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380A - 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380A
KR20180047380A KR1020160143383A KR20160143383A KR20180047380A KR 20180047380 A KR20180047380 A KR 20180047380A KR 1020160143383 A KR1020160143383 A KR 1020160143383A KR 20160143383 A KR20160143383 A KR 20160143383A KR 20180047380 A KR20180047380 A KR 2018004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humidity
temperature
ventila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3163B1 (en
Inventor
김종석
박대윤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163B1/en
Publication of KR2018004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apparatus for a bathroom door, a system for manag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ventilation apparatus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 passage formed to pass through a bathroom door and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 air blow unit provided in the air passag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blow unit.

Description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이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및 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a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bathroom temperature /

본 발명은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이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및 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여름에 욕실 도어(욕실 문과 동일한 의미로, 이하에서는 '도어'와 '문'을 혼용하도록 한다)를 닫아 놓은 경우 또는 욕실에서 샤워를 하는 경우, 욕실 내 습기가 차게 되면서 습도가 올라가게 된다. 욕실 내 습기가 차게 되면,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바, 사람들은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욕실 도어를 열어놓곤 한다. In the summer when a bathroom door is closed (in the same sense as a bathroom 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or" and a "door") is closed or a shower is taken in a bathroom,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is increased. When moisture in a bathroom gets cold, mold or germs multiply, people often open bathroom doors to remove moisture from the bathroom.

다만, 거실에 에어컨을 켜놓은 상태에서 욕실 도어를 여는 경우, 거실에 있는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가 욕실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거실 온도 및 습도가 올라가게 된다. However, when the bathroom door is opened with the air conditioner turned on in the living room, the dry air or the cold air in the living room escapes to the bathroom, thereby increasing the living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결과적으로, 욕실 도어를 열어놓으면 욕실 내 습기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다시 올라간 거실 온도 및 습도를 낮추기 위해 에어컨을 더 구동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전력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As a result, opening the bathroom door can quickly remove moisture from the bathroom, but there is a problem of high power loss in that the air conditioner needs to be driven further to low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living room.

반면에, 욕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들은 보통 환풍기를 켜게 된다. 이 경우, 습기가 제거되기는 하지만, 욕실 도어를 열어놓았을 때보다는 더 느리게 오랜 시간에 걸쳐서 습기가 제거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remove moisture from the bathroom while the bathroom door is closed, people usually turn on the fan. In this case, the moisture is removed, but the moisture is remov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when the bathroom door is opened.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FIG. 1 and FIG.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in a bathroom.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들은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욕실 도어(50)를 열어 놓는다. 또한 사람들은 습기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욕실용 스위치(10)의 환풍기 버튼(B)을 통해 환풍기(25)를 구동시킨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s described above, people open the bathroom door 50 to remove moisture from the bathroom. In addition, people drive the ventilator 25 through the ventilator button B of the bathroom switch 10 to more effectively remove moisture.

환풍기(25)가 구동되는 경우, 환풍기(25)를 통해 흡입된 욕실 내 다습한 공기는 환기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ventilator 25 is driven, the highly humid air in the bathroom, which is sucked through the ventilator 2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or 20.

다만, 종래의 욕실용 스위치(10)는 일반적으로 욕실 조명 버튼(A)과 환풍기 버튼(B)으로 구성될 뿐, 욕실 내 온도 및 습도가 적정 수준이 되었을 때 자동으로 환풍기(25)를 꺼주는 기능이 없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throom switch 10 is generally constituted by the bathroom lighting button A and the ventilator button B,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ventilator 25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have become appropriate levels. There is no function.

사람들은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고자 할 때 욕실 도어(50)를 열어놓고 환풍기(25)를 켜놓지만, 이 후 다른 일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가 계속해서 욕실 내 환풍기(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종종 인지하지 못한다. When people want to remove moisture from the bathroom, the bathroom door (50) is left open and the fan (25) is turned on, but after that, 25), which is often the case.

따라서, 사용자가 거실에 에어컨을 켜놓은 상태로 욕실 도어(50)를 열어놓고 환풍기(25)도 구동시켜 놓은 경우에는, 전력 낭비만 커질 뿐 거실 내 온도 및 습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opens the bathroom door 50 with the air conditioner turned on in the living room and drives the ventilator 25, only the power consumption becomes large,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living room are difficult to reach the desired level State.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를 욕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bathroom door which is capable of introducing dry air or cool air of a living room into a bathroom even when the bathroom door is clo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bathroom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without a user's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efficientl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bathroom.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는 욕실 도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흡기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 유로와, 공기 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욕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를 욕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passage formed to penetrate a bathroom door and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an air blowing unit provided inside the air passage so that even when the bathroom door is closed, To the inside of the bathroo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은 욕실 도어에 장착되는 송풍 장치와 욕실 천장에 장착되는 환기 장치를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Further,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ventilation device mounted on the bathroom door and the ventilation device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in real time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Humidity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predef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풍 장치 및 환기 장치를 구동시키고,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송풍 장치 및 환기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력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Further, a method of controlling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measuring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of a bathroom; driving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excee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 And stopp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reach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there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는 욕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욕실 도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로 및 공기 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을 통해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를 욕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가 공기 유로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욕실 내 습기 제거시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가 욕실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는 기존의 욕실 도어에 간단한 시공을 통해 설치 가능한바, 시장성 및 적용 가능성이 높으며, 소형이면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바, 제조 비용이 높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The ventilating apparatus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roduce the dry air or cool air of the living room into the inside of the bathroom through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bathroom door and the air blowing unit provided in the air passage even when the bathroom door is closed . Further, since the dry air or the cold air in the living room can be introduced only through the air flow pa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y air or the cold air in the living room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bathroom at the same time when the moisture in the bathroom is removed. Further,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bathroom door through a simple construction, and has high marketability and applicability, and has a small size and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은 욕실 도어에 장착되는 송풍 장치와 욕실 천장에 장착되는 환기 장치를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바, 사용자는 욕실 내 습기 제거에 신경을 쓸 시간에 다른 일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항상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이하의 쾌적한 욕실을 사용할 수 있기에, 사용자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욕실 내 높은 습도로 인해 바이러스 및 세균이 번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욕실을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Also,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bat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without user's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ventilation device mounted on the bathroom door and the ventilation device mounted on the ceiling in real time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removing moisture from the bathroom,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other work or to relax while taking care of moisture removal in the bathroom.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always use a comfortable bathroom below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Of course, because the high humidity in the bathroom can prevent viruses and germs from breeding, the bathroom can always be kept sanita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송풍 장치 및 환기 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바,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 및 환기 장치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만 구동시키는바, 전력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 및 환기 장치가 필요한 시기에만 구동되기 때문에, 각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장치의 교체 주기 역시 길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송풍 장치 및 환기 장치의 교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bathroom,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Further, since the fan and the ventilator are driven only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lso, since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are driven only at a necessary time, the lifetime of each device can be prolonged, and the replacement period of each device can also be prolonged.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placement cost of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can be reduc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욕실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를 L-L'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하우징의 내부 구성 및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닫혔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열렸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욕실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닫혔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열렸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이 욕실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스위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환기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FIG. 1 and FIG.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in a bathroom.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of Fig. 3 is mounted on a bathroom door.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shown in Fig. 3 cut in the direction LL '.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of Fig. 3 and the control flow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Fig. 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throom door with the blower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3 is closed;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door with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is opene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of Fig. 9 is mounted on a bathroom door.
Fig. 1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flow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of Fig. 9; Fig.
Fig. 1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throom door with the blower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9 is closed; Fig.
Fig. 1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door with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is opened; 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of FIG. 14 is applied to a bathroom.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flow of the switch of Fig.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flow of the ventilator of Fig.
18 and 19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of Fig.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세탁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for a wash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욕실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를 L-L'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하우징의 내부 구성 및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닫혔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열렸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of Fig. 3 is mounted on a bathroom door.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of Fig. 3 taken along the line L-L '.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of Fig. 3 and the control flow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Fig. 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throom door with the blower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3 is closed;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door with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is opened; FIG.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는 공기 유로(100), 송풍 유닛(150), 하우징(200), 전원 유닛(250)을 포함한다.3 to 5, a ventilating apparatus 1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passage 100, a blowing unit 150, a housing 200, a power unit 250, .

