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348A - 용기 집합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348A
KR20180046348A KR1020170079447A KR20170079447A KR20180046348A KR 20180046348 A KR20180046348 A KR 20180046348A KR 1020170079447 A KR1020170079447 A KR 1020170079447A KR 20170079447 A KR20170079447 A KR 20170079447A KR 20180046348 A KR20180046348 A KR 20180046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fixing
frame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151B1 (ko
Inventor
강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테크
Priority to KR102017007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07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7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lock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4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6Noble gases (Ar, Kr, Xe)
    • F17C2221/017Hel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45Hydrogen technologies in produc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많은 수의 고정프레임을 구입할 필요없이 1개의 상기 고정프레임만으로도 복수의 상기 용기를 넘어지지 않도록 한번에 간편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숙련자 또는 비숙련자라하더라도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설치장소로의 운반하여 간편하게 직접 조립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 집합장치{Containers set of devices}
본 발명은 많은 수의 고정프레임을 구입할 필요없이 1개의 상기 고정프레임만으로도 복수의 상기 용기를 넘어지지 않도록 한번에 간편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숙련자 또는 비숙련자라하더라도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설치장소로의 운반하여 간편하게 직접 조립완성할 수 있는 용기 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산업용가스 및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의료용가스로 산소, 질소, 탄산, 수소, 헬륨, 프로판, 부탄, 탄산 등과 같은 고압가스 및 LP가스와 순도가 보다 높은 고순도로 압축된 가스를 그 내부에 밀봉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산업현장, 실험실, 병원, 반도체장비, 연구소 및 가정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용기는 임의 외력에 의해 넘어지거나 그 표면이 파손될 경우에는 내부의 압축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어 폭발, 화재 등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음으로, 상기 용기는 평탄한 지면위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할 피룡가 있다.
그러나, 상기 용기가 평탄한 지면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지라도 측면에서 임의의 외력이 부가될 경우에, 상기 용기가 쉽게 넘어져 그 일부가 파손되어 내부에 충전된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어 폭발,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압력용기가 본체상에 안착된 후 고정밴드가 압력용기의 외주면을 죄여줌으로서, 상기 압력용기가 쉽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 압력용기 고정장치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5498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압력용기를 1개씩 개별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을 뿐 복수의 상기 압력용기를 한번에 위치고정할 수 없어 복수의 상기 압력용기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상기 압력용기 고정장치를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54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많은 수의 고정프레임을 구입할 필요없이 1개의 상기 고정프레임만으로도 복수의 상기 용기를 넘어지지 않도록 한번에 간편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숙련자 또는 비숙련자라하더라도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설치장소로의 운반하여 간편하게 직접 조립완성할 수 있는 용기 집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전측에 각각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고정홈내에 수용고정된 용기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마다 연결되는 체인연결구와; 상기 체인연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고정홈내에 수용고정된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은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상부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많은 수의 고정프레임을 구입할 필요없이 1개의 상기 고정프레임만으로도 복수의 상기 용기를 넘어지지 않도록 한번에 간편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숙련자 또는 비숙련자라하더라도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설치장소로의 운반하여 간편하게 직접 조립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가 가지는 내용적에 따라 상기 용기 높이의 차이가 있어 이를 자유자재로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용기에 저장되는 가스의 사용자에 요구에 따라 상기 용기를 최소 1병에서 최대 5병까지 고정할 수 있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방식으로 연결하여 그 보관 및 상기 용기의 수를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용기 집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1개의 판부를 이용하여 고정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1개의 지지판부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1개의 연결판부를 이용하여 연결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1개의 바닥판부를 이용하여 바닥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슬립방지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상부지지프레임 및 하부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고정프레임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어느 하나의 하부지지프레임이 지면의 돌출턱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위치고정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위치고정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일측고정프레임의 타단부 전측에 타측고정프레임의 일단부 전측이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타측고정프레임이 일측고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밸브연결관, 압력센서, 밸브부재 및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8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2개의 본 발명의 용기 집합장치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용기 집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용기 집합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은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는 고정홈(110)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0)내에는 질소, 수소, 헬륨, 프로판, 부탄, 탄산 등과 같은 고순도로 압축된 가스 등의 기체가 내부에 저장된 가스용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가 수직으로 수용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크게, 상부판(120), 하부판(130) 및 연결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20)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130)의 전측에는 각각 상기 고정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40)은 상기 상부판(120)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130)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120)과 