach of the status information ST1 to ST3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3.

냉장고(10)의 컨트롤러(15)는, 통신 모듈(14)을 통해 상태 정보(ST1~ST3) 각각을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5)는 수신된 상태 정보(ST1~ST3) 각각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ST1~ST3)를 전송한 센서 장치들(100_1~100_3)을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 of the refrigerator 10 can receive each of the status information ST1 through ST3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4. [ The controller 15 can identify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3 that transmitted the status information ST1 to ST3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ST1 to ST3.

컨트롤러(15)는 식별 결과 및 메모리(16)에 저장된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장치들(100_1~100_3) 각각에 매핑된 음식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 can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food mapped to each of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3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 and the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stored in the memory 16. [

컨트롤러(15)는 획득된 음식물의 정보 및 상태 정보(ST1~ST3)에 기초하여, 센서 장치들(100_1~100_3)이 설치된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는 제1 센서 장치(100_1)가 설치된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 제2 센서 장치(100_2)가 설치된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 및 제3 센서 장치(100_3)가 설치된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 can generat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to which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3 are installed based on the obtained foo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ST1 to ST3. That is, the controller 15 determines th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in which the first sensor device 100_1 is installed, th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in which the second sensor device 100_2 is installed, Th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provided with the freshnes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도 5b를 참조하면, 냉장고(10)의 컨트롤러(15)는, 센서 장치들(100_1~100_3)이 설치된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에 기초하여,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의 상태를 출력 유닛(26)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5B, the controller 15 of the refrigerator 10 controls the state of the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based on th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provided with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3 May be represented via an output unit 26.

예컨대, 제3 센서 장치(100_3)가 설치된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가, 상기 음식물이 부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컨트롤러(15)는 제3 센서 장치(100_3)에 대응하는 제3 출력 유닛(26_3)을 제어하여, 음식물이 부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형태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in which the third sensor device 100_3 is installed indicates that the food is in a corrupted state, 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third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third sensor device 100_3) 26_3) to output light in a form indicating that the food is in a corrupted state.

일례로, 음식물이 부패한 상태인 경우, 출력 유닛은 제1 색상(예컨대, '붉은색')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인 경우, 출력 유닛은 광을 출력하지 않거나, 제2 색상(예컨대, '푸른색')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ood is in a decayed state, the output unit may output light of a first color (e.g., '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od is fresh, the output unit does not output light or can output light of a second color (e.g., 'blue').

제3 출력 유닛(26_3)을 통해 출력된 제1 색상의 광을 통해, 사용자는 제3 출력 유닛(26_3)에 대응하는 위치의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이 부패하였음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e light of the first color outputted through the third output unit 26_3,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firm that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output unit 26_3 is corrupt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reshness information of food through a display unit.

도 5b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냉장고(10)는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B, the refrigerator 10 may provid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25.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10)의 디스플레이부(25)는 냉장고(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로서 냉장실(12)의 설정 온도와, 냉동실(13)의 설정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는 냉장실(12)의 설정 온도 및 냉동실(13)의 설정 온도 각각의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6, the display unit 25 of the refrigerator 10 can display the s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0. [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5 may display buttons for providing adjustment functions of the set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2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25)는, 냉장고(10)에 구비된 센서 장치들(100_1~100_5) 각각 또는 드로어 각각에 대응하는 신선도 아이콘(27_1~27_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신선도 아이콘(27_1)은 제1 센서 장치(100_1)에 대응하고, 제2 신선도 아이콘(27_2)은 제2 센서 장치(100_2)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 신선도 아이콘(27_3) 내지 제5 신선도 아이콘(27_5) 각각은 제3 센서 장치(100_3) 내지 제5 센서 장치(100_5)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5 can display the freshness icons 27_1 to 27_5 corresponding to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10 or the drawers, respectively. 2 and 6, the first freshness icon 27_1 corresponds to the first sensor device 100_1, and the second freshness icon 27_2 corresponds to the second sensor device 100_2. Likewise, each of the third freshness icon 27_3 through the fifth freshness icon 27_5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third sensor device 100_3 to the fifth sensor device 100_5.

