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676A - Light source unit - Google Patents

Light sourc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676A
KR20180044676A KR1020160138489A KR20160138489A KR20180044676A KR 20180044676 A KR20180044676 A KR 20180044676A KR 1020160138489 A KR1020160138489 A KR 1020160138489A KR 20160138489 A KR20160138489 A KR 20160138489A KR 20180044676 A KR20180044676 A KR 2018004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blue light
lenses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1419B1 (en
Inventor
김양식
박정훈
조규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19B1/en
Publication of KR2018004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6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source device. The light source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for outputting blue light in a first direction, a mirror disposed obliquely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blue light moves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lenses, and a fluorescent part that changes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enses and reflects light of the changed wavelength so as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lenses alo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 more compact light source unit can be provided.

Description

광원유닛{LIGHT SOURCE UNIT}[0001] LIGHT SOURCE UNIT [0002]

본 발명은 광원유닛을 구비하며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having a light source unit and outputting an image.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대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대화면을 구현하는 기기의 일 예로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기능을 갖춘 프로젝터가 있다.As the information age rapidly develops, the importance of a display device that realizes a large screen is emphasized. As an example of a device that implements such a large screen, there is a projector having a function of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최근에는 프로젝터의 성능이 중요시됨에 따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레이저 다이오드(LD),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OLED) 및 형광체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프로젝터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있다.As the performance of projectors becomes more important in recent year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there is an attempt to implement a projector using a laser diode (L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EL (OLED), and a phosphor as light sources.

일반적으로 광원유닛은 블루광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색을 포함하는 빛을 형성한다. 다만, 상기 블루광을 얻기 위하여, 별도의 블루광 경로가 필요하므로 상기 블루광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광원유닛 내부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In general, the light source unit forms light including various colors by using blue light. However, in order to obtain the blue light, a separate blue light path is required, so a space inside the light source unit for forming the path of the blue light i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보다 컴펙트한 광원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re compact light source uni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은 제1방향으로 블루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블루광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미러,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통과한 블루광의 파장을 변경하며,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을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를 관통하도록 반사시키는 형광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for outputting blue light in a first direction, a light source for emitting blue light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mirror,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obliquely to the first direction is changed, and the light whose wavelength is changed is changed alo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nd a fluorescent portion that reflects the plurality of lenses to pass therethrough.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블루광이 통과하고 가장자리 영역과 인접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이 감싸며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이 통과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미러는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바, 광을 출력하기 위한 렌즈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블루광을 상기 형광부로 전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through which the blue light passes, an edge region adjacent to the edge region, and a second region surrounding the first region and through which light having the changed wavelength passes, The mirror is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one first region of the lens, and the blue light can be transmitted to the fluorescent portion by us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ns for outputting ligh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블루광 및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이 통과하는 제1 렌즈는 상기 블루광 및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이 입사 또는 출력되는 제1 면과, 상기 형광부와 인접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중 상기 블루광이 입사하는 일 영역의 굴절률은 나머지 영역의 곡률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렌즈의 굴절율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추가적인 광학구성 없이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ens through which the blue light and the wavelength-changed light pass through the first lens includes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blue light and the wavelength-changed light are incident or output, And a refractive index of one region of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blue light is incident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a curvature of the remaining region. Therefore, the refractive index of one lens can be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 optical path can be formed without additional optical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블루광의 경로 및 파장이 변경된 광의 출력경로가 하나의 광학구성에 의하여 구현되므로, 블루광을 이용하여 다양한 파장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광학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cal path of the blu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output path of the changed wavelength are implemented by one optical configuration, the optical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using blue light can be minimized.

또한, 블루광의 레이저 어레이로 출력되는 경우 렌즈의 특정 영역의 굴절율을 다른 영역과 다르게 형성하여, 추가적인 광학구성 없이 블루광을 보다 정확하게 형광부로 전달 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laser light is output to the blue light laser array, the refractive index of a specific region of the lens can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at of other regions, and the blue light can be mor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fluorescent portion without any additional optical configuration.