상기 하부판(13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20)의 고정홈(110)과 상기 하부판(130)의 고정홈(110)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1개의 판부를 이용하여 고정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방형의 1개의 판부(101)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장방형의 1개의 판부(101)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1개의 상기 판부(101)의 후측 상부 및 후측 하부방향으로 절곡기 등에 의해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1개의 지지판부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지지판(201)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1개의 상기 지지판(20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1개의 상기 지지판(201)은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지지판(201)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절곡기 등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2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하부판(1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120)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13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102)은 상기 상부판(12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하부판(130)의 일측과 일측과 타측에 상기 상부판(1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 및 상기 하부판(13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102)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상부판(12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하부판(1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십자결합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판(12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하부판(13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가 수용되는 수용홈(103)이 상기 상부판(120) 및 상기 하부판(130)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02)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03)은 상기 상부판(120)의 일측 중심부 및 타측 중심부에 상기 상부판(120)의 끼움홈(102)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03)은 상기 하부판(130)의 일측 중심부 및 타측 중심부에 상기 하부판(130)의 끼움홈(102)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끼움슬릿(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끼움슬릿(202)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0)의 끼움돌기(301)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끼움슬릿(202)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1개의 연결판부를 이용하여 연결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3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연결판부(302)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1개의 상기 연결판부(302)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1개의 상기 연결판부(302)의 하부방향으로 절곡기 등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부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프레임(40)이 좌우대칭된 상태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4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에 끼움슬릿(401)이 상기 바닥프레임(4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상기 바닥프레임(40)의 끼움슬릿(401)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20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기 끼움돌기(203)는 상기 바닥프레임(40)의 끼움슬릿(401)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도 있다.
도 6은 1개의 바닥판부를 이용하여 바닥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프레임(4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바닥판부(402)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a), b)에서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바닥판부(402)의 일측이 수평하도록 1개의 상기 바닥판부(402)의 타측이 절곡기 등에 의해 1개의 상기 바닥판부(402)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바닥판부(402)의 타측 상부가 1개의 상기 바닥판부(40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절곡기 등에 의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바닥판부(402)의 타단부가 1개의 상기 바닥판부(402)의 타단부 하부방향으로 절곡기 등에 의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7은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슬립방지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프레임(40)과 지면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40)의 일측 하부에 복수의 슬립방지홈(403)이 상기 바닥프레임(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상부지지프레임 및 하부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하부지지프레임(210)과 상부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의 하부에 상기 바닥프레임(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의 하부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체결부재(7)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의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는 일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볼트(71)와 너트(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71)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의 중심부 및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의 하부 중심부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230) 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230)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72)는 상기 체결볼트(71)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볼트(71)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230) 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230)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72)는 상기 체결볼트(7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이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을 감싼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이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20)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을 감쌀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고정프레임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어느 하나의 하부지지프레임이 지면의 돌출턱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과 상부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됨에 따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5)의 내용적에 따라 상기 용기(5)의 높이가 상이함으로 상기 용기(5)의 상하길이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 하부방향과 타측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은 작업자에 의해 따로따로 상하이동하여 서로 다른 높낮이를 이룰 수 있다.