컨트롤러(15)는, 센서 장치들(100_1~100_5)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선도 정보를 신선도 아이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서 장치(100_2)가 설치된 제2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가 부패 상태인 경우, 컨트롤러(15)는 제2 신선도 아이콘(27_2)을 통해 상기 제2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이 부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5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신선도 아이콘(27_2)은 제1 색상(예컨대, '붉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머지 신선도 아이콘들(27_1~27_5)은 표시되지 않거나 제2 색상(예컨대, '푸른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5 can output the freshnes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devices 100_1 to 100_5 through the freshness icon. For example, when the freshness of the food stored in the second drawer in which the second sensor device 100_2 is installed is in the corrupt state, the controller 15 determines that the food stored in the second drawer through the second freshness icon 27_2 is corrupt To the user. As described above in Fig. 5B, the second freshness icon 27_2 may be displayed in a first color (e.g., 'red'). The remaining freshness icons 27_1 to 27_5 may not be displayed or may be displayed in a second color (e.g., 'blue').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고(10)는 드로어에 설치된 센서 장치(100)로부터 드로어 내부 환경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판단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판단된 신선도를 출력 유닛(26) 또는 디스플레이부(25)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도어(21, 22)를 오픈하지 않고도,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4 to 6, the refrigerator 1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the drawer internal environment from the sensor device 100 installed in the drawer, and stores it in the drawer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he freshness of the food can be judged. The refrigerator 10 outputs the determined freshness through the output unit 26 or the display unit 25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provide the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In particular,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freshness of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without opening the doors 21, 2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7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냉장고(1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refrigerator 10 can acquire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from the user's terminal 200.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는 냉장고(10)의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0). 예컨대, 단말기(200)는 터치 패널, 키패드, 마이크 등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rminal 200 can acquire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of the refrigerator 10 (S200).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food information through a user input unit such as a touch panel, a keypad, a microphone, and the like.

단말기(200)는 획득된 음식물 정보를 냉장고(10)로 전송할 수 있다(S210). 냉장고(1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를 메모리(16)에 저장할 수 있다(S220).The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acquired food information to the refrigerator 10 (S210). The refrigerator 10 may store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in the memory 16 (S220).

드로어에 설치된 센서 장치(100)는 센서부(120)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드로어 내부 환경을 센싱하고(S230), 센싱 결과 획득된 상태 정보를 냉장고(10)로 전송할 수 있다(S240).The sensor device 100 installed in the drawer senses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drawer using the sensors of the sensor unit 120 in step S230 and transmits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to the refrigerator 10 in step S240.

냉장고(10)는, 센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와, 메모리(16)에 저장된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장치(100)가 설치된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50).The refrigerator 10 is configured to store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in which the sensor device 100 is install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device 100 and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stored in the memory 16. [ Freshnes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S250).

냉장고(10)는, 생성된 신선도 정보를 상기 드로어에 대응하는 출력 유닛(2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60). S230 단계 내지 S260 단계는 도 4 내지 도 5b에서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frigerator 10 can output the generated freshness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26 corresponding to the drawer (S260). Steps S230 through S26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hrough 5B,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와 센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8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냉장고(10)는 냉장고(1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a camera (not shown)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10. FIG.

구체적으로, 냉장고(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되는 음식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예컨대, 냉장고(10)의 컨트롤러(15)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드로어들 각각으로 적재되는 음식물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5)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음식물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되는 음식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frigerator 10 can acquire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by using the camera (S3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 of the refrigerator 10 can acquire an image of foods loaded on each of the drawers using a camera. The controller 15 can recognize the food from the obtained image and acquire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이후 S310 단계 내지 S340 단계는 도 7의 S230 단계 내지 S26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Subsequently, steps S310 to S34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steps S230 to S260 of FIG.

즉,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고(1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 또는 냉장고(1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드로어들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획득한 음식물 정보와 센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보다 정확한 신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7 to 8, the refrigerator 10 can acquire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drawers by using the camera of the user's terminal 200 or the refrigerator 10 . The refrigerator 10 generates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based on the obtained food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device 100, so that more accurate freshnes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oo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구비되어 내부에 음식물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어 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중 제1 드로어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드로어의 내부 환경의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선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유닛 중 상기 제1 드로어에 대응하는 제1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
In the refrigerator,
At least one drawer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to form a food compartment therein;
At least one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and provided at a door of the refrigerator to output light; And
Receiving a sensing result of an internal environment of the first drawer from a sensor device installed in a first drawer of the at least one drawer,
Generating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drawer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result,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freshness information using a first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wer among the at least one out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결과는,
상기 제1 드로어 내부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상기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가스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a result of the sensing,
Wherein the refrigerator includ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information inside the first drawer, humidit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gas is generated due to corruption of the fo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유닛은,
상기 도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unit comprises:
Wherein the door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dra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결과 및 상기 센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드로어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로부터, 식별된 상기 제1 드로어에 보관된 상기 음식물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음식물의 정보 및 상기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선도 정보를 생성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said at least one drawer,
The controller comprising:
Receiving the sensing resul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device from the sensor device,
Identifying the sensor device and the first draw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drawer identified from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And the freshness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obtained food information and the sensed resul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는,
상기 냉장고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comprises:
And the refrigerator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보관된 음식물 정보는,
상기 냉장고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comprises:
Wherein the refrigerator is a refriger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으로 적재되는 음식물들 각각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음식물들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보관되는 음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ler comprising:
Using the camera to obtain images for each of the foods loaded into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Recognizes the foods from the images acquired and obtains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s.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구비되어 내부에 음식물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상기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선도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어 중 제1 드로어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드로어의 내부 환경의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드로어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선도 아이콘 중, 상기 제1 드로어에 대응하는 제1 신선도 아이콘을 통해 상기 신선도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
In the refrigerator,
At least one drawer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to form a food compartment therei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displaying at least one freshness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rawer; And
Receiving a sensing result of an internal environment of the first drawer from a sensor device installed in a first drawer of the at least one drawer,
Generating freshness inform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drawer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result,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the freshness information through a first freshness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wer among the at least one freshness icon.
KR1020160144365A 2016-11-01 2016-11-01 Refrigerator KR102605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365A KR102605622B1 (en) 2016-11-01 2016-11-0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365A KR102605622B1 (en) 2016-11-01 2016-11-01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714A true KR20180047714A (en) 2018-05-10
KR102605622B1 KR102605622B1 (en) 2023-11-23

