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139A - Plug valve - Google Patents

Plug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139A
KR20180045139A KR1020160138893A KR20160138893A KR20180045139A KR 20180045139 A KR20180045139 A KR 20180045139A KR 1020160138893 A KR1020160138893 A KR 1020160138893A KR 20160138893 A KR20160138893 A KR 20160138893A KR 20180045139 A KR20180045139 A KR 20180045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ging
flow path
plugging portion
shaft
main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상현
이영삼
Original Assignee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filed Critical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Priority to KR102016013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139A/en
Publication of KR2018004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1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 F16K31/16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valve comprises: a shaft; a control unit linearly moving the shaft; a plugg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and a body unit surrounding the plugging unit and having a main flow path in which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changes according to a movement of the plugging unit. In addition, a bypass flow pat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lugging unit facing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unit to allow a fluid to flow to the main flow path.

Description

플러그 밸브{PLUG VALVE}Plug Valve {PLUG VALVE}

본 발명은 플러그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valve.

플러그 밸브는 플러그의 이동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 오일이나 물 등의 기상 또는 액상 물질의 흐름을 처리하는 유조선이나 LPG 선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The plug valve is used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g, and is widely used for an oil tanker or an LPG line that processes the flow of vapor or liquid material such as gas, oil or water.

이와 같은 플러그 밸브는 고압의 유체 흐름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내구성이 우수해야 하고,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Since such a plug valve needs to control the fluid flow at a high pressure, it needs to have a high durability and a structure capable of smoothly flowing the flui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the fluid.

이와 같은 필요성으로 인하여 유체의 흐름에 방해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플러그 밸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Due to this necessity, studies are being made on plug valves that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luid flow.

등록실용신안 20-0384595 (2005년 05월 09일)Registered utility model 20-0384595 (May 09, 200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lu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moothly flowing the fluid.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ask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직선이동시키는 컨트롤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러깅부, 상기 플러깅부를 둘러싸며 상기 플러깅부의 이동에 따라 개폐량이 변하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마주보는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에 유체가 상기 메인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haft, a control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shaft, a plugg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and a body unit surrounding the plugging unit and having a main flow path whos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is chang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lugging unit And a bypass flow pat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fluid can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유체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상기 메인 유로로 흐를 수 있다.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fluid can flow to the main flow path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플러깅부 일측의 둘레 두께가 줄어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홈과 상기 메인 유로가 연통될 수 있다. The bypass pa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groove for reducing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plugging portion, and the groove and the main passag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플러깅부의 측면은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과 상기 측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홀과 상기 메인 유로가 연통될 수 있다. Wherein the side surface of the plugging portion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and the bypass flow path includes a hole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and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직선이동시키는 컨트롤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러깅부; 상기 플러깅부를 둘러싸며 상기 플러깅부의 이동에 따라 개폐량이 변하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 유체가 상기 메인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shaft; A plugg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A bypass flow passage for flowing fluid to the main flow passag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acing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do.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바디부의 저면 둘레 두께가 줄어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홈과 상기 메인 유로가 연통된다. The bypass passage includes one or more grooves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groove and the main passag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는 플러깅부나 바디부의 저면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plu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flow the fluid by forming the bypass flow path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gging portion or the body portion.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플러깅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일반적인 플러그 밸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와 일반적인 플러그 밸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를 나타낸다.
1 shows a plu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plugging portion of Fig.
3 and 4 are enlarged views of a general plug valve having a main flow path formed therei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lug valve and a general plu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modification of the plu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plug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plu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는 샤프트(110), 컨트롤부(130), 플러깅부(150), 바디부(170)를 포함한다. 1 shows a plu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plu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110, a control unit 130, a plugging unit 150, and a body unit 170. As shown in FIG.

컨트롤부(130)는 샤프트(110)를 직선이동시킨다. 컨트롤부(130)의 챔버(131) 내부에 샤프트(110)와 연결된 플레이트(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챔버(131)에는 공기의 주입을 위한 에어 홀(135)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linearly moves the shaft 110. A plate 133 connected to the shaft 110 may be provided in the chamber 131 of the control unit 130. Also, the chamber 131 may be provided with an air hole 135 for injecting air.

