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275A -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 Google Patents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275A
KR20180046275A KR1020160141324A KR20160141324A KR20180046275A KR 20180046275 A KR20180046275 A KR 20180046275A KR 1020160141324 A KR1020160141324 A KR 1020160141324A KR 20160141324 A KR20160141324 A KR 20160141324A KR 20180046275 A KR20180046275 A KR 2018004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ear
pressure
link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0007B1 (en
Inventor
이상훈
박기용
권순성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산전 filed Critical (주)와이즈산전
Priority to KR102016014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007B1/en
Publication of KR2018004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2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for compensating for, effects of inclination or acceler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Zero-set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pressure gauge. The pressure gauge comprises: a body unit; a first plate fixed to the body unit; a second plate spaced from the first plate; a rotary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be coupled to an indicating needle; a gear unit having a first gea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a second gear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and a link member extending from the second gear and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 pressure tube of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body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and an adjustment member rotating the second plate.

Description

영점 조절이 가능한 압력계{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0001]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0002]

실시 예는 영점 조절이 가능한 압력계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pressure gauge capable of adjusting the zero point.

일반적으로 압력계는 닫힌 용기 내의 액체 혹은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기구이다. 압력계는 케이스의 내부에 부르동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부르동관의 끝단의 움직임에 따라서 지침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부재가 마련된다.Generally, a pressure gauge is a mechanism that measures the pressure of a liquid or gas in a closed container. The pressure gauge includes a bourdon tube inside the case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capable of rotating the bourdon tub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end of the bourdon tube is provided.

압력계는 측정 대상의 액체 혹은 기체가 인입되면 부르동관이 팽창하여 부르동관의 자유단을 이루는 부분이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부르동관의 자유단과 연결되어 있는 동력전달부재를 통하여 지침이 회전하면서 압력을 알 수 있게 눈금을 지시하게 된다.When a liquid or gas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gauge, the bourden tube expands and the free end of the bourden tube is moved. Then,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bourbon tube, the scale is indicated so that the pressure can be detected while rotating the pointer.

그러나, 압력계는 최초 영점이 조절된 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영점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는 정확한 압력을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다시 영점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를 분리하고 내부에 채워진 오일 등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essure gauge can be zeroed for various reasons after the initial zero point is adjusted. Therefore, accurate pressure can not be measured thereafter. Further, in order to regulate the zero point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se must be separated and the oil filled in the case must be removed.

실시 예는 케이스의 분리 없이 영점 조절이 가능한 압력계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pressure gauge capable of zeroing without separating the case.

실시 예는 마개를 열지 않고도 압력 조절이 가능한 압력계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pressure gauge capable of pressure regulation without opening the cap.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이격 배치된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시침과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연동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링크부재에 타단이 연결되는 압력 튜브;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A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 first plate fixed to the body portion;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engage with the indicating needles; A gear portion including a first gea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 second gear interlocking with the first gear, and a link member extending from the second gear and engaged with the second plate; A pressure tub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And an adjusting member for rotating the second plate.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부상에 배치되는 더미부, 상기 더미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더미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돌기, 및 상기 더미부에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mber includes a dummy portion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dummy portion,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ummy portion and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late, As shown in FIG.

상기 회전부는 상기 더미부와 연결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헤드부와 편심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dummy portion and a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can be eccentrically coupled with the head portion.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ded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압력 튜브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link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tube, wherein the link member may include a slot 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시침의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gea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rot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to adjust the zero point of the indicating needle.

상기 압력 튜브를 밀폐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for sealing the pressure tube.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pressure regulato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regulate the pressure.

상기 압력조절부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 및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앙홀과 연결되는 벤트홀을 포함하는 마개부; 및 상기 중앙홀에 결합되고 측면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ressure regulator includes a center hole formed at the center and a vent hole extending from the side and connected to the center hole; And a handle coupled to the center hole and including a slit formed on a side surface.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분리 없이 영점 조절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별한 조절 기술이 없어도 현장에서 바로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zero point can be adjusted without removing the case. Thus, the user can adjust the zero point directly in the field without special control technology.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영점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마개의 스위치를 조절하여 에어 채널을 온/오프 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영점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4는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zero point adjustment of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zero point is adjusted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zero point is adjusted by clockwise rota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p,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channel is turned on / off by adjusting a switch of a plu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zero point adjustment of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FIG. 9,
1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zero point is adjusted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1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zero point is adjusted by clockwise rot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개념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onceptual view of a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는, 케이스(100), 몸체부(210), 몸체부(210)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220), 제1플레이트(220)와 이격 배치된 제2플레이트(221), 지시침(111)과 결합하는 회전축(240), 기어부(P1), 압력튜브(230), 및 제2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키는 조절부재(270)를 포함한다.1 to 3,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case 100, a body 210, a first plate 220 fixed to the body 210, a first plate 220, A rotation shaft 240 coupled to the indicator needle 111, a gear portion P1, a pressure tube 230 and an adjusting member 270 for rotating the second plate 221 .