공기 유로(100)는 욕실 도어(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흡기구(103)와 토출구(108)를 구비한다.The air passage 100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athroom door 50, and has an inlet 103 and an outlet 108.

구체적으로 공기 유로(100)의 흡기구(103)는 욕실 외부를 향해 배치되고, 토출구(108)는 욕실 내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도어(50)가 닫혀있다 할지라도, 공기 유로(100) 내부에 배치된 송풍 유닛(150)이 구동되면, 욕실 외부의 공기(예를 들어,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가 흡기구(103)를 통해 공기 유로(100)로 흡입된 후 욕실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Concretely, the air inlet 103 of the air passage 100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athroom, and the air outlet 108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Therefore, even if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the air outside the bathroom (for example, dry air or cool air in the living room) flows into the air inlet 100 103 to the air passage 10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bathroom.

송풍 유닛(150)은 공기 유로(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air blowing unit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air passage 100.

구체적으로, 송풍 유닛(150)은 구동 모터(153)와 송풍팬(158)을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lowing unit 150 may include a drive motor 153 and a blowing fan 158.

구동 모터(153)는 전원 유닛(250)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될 수 있고, 송풍팬(158)은 구동 모터(153)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즉, 송풍팬(158)은 구동 모터(153)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The driving motor 153 can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250 and the blowing fan 158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53 to rotate. That is, the blowing fan 158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153.

또한 송풍팬(158)은 욕실 외부의 공기를 흡기구(103)를 통해 흡입하여 토출구(108)를 통해 욕실 내부로 토출할 수 있다. 즉, 송풍팬(158)은 흡기구(103)로 유입된 욕실 외부 공기를 가속하여 토출구(108)를 통해 욕실 내부로 토출할 수 있다. Further, the air blowing fan 158 can suck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athroom through the air inlet 103 and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air outlet 108 into the bathroom. That is, the air blowing fan 158 accelerates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03 and can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air outlet 108 into the inside of the bathroom.

또한 구동 모터(153)는 후술하는 제어 모듈(도 6의 2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구동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Further, the driving motor 153 can be driven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module (230 of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하우징(200)은, 일단이 전원 유닛(25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 유로(1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20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2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100.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하단에는 공기 유로(100)가 배치되고, 측면에는 전원 유닛(250)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우징(200)은 공기 유로(100)와 전원 유닛(25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공기 유로(100)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200)의 하단에는 공기 유로(100)가 배치되고, 측면에는 전원 유닛(250)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passage 100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housing 200, and the power unit 250 may be disposed at a side thereo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housing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passage 100 and the power unit 250, or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passage 100.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assage 10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200, and the power unit 250 is disposed at the side.

또한 하우징(200)은 전원 유닛(250)과 공기 유로(100) 간 연결부 역할도 하는바, 전원 유닛(250)의 전력은 하우징(200)을 통해 공기 유로(100) 내 송풍 유닛(150)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housing 200 also serves as a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unit 250 and the air passage 100. The power of the power unit 250 is transmitted to the air blowing unit 150 in the air passage 100 through the housing 200 Lt; / RTI >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내부에 통신 모듈(220), 온습도 센서(210), 제어 모듈(230)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housing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220,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210, and a control module 230 therein.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220)은 외부 제어 장치(6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제어 장치(6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스위치(도 14의 600)일 수 있으며, 통신 모듈(220)은 외부 제어 장치(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230)로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can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14),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receives the signal of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230 (for example, .