따라서, 광원유닛의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 장치 등의 부피 및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volume of the light source unit is minimized,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source unit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광학장치를 구비하는 영상투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영상투사장치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투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펀넬 및 릴레이 렌즈를 구비하는 광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집광렌즈를 통하여 광경로를 변경하는 광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having an opt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of Fig.
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light source and a relay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light source unit for changing an optical path through a condenser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total refle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광학장치를 구비하는 영상투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having an opt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영상투사장치(100)는 스크린(S)과 초근거리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S)에 대화면의 영상을 투사한다.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s a large-sized image on the screen S in a state in which it is placed close to the screen S in a short distance.

영상투사장치(100)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투사장치(100)는 프로젝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영상투사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에 내장되는 투사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젝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may be a projector that implements an image using light generated by a light source and projects an implemented image, such as a projector for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Hereinafter,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ojector. However,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projection apparatus embedded in a projection television or the lik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projector.

도시에 의하면, 영상투사장치(100)는 스크린(S)의 하단측(또는 상단측)에 인접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S)에 대화면의 영상을 결상시키도록 형성된다.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side (or the upper end side) of the screen S and is configured to image an image of a large screen on the screen S in this state.

이하, 이러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투사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such a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영상투사장치(100)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며, 도 3은 도 1의 영상투사장치의 분해도이다. FIGS.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of FIG.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영상투사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s. 2A and 2B are not essential, and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having components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영상투사장치(100)의 외관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광학부품 및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n appearance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is formed by upper and lower cases 111 and 112. Various optical components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cases 111 and 11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ases 111, 112.

상부 케이스(111)에는 조작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1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case 111. The operation unit 113 can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impression.

조작부(113)는 영상투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기능적인 면에서, 조작부(113)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13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In a functional aspect, the operation unit 113 can be used for inputting a menu such as start, end, and the like.

또한 조작부(113)는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Out) 동작을 하기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포커싱(Focusing)을 하기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13 may be operated to perform a zoom-in or zoom-out operation on an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The operation unit 113 may be operated to focus an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

하부 케이스(112)에는 공기 유동부(114), 인터페이스(115), 전원 공급부(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n air flow unit 114, an interface 115, a power supply unit 116,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case 112.

공기 유동부(114)는 복수의 관통공들로 이루어져 영상투사장치(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강제 대류를 이용한 영상투사장치(100)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The air flow unit 114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Thereby enabling cooling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using forced convection.

인터페이스(115)는 영상투사장치(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할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115)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전자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 디브디(DVD) 플레이어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The interface 115 is a path for allowing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projected by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through the interface 115 can be inputted from the outside.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interface 115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computer, a DVD player, etc. that can supply video or audio data.

전원 공급부(116)는 상기 영상투사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112)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6)는, 예를 들어 교류인 가정용 전원을 공급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원공급부(116)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16 is mounted on a lower case 112 for supplying power to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The power supply unit 116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for example, an alternating current household power supply and convert the power supply into a direct current power supply.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16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or the like.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 중 어느 하나에는 음향 출력부가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i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111 and 112 and an antenna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도시에 의하면, 투사부(117)는 영상을 상부 케이스(111)의 상면에서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투사부(117)는, 예를 들어 복수의 렌즈들 및 미러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투사계(140, 또는 투사광학계,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투사부(117)는 조작부(113)의 조작에 의하여 복수의 렌즈들 및 미러의 간격이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영상투사장치(100)의 줌 또는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projection unit 117 is formed to project an imag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to the outside. The projection unit 117 includes, for example, a projection system 140 (or a projection optical system, see Fig. 3)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and mirror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rojection unit 117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mirror is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13. [ The zooming or focusing function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can be realized.

