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632A -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 Google Patents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632A
KR20180046632A KR1020160142033A KR20160142033A KR20180046632A KR 20180046632 A KR20180046632 A KR 20180046632A KR 1020160142033 A KR1020160142033 A KR 1020160142033A KR 20160142033 A KR20160142033 A KR 20160142033A KR 20180046632 A KR20180046632 A KR 2018004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encoding
worker
rti
distrib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363B1 (ko
Inventor
김종주
정영동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3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3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media transcoding, e.g. video is transformed into a slideshow of still pictures or audio is converted into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가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분산 인코딩 방법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단위 트랜스코더인 복수 개의 워커(worker)를 통해 분산 인코딩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분할 단위로 분할하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해 차례로 워커를 할당하고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는 단계; 및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워커 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함으로써 결과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DISTRIBUTED TRANSCODER BASED ON STREAMING}
아래의 설명은 분산 인코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및 각종 포털의 동영상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맞게 동영상 콘텐츠를 트랜스코딩(인코딩)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서비스 업체에서는 별도의 인코딩 서버를 두어 엠펙2(MPEG2) 또는 H.264와 같은 압축 알고리즘을 통해 인코딩 및 트랜스코딩을 하고 있다.
동영상 인코딩 기술에는 단일 영상을 단일 장비에서 트랜스코딩을 하는 방식과, 3단계의 분산 인코딩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첫 번째 기술(단일 영상을 단일 장비에서 트랜스코딩)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트랜스코딩 방법으로, 원본이 아주 길거나 복잡도가 높은 인코더를 사용할 경우 작업이 완료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기술(3단계의 분산 인코딩)은 분산 트랜스코더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 1. 원본영상 분할 -> 2. 분할영상 트랜스코딩 -> 3. 결과물 병합을 포함하는 3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두 번째 기술은 원본영상 분할, 분할영상 트랜스코딩, 결과물 병합을 거치게 되므로 각각의 과정에 의해 비트스트림 I/O(input/output)가 발생하므로 3단계 과정에서 불필요한 I/O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이한 오디오 코덱이 사용되거나 리샘플링(resampling)이 발생할 경우 추가적인 패딩(padding)이 발생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간 싱크(sync)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독립된 분할 트랜스코더들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어려워 영상 프레임의 중복 또는 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3단계(원본영상 분할, 분할영상 트랜스코딩, 결과물 병합)의 분산 인코딩 기술을 보완하여 I/O 오버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한다.
원본이 파일인 경우뿐만 아니라 실시간 스트리밍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한다.
오디오 스트림은 분산하지 않고 처리하고 비디오 스트림만 분산하여 트랜스코딩 하는 방식을 적용한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한다.
각각의 단위 트랜스코더와 분산의 주체가 긴밀하게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프레임의 중복 또는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한다.
작업 가로채기(work stealing) 개념을 도입하여 동적으로 작업을 분배함으로써 각각의 장비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분산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단위 트랜스코더인 복수 개의 워커(worker)를 통해 분산 인코딩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분할 단위로 분할하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해 차례로 워커를 할당하고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는 단계; 및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워커 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함으로써 결과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분리한 오디오 데이터를 단일 인코딩으로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분리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산 인코딩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GOP(group of pictures) 단위를 최소 단위로 하여 최소 단위의 일정 배수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패킷과 워커 인덱스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각 워커로부터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과 함께 워커 인덱스를 수신하여 수신된 인덱스에 따라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워커가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부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열려있는 포트(listen port)를 결정한 후 결정된 포트 정보를 해당 워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디코딩을 위한 코덱 컨텍스트(codec context)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패킷에 대한 인코딩 프로파일(encoding profile)을 포함한 인코딩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일정 인덱스 이상의 인코딩 결과 패킷이 정렬되면 중간 결과물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패킷 시간 순으로 정렬하되, 여러 워커로부터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이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메모리 맵 파일(memory mapped file)을 사용하여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분산 인코딩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분산 인코딩 방법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단위 트랜스코더인 복수 개의 워커(worker)를 통해 분산 인코딩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분할 단위로 분할하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해 차례로 워커를 할당하고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는 단계; 및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워커 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함으로써 결과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단위 트랜스코더인 복수 개의 워커(worker)를 통해 분산 인코딩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분할 단위로 분할하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해 차례로 워커를 할당하고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는 과정; 및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워커 