또한 통신 모듈(220)은 온습도 센서(210)로부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외부 제어 장치(60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can receiv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room from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210 and transmit the provide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온습도 센서(210)는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통신 모듈(22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10 senses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and provides the sense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여기에서 온습도는 온도 및 습도를 의미하며, 온습도 센서(210)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모두 구비하여 온도 및 습도 측정이 모두 가능한 센서를 의미한다. He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10 includes both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온습도 센서(210)는 전원 유닛(250)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통신 모듈(220)로 제공한다. 또한 온습도 센서(210)가 감지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정보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외부 제어 장치(600)로 송신되어, 송풍 유닛(150) 구동 여부의 판단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1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unit 250 and senses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 the bath is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 the bathroom sensed by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210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used as determination data on whether the air blowing unit 150 is driven.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외부 제어 장치(600)의 신호를 토대로 송풍 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230 can control the blowing unit 150 based on the signal of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20)로부터 구동 모터(153)의 구동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러한 신호를 토대로 구동 모터(153)를 구동 또는 구동 중단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풍 유닛(150), 즉, 구동 모터(153)에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230 can receive a signal as to whether the drive motor 153 is driven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or stopping the drive motor 153 based on the signal To the air blowing unit 150, that is, to the drive motor 153.

나아가,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통신 모듈(220), 온습도 센서(210), 제어 모듈(230)은 전원 유닛(250)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작동할 수 있다.Further,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210, and the control module 2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250.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유닛(250)은 송풍 유닛(1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3 to 5, the power source unit 250 can supply power to the air blowing unit 150. [

구체적으로, 전원 유닛(250)은 하우징(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통신 모듈(220), 온습도 센서(210), 제어 모듈(230)뿐만 아니라 송풍 유닛(1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00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220,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10, a control module 230 ) As well as the air blowing unit (150).

또한 전원 유닛(250)은 무선 충전 송신기(5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되는 무선 충전 수신기일 수 있다. Also, the power unit 250 may b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that is charged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wirelessly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

즉, 전원 유닛(250)은 무선 충전 수신기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기유도방식(WPC 또는 PMA) 또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in various manners, for example, a magnetic induction system (WPC or PMA) or a magnetic resonance system.

또한 전원 유닛(250)은 무선 충전 송신기(500)와 호환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송신기(500)가 자기유도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전원 유닛(250)도 자기유도방식이 적용되고, 무선 충전 송신기(500)가 자기공명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전원 유닛(250)도 자기공명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lso, the power unit 250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compatible with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That is, whe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uses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power supply unit 250 applies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whe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uses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A resonance method can be applied.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원 유닛(250)이 자기유도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where the power source unit 250 is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전원 유닛(250)이 자기유도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원 유닛(250)은 무선 충전 송신기(500)와의 거리가 근접한 경우(즉, 밀착에 가까운 거리)에만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송신기(500)가 문틀(40)에 장착되고, 전원 유닛(250)이 하우징(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 전원 유닛(250)은 문틀에 장착된 무선 충전 송신기(500)와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When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power supply unit 250 can be supplied with power only when the distan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is short (that is, close to the close contact). Thus, whe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is mounted on the door frame 40 and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00, the power supply unit 250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mounted on the door frame, So as to have a length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여기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욕실 도어(50)가 닫히거나 열릴 때,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의 전원 유닛(250)이 어떤 방식으로 욕실 문틀(40)에 장착된 무선 충전 송신기(500)와 접촉하게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7 and 8,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or opened, the power source unit 250 of the ventilation device 1 for the bathroom door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oor frame 40,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harge transmitter 500.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욕실 도어(50)가 닫혔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바, 욕실 도어(50)가 닫힌 경우,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의 전원 유닛(250) 역시 욕실 문틀(40)에 장착된 무선 충전 송신기(500)에 접촉 및 결합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전원 유닛(250)은 무선 충전 송신기(5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고, 하우징(200) 및 송풍 유닛(15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7,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the power source unit 250 of the ventilation device 1 for the bathroom door is also connected to the bathroom It will be seen that it will touch and engage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mounted on the door frame 40. At this time, the power unit 250 can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and can be charged and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housing 200 and the air blowing unit 150.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욕실 도어(50)가 열렸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바, 욕실 도어(50)가 열리는 경우,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의 전원 유닛(250) 역시 욕실 문틀(40)에 장착된 무선 충전 송신기(500)로부터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다.8,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opened,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opened, the power source unit 250 of the ventilation device 1 for the bathroom door is also opened to the bathroom door 50, It can be seen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mounted on the base station 40.

여기에서, 욕실 문틀(40)에 장착된 무선 충전 송신기(500)는 문틀(40)의 폭에 맞추어 제작되는바, 욕실 도어(50)로 사람이 들어오거나 나갈 때 무선 충전 송신기(500)에 부딪혀서 다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mounted on the door frame 40 i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door frame 40,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is hitting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when a person enters or leaves the bathroom door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urt situation.

종합하자면, 전원 유닛(250)은 욕실 도어(50)가 닫히면 무선 충전 송신기(500)와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충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를 직접 충전해야되는 부담을 저감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유닛(250)은 욕실 도어(50)가 닫히는 경우에만 충전되는바,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In sum, the power unit 2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and is charg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through such conta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user to directly charge the ventilator 1 for the bathroom door. Also, since the power source unit 250 is charged only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waste.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는 무선 충전 송신기(5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될 수 있고, 외부 제어 장치(600)와의 통신을 통해 송풍 유닛(150)을 구동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hroom door ventilator 1 can be driven by wirelessly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and can be driven by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의 제어 흐름이 도시되어 있고,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again to FIG. 6, a control flow of the ventilation device 1 for a bathroom door is show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의 전원 유닛(2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욕실 도어가 닫힐 때 무선 충전 송신기(500)와 접촉함으로써 전력(POWER)을 제공받을 수 있다. First, the power unit 250 of the bathroom door blower 1 can be supplied with power POWER by contacting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when the bathroom door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전원 유닛(250)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POWER)은 하우징(200) 및 송풍 유닛(150)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power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250 may be provided to the housing 200 and the air blowing unit 150.

또한 온습도 센서(210)는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통신 모듈(220)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제공받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외부 제어 장치(600)로 송신하고, 외부 제어 장치(600)로부터 송풍 유닛(150) 구동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외부 제어 장치(6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 모듈(230)로 제공하고,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송풍 유닛(15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210 may sens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and may provide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transmit the provide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and receive signals related to driving the blowing unit 150 from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provid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control device 600 to the control module 230 and the control module 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15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 You can control whether.