상기 영상투사장치(100)는 빛을 방출하는 광원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원유닛은 블루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블루광의 전달경로와 블루광과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의 이동경로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 광원유닛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that emits light. The light sourc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that emits blue light, and a path for transmitting a blue light and a light path for a plurality of light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from blue light are formed to be the same. Hereinafter, a specific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unit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투사장치(1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1), 상기 하부 케이스(112), 제어 회로기판(121), 광원장치(300) 및 변환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the upper case 111, the lower case 112, the control circuit board 121, the light source device 300, and the conversion device 140 have.

상기 제어 회로기판(121)은 하부 케이스(11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121)은 영상투사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circuit board 121 may be mounted on the lower case 112. The control circuit board 121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상기 광원유닛(300)은 상기 하부 케이스(11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300)은 영상투사장치(100)에서 광의 반사나 굴절을 이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광학부품들의 체계를 의미한다. 상기 광원유닛(300)과 하부 케이스(112) 사이에는 광원유닛(300)이 조립될 수 있는 구조물(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30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case 112. The light source unit 300 refers to a system of optical components for realizing an image of an object using reflection or refraction of light in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00. A structure (not shown) i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300 can be assembled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300 and the lower case 112.

상기 이미지 변환장치(140)는 상기 광원유닛(3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변환장치(140)는 생성된 광을 색변환 또는 색분리하고,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학계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변환장치(140)에서 출력되는 스크린에 확대 투사된다.The image converting apparatus 140 is configured to form an image us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0. For example, the image conversion device 140 may be an optical system that performs color conversion or color separation on the generated light, and converts the light into an image using a display device. And is enlarged and projected on a screen output from the image conversion apparatus 140. [

상기 광원유닛(300)은 하나의 구성요소에 블루광 및 파장이 변경된 광이 다시 출력되는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광원유닛(300)의 구조를 설명한다. The light source unit 300 has a compact structure in which blue light and wavelength-changed light are output to one component.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unit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유닛(310)은 광원부(331), 미러(312), 콜리메이터(collimator, 313), 집광렌즈부(314) 및 형광휠(315)을 포함한다. The first light source unit 3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A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331, a mirror 312, a collimator 313, a condenser lens unit 314, and a fluorescent wheel 315.

상기 렌즈부(316), 상기 콜리메이터(313) 및 상기 형광휠(314)는 중심축(z축)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나열된다. 상기 중심축(z축)과 수직하는 x축 방향으로 빛을 출력하는 광원(311)이 배치된다. 상기 광원(311)은 z축에서 벗어난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광원(311)은 블루광을 출력하는 블루 LD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ens unit 316, the collimator 313, and the fluorescent wheel 314 are sequent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z axis). And a light source 311 for outputting light in the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z-axis) is disposed. The light source 311 is formed in an area off the z-axis. The light source 311 may be a blue LD that outputs blue light.

상기 광원(311)과 인접하게 상기 미러(312)가 배치된다. 상기 미러(312)는 상기 x축과 약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x축방향으로 출력된 상기 빛의 이동경로를 변경한다. 즉, 상기 미러(312)에 의하여 상기 x축방향으로 출력된 빛은 상기 미러(312)에 의하여 이동 경로가 약 90도 (수직하는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x축방향으로 출력된 빛은 z축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The mirror 31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ight source 311. The mirror 312 is disposed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 changes the movement path of the light output in the x-axis direction. That is, the light output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mirror 312 can be changed by about 9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irror 312. Accordingly, the light output in the x-axis direction moves along the z-axis direction.

상기 미러(312)는 상기 콜리메이터(313) 및 상기 렌즈부(31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z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미러(312)에 의하여 반사된 빛은 상기 콜리메이터(313)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를 통과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는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rror 312 is disposed between the collimator 313 and the lens unit 316. The light reflected by the mirror 312 to move in the z-axis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of the collimator 313.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o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are aspherical lenses.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는 각각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은 상기 제2 영역(A2)을 감싸는 영역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이다. 상기 빛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상기 제1 영역(A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집광된다. The first to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may be partitioned into a first area A1 and a second area A2, respectively. The first area A1 is an area surrounding the second area A2 and is adjacent to the edges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The ligh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A1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and is condensed.