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함으로써 결과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3단계(원본영상 분할, 분할영상 트랜스코딩, 결과물 병합)의 분산 인코딩 기술을 보완하여 I/O 오버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원본이 파일인 경우뿐만 아니라 실시간 스트리밍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스트림은 분산하지 않고 처리하고 비디오 스트림만 분산하여 트랜스코딩 하는 방식을 적용한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트랜스코더와 분산의 주체가 긴밀하게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프레임의 중복 또는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 가로채기(work stealing) 개념을 도입하여 동적으로 작업을 분배함으로써 각각의 장비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3단계 분산 트랜스코딩은 마지막 단계에 도달해야 결과물이 생성되는데 분산 트랜스코딩은 단일 트랜스코더와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결과물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단일 장비에서는 불가능한 라이브 스트리밍 송출을 위한 분산 트랜스코더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인코딩 시스템이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스 역할을 하는 인코딩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워커 역할을 하는 인코딩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분산 인코딩을 위한 보스와 워커 간의 정보 교환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제어부에 해당되는 보스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수행부에 해당되는 워커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산 인코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일 영상을 여러 장비에 분산시켜 트랜스코딩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단일 영상을 여러 장비에 분산시켜 트랜스코딩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율성, 합리성, 신속성, 복원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이하에서는 분산 인코더 구조와 그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150)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서버(150)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설정된 분할 단위와 사용 가능한 워커(worker) 수를 고려하여 작업을 분산시키고 작업이 끝난 패킷을 바로 쓰기 가능하도록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다중화기(muxer)로 전달함으로써 별도의 분할 과정과 병합 과정이 없이 바로 인코딩을 수행하는 형태로, 다시 말해 원본 패킷을 읽어와 분할 단위로 쪼개자마자 인코딩을 시작하고 인코딩이 완료된 패킷에 대해 바로 쓰기 과정을 거치는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인코딩 시스템이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 인코딩 시스템(300)은 구성요소들로서 인코딩 제어부(310) 및 복수의 인코딩 수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인코딩 제어부(310)는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에 포함될 수 있고, 인코딩 수행부(320) 각각은 서버(150)와 연결된 별개의 컴퓨터 장치로서 인코딩 제어부(310)로부터 할당 받은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코딩 제어부(3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분산 트랜스코딩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 제어부(310)는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코딩 제어부(310)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인코딩 제어부(310)는 분산 주체로서 데이터 패킷의 분산 인코딩을 위한 작업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보스(boss)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 제어부(310)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사전 설정된 분할 단위와 사용 가능한 워커(즉, 인코딩 수행부(320))의 수를 고려하여 작업을 분산시키고 작업이 완료된 패킷을 정렬하여 결과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 수행부(320)는 단위 트랜스코더로서 인코딩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데이터 패킷의 인코딩을 수행하는 워커(worker)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코딩 수행부(320) 또한 해당 전자 기기의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인코딩 수행부(320)는 분할 패킷 각각에 대한 인코딩을 위해 복수의 워커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인코딩 제어부(310)로부터 할당된 작업에 대해 해당 분할 패킷의 트랜스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제어부(3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수행부(3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인코딩 제어부(3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기(source splitter)(411),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412), 오디오 후처리기(audio post processor)(413), 오디오 인코더(audio encoder)(414), 스트림 분배기(netstream distributor)(415), 스트림 조합기(netstream collector)(416), 및 다중화기(muxer)(417)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수행부(3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림 리더(netstream reader)(521),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522), 비디오 후처리기(video post processor)(523), 비디오 인코더(video encoder)(524), 및 스트림 라이터(netstream writer)(52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제어부(310)는 분리기(411)를 통해 원본 파일을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하여 오디오 데이터는 단일 인코딩으로 처리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분산 인코딩을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연속성에 있어 비디오 데이터는 각 프레임에 매겨진 타임스탬프(timestamp)로 처리가 가능하나,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사이즈와 타임스탬프가 동일하기 때문에 분산 처리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는 코덱(codec)마다 패킷 단위가 다르고 리샘플링 수행 시 패킷 크기가 달라진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는 분산 인코딩 수행 시 마지막 패킷에 더미 데이터(dummy data)가 추가될 가능성이 있고 미세한 오차가 누적될 경우 전체적으로 비디오 데이터와의 싱크가 불일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는 분산 처리가 불가하기 때문에 보스(인코딩 제어부(310))에서 오디오 디코더(412), 오디오 후처리기(413), 오디오 인코더(414)를 통해 단일 인코딩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단일 인코딩으로도 충분히 빠른 시간 내에 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코딩 제어부(310)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산 인코딩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사전에 정해진 분할 단위와 인코딩 수행부(320)를 구성하고 있는 워커의 수를 고려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작업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분산 인코딩을 위한 보스와 워커 간의 정보 교환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트림 분배기(415)와 스트림 리더(521) 간의 정보 교환 플로우를, 도 7은 스트림 라이터(525)와 스트림 조합기(416) 간의 정보 교환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보스에서 워커 각각에 대해 프로토콜 버전(protocol version)을 확인하고 스트림 분배기(415)가 응답 확인 방식(handshake)을 이용하여 스트림 리더(521)와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61).