즉, 통신 모듈(2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가 송풍 유닛(150)의 구동을 개시하라는 신호인 경우, 제어 모듈(230)은 송풍 유닛(150)의 구동을 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풍 유닛(150)에 제공하고, 송풍 유닛(150)은 구동을 개시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is a signal to start driving the blowing unit 150, the control module 230 sends a control signal for starting the blowing unit 150 to the blowing unit 150, And the blowing unit 150 starts driving.

반면에, 통신 모듈(2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가 송풍 유닛(150)의 구동을 중단하라는 신호인 경우, 제어 모듈(230)은 송풍 유닛(150)의 구동을 중단하는 제어 신호를 송풍 유닛(150)에 제공하고, 송풍 유닛(150)은 구동을 중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is a signal to stop driving the blowing unit 150, the control module 230 send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blowing unit 150 to the blowing unit 150 , And the blowing unit 150 stops driv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는 욕실 도어(50)를 닫은 상태에서도 욕실 도어(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로(100) 및 공기 유로(100)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150)을 통해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를 욕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가 공기 유로(100)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욕실 내 습기 제거시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가 욕실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ng apparatus 1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passage 100 and an air passage 100 formed to penetrate the bathroom door 50 even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So that dry air or cool air in the living room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athroom through the provided blowing unit 150. Further, since the dry air or the cold air of the living room can be introduced only through the air passage 100, the problem of the dry air or the cold air in the living room being introduced into the bathroom at the time of removing the moisture in the bathroom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 및 무선 충전 송신기(500)는 기존의 욕실 도어 및 욕실 문틀에 각각 간단한 시공을 통해 설치 가능한바, 시장성 및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는 소형이면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 비용이 높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ventilating apparatus 1 for a bathroom door and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bathroom door and bathroom door frame through simple construction, respectively, and thus have high marketability and applicability. Further, the ventilator 1 for a bathroom door has a small and simple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not high.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FIG.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욕실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닫혔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가 장착된 욕실 도어가 열렸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of Fig. 9 is mounted on a bathroom door. Fig. 1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flow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a bathroom door of Fig. 9; Fig. Fig. 1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throom door with the blower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9 is closed; Fig. Fig. 1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door with a blower for a bathroom door is opened; Fig.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와 일부 구성요소 및 효과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For reference, the ventilator 2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ventilator 1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some components and effects, .

먼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는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와 달리, 전원 유닛(255)이 외부 전원 공급부(70)로부터 전선(60)을 통해 전력(POWER)을 제공받을 수 있다. 9 to 11, unlike the ventilator 1 for a bathroom door in FIG. 3, the ventilator 2 for a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ventilator 1 for a bathroom door in that the power- And can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POWER) through the electric wire 60 from the supply part 70.

이에 따라,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의 전원 유닛(255)은 도 3의 전원 유닛(250)과 달리, 무선 충전 송신기와 같은 외부 충전 스테이션과 접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원 유닛(255)은 하우징(200)의 일측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전선(60)을 통해 외부 전원 공급부(7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Accordingly, unlike the power source unit 250 of FIG. 3, the power source unit 255 of the ventilation device 2 for a bathroom door in FIG. 9 does not need to contact an external charging station such as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unit 25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inside of the housing 2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70 through the electric cable 60 to receive power .

따라서,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는 전선(60)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욕실 도어(50)가 열렸을 때 사용자의 욕실 내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욕실 도어(50)의 경첩(미도시) 부근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선(60)은 감전 방지 및 미관 개선 등을 위해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욕실 벽면(65) 안에 시공될 수 있다. The ventilating device 2 for the bathroom door i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hinge (not shown) of the bathroom door 50 so as to prevent the entrance of the user into the bathroom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open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electric wire 60 can be installed in the bathroom wall surface 65 except for a part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2 for the bathroom do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여기에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욕실 도어(50)가 닫히거나 열릴 때,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와 연결된 전선(6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12 and 13,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or opened, the appearance of the electric wire 60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2 for the bathroom door can be confirmed.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욕실 도어(50)가 닫혔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2, there is shown a state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욕실 도어(50)가 닫힌 경우,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의 전원 유닛과 연결된 전선(60)의 일부는 송풍 장치(2) 및 욕실 벽면(65) 사이의 욕실 도어(50) 상에 노출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욕실 벽면(65) 내부에 존재하도록 전선(60)이 시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closed, a part of the electric wire 60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2 for the bathroom door is exposed on the bathroom door 50 between the ventilation device 2 and the bathroom wall surface 65 And the electric wire 60 is installed so that most of the rest is inside the bathroom wall 65. [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욕실 도어(50)가 열렸을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3, there is shown a state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opened.

여기에서, 전선(60)은 욕실 도어(50)의 경첩(미도시)에 의한 회전 반경을 감안하여 설치되어 있기에, 욕실 도어(50)가 열리는 경우에도 꼬이거나 당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Here, since the electric wire 60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turning radius of the bathroom door 50 due to the hinge (not shown),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bathroom door 50 is opened or twisted .

따라서, 욕실 도어(50)가 열린 경우에, 전선(60)의 일부는 욕실 도어 틈 사이로 돌출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욕실 벽면(65) 내부에 존재하도록 전선(60)이 시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bathroom door 50 is opened, a part of the electric wire 60 protrudes through the gap of the bathroom door, and the electric wire 60 is installed so that most of the rest is inside the bathroom wall surface 65 .

종합하자면, 전원 유닛(255)은 항상 전선(60)을 통해 외부 전원 공급부(70)와 연결되어 충전되고, 전선(60)은 욕실 도어(50)의 개폐 및 사용자의 욕실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가 욕실 경첩 부근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60) 부분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욕실 미관 개선 및 전선(60)으로 인한 감전 방지가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255 is alway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70 through the electric wire 60 so that the electric wire 60 is installed so as not to open and close the bathroom door 50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entering the bathroom . Also, since the ventilator 2 for the bathroom door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bathroom hinge, the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60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beauty of the bathroom and preventing the electric shock due to the electric wire 60.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는 외부 전원 공급부(70; 예를 들어, 기존의 욕실 내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바, 무선 충전 송신기(500) 구매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유닛(255)이 전선(60)을 통해 외부 전원 공급부(7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구조인바,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의 전원 유닛(250)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ventilator 2 for the bathroom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power through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70 (for example, a conventional power supply terminal in the bathroom) The cost of purchasing the transmitter 500 can be reduced. The power supply unit 255 is structured to receive electric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70 through the electric wire 60. The power supply unit 255 has a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the power supply unit 250 of the ventilation device 1 for a bathroom door in FIG. .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FIG.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이 욕실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스위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환기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of FIG. 14 is applied to a bathroom.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flow of the switch of Fig.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flow of the ventilator of Fig.