상기 미러(312)는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제1 영역(A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미러(312)의 반사면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상기 제2 영역(A2)을 관통한 빛의 경로를 변경하지 아니한다. The mirror 312 is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one area of the first area A1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That is,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312 does not overlap with the second area A2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The path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area A2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is not changed.

한편, 상기 콜리메이터(313)를 이루는 상기 제3 렌즈(313c), 상기 제2 렌즈(313b) 및 상기 제1 렌즈(313a)의 각 제2 영역(A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 하나의 광선이 평행 광선속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each of the third lens 313c, the second lens 313b, and the second lens A2 of the first lens 313a constituting the collimator 313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It becomes a light beam.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상기 제1 영역(A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기 블루 광은 상기 형광휠(315)에 입사한다. 상기 형광휠(315)은 상기 블루광의 파장을 변화시켜 다시 반사한다. The blue light that ha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area A1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enters the fluorescent wheel 315. The fluorescent wheel 315 changes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and reflects it again.

예를 들어, 상기 형광휠(315)은 상기 블루광의 파장을 레드(R), 그린(G), 엘로우(Y)의 파장을 변환시키기 위한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형광휠(315)은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물질로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형상에 수직하고 상기 판형상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을 포함한다. 상기 형광휠(315)은 상기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형광휠(315)에 의하여 상기 광원(311)으로부터 출력된 블루광은 블루광(B), 레드광(R), 그린광(G) 및 엘로우광(Y)이 되어 반사된다. For example, the fluorescent wheel 315 includes a wavelength converting material for converting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into wavelengths of red (R), green (G), and yellow (Y). In general, the fluorescent wheel 315 has a plate shape formed of a material reflecting the light, and includes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te shape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late shape. The fluorescent wheel 315 rotates about the axis and the blu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311 by the fluorescent wheel 315 passes through the blue light B, the red light R, the green light G, And yellow light (Y).

상기 형광휠(315)에 의하여 반사된 다양한 파장의 빛은 상기 콜리메이터(313)를 이루는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제2 영역(A2)를 관통하여, 평행광선이 된다. 상기 평행광선은 상기 집광렌즈부(316)에 입사한다. The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reflected by the fluorescent wheel 315 passes through the second area A2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of the collimator 313, do. The collimated light beam is incident on the condenser lens unit 316.

상기 집광렌즈부(316)은 플라이아이렌즈(Fly Eye Lens, FEL)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ensing lens unit 316 may be a fly-eye lens (FEL).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러의 배치를 통하여 콜리메이터의 주변부를 통하여 블루광을 이동시키므로, 블루광을 이용하여 다양한 컬러의 빛을 형성하기 위한 복잡한 광경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광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광경로를 위한 광학구조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 광원유닛의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blue light is moved throug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ollimator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mirrors,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complicated optical path for forming light of various colors using blue light. Accordingly, the optical loss can be reduced, and the optical structures for the optical path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can be minimized.

따라서, 광원유닛을 포함하는 광 출력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ownsize the optical output device including the light source unit.