스트림 분배기(41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분산 인코딩을 위한 작업을 할당하고 각 워커의 스트림 리더(521)와 연결되면 할당된 작업의 인코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스트림 리더(521)로 전달할 수 있다(S62~S66).
상세하게, 스트림 분배기(415)는 비디오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조합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스트림 조합기(416)의 접속 정보(일례로, 포트 정보(collector port) 등)를 스트림 리더(521)로 전달할 수 있다(S62). 보스에서 스트림 조합기(416)의 열려있는 포트(listen port)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스트림 분배기(415)는 스트림 라이터(525)가 스트림 조합기(416)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당 포트 정보를 스트림 리더(521)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보스에서 작업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에 스트림 분배기(415)는 스트림 조합기(416)가 워커 인덱스를 기준으로 각 워커를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워커에 부여된 인덱스를 스트림 리더(521)로 전달할 수 있다(S63).
또한, 스트림 분배기(415)는 디코딩을 위한 코덱 컨텍스트(codec context for decoding)를 스트림 리더(521)로 전달할 수 있고(S64), 인코딩 프로파일(encoding profile), 할당된 패킷의 프레임 정보(W/H/FPS) 등을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스트림 리더(521)로 전달할 수 있다(S65).
마지막으로, 스트림 분배기(415)는 분산 인코딩 대상이 되는 비디오 데이터 패킷, 즉 할당된 작업의 패킷을 스트림 리더(521)로 전달할 수 있다(S66).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워커에서는 스트림 라이터(525)가 응답 확인 방식(handshake)을 이용하여 스트림 조합기(416)와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71). 이때, 스트림 라이터(525)는 스트림 리더(521)를 통해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전달받은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스트림 조합기(416)와 연결할 수 있다.
스트림 라이터(525)는 스트림 조합기(416)와 연결되면 할당된 작업의 인코딩에 따른 결과 정보(즉, 인코딩 결과 패킷)를 스트림 조합기(416)로 전달할 수 있다(S72~S73).
스트림 라이터(525)는 스트림 조합기(416)가 워커 인덱스를 기준으로 각 워커를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트림 리더(521)를 통해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전달받은 워커 인덱스를 함께 스트림 조합기(416)로 전달할 수 있다(S72).
그리고, 스트림 라이터(525)는 비디오 디코더(522), 비디오 후처리기(523), 비디오 인코더(524)를 차례로 거쳐 인코딩 된 결과 패킷, 즉 할당된 작업의 인코딩 결과 패킷을 스트림 조합기(416)로 전달할 수 있다(S73).
스트림 조합기(416)는 복수의 워커로 할당된 작업 각각에 대해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 패킷을 워커 인덱스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조합할 수 있으며, 일정 인덱스 이상의 결과물이 모이게 되면 중간결과물을 다중화기(417)로 전달할 수 있다.
분산 인코딩 대상이 되는 패킷은 비디오 데이터를 의미하며, 패킷 구조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 비디오 전체 길이(duration), 비디오 패킷 데이터(video packet data), 비디오 패킷 데이터 크기(video packet data size), 키프레임(keyfra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음 패킷의 PTS는 현재 패킷의 PTS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FPS(frame per second) 변환이 이루어지므로 비디오 전체 길이를 알 수 있다.