Family

ID=6218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365A KR102605622B1 (en) 2016-11-01 2016-11-01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62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90A1 (en) * 2018-09-21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state of object in refrigerator
KR20200077954A (en) * 2018-12-21 202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68A (en) * 1998-02-21 1999-09-15 배길성 Refrigerated storage control device of drawer type Kimchi storage
JP2006162106A (en) * 2004-12-03 2006-06-22 Sanyo Electric Co Ltd Cold reserving storage
KR20060125016A (en)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keeping refrigerator
KR20060132348A (en) * 2005-06-17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for checking a fresh class of a food and method thereof
KR20080012118A (en) * 2006-07-31 2008-02-11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Rf tag had a function of displaying freshness of foods
KR20120000703A (en)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Food management system
KR101205303B1 (en) * 2010-11-29 2012-11-27 한국식품연구원 Food quality information providing mehtod and system using food quality-index in smart refrigerator
KR20140040458A (en) * 2012-09-26 201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informing remainder amount of stuff stored in the same
KR20150001921A (en) * 2013-06-28 201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produc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68A (en) * 1998-02-21 1999-09-15 배길성 Refrigerated storage control device of drawer type Kimchi storage
JP2006162106A (en) * 2004-12-03 2006-06-22 Sanyo Electric Co Ltd Cold reserving storage
KR20060125016A (en)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keeping refrigerator
KR20060132348A (en) * 2005-06-17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for checking a fresh class of a food and method thereof
KR20080012118A (en) * 2006-07-31 2008-02-11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Rf tag had a function of displaying freshness of foods
KR20120000703A (en)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Food management system
KR101205303B1 (en) * 2010-11-29 2012-11-27 한국식품연구원 Food quality information providing mehtod and system using food quality-index in smart refrigerator
KR20140040458A (en) * 2012-09-26 201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informing remainder amount of stuff stored in the same
KR20150001921A (en) * 2013-06-28 201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produc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90A1 (en) * 2018-09-21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state of object in refrigerator
KR20200034903A (en) * 2018-09-21 202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tatus of an object in a refrigerator
EP3824233A4 (en) * 2018-09-21 2021-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state of object in refrigerator
US11263498B2 (en) 2018-09-21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tatus of an object in a refrigerator
KR20200077954A (en) * 2018-12-21 202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622B1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1294A (en) Sensor device, and system including same
CN104807284B (en) Refrigerator
US11079174B2 (en)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rticle with abnormal temperature is placed in refrigerator
US1149977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aging articles in refrigerator
CN107192216B (en) Refrigerator temperature control method based on food material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7036232A1 (en) Refrigerator and food nutrition and/or food calories detection method for refrigerator
JP2007010208A (en) Refrigerator
WO201617316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detecting used capacity of refrigerator
CN105466147A (en) Refrigerator and body sensing detection method for refrigerator
CN105222506A (en) Gas concentration method for early warning, gas concentration prior-warning device and refrigerator
WO2018095334A1 (en)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item of abnormal temperature has been placed in refrigerator
CN206222781U (en) A kind of intelligent refrigerator
KR20180047714A (en) Refrigerator
KR20210137592A (en) How to manage refrigerators and items in refrigerators
WO20161731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used capacity of refrigerator
CN104896825B (en) Refrigerator
WO2018095332A1 (en)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item of abnormal temperature has been placed in refrigerator
CN114035439A (en) Kitch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140040458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informing remainder amount of stuff stored in the same
CN109631483A (en) Freezer
JP2019184167A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refrigerator
JP6495462B2 (en) Refrigerator and management system
WO2016173163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detecting used capacity of refrigerator
CN108955068A (en) Food management method and food materials management system for blind person's refrigerator
JP2004323118A (en) Stock management device, storage shed, and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