도 4b에 따른 광원유닛(3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형광체 플레이트 (321)의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도 4a의 광원유닛(32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unit 320 according to FIG. 4B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light source unit 320 shown in FIG. 4A except for the components of the phosphor plate 321. Therefore,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상기 집광렌즈부(316), 상기 콜리메이터(313) 및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 (321)는 상기 z축(광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콜리메이터(313)의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 A2)으로 구획된다. The condenser lens unit 316, the collimator 313, and the phosphor plate 321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z-axis (optical axis). The first to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of the collimator 313 are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1 and A2.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상기 제1 영역(A1)으로 빛이 이동하도록, 상기 미러(312)의 상기 반사면은 상기 제1 영역(A1)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축(z축)과 45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312 is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first area A1 so that light is moved to the first area A1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13a 313b 313c , And the reflective surface is disposed a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z-axis).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상기 제1 영역(A1)을 관통한 블루광은 상기 RGB 플레이트(321)에 입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RGB 플레이트(321)는 베이스 기판에 (예를 들어 유리기판) 형광체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형광체 패턴은 다양한 파장의 형광체들 및 형광체 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RGB 플레이트(321)는 회전 및 이동이 제한된 고정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RGB 플레이트(321)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상기 블루광이 도달한 영역에 대응되는 형광체의 컬러를 갖도록 빛의 파장이 변경된다. Blu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A1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313a, 313b, and 313c is incident on the RGB plate 321. For example, the RGB plate 321 may be formed by forming a phosphor pattern on a base substrate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nd the phosphor pattern may include phosphors and phosphor elements having various wavelengths. The RGB plate 321 is composed of a fixed plate whose rotation and movement are limited. The RGB plate 32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wavelength of the light is changed so as to have the color of the phosphor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blue light reaches.

상기 RGB 플레이트(321)에 의하여 반사되어 파장이 변환된 광은 상기 콜리메이터(313)을 통과하여 상기 집광렌즈(314)에 도달한다. The light having the wavelength converted by the RGB plate 321 passes through the collimator 313 and reaches the condenser lens 314.

상기 RGB 플레이트(321)는 회전하는 구성이 아니므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차단하고, 형광체가 도포하는 면적이 상기 형광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저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색상의 경계가 없도록 형성될 수 있는바, 빛의 손실도 감소시킬 수 있다. Since the RGB plate 321 is not configured to rotate, the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is blocked, and the area applied by the phosphor is relatively narrower than that of the fluorescent wheel, so that it can be realized at a low cost. In addition, since the color boundary can be formed, the loss of light can be reduced.

도 4c에 따른 광원유닛(330)은 상기 광원(311), 상기 미러(312), 상기 콜리메이터(313), 상기 집광렌즈(314), 상기 컬러휠(332) 및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31)를 포함한다. 상기 컬러휠(315) 및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31)를 제외하고, 도 4c의 광원유닛(330)의 구성요소는 상기 도 4a의 광원유닛(3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light source unit 330 according to FIG. 4C includes the light source 311, the mirror 312, the collimator 313, the condenser lens 314, the color wheel 332, and the phosphor plate 331 . The components of the light source unit 330 of FIG. 4C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light source unit 310 of FIG. 4A except for the color wheel 315 and the phosphor plate 33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콜리메이터(313), 상기 집광렌즈(314) 및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31)는 상기 광축(z축)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컬러휠(332)은 상기 집광렌즈(314) 및 상기 미러(312) 사이에 배치된다. The collimator 313, the condenser lens 314 and the phosphor plate 331 are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z-axis). The color wheel 332 is disposed between the condenser lens 314 and the mirror 312.

상기 광축(z축)의 수직한 방향으로 출력된 광은 상기 미러(312)를 통하여, 상기 콜리메이터(313)의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13a, 313b, 313c)의 상기 제1 영역(A1)을 관통한다. 상기 콜리메이터(313)를 관통한 빛은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31)에 입사한다.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31)는 형광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31)에 의하여 반사된 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으로 변경되며, 상기 다양한 파장의 빛의 혼합에 의하여 백색광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광원에서 출력된 블루광은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31)에 의하여 백색광으로 반사된다. The light out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z axis) is transmitted through the mirror 312 to the first area A1 (313a, 313b, 313c) of the collimator 313 ). Light passing through the collimator 313 enters the phosphor plate 331. The phosphor plate 331 includes a phosphor element. The light reflected by the phosphor plate 331 is changed into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and white light is formed by mixing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That is, the blu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the phosphor plate 331 as white light.