에어 홀(135)을 통하여 챔버(13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챔버(131)와 플레이트(133) 사이의 압력이 높아져 플레이트(133)를 아래로 누르는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33)에 연결된 샤프트(110)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131 through the air hole 135, the pressure between the chamber 131 and the plate 133 is increased, and a force for pressing down the plate 133 is applied. The shaft 110 connected to the plate 133 is linearly moved.

플러깅부(150)는 샤프트(110)의 일단에 구비된다. 도 2는 플러깅부(150)의 확대도로서 플러깅부(150)는 제1 플러그(151), 제2 플러그(153) 및 시트(seat)(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러그(151)는 샤프트(1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플러그(153)는 제1 플러그(151)의 타단과 체결수단(157)을 통하여 결합된다. The plugging portion 15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110.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plugging portion 150. The plugging portion 150 may include a first plug 151, a second plug 153, and a seat 155. FIG. The first plug 15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110 and the second plug 15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ug 151 through the coupling means 157.

시트(155)는 제1 플러그(151)와 제2 플러그(153) 사이에 배치되며, 체결수단(157)의 체결력으로 인하여 시트(155)의 양측 각각에 제1 플러그(151) 및 제2 플러그(153)로부터 압력을 받아 고정될 수 있다. The seat 15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ug 151 and the second plug 153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lug 151 and the second plug 153 on both sides of the seat 155 due to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ans 157. [ And can be fixed by receiving pressure from the pressing member 153.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70)는 플러깅부(150)를 둘러싸며, 플러깅부(150)의 이동에 따라 개폐량이 변하는 메인 유로가 바디부(170)에 형성된다. 1, the body part 170 surrounds the plugging part 150, and a main flow path whos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plugging part 150 is formed in the body part 170. As shown in FIG.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챔버(13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샤프트(110)가 직선이동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110)에 연결된 플러깅부(150) 역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플러깅부(150)의 이동량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메인 유로(171)의 개폐량이 결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131, the shaft 110 moves linearly, and accordingly, the plugg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shaft 110 can also be moved. Accordingly,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lugging part 15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jected,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flow path 171 can be determined.

도 3 및 도 4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일반적인 플러그 밸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플러깅 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플러깅 밸브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3 and 4 are enlarged views of a general plug valve having a main flow path formed therein.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ugging valve is closed, an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ugging valve is ope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55)와 메인 유로(171)를 형성하는 바디의 내측면이 접촉함으로써 시트(155)가 메인 유로(171)를 폐쇄하게 된다. 3, the seat 15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forming the main passage 171, so that the seat 155 closes the main passage 171.

공기가 챔버(131)에 주입되면 플레이트(133)와 샤프트(110)가 밑으로 수직이동하고, 이에 따라 플러깅부(150)도 밑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트(155)가 바디부(170)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지면서 메인 유로(171)가 열리게 된다.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31, the plate 133 and the shaft 110 vertically move downward, and accordingly, the plugging unit 150 also moves downward, The main flow path 171 is opened.

공기가 계속 주입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70)의 저면에 닿을 때까지 플러깅부(150)가 이동할 수 있다. 즉, 바디부(170)의 저면은 플러깅부(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stopp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As the air is continuously injected, the plugging unit 150 can be moved until it reaches the bottom of the body unit 17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70 may serve as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plugging part 150.

이에 따라 메인 유로(171)가 열리는 정도는 최대가 될 수 있으나, 플러깅부(150)가 바디부(170)의 저면에 닿기 때문에 외부에서 바디로의 유체 유입을 방해할 수 있다. Accordingly, although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main flow path 171 can be maximized, since the plugging portion 15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luid from the outside to the body.

뿐만 아니라 메인 유로(171)가 열리면서 펌프(미도시)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게 되는데, 고압의 펌핑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플러깅부(150)와 바디부(170)의 저면 접촉에 따른 유체 유입 방해가 발생하면, 펌프나 플러그 밸브에 고장을 일으키거나 파손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uid is moved by the pump (not shown) while the main flow path 171 is opened. While the high pressure pumping pressure is applied, the fluid inflow disturbance due to the bottom contact between the plugging part 150 and the body part 170 If it does occur, the pump or plug valve may malfunction or break.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경우, 바디부(170)의 저면과 마주보는 플러깅부(150)의 일측에 유체가 메인 유로(171)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case of the plu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flow passage for allowing fluid to flow into the main flow passage 17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150 facing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70 .