참고로,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3)은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를 포함하는바, 전술한,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1)와 관련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control system 3 of FIG. 14 includes the ventilation device 1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3, and th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1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3 Omit it.

먼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3)은 송풍 장치(1), 스위치(600), 환기 장치(700), 무선 충전 송신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14 and 15,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control system 3 may include a fan 1, a switch 600, a ventilator 700, and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여기에서, 송풍 장치(1)는 욕실 도어(50)에 장착되고, 스위치(600)는 욕실 외부 벽면(61)에 장착되며, 환기 장치(700)는 욕실 천장(7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무선 충전 송신기(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욕실 문틀에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ventilation device 1 is mounted on the bathroom door 50, the switch 600 is mounted on the bathroom exterior wall surface 61, and the ventilation device 700 can be mounted on the bathroom ceiling 71. Also not shown in the figure,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may be mounted to the bathroom door frame, as described above.

참고로, 송풍 장치(1)는 전술한 도 3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와 동일하고, 도 14의 송풍 장치(1)의 온습도 센서(210), 제1 통신 모듈(220), 제1 제어 모듈(230), 제1 송풍 유닛(150), 전원 유닛(250)은 도 6의 온습도 센서(210), 통신 모듈(220), 제어 모듈(230), 송풍 유닛(150), 전원 유닛(250)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3, the air blowing apparatus 1 includ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10,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the first control module 220 of the air blowing apparatus 1 of FIG. 14,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the control module 230, the air blowing unit 150, the power source unit 250, the first air blowing unit 150, and the power source unit 250,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14의 무선 충전 송신기(500)는 도 6의 무선 충전 송신기(500)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of FIG. 14 is the same as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500 of FIG. 6,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위치(600)는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 600 can control the air blowing device 1 and the ventilator 700.

구체적으로, 스위치(600)는 디스플레이 모듈(610), 제2 통신 모듈(620), 제2 제어 모듈(630), 분석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witch 60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610,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a second control module 630, and an analysis module 640.

디스플레이 모듈(610)은 제2 통신 모듈(620)을 통해 수신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부(613)와 터치 입력부(618)를 구비한다.The display module 610 display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room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and includes a display unit 613 and a touch input unit 618.

여기에서, 표시부(613)는 욕실 내 온도를 표시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5의 26˚C)과 욕실 내 습도를 표시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5의 55%)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section 613 may include an area (for example, 26 [deg.] C in Fig. 15)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in the bathroom and an area for displaying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for example, 55% have.

또한 터치 입력부(618)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아 제2 제어 모듈(630)로 전달할 수 있고, 송풍 장치(1)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부(C)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부(D)를 구비할 수 있다.The touch input unit 618 may receive the touch input from the user and transmit the touch input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The input unit C and the ventilation unit 700, (D).

즉, 사용자가 송풍 장치(1)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부(C)를 터치하면 욕실 내 온도 및 습도와 상관없이 송풍 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환기 장치(700)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부(D)를 터치하면 욕실 내 온도 및 습도와 상관없이 환기 장치(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input unit C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fan unit 1, the fan unit 1 can be driven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Also, if the user touches the input unit D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ntilator 700, the ventilator 700 can be driven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터치 입력부(618)에는 욕실 조명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욕실 조명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610)이 아닌 스위치(600)의 다른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ouch input unit 618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related to driving the bathroom lighting. The input associated with driving the bathroom light may also be provided at other portions of the switch 600, rather than the display module 610.

디스플레이 모듈(610) 외 다른 모듈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제2 통신 모듈은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와 통신할 수 있고, 분석 모듈(640)은 제2 통신 모듈(620)을 통해 수신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630)은 분석 모듈(640)로부터 제공받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the ventilator 1 and the ventilator 700 and the analysis module 64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Can be analyzed to see if the receive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 exceeds the predef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may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blower 1 and the ventilator 70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provided from the analysis module 640 and provide the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have.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스위치(600)의 제어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flow of the switch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제2 통신 모듈(620)은 송풍 장치(1)의 제1 통신 모듈(220)로부터 실시간으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620)은 수신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분석 모듈(640)로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can receive in-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blower 1 in real tim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may provide the receive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analysis module 640.

이어서, 분석 모듈(640)은 제2 통신 모듈(620)을 통해 제공받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은 스위치(600) 제조시 설정된 초기값이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및 습도 수치일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640 may then analyze wheth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 provid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Her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may be an initial value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witch 600 or a user-set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

즉, 분석 모듈(640)은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를 제2 제어 모듈(63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analysis module 640 can compa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room provid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with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and provide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

제2 제어 모듈(630)은 분석 모듈(640)로부터 제공받은 분석 결과, 즉, 비교 결과를 토대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blower 1 and the ventilator 70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provided from the analysis module 640, .

즉, 분석 모듈(640)로부터 제공받은 비교 결과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제어 모듈(630)은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개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mparison result provided from the analysis module 640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 exceeds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controls the blower 1, And the ventilation device 700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반면에, 분석 모듈(640)로부터 제공받은 비교 결과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제어 모듈(630)은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중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mparison result provided by the analysis module 640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rooms do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may determine 1 and the ventilator 700 and provid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즉, 욕실 내 온도 및 습도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 이하인 경우, 제2 제어 모듈(630)은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중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are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air blowing device 1 and the ventilator 700, Module 620, as shown in FIG.

제2 통신 모듈(620)은 제2 제어 모듈(63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송풍 장치(1)의 제1 통신 모듈(220) 및 환기 장치(700)의 제3 통신 모듈(7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provides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blower 1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of the ventilator 700 can do.