케이스(100)는 전면 케이스(110)와 후면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110)와 후면 케이스(120)는 결합하여 압력계 구성부품을 밀폐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에는 표시판(112)과 지시침(111)이 노출될 수 있다.The case 100 includes a front case 110 and a rear case 120. The front case 110 and the rear case 120 can be combined to seal the pressure gauge component. A pressure regulator 130 capable of regulating the pressure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00. The display panel 112 and the indicating needles 111 may be exposed to the front case 110. [

몸체부(210)는 케이스(10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몸체부(210)는 압력계 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상단부(211)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외부 부품(예: 챔버 등)과 결합하는 하단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10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case 100. The body portion 210 may include a top portion 211 on which the pressure gauge component can be seated and a bottom portion 212 that engages with external components (e.g., a chamber, etc.) to measure pressure.

제1플레이트(220)는 몸체부(210)의 일 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220)는 몸체부(210)에 고정되어 회전축(240), 기어부(P1), 제2플레이트(221)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220 can be screwed to one side of the body 210. The first plate 220 is fixed to the body 210 and can suppor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240, the gear portion P1, and the second plate 221. [

제2플레이트(221)는 제1플레이트(220)에 이격 배치되고, 몸체부의 상단부(2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220)와 제2플레이트(221)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플레이트(220)와 제2플레이트(221) 사이에는 제3플레이트(2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222)는 회전축(240)에 의해 제1플레이트(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22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late 220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211 of the body. The first plate 220 and the second plate 221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a third plate 2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220 and the second plate 221. The third plate 22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220 by the rotation shaft 240.

회전축(240)은 제1플레이트(220), 제2플레이트(221), 및 제3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지시침(111)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시침(111)은 회전축(240)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240 may penetrate the first plate 220, the second plate 221, and the third plate 222 and may engage with the indicating needle 111. Therefore, the indicating needle 111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long the rotation axis 240. [

제2플레이트(221)와 제3플레이트(222)는 제1 내지 제3결합돌기(232, 233, 234)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221)와 제3플레이트(222)는 회전축(240)에 의해 제1플레이트(22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21 and the third plate 2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rotrusions 232, 233, and 234. The second plate 221 and the third plate 222 can rotate about the first plate 220 by the rotation shaft 240.

기어부(P1)는 회전축(24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기어(242), 제1기어(242)와 연동하는 제2기어(254), 및 제2기어(254)에서 연장되어 제2플레이트(221)와 결합하는 링크부재(250)를 포함한다.The gear portion P1 includes a first gear 242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40, a second gear 254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42, and a second gear 254 extending from the second gear 254, And a link member (250) that engages with the plate (221).

제1기어(242)는 제1플레이트(220)와 제2플레이트(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어(242)와 제2기어(254)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first gear 2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220 and the second plate 221. The first gear 242 and the second gear 254 may be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2기어(254)의 링크부재(250)는 제2결합돌기(233)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1리세스(254), 제3결합돌기(234)에 끼워져 회전을 지지하는 제2리세스(253), 및 압력 튜브와 연결되는 제3리세스(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리세스(25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The link member 250 of the second gear 254 includes a first recess 254 formed to engage with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233 and a second recess 254 fitted into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234 to support the rotation 253, and a third recess 251 connected to the pressure tube. The third recess 251 may be a long hole formed in one direction.

압력튜브(230)는 일단이 몸체부(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링크부재(250)와 연결될 수 있다. 압력튜브(230)는 부르동관(Bourdon Tube)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압력튜브(230)는 외부의 압력이 인입되어 팽창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튜브가 선택될 수 있다.The pressure tube 23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body 2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250. Pressure tube 230 may be, but is not necessarily, a Bourdon Tube. The pressure tube 230 may be selected from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be inflated by external pressure.

연결부(260)는 압력튜브(230)의 타단과 링크부재(250)를 연결한다. 연결부재(260)는 압력튜브(230)와 연결되는 제1체결부(262) 및 링크부재(250)의 제3리세스(251)와 연결되는 제2체결부(261)를 포함한다. 제2체결부(261)는 링크부재(250)의 제3리세스(251)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260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tube 230 and the link member 250. The connecting member 26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262 connected to the pressure tube 230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261 connected to the third recess 251 of the link member 250.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61 can slide in the third recess 251 of the link member 250.