이로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의 일측 또는 타측에 지면(3)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31)이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 하부방향과 타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지지프레임(2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바닥프레임(40)이 상기 돌출턱(31)의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로 상기 돌출턱(3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어, 상기 돌출턱(31)이 형성된 지면(3)에서도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평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위치고정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고정홈(110)내에 수용고정된 상기 용기(5)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50)는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링부재(510), 체인연결구(520) 및 체인(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51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 상부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인연결구(520)는 체인고리, 나스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체인연결구(520)의 후측은 각각 상기 링부재(510)마다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인(5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체인연결구(520)의 전측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인(53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고정홈(110)내에 수용고정된 상기 용기(5)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위치고정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위치고정부재(50)는 다른예로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밴드(540)와 결속구(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밴드(54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밴드(540)의 중간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판(120)과 하부판(130)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밴드(54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용공간(150)의 일측주변과 타측주변의 상기 연결판(14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결속구(550)는 상기 밴드(540)가 상기 용기(5)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용기(5)에 밀착되도록 상기 밴드(54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밴드(540)의 일측과 타측을 분리가능하게 결속시키는 한쌍의 암,수결속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일측고정프레임의 타단부 전측에 타측고정프레임의 일단부 전측이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타측고정프레임이 일측고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재(50) 없이 상기 고정프레임(10)만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5)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일측고정프레임(160)과 타측고정프레임(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60)의 타단부 전측에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70)의 일단부 전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70)의 타단부 전측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60)의 일단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60)의 일단부 전측에 공지된 잠금장치(미도시)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위치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밸브연결관, 압력센서, 밸브부재 및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연결관(60), 압력센서(70), 밸브부재(80) 및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연결관(6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후측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용기(5)와 파이프, 호스 등의 연결라인(8)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압력트랜스미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압력센서(70)는 상기 밸브연결관(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라인(8)을 통해 상기 용기(5)에서 상기 밸브연결관(60)내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뉴메틱밸브 등의 공압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밸브부재(80)는 상기 압력센서(70)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연결관(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연결관(6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력센서(70)의 압력측정여부에 따라 상기 밸브부재(8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70)가 상기 밸브연결관(60)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5)내에 저장된 기체가 모두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밸브부재(80)가 상기 밸브연결관(60)을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70)가 상기 밸브연결관(60)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5)내에 충분한 양의 기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밸브부재(80)가 상기 밸브연결관(60)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후측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프레임(10)과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프레임(20)이 각각 전후대칭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프레임(10)과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되는 2개의 상기 밸브연결관(60)의 일측에는 2개의 상기 밸브연결관(60)이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분기라인(100)이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밸브연결관(60)내의 기체는 상기 분기관(100)의 내를 통과하여 상기 분기라인(10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급라인(200)을 통해 특정장소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8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연결관(60)내의 기체유무를 알리는 알림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센서(70)의 기체압력측정여부에 따라 상기 알립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300)는 상기 제어부(400)에 구비되어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 스피커와 발광부재 모두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압력센서(70)가 상기 밸브연결관(60)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410)의 전원이 상기 알림부(300)로 공급되어 상기 알림부(300)가 경고음을 출력 또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70)가 상기 밸브연결관(60)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410)로부터 상기 알림부(3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부(300)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2개의 본 발명의 용기 집합장치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2개 이상의 본 발명인 용기 집합장치(1)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어느 1개의 용기 집합장치(1)의 일측 방향 또는 타측방향에는 다른 1개의 용기 집합장치(1)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일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어느 1개의 용기 집합장치(1)의 전측방향 또는 후측방향에 다른 1개의 용기 집합장치(1)가 어느 1개의 용기 집합장치(1)와 서로 직교를 이룬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많은 수의 상기 고정프레임(10)을 구입할 필요없이 1개의 상기 고정프레임(10)만으로도 복수의 상기 용기(5)를 넘어지지 않도록 한번에 간편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숙련자 또는 비숙련자라하더라도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설치장소로의 운반하여 간편하게 직접 조립완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5)가 가지는 내용적에 따라 상기 용기(5) 높이의 차이가 있어 이를 자유자재로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용기(5)에 저장되는 가스의 사용자에 요구에 따라 상기 용기(5)를 최소 1병에서 최대 5병까지 고정할 수 있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방식으로 연결하여 그 보관 및 상기 용기(5)의 수를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고정프레임, 20; 지지프레임.