플러깅부(150)가 최대로 이동하여 바디부(170)의 저면에 닿으면 일반적인 플러그 밸브와 다르게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플러깅부(150)와 바디부(170)의 저면 접촉에 따른 유체 유입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러깅부(150)가 바디부(170)의 저면과 접촉할 때 유체가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메인 유로(171)로 흐를 수 있다.When the plugging part 150 moves to the maximum and tou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70, a bypass flow path that can flow fluid differently from a general plug valve is formed. Thus, the bottom surface contact of the plugging part 150 and the body part 170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turbance of fluid inflow according to the flow rate. That is, when the plugging portion 15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0, the fluid can flow to the main flow path 171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이 때 바이패스 유로는 홈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바이패스 유로가 홈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bypass passage may include a groove or a hole. First, referring to FIG. 5, a case where the bypass flow path includes a groove will be described.

도 5에서 좌측은 일반적인 플러그 밸브의 제2 플러그(153)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의 우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제2 플러그(153)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의 단면도는 A-A에 따른 것이다.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 second plug 153 of a general plug valve, and a right side of FIG.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 second plug 153 of the plu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tional view of the plu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is according to A-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BFP)는 플러깅부(150) 일측의 둘레 두께가 줄어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홈이 형성된 플러깅부(150) 일측의 둘레의 두께는 T2이고, 홈이 형성되지 않은 플러깅부(150) 일측의 둘레 두께는 T1일 수 있다. 5, the bypass flow path BFP may include one or more grooves for reducing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plugging portion 150. [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grooved plugging unit 150 is T2, and the circumference thickness of the other side of the plugging unit 150 having no grooves may be T1.

플러깅부(150)가 바디부(170)의 저면과 접촉할 때 홈과 메인 유로(171)가 연통될 수 있다. 도 5 도시된 점선원 C1과 C2 사이의 영역이 바디부(170)의 저면과 플리깅부의 일측이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유체가 중첩되지 않은 홈의 영역을 통하여 유입된 후 홈을 통하여 도 4의 메인 유로(171)로 흐를 수 있다. When the plugging portion 15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0, the groove and the main flow path 17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area between the dotted circles C1 and C2 shown in FIG. 5 may be a reg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70 overlaps with one side of the flinging part, and the fluid may flow through the area of the non- 4 to the main flow path 171.

이와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깅부(150)의 측면은 플러깅부(15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바이패스 유로(BFP)는 플러깅부(150)의 일측과 측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플러깅부(150)가 바디부(170)의 저면과 접촉할 때 홀과 메인 유로(171)가 연통될 수 있다. 6, the side surface of the plugging portion 15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150, and the bypass flow path BFP has a hole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lugging portion 150 . At this time, when the plugging portion 15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0, the hole and the main flow path 17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상에서는 바이패스 유로(BFP)가 플러깅부(150)의 일측에 형성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ypass flow path BF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150, but 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는 샤프트(110), 컨트롤부(130), 플러깅부(150) 및 바디부(170)를 포함한다. 샤프트(110) 및 컨트롤부(130)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7 shows a plug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plug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110, a control unit 130, a plugging unit 150, and a body unit 170. As shown in FIG. Since the shaft 110 and the control unit 130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플러깅부(150)는 샤프트(110)의 일단에 구비되는데, 앞서 설명된 플러그 밸브와 다르게 도 7의 플러그 밸브의 경우, 바디부(170)는 플러깅부(150)를 둘러싸며 플러깅부(150)의 이동에 따라 개폐량이 변하는 메인 유로(171)가 바디부(170)에 형성된다.7, the body part 170 surrounds the plugging part 150, and the plugging part 15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110. In the case of the plug valve of FIG. 7, unlike the plug valve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flow path 171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71.