도 3을 참고하면, 압력튜브(230)의 일단(230a)은 몸체부(210)의 내부홀(211)과 연결되고, 타단(230b)은 연결부재(260)를 통해 제2기어(254)와 연결된다. 내부홀(211)을 통해 압력이 변화하면 압력튜브(230)는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고, 링크부재(250)는 압력튜브(230)의 변위에 따라 회전(D1)을 한다. 제1기어(242)와 제2기어(254)는 압력튜브(230)의 변위 방향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제1기어(242)와 연동된 회전축(240)이 회전(D2)하면서 지시침(111)이 변화하게 된다.3, one end 230a of the pressure tube 230 is connected to the inner hole 211 of the body 210 and the other end 23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254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60. [ Lt; / RTI > The pressure tube 230 is expanded or contracted when the pressure is changed through the inner hole 211 and the link member 250 is rotated D1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pressure tube 230. The first gear 242 and the second gear 254 rotate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direction of the pressure tube 230. Accordingly, the rotating shaft 240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242 rotates (D2), and the indicating needle 111 changes.

회전축(240)에는 탄성부재(241)가 배치된다. 탄성부재(241)는 나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선형상의 탄성부재(241)의 일측은 제1결합돌기(232)에 고정되고, 타측은 회전축(240)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튜브(230)에 가해지는 압력에 변위가 발생하여 링크부재(250)가 회동되고, 탄성부재(241)는 초기 상태에서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An elastic member 241 is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240. The elastic member 241 may have a spiral shape. One side of the helical elastic member 241 may be fixed to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232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40. Displacement occurs at a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tube 230, the link member 250 is rotated, and the elastic member 241 is wound or unwound in the initial state.

이후, 압력튜브(230)의 압력 제거시 탄성부재(241)는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링크부재(250)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부르동관 압력계의 구조가 모두 채용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tube 230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241 elastically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As a result, the link member 250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ructure of a common Bourdon tube pressure gauge can be employ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영점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zero point adjustment of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zero point is adjusted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djusted state.

조절부재(270)는 제2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플레이트(221)와 결합된 제3플레이트(222)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adjustment member 270 can rotate the second plate 221. [ At this time, the third plate 222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221 may rotate together.

조절부재(270)는 제2플레이트(221)의 홈(231a)에 삽입된 돌기(271a)를 포함하고, 돌기(271a)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2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플레이트(221)는 회전축(2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돌기(271a)의 좌우 회전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adjustment member 270 includes a projection 271a inserted in the groove 231a of the second plate 221 and can move the projection 271a to the left and right to rotate the second plate 221. [ Since the second plate 221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240, the second plate 221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hen the projection 271a rotates left and right.

조절부재(270)는 몸체부(210)상에 배치되는 더미부(271), 더미부(271)를 관통하여 몸체부(210)에 삽입되는 고정핀(275), 더미부(271)에서 돌출되어 제2플레이트(221)에 형성된 홈(231a)에 삽입되는 돌기(271a), 및 더미부(271)에 연결되는 회전부(272)를 포함한다.The adjusting member 270 includes a dummy portion 271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210, a fixing pin 275 inserted through the dummy portion 271 and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0, A protrusion 271a inserted into the groove 231a formed in the second plate 221 and a rotation part 272 connected to the dummy part 271. [

회전부(272)는 더미부(271)와 연결된 연장부(273) 및 연장부(273)와 연결되는 헤드부(274)를 포함하고, 연장부(273)는 헤드부(274)와 편심 결합된다. 따라서, 헤드부(274)를 회전시키면 돌기(271a)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on portion 272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273 connected to the dummy portion 271 and a head portion 274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273. The extension portion 273 is eccentrically coupled with the head portion 274 . Therefore, when the head portion 274 is rotated, the projection 271a can be rotated right and left.

도 5를 참고하면, 회전부(27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면상에서 돌기(271a)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플레이트(22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플레이트(221)의 제2결합돌기(233)에 걸려있는 링크부재(250)는 위로 들리게 된다. 따라서, 제1기어(24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시침(111)이 회전한다. 여기서, 도 5는 도 4와 같이 압력계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5, when the rotation part 27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projection 271a moves to the left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plate 22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link member 250 hooked on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233 of the second plate 221 is lifted up. Therefore, the first gear 24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indicating needle 111 rotates. Here, FIG. 5 is a rear view of the pressure gauge as shown in FIG.