상기한 분산 트랜스코딩 구조의 그리드 인코딩 시스템은 보스에서 비디오 데이터 패킷을 분할한 후 복수의 워커에 할당하여 분산 인코딩으로 처리하고 분산 인코딩으로 처리된 패킷을 조합하여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인코딩 시스템은 데이터 패킷을 분할해가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한 인코딩이 시작되고 또한 인코딩 즉시 인코딩이 완료된 일부 패킷으로 중간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분할 인코딩을 위한 비트스트림 I/O가 1회만 발생하고 별도의 전처리/후처리(split/merge) 과정 없이 작업 할당 즉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어 파일 형태의 패킷은 물론 라이브 스트리밍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인코딩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파일 포맷이나 코덱의 종류와 무관하게 GOP(group of pictures) 단위를 최소 단위로 하여 최소 단위의 일정 배수로 데이터 패킷을 나눔으로써 어떤 포맷이나 어떤 코덱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제어부(310)에 해당되는 보스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801)에서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는 설정된 분할 단위와 사용 가능한 워커의 수를 고려하여 비디오 데이터 패킷을 분할할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분배기(415)는 GOP 단위를 최소 단위로 하여 최소 단위의 일정 배수로 비디오 데이터 패킷을 분할할 수 있다.
단계(S802)에서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는 비디오 데이터 패킷이 분할 단위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분할 패킷 각각에 대해 워커를 차례로 할당하고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할 수 있다. 스트림 분배기(415)는 분할 패킷의 개수가 워커의 수를 초과하는 경우 분할 패킷의 인코딩 작업이 먼저 끝난 워커에게 지속적으로 다음 분할 패킷의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스트림 분배기(415)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워커 각각에 대해 스트림 조합기(416)의 접속 정보, 즉 스트림 조합기(416)의 열려있는 포트를 결정할 수 있고 다중화기(417)에서 사용할 코덱 컨텍스트를 미리 생성할 수 있다.
단계(S803)에서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는 분할 패킷 각각에 대해 각 분할 패킷이 할당된 워커로 해당 패킷과 함께, 해당 워커에 대한 인덱스와, 스트림 조합기(416)의 접속 정보, 코덱 컨텍스트, 인코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스트림 분배기(415)는 마지막 분할 패킷에 대해 워커를 할당한 후 스트림 조합기(416)가 마지막 워커 인덱스 이후의 인코딩 결과 패킷을 기다리지 않도록 마지막 워커 인덱스를 스트림 조합기(416)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S804)에서 보스의 스트림 조합기(416)는 접속 정보를 이용한 워커의 요청에 따라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포트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분할 패킷을 할당 받은 워커가 보스로부터 전달 받은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스트림 조합기(416)와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스트림 조합기(416)는 워커의 스트림 라이터(525)와 연결을 맺고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포트를 열게 된다.
그리고, 스트림 조합기(416)는 스트림 분배기(415)와 상호 동작할 수 있으며, 워커의 스트림 라이터(525)와 연결을 맺으면 해당 워커에 대한 인코딩 코덱 컨텍스트를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전달 받아 이를 다시 다중화기(417)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S805)에서 보스의 스트림 조합기(416)는 활성화 된 포트를 통해 워커의 스트림 라이터(525)로부터 워커의 인코딩 결과 패킷과 함께 워커 인덱스를 포함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워커의 인코딩 결과 패킷을 해당 워커 인덱스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스트림 조합기(416)는 워커 인덱스를 기준으로 작업을 할당 받은 각 워커로부터 수신된 인코딩 결과 패킷을 패킷 시간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여러 워커가 인코딩 결과 패킷을 동시에 보내는 경우 스트림 조합기(416)는 메모리 맵 파일(memory mapped file)을 사용하여 인코딩 결과 패킷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스트림 조합기(416)는 각 워커로부터 수신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워커 인덱스를 기준으로 정렬한 후 전달 가능한 패킷 단위를 확인하여 정렬된 패킷을 다중화기(417)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조합기(416)는 일정 인덱스 이상의 패킷이 모여 정렬되게 되면 중간결과물을 다중화기(417)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분배의 주체 역할을 하는 보스는 비디오 데이터를 최소 단위(일례로, GOP 단위)의 일정 배수씩 분할하면서 그 즉시 분할 패킷 각각을 차례로 단위 트랜스코더인 워커에 할당하여 패킷 분할과 동시에 인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보스는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여 워커 인덱스를 기준으로 정렬하면서 일정 인덱스 이상의 결과물이 모이면 이를 다중화기(417)로 전달함으로써 전체 데이터의 인코딩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중간중간 일부 패킷에 따른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수행부(320)에 해당되는 워커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901)에서 워커의 스트림 리더(521)는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할당 받은 분할 패킷과 함께, 관련 정보로서 스트림 조합기(416)의 접속 정보, 워커 인덱스, 코덱 컨텍스트, 인코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트림 리더(521)는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와 연결하여 보스로부터 할당 받은 원본 패킷과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포트를 열게 된다. 