플러깅부(150)의 일측과 마주보는 바디부(170)의 저면에 유체가 메인 유로(171)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BFP)가 형성된다. A bypass flow path BFP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0 facing the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150 so that fluid can flow to the main flow path 171. [

이 때 바디부(170)의 바이패스 유로(BFP)는 바이패스 유로(BFP)는 바디부(170)의 저면 둘레 두께가 줄어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도 5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깅부(150)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7의 플러그 밸브의 경우, 바디부(170)의 저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깅부(150)가 바디부(170)의 저면과 접촉할 때 홈과 메인 유로(171)가 연통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ypass passage BFP of the body portion 170 may include one or more grooves that allow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70 to be reduced.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lugging portion 150 has groove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e plug valve of FIG. 7,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0. Accordingly, when the plugging portion 15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0, the groove and the main flow path 17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샤프트(110)
컨트롤부(130)
챔버(131)
플레이트(133)
에어 홀(135)
플러깅부(150)
제1 플러그(151)
제2 플러그(153)
시트(155)
체결수단(157)
바디부(170)
메인 유로(171)
바이패스 유로(BFP)
Shaft 110,
The control unit 130,
In the chamber 131,
The plate (133)
The air hole (135)
The plugging unit (150)
The first plug 151,
The second plug 153,
Sheet (155)
The fastening means (157)
In the body part 170,
The main flow path 171,
Bypass flow (BFP)

Claims (6)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직선이동시키는 컨트롤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러깅부;
상기 플러깅부를 둘러싸며 상기 플러깅부의 이동에 따라 개폐량이 변하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마주보는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에 유체가 상기 메인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shaft;
A control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shaft;
A plugg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And a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plugging portion and having a main flow path whos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changes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lugging portion,
And a bypass flow pa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fluid can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유체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상기 메인 유로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luid flows into the main flow path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플러깅부 일측의 둘레 두께가 줄어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홈과 상기 메인 유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ypass flow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groove for reducing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plugging portion,
And the groove and the main flow pat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부의 측면은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과 상기 측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홀과 상기 메인 유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ide surface of the plugging portion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Wherein the bypass flow path includes a hole penetrating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And the hole communicates with the main flow passage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직선이동시키는 컨트롤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러깅부;
상기 플러깅부를 둘러싸며 상기 플러깅부의 이동에 따라 개폐량이 변하는 메인 유로가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 유체가 상기 메인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shaft;
A control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shaft;
A plugg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And a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plugging portion and having a main flow path whos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changes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lugging portion,
Wherein a bypass flow path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acing one side of the plugging portion so that fluid can flow to the main flow p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바디부의 저면 둘레 두께가 줄어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깅부가 상기 바디부의 저면과 접촉할 때 상기 홈과 상기 메인 유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ypass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groove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groove and the main flow pat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plugg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KR1020160138893A 2016-10-25 2016-10-25 Plug valve KR201800451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893A KR20180045139A (en) 2016-10-25 2016-10-25 Plug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893A KR20180045139A (en) 2016-10-25 2016-10-25 Plug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39A true KR20180045139A (en) 2018-05-04

Family

ID=6219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893A KR20180045139A (en) 2016-10-25 2016-10-25 Plug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1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2397C (en) Plug valve having a seal boss
US9732863B2 (en) Fluid control valve
KR930700795A (en) Fluid control valve
MY139754A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having a throttling element seal
US9909536B2 (en) Gas valve
US7175157B2 (en) Fluid controller
RU2586958C1 (en) Shutoff-control device
KR880007956A (en) Shut-off on / off valve
KR101290283B1 (en) Control valve
KR20180045139A (en) Plug valve
KR20170089838A (en) Balanced double seated globe valve with flexible plug
CA2503425C (en) Valve
KR101520604B1 (en) Valve assembly
KR102205867B1 (en) Multi check valve
CN108591483A (en) Low friction valve
JP2023544974A (en) flow control valve
CN110792786B (en) Electromagnetic valve
JP2013079692A (en) Flow rate control valve
US10167973B2 (en) Multi-stage poppet valve
US20180347715A1 (en) Pressure-balancing valve
KR102622066B1 (en) Safety valve for water purifier
DE50108611D1 (en) 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KR200493045Y1 (en) Valve module with status check
JP2003227571A (en) Poppet valve
US7654503B2 (en) Pilot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