도 6을 참고하면, 회전부(27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271a)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플레이트(22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플레이트(221)의 제2결합돌기(233)에 걸려있는 링크부재(250)는 아래로 쳐지게 된다. 따라서, 제1기어(24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시침(111)이 회전한다. 6, when the rotary unit 272 is rotated clockwise, the projection 271a moves to the right, and the second plate 221 rotates clockwise. Therefore, the link member 250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233 of the second plate 221 is struck downward. Thus, the first gear 24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indicating needle 111 rotate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부(27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압력계의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otary part 272 can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adjust the zero point of the pressure gauge.

도 7은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마개의 스위치를 조절하여 에어 채널을 온/오프 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p,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hannel is turned on / off by adjusting the switch of the cap.

조절부재(270)의 회전부(272)는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를 노출하느 개구는 압력조절부(1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마개를 열어 이상 유무를 확인하거나 압력 내부의 압력을 제거할 수 있다.The rotation part 272 of the adjustment member 2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 The opening for exposing the rotating part can be seal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130. However, if necessary, the cap can be opened to confirm the abnormality or to remove the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압력조절부(130)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131a) 및 측면에서 연장되어 중앙홀(131a)과 연결되는 벤트홀(131b)을 포함하는 마개부(131), 및 중앙홀(131a)에 결합되고 측면에 형성된 슬릿(132a)을 포함하는 핸들(1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130 includes a center hole 131a formed at the center and a cap 131 including a vent hole 131b extending from the side and connected to the center hole 131a, And a handle 132 including a slit 132a formed in the side surface.

도 8a를 참고하면, 핸들(132) 회전시켜 슬릿(132a)과 벤트홀(131b)을 마주보게 회전시킨 경우 벤트홀(131b)은 슬릿(132a)을 통해 중앙홀(131a)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계의 내부 압력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8A, when the handle 132 is rotated so as to face the slit 132a and the vent hole 131b, the vent hole 131b can communicate with the center hole 131a through the slit 132a . Therefo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ressure gaug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8 b를 참고하면, 핸들(132)을 돌려 슬릿(132a)과 벤트홀(131b)을 어긋나게 배치한 경우 외부 공기와 차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when the handle 132 is rotated and the slit 132a and the vent hole 131b ar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it can be cut off from outside air.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개를 케이스(1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는 우천시 빗물이 압력계 내부로 유입되는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inner pressure can be adjusted without detaching the cap from the case 100. [ These plugs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pressure gauge during rai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력계의 영점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단면도이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zero point adjustment of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of Fig.

도 9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조절부재(27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조절부재(270)를 이용하여 영점을 조절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9 to 15,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applied as it is except for the adjustment member 270. Therefore, in the following,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zero point using the adjusting member 270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1을 참고하면, 조절부재(270)는 더미부(271), 더미부(271)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플레이트(221)의 홈(231a)에 삽입되는 돌기(281a), 및 더미부(271)의 후방에 배치된 회전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11, the adjusting member 270 includes a dummy portion 271, a projection 281a disposed in front of the dummy portion 271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231a of the second plate 221, And a rotation part 285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rotating shaft 271.

회전부(285)는 나사부(284)와 헤드부(283)를 포함하고, 헤드부(274)는 외면에 홈(283a)이 형성되고 나사부와 편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274)가 회전하면 돌기(271a)는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The rotation part 285 includes a threaded part 284 and a head part 283 and the head part 274 is formed with a groove 283a on the outer surface and eccentrically joined with the threaded part. Therefore, when the head portion 274 rotates, the projection 271a rotates left and right.

도 12를 참고하면, 나사부(284)는 후면 케이스(120)에 삽입 고정되어 있어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120)와 헤드부(274) 사이에는 지지부재(286)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threaded portion 284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rear case 120, so that the rotation can be supported. A support member 28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ar case 120 and the head portion 274. [

도 13은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4는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영점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zero point is adjusted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and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zero point is adjusted by the clockwise rotation.

영점은 돌기(271a)의 좌우 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도면을 기준으로 회전부(285)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돌기(281a)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기어(24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14를 참고하면, 회전부(272)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돌기(281a)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기어(24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zero point can be adjusted by the lateral movement of the projection 271a.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rotary unit 285 is turned counterclockwise on the basis of the drawing, the projection 281a moves to the left, and the first gear 242 rotates clockwise. 14, when the rotary portion 272 is turned clockwise, the projection 281a moves to the right, and the first gear 24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100: 케이스
210: 몸체부
220: 제1플레이트
221: 제2플레이트
222: 제3플레이트
240: 회전축
242: 제1기어
254: 제2기어
270: 조절부재
100: Case
210:
220: first plate
221: second plate
222: third plate
240:
242: First gear
254: Second gear
270: Adjustable member