스트림 리더(521)는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에 연결되어 인코딩 설정을 위한 인코딩 정보와 디코딩을 위한 코덱 컨텍스트, 그리고 할당 받은 원본 패킷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트림 리더(521)는 포트 바인딩을 대기하고 있다가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와 접속되면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원본 패킷과 함께 스트림 조합기(416)의 접속 정보, 워커 인덱스, 코덱 컨텍스트, 인코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902)에서 워커의 비디오 디코더(522), 비디오 후처리기(523), 비디오 인코더(524)를 포함하는 트랜스코더는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전달받은 코덱 컨텍스트와 인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딩 환경을 설정한 후 보스로부터 할당 받은 분할 패킷을 인코딩 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522)는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전달받은 코덱 컨텍스트를 활용하여 출력 핀을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 정보는 인코딩 프로파일, 할당된 패킷의 프레임 정보(W/H/FPS)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필터 조합 모듈인 비디오 후처리기(523)와 비디오 인코더(524)로 전달되어 포스트 필터(post filter)인 비디오 후처리기(523)와 인코드 필터(encode filter)인 비디오 인코더(524)에 설정될 수 있다.
워커의 비디오 디코더(522), 비디오 후처리기(523), 비디오 인코더(524)를 포함하는 트랜스코더는 2pass 인코더에 대응될 수 있다. 워커에서는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전달받은 원본 패킷을 메모리 맵 파일(memory mapped file)에 임시 저장한 후 재사용할 수 있다.
단계(S903)에서 워커의 스트림 라이터(525)는 할당 받은 작업, 즉 분할 패킷에 대한 인코딩이 완료되면 보스의 스트림 분배기(415)로부터 전달 받은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보스의 스트림 조합기(416)와 연결할 수 있다.
단계(S904)에서 워커의 스트림 라이터(525)는 보스의 스트림 조합기(416)와 연결되면 인코딩 결과 패킷과 함께 해당 워커 인덱스를 보스의 스트림 조합기(416)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워커의 트랜스코더가 2pass 인코더에 대응되는 경우 스트림 라이터(525)는 인코딩 상태를 보스의 스트림 조합기(416)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2pass 인코딩 중 첫 번째 과정(first pass)에서는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상태 정보만을 전달할 수 있고, 두 번째 과정(second pass)에서는 첫 번째 과정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인코딩을 수행하여 인코딩 결과 패킷을 보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트랜스코더인 각각의 워커는 보스와 정보를 주고 받아 보스로부터 할당 받은 분할 패킷에 대한 인코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단계(원본영상 분할, 분할영상 트랜스코딩, 결과물 병합)의 분산 인코딩 기술을 보완하여 I/O 오버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본이 파일인 경우뿐만 아니라 실시간 스트리밍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 트랜스코더와 분산의 주체가 긴밀하게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프레임의 중복 또는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 가로채기(work stealing) 개념을 도입하여 동적으로 작업을 분배함으로써 각각의 장비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분산 인코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단계 분산 트랜스코딩은 마지막 단계에 도달해야 결과물이 생성되는데 분산 트랜스코딩은 단일 트랜스코더와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결과물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단일 장비에서는 불가능한 라이브 스트리밍 송출을 위한 분산 트랜스코더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분산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단위 트랜스코더인 복수 개의 워커(worker)를 통해 분산 인코딩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분할 단위로 분할하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해 차례로 워커를 할당하고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는 단계; 및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워커 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함으로써 결과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분리한 오디오 데이터를 단일 인코딩으로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분리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산 인코딩으로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GOP(group of pictures) 단위를 최소 단위로 하여 최소 단위의 일정 배수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분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패킷과 워커 인덱스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각 워커로부터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과 함께 워커 인덱스를 수신하여 수신된 인덱스에 따라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워커가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부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열려있는 포트(listen port)를 결정한 후 결정된 포트 정보를 해당 워커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디코딩을 위한 코덱 컨텍스트(codec context)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패킷에 대한 인코딩 프로파일(encoding profile)을 포함한 인코딩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일정 인덱스 이상의 인코딩 결과 패킷이 정렬되면 중간 결과물로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패킷 시간 순으로 정렬하되, 여러 워커로부터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이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메모리 맵 파일(memory mapped file)을 사용하여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인코딩 방법.