즉, 제2 통신 모듈(620)이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1 통신 모듈(220) 및 제3 통신 모듈(720)로 제공함으로써,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provide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with a signal as to whether the fan unit 1 and the ventilator 700 are driven, 1 and the ventilator 700 can be controlled.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즉, 수동으로 직접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610)을 통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ishes to drive the ventilator 1 and the ventilator 700 directly, that is, manually, the inpu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610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송풍 장치(1) 또는 환기 장치(700)에 대한 입력(Input)을 디스플레이 모듈(610)에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610)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제2 제어 모듈(630)로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provides an input to the blower 1 or the ventilator 700 to the display module 610, the display module 610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

제2 제어 모듈(630)은 디스플레이 모듈(61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may provide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provided from the display module 6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여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송풍 장치(1)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인 경우, 제2 제어 모듈(630)은 송풍 장치(1)의 구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한다.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blower 1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 .

반면에,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환기 장치(70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인 경우, 제2 제어 모듈(630)은 환기 장치(700)의 구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input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the ventilator 700,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ntilator 70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

제2 통신 모듈(620)은 송풍 장치(1)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제1 통신 모듈(22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고, 환기 장치(70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에는, 제3 통신 모듈(72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air blowing device 1 is receive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종합하자면, 스위치(600)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실시간으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토대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스위치(600)를 통해 직접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In sum, the switch 600 can control the air blowing device 1 and the ventilator 700 on the basi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in real time without user's operation. Of course, the user may also drive the ventilator 1 and the ventilator 700 directly via the switch 600.

다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환기 장치(700)는 욕실 천장(71)에 장착되어 욕실 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4 and 15, the ventilator 700 may be mounted on the ceiling 71 to ventilate the air in the bathroom.

구체적으로, 환기 장치(700)는 제3 통신 모듈(720), 제3 제어 모듈(730), 제2 송풍 유닛(75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ntilation device 700 may include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a third control module 730, and a second air blowing unit 750.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제3 통신 모듈(720)은 스위치(600)와 통신할 수 있고, 제3 제어 모듈(730)은 제3 통신 모듈(72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치(600)의 신호를 토대로 제2 송풍 유닛(7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풍 유닛(750)은 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욕실 천장(71)과 연결된 환기구(20)로 토출할 수 있다.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can communicate with the switch 600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can communicate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based on the signal of the switch 600 provid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2 air blowing unit 750 can be controlled. The second air blowing unit 750 can suck air in the bathroom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ventilation opening 20 connected to the bathroom ceiling 71.

여기에서, 환기구(20)는 욕실 천장(71)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바, 제2 송풍 유닛(750)에 의해 흡입된 욕실 내부 공기는 환기구(20)를 통해 욕실 천장(71) 외부(예를 들어, 집 또는 건물 밖)로 배출될 수 있다. The air in the bathroom sucked by the second air blowing unit 75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throom ceiling 71 through the ventilation opening 20 For example, outside the house or building).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환기 장치(700)의 제어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flow of the ventilator 7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제3 통신 모듈(720)은 스위치(600)의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환기 장치(700)의 구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First,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related to driving the ventilator 700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of the switch 600.

즉, 제3 통신 모듈(720)은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개시하는 제어 신호 또는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중단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at is,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start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or 700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or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or 700.

또한 제3 통신 모듈(720)은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제3 제어 모듈(730)로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may provide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to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제3 제어 모듈(730)은 제3 통신 모듈(7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제2 송풍 유닛(750)을 제어할 수 있다.The third control module 730 can control the second blowing unit 750 bas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즉, 제3 제어 모듈(730)은 제3 통신 모듈(720)로부터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제2 송풍 유닛(750)의 구동을 개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송풍 유닛(750)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receives a signal to start driving the ventilator 700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tarting the driving of the second ventilating unit 750 To the second air blowing unit 750.

반면에 제3 제어 모듈(730)은 제3 통신 모듈(720)로부터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중단하는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제2 송풍 유닛(750)의 구동을 중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송풍 유닛(750)으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to stop driving the ventilator 700,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econd ventilating unit 750 To the second air blowing unit 750.

제2 송풍 유닛(750)은 제3 제어 모듈(73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구동될 수 있다.The second blowing unit 750 can be driven bas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즉, 제2 송풍 유닛(750)은 제3 제어 모듈(730)로부터 구동 개시와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구동되고, 구동 중단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구동 중단된다. That is, the second blowing unit 750 is driven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related to start of driving from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and is stopped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stop of driv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3)은 욕실 도어(50)에 장착되는 송풍 장치(1)와 욕실 천장(71)에 장착되는 환기 장치(700)를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바, 사용자는 욕실 내 습기 제거에 신경을 쓸 시간에 다른 일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항상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이하의 쾌적한 욕실을 사용할 수 있기에, 사용자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욕실 내 높은 습도로 인해 바이러스 및 세균이 번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욕실을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management system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entilation device 1 mounted on the bathroom door 50 and the ventilation device 700 mounted on the ceiling 71 are installed in the bathroom,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without user's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removing moisture from the bathroom,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other work or to relax while taking care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bathroom.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always use a comfortable bathroom below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Of course, because the high humidity in the bathroom can prevent viruses and germs from breeding, the bathroom can always be kept in a sanitary condition.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610)의 표시부(613)를 통해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터치 입력부(618)를 통해 직접 수동으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613 of the display module 610, and manually connect the ventilator 1 and the ventilator 700 directly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618. [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t can control.

이하에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of Fig. 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and Fig.

도 18 및 도 19는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8 and 19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of Fig.

참고로, 도 19는 도 18의 S200을 구체화시킨 순서도이다.For reference, 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S200 of FIG. 18.

도 14 및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S100).Referring to Figs. 14 and 18, fir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are measured (S100).

구체적으로, 송풍 장치(1)의 온습도 센서(210)는 실시간으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10 of the air blowing device 1 can measur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in real time.

온습도 센서(210)는 측정한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제1 통신 모듈(220)에 제공하고, 제1 통신 모듈(220)은 제공받은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스위치(600)의 제2 통신 모듈(620)로 송신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10 provides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suppli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switch 600, (620).