Claims (11)

  1.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1개의 연결판의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2.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고, 하부에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안착되고,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는 끼움슬릿이 형성되는 바닥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는 용기 집합장치.
  3.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마다 연결되는 체인연결구와, 상기 체인연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고정홈내에 수용고정된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고정홈내에 수용고정된 용기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4.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 중간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 중간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용기를 감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과 타측을 분리가능하게 결속시키는 결속구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고정홈내에 수용고정된 용기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5.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상부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6.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단부 전측에 다른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부 전측이 축결합되고,
    다른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단부 전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부 전측에 잠금장치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위치고정 및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7. 전측에 용기가 수용고정되는 고정홈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판의 고정홈 및 상기 하부판의 고정홈 사이마다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와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밸브연결관과;
    상기 밸브연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에서 상기 밸브연결관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연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연결관을 개폐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측정여부에 따라 상기 밸브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이 십자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끼움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끼움슬릿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은 1개의 바닥판부의 일측이 수평하도록 1개의 바닥판부의 타측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1개의 상기 바닥판부의 타측 상부가 수평으로 절곡된 후 상기 바닥판부의 타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복수의 슬립방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연결관내의 유체유무를 알리는 알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측정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집합장치.
KR1020170079447A 2017-06-23 2017-06-23 용기 집합장치 KR102077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47A KR102077151B1 (ko) 2017-06-23 2017-06-23 용기 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47A KR102077151B1 (ko) 2017-06-23 2017-06-23 용기 집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178 Division 2016-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348A true KR20180046348A (ko) 2018-05-08
KR102077151B1 KR102077151B1 (ko) 2020-02-13

Family

ID=6218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447A KR102077151B1 (ko) 2017-06-23 2017-06-23 용기 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198A (ja) * 1998-07-21 2000-02-0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ガスボンベ用支持装置
KR200375498Y1 (ko) 2004-11-02 2005-03-11 삼인싸이언스(주) 압력용기 고정장치
KR200452435Y1 (ko) * 2010-08-27 2011-03-02 주식회사 불스 운송수단용 화물용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198A (ja) * 1998-07-21 2000-02-0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ガスボンベ用支持装置
KR200375498Y1 (ko) 2004-11-02 2005-03-11 삼인싸이언스(주) 압력용기 고정장치
KR200452435Y1 (ko) * 2010-08-27 2011-03-02 주식회사 불스 운송수단용 화물용기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151B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557B1 (en) Mounting bracket means for detachably supporting a generally cylindrically-shaped member upon a wall surface
EP1598288B1 (en) Method of fitting liquid container bag body, and liquid container
JP2015164871A (ja) 流体の分配システム
JPH0131413B2 (ko)
JP6552211B2 (ja) ガスボンベ用支持装置
US9885479B2 (en) Hands-free striker for lighting a torch
KR20180046348A (ko) 용기 집합장치
US6726159B2 (en) Tank support system of gas grill
CA2597755A1 (en) Gas system for welding-type devices
US6725856B1 (en) Outdoor gas cook stove with knockdown legs
KR100933481B1 (ko) 기밀도 시험기
US10787317B2 (en) Strap for lifting water-heater
US4345789A (en) Carrying device for cylindrical tanks
CA2507250A1 (en) System and clamp for supporting articles
CN217736929U (zh) 一种用于油田ccus系统的二氧化碳储存容器
US6964273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KR20010039499A (ko) 변환 가능한 가스 연료식 기구
CN213513190U (zh) 一种用于气瓶防倾倒的措施装置
KR200348068Y1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CN210278046U (zh) 一种地铁站用消防装置
ES2831755T3 (es) Aparato para el lavado y/o para el control de presión y estanqueidad de tuberías, en particular de sistemas de agua potable y/o de calefacción
JP2007009953A (ja) 液体コンテナ用のホースガイド
US20050072195A1 (en) Chemical dispenser
CN211856502U (zh) 一种钢瓶自动翻转设备
KR102106753B1 (ko) 산업용구 안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3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09

Effective date: 202001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