  11. 분산 인코딩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분산 인코딩 방법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단위 트랜스코더인 복수 개의 워커(worker)를 통해 분산 인코딩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분할 단위로 분할하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해 차례로 워커를 할당하고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는 단계; 및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워커 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함으로써 결과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단위 트랜스코더인 복수 개의 워커(worker)를 통해 분산 인코딩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분할 단위로 분할하면서 분할과 동시에 분할 패킷에 대해 차례로 워커를 할당하고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에 인덱스를 부여하는 과정; 및
    각각의 워커로부터 인코딩이 완료된 즉시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고 워커 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정렬함으로써 결과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분리한 오디오 데이터를 단일 인코딩으로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분리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산 인코딩으로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과정은,
    GOP(group of pictures) 단위를 최소 단위로 하여 최소 단위의 일정 배수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분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과정은,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워커가 인코딩 결과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서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과정은,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부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열려있는 포트(listen port)를 결정한 후 결정된 포트 정보를 해당 워커로 전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서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과정은,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디코딩을 위한 코덱 컨텍스트(codec context)를 전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서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과정은,
    분할 패킷이 할당된 각 워커로 해당 패킷에 대한 인코딩 프로파일(encoding profile)을 포함한 인코딩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서버.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일정 인덱스 이상의 인코딩 결과 패킷이 정렬되면 중간 결과물로서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서버.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패킷 시간 순으로 정렬하되, 여러 워커로부터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이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메모리 맵 파일(memory mapped file)을 사용하여 상기 인코딩 결과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60142033A 2016-10-28 2016-10-28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KR102059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33A KR102059363B1 (ko) 2016-10-28 2016-10-28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33A KR102059363B1 (ko) 2016-10-28 2016-10-28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32A true KR20180046632A (ko) 2018-05-09
KR102059363B1 KR102059363B1 (ko) 2019-12-26

Family

ID=6220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33A KR102059363B1 (ko) 2016-10-28 2016-10-28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3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363B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49633B (zh) 基于nfv的机顶盒云化系统及业务实现方法
EP3244621B1 (en) Video encoding method, system and server
US9693080B2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U2015280330B2 (en) Efficient frame rendering
US8843631B2 (en) Dynamic local function binding apparatus and method
TW201019263A (en) Integrated GPU, NIC and compression hardware for hosted graphics
CN106063278A (zh) 使用子组块化来对媒体流进行代码转换
KR20210130802A (ko) 세그먼트화된 데이터 스트림 프로세싱을 위한 선입 선출 기능
US2014024308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game platform based on streaming
EP364661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orchestrated networked application services
WO2024066828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N113079216A (zh) 一种云应用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5802215B2 (ja) 複数の粒度を持つストリームを処理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5065684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KR102024160B1 (ko) 분산 트랜스코딩의 시간 단축을 위한 최적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99576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격 운영을 위한 시간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80192064A1 (en) Transcoder for real-time compositing
US20200322659A1 (en) Distributed transcoding method and distributed transcoding system
JP7037642B2 (ja) ビデオ品質制御
KR102134250B1 (ko)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102059363B1 (ko) 스트리밍 기반의 분산 트랜스코더
WO2012124862A1 (ko) 이기종 서버/클라이언트간 가상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47099B1 (ko) 가상화 멀티 세션 지원을 위한 서버 구조
TW201701152A (zh) 網路伺服系統
KR102238720B1 (ko) 인코딩과 업로딩의 병행 처리를 통해 미디어 파일의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