이 후 제2 통신 모듈(620)은 제1 통신 모듈(220)로부터 수신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분석 모듈(640)로 제공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then provid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to the analysis module 640.

다음으로,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 초과 여부를 분석한다(S200).Next, it is analyz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re exceeded (S200).

구체적으로, 도 14 및 도 19를 참조하면, 분석 모듈(640)은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과 비교한다(S210).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4 and 19, the analysis module 640 compares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S210).

분석 모듈(640)은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제2 제어 모듈(630)에 제공한다. The analysis module 640 compares the in-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provid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with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and provides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제2 제어 모듈(630)은 비교 결과,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생성한다(S220).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generates a signal to initiate driving of the ventilator 1 and the ventilator 700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exce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S220).

반면에, 제2 제어 모듈(630)은 비교 결과,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중단하는 신호를 생성한다(S230).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outputs a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blower 1 and the ventilator 700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do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S230).

이 후 제2 제어 모듈(630)은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구동 여부와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620)로 제공하고, 제2 통신 모듈(620)은 제1 통신 모듈(220) 및 제3 통신 모듈(720)로 해당 신호를 송신한다(S240).The second control module 630 generates a signal related to whether the fan 1 and the ventilator 700 are driven and supplie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1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S240).

다시 도 14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제어한다(S300).Referring again to FIGS. 14 and 18, the ventilator 1 and the ventilator 700 are controlled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S300).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모듈(220)은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제1 제어 모듈(230)로 제공하고, 제1 제어 모듈(230)은 제1 통신 모듈(2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제1 송풍 유닛(150)을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provid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to the first control module 230, and the first control module 23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controls the first blowing unit 15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즉, 제1 제어 모듈(230)은 제1 통신 모듈(220)로부터 송풍 장치(1)의 구동을 개시하라는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제1 송풍 유닛(150)의 구동 모터(153)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송풍 유닛(15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2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to start driving the blower 1, the first control module 230 drives the driving motor 153 of the first blower unit 150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first blowing unit 150. [

반면에, 제1 제어 모듈(230)은 제1 통신 모듈(220)로부터 송풍 장치(1)의 구동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제1 송풍 유닛(150)의 구동 모터(153)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송풍 유닛(150)에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2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to stop the driving of the blower 1, the first control module 230 drives the driving motor 153 of the first blower unit 150 And provid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first blowing unit 150. [

제1 송풍 유닛(150)은 제1 제어 모듈(23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구동 모터(153)를 구동 또는 구동 중단시킬 수 있다.The first blowing unit 150 can drive or stop the driving motor 153 bas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230.

참고로,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는 송풍 장치(1)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는, 제1 송풍 유닛(150)의 구동 여부와 관련된 신호일 뿐 온습도 센서(210)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가 아니다. 따라서, 온습도 센서(210)는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은 송풍 장치(1)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작동된다.For reference, the signal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blower 1 suppli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is a signal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first blower unit 150 is driven, and only the signal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210 no. Therefore,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210 is continuously operated irrespective of the signal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blower 1 suppli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

마찬가지로, 제3 통신 모듈(720)은 제2 통신 모듈(6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제3 제어 모듈(730)로 제공하고, 제3 제어 모듈(730)은 제3 통신 모듈(7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제2 송풍 유닛(750)을 제어한다.Similarly,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provid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0 to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provides the signal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And controls the second blowing unit 75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즉, 제3 제어 모듈(730)은 제3 통신 모듈(720)로부터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개시하라는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제2 송풍 유닛(750)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송풍 유닛(75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to start driving the ventilator 700,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econd ventilating unit 750, 2 air blowing unit 750 as shown in FIG.

반면에, 제3 제어 모듈(730)은 제3 통신 모듈(720)로부터 환기 장치(700)의 구동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제2 송풍 유닛(75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송풍 유닛(750)에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720 to stop driving the ventilator 700,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econd ventilating unit 750 And can be provided to the second blower unit 750. [

제2 송풍 유닛(750)은 제3 제어 모듈(73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구동 또는 구동 중단될 수 있다.The second blowing unit 750 may be driven or stopped based on a signal provided from the third control module 73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3)의 제어 방법은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송풍 장치 및 환기 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바,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만 구동시키는바, 전력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가 필요한 시기에만 구동되기 때문에, 각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장치의 교체 주기 역시 길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송풍 장치(1) 및 환기 장치(700)의 교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thod of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management system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bathroom,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Further, since the fan 1 and the ventilator 700 are driven only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fan 1 and the ventilator 700 are driven only at the necessary time, the lifetime of each device can be prolonged,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each device can be prolonged.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placement cost of the air blowing device 1 and the ventilator 700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20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4)은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3)과 일부 구성요소 및 효과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4) of FIG. 20 is the same as the bathroom /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3) of FIG. 14 except for some components and effects.

또한 도 20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4)은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를 포함하는바, 전술한, 도 9의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2)와 관련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management system 4 of FIG. 20 includes the ventilator 2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9, and th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ventilator 2 for the bathroom door of FIG. 9 is omitted do.

도 20을 참조하면,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4)은 송풍 장치(2), 스위치(600), 환기 장치(700)만을 포함할 뿐 무선 충전 송신기와 같은 외부 전원 공급원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3)과 다르다.20,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4 includes only the ventilator 2, the switch 600, and the ventilator 700, but does not include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Is different from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management system (3).