Claims (10)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이격 배치된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시침과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연동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링크부재에 타단이 연결되는 압력 튜브;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압력계.
A body portion;
A first plate fixed to the body portion;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engage with the indicating needles;
A gear portion including a first gea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 second gear interlocking with the first gear, and a link member extending from the second gear and engaged with the second plate;
A pressure tub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And
And an adjusting member for rotating the 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부상에 배치되는 더미부,
상기 더미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더미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돌기, 및
상기 더미부에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압력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comprises:
A dummy portion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A fixing pin inserted through the dummy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A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dummy portion and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late,
And a rot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umm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더미부와 연결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헤드부와 편심 결합된 압력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ng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dummy portion and a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계.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extension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계.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extension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압력 튜브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장공을 포함하는 압력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link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tube,
Wherein the link member includes a slot 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시침의 영점을 조절하는 압력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gea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rot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to adjust the zero point of the indicating need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튜브를 밀폐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압력계.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for sealing the pressure tub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압력계.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ressure regulato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regulate the press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 및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앙홀과 연결되는 벤트홀을 포함하는 마개부; 및
상기 중앙홀에 결합되고 측면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압력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sure regulator
A cap having a center hole formed at the center and a vent hole extending from a s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enter hole; And
And a handle coupled to the center hole and including a slit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KR1020160141324A 2016-10-27 2016-10-27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KR101900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324A KR101900007B1 (en) 2016-10-27 2016-10-27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324A KR101900007B1 (en) 2016-10-27 2016-10-27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275A true KR20180046275A (en) 2018-05-08
KR101900007B1 KR101900007B1 (en) 2018-09-18

Family

ID=6218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324A KR101900007B1 (en) 2016-10-27 2016-10-27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0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277A (en) * 2019-01-07 2019-04-30 上海自动化仪表有限公司 It is applicable in the balancing controls of filling liquid stainless steel pressure tab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7279A1 (en) 1979-11-20 1981-05-27 Dresser Industries, Inc., 75221 Dallas, Tex. Pressure gauge construction with zero adjustment - has shaft with hexagonal socket end so that external tool can arcuately displace it
JP3595250B2 (en) 2000-08-30 2004-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Pressure gauge
KR100796324B1 (en) * 2006-07-31 2008-01-24 주식회사 협성히스코 Pressure gauge
JP2010266269A (en) 2009-05-13 2010-11-25 Tsutomu Kubota Internal machine for bourdon tube instruments
JP5314645B2 (en) 2010-07-30 2013-10-16 パーフェクトゲージ工業株式会社 Pressure gauge internal unit
US8893553B2 (en) 2011-08-23 2014-11-25 Ashcroft, Inc. Zero/span adjustable linkage movement for measuring devices
KR101264628B1 (en) 2013-03-05 2013-05-24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Manometer for preventing over press and shock
JP2014190918A (en) * 2013-03-28 2014-10-06 Piyo:Kk Bourdon tube type pressure ga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277A (en) * 2019-01-07 2019-04-30 上海自动化仪表有限公司 It is applicable in the balancing controls of filling liquid stainless steel pressure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007B1 (en)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698A (en) Angular position indicator for remotely displaying the positions of value elements, actuators and the like
US10295425B2 (en) Temperature-compensated pressure gauge with a switch output
US9541368B2 (en) Tire pressure gauge
KR101900007B1 (en) Pressure gauge capable of controlling zero point
US6385134B1 (en) Watch
US2303011A (en) Valve
KR200448742Y1 (en) A gauge for pressure measuring device
JPH0531090B2 (en)
US4733564A (en) Pressure gauge with a capsule closed by a resilient membrane
US7009505B2 (en) Tire pressure gauge
US5939627A (en) Tire pressure gauge with adjustable extension member
JP4291402B1 (en) Bourdon tube pressure gauge internal unit and bourdon tube pressure gauge equipped with it
HUT57892A (e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a body performing relative movement
US5554803A (en) Tunable tire pressure indicator
KR100679489B1 (en) The indicater for valve
US1242740A (en) Combined leveling and plumbing implement.
CN219776717U (en) Site mapping device
US1850727A (en) Temperature responsive device
KR101187779B1 (en) Overpressure prevention for level pressure gauge
KR100960017B1 (en) Pressure range setting device
KR102145050B1 (en) pressure indicating means of regulator
KR200423718Y1 (en) The indicater for valve
JPS5844970B2 (en) Seigiyosouchi
CA3023466C (en) A gas pressure regulator
SU970107A1 (en) Device for determination of object tilt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