또한,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4)은 외부 전원 공급부(70)로부터 전선(도 10의 60)을 통해 전력(POWER)을 공급받는바, 도 14의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3)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다. The bathroom temperature / humidity management system 4 receives the power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70 through the electric wire (60 in FIG. 10), and is simpler in configuration than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3 in FIG. 14 Do.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laims (20)

욕실 도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흡기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 유로;
상기 공기 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 및
상기 송풍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An air passage formed to pass through the bathroom door, the air passage hav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 blowing unit provided inside the air passage; And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air blowing unit
Blowers for bathroom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전원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blowing unit includes:
A drive motor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And a blowing fan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rotating
Blowers for bathroom doo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욕실 외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욕실 내부를 향해 배치되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intake port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athroom,
The discharge port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Blowers for bathroom do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상기 욕실 외부 공기를 가속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욕실 내부로 토출하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blowing fan accelerates the outside air of the bathroom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and discharges the air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outlet
Blowers for bathroom doors.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전원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유로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외부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온습도 센서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외부 제어 장치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송풍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flow path,
The housing ha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control device,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and provid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blowing unit based on a signal of the external contro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Blowers for bathroom doo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온습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제어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modul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to the external control device,
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control device to the control module
Blowers for bathroom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무선 충전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는 무선 충전 수신기인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s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that receives power wirelessly from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Blowers for bathroom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외부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선을 통해 전력을 제공받는
욕실 도어용 송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unit is a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through an electric wire
Blowers for bathroom doors.
욕실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욕실 내부로 토출하는 송풍 장치;
상기 욕실 천장에 장착되어 상기 욕실 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장치; 및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A fan installed in the bathroom door for sucking air outside the bathroom and discharging the air into the bathroom;
A ventilation device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for ventilating the air in the bathroom; And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무선 충전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that wirelessly provides power to the blower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선을 통해 전력을 제공받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ir blowing device is a device that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via an electric wire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욕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욕실 내부로 토출하는 제1 송풍 유닛과,
상기 스위치와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온습도 센서와,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 송풍 유닛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온습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상기 스위치로 송신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above blowing device,
A first air blowing unit that sucks air outside the bathroom and discharges the air into the bathroom;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witch,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and provid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first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first blower unit based on a signal of the switch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of the bathroom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o the switch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가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제2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room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whether the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nd a second control module for provid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blower and the ventilato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provided from the analysis module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의 구동을 개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control module comprises: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starting driving of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exce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do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터치 입력부와,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터치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touch input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and transmitting the touch input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the bathroom,
Wherein the touch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unit associated with driving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blower and the ventilator based on the touch inpu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ouch input unit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욕실 천장과 연결된 환기구로 토출하는 제2 송풍 유닛과,
상기 스위치와 통신하는 제3 통신 모듈과,
상기 제3 통신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송풍 유닛을 제어하는 제3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ventilator may include:
A second air blowing unit for sucking air in the bathroom and discharging the air into a vent hole connected to the bathroom ceiling,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switch,
And a third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econd blowing unit based on a signal of the switch provid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Bath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욕실 도어에 장착된 송풍 장치의 온습도 센서를 통해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욕실 천장에 장착된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through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of a blower installed in a bathroom door;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nd
And controlling the ventilator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nd the ventilator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Method of operating the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의 구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blowing device and the ventilating device comprises:
Driving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exce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And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do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Control method of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습도 센서를 통해 상기 욕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 후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스위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tep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And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switch
Control method of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기정의된 온도 및 습도 레벨을 비교한 후,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환기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욕실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comprises: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nd then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o the ventilator and the ventilator
Control method of bath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system.
KR1020160143383A 2016-10-31 2016-10-31 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523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383A KR102523163B1 (en) 2016-10-31 2016-10-31 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383A KR102523163B1 (en) 2016-10-31 2016-10-31 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380A true KR20180047380A (en) 2018-05-10
KR102523163B1 KR102523163B1 (en) 2023-04-17

Family

ID=6218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383A KR102523163B1 (en) 2016-10-31 2016-10-31 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1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456A (en) * 2018-12-20 2020-06-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entilation Door System having ventilation control element integrated with exhaust fans of bathroom and door
KR102629235B1 (en) * 2022-09-16 2024-01-25 주식회사 디원라이트 Bathroom air control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373A (en) * 2002-04-30 2003-11-14 Yazaki Corp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JP2007016385A (en) * 2005-07-05 2007-01-25 Naoki Tsuji Door mounted fan
KR20160018023A (en) * 2014-08-07 2016-02-17 패스테크 주식회사 A locking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charge technology
KR20160056672A (en)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apparatus of dehumidiifier for greenhouse using smart-phone
KR20160097769A (en) * 2015-02-10 2016-08-18 동 규 김 Housing Ventil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373A (en) * 2002-04-30 2003-11-14 Yazaki Corp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JP2007016385A (en) * 2005-07-05 2007-01-25 Naoki Tsuji Door mounted fan
KR20160018023A (en) * 2014-08-07 2016-02-17 패스테크 주식회사 A locking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charge technology
KR20160056672A (en)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apparatus of dehumidiifier for greenhouse using smart-phone
KR20160097769A (en) * 2015-02-10 2016-08-18 동 규 김 Housing Ventilation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456A (en) * 2018-12-20 2020-06-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entilation Door System having ventilation control element integrated with exhaust fans of bathroom and door
KR102629235B1 (en) * 2022-09-16 2024-01-25 주식회사 디원라이트 Bathroom air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163B1 (en)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6246B (en) Control device, ventilation system, ventil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704795B2 (en) Bathroom management system
JP2018529866A5 (en)
CN104697108B (en) Air conditioner
KR101940452B1 (en) A ventilation system with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space
KR20180047380A (en) Blower for bathroom door,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athroo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04108604A (en) Door control device, automatic door, door control method and refrigerator using automatic door
JP2010151341A (en) Indoor facility control system
KR20190046698A (en) Bathroom appliance having mirror cabinet appratus and sink cabinet asppratus
KR20100080314A (en) System and method for dryer control
KR20070043374A (en)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KR20180131885A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an be control the home appliances based on the indoor environment
KR20080037639A (en) A control device for air-control module of bedroom with multi-using
JP5209362B2 (en) Toilet fan control device
JPH10141684A (en) Heating device for bathroom or the like
CN103901850B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ir-conditioning
JP4807036B2 (en) Bathroom air conditioner
KR102434033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JP2010117060A (en) Method of sensing person in bathroom and bathroom heating and dry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028826A (en) Drying apparatus
JP6667064B2 (en) Bathroom heating dryer
KR20200089048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JP3567815B2 (en) Hot wire automatic switch for toilet
CA3086575C (en) Water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20099329A1 (en) Retrofittable controller of exhaust-air bl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