상기 백색광은 상기 콜리메이터(313)의 상기 제2 영역(A2)을 관통하면서 수평광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컬러휠(315)에 도달한다. 상기 컬러휠(332)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 하나의 파장의 색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컬러휠(332)은 회전하면서 상기 백색광 중 특정 영역의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컬러휠(332)이 회전하면서 다양한 컬러의 광이 상기 집광렌즈(314)에 도달한다. The white light passes through the second area A2 of the collimator 313 and is formed into a horizontal light beam and reaches the color wheel 315. [ The color wheel 33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ach of which is formed to pass the color of one wavelength. The color wheel 332 rotates while passing only the light of the wavelength of the specific region of the white light. Accordingly, the color wheel 332 rotates and light of various colors reaches the condenser lens 314.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광을 이용하여 백색광을 형성하고, 컬러휠을 통하여 다양한 컬러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te light is formed using blue light, and light of various colors can be output through the color wheel.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콜리메이터의 가장자리 영역을 관통하도록 광원 및 미러를 배치하므로, 광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고, 입사되는 광과 출력되는 광의 광 경로가 인접하게 형성되므로 광원유닛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ince the light source and the mirror are disposed so as to penetrate the edge area of the collimator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lenses, a separate component for changing the light path is unnecessary, and the light path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light The volume of the light source unit can be minimized.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펀넬 및 릴레이 렌즈를 구비하는 광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light source and a relay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340)은 광원(341), 미러(342), 릴레이 렌즈(Relay lens, 343) 및 광펀넬(light funnel, 344) 및 형광휠(345)을 포함한다.5A, the light source unit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source 341, a mirror 342, a relay lens 343, a light funnel 344, and a fluorescent wheel 345, .

상기 릴레이 렌즈(343), 상기 광펀넬(344) 및 상기 형광휠(345)은 광축(z축)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광원(341) 및 상기 미러(342)는 상기 광축과 수직한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릴레이 렌즈(343)는 제1 내지 제3 렌즈(343a, 343b, 343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43a, 343b, 343c)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43a, 343b, 343c))는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ay lens 343, the optical funnel 344 and the fluorescent wheel 345 are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z-axis), and the light source 341 and the mirror 342 are arranged on the x- Direction. The relay lens 343 includes first to third lenses 343a, 343b, and 343c.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43a, 343b, and 343c may have different sizes. The first to third lenses 343a, 343b, and 343c) are preferably made of aspheric lenses.

상기 광원(341)은 블루광을 상기 x축을 따라 출력한다. 상기 광원(341) 및 상기 미러(342)는 상기 광축을 사이에 두고 이격배치된다. 상기 미러(342)는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43a, 343b, 343c) 중 상기 제2 렌즈(343b)의 제2 영역(A2)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광축(z축)과 약 45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The light source 341 outputs blue light along the x-axis. The light source 341 and the mirror 342 are spaced apart with the optical axi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mirror 34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egion A2 of the second lens 343b among the first to third lenses 343a, 343b and 343c and has an optical axis (z-axis) Are also inclined.

이에 따라, 상기 광원(341)에서 출력된 블루광은 상기 미러(342)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광축(z축)방향으로 전달된다. 상기 미러(342)에 의하여 반사된 상기 광은 상기 제2 렌즈(343b) 및 상기 제1 렌즈(342a)로 순차적으로 입사한다. 상기 제2 및 제1 렌즈(343a, 343b)를 관통한 상기 광은 상기 광펀넬(344)의 제1 영역을 통하여 내부면으로 입사한다. 상기 광펀넬(344)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면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역과 반대되는 제2 영역으로 전달된다. Accordingly, the blu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341 is reflected by the mirror 342, and is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z axis). The light reflected by the mirror 342 is sequentially incident on the second lens 343b and the first lens 342a.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and first lenses 343a and 343b is incident on the inner surface through the first region of the optical funnel 344.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ptical funnel 344 is formed of a reflective surface and is transmitted to a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by the reflective surface.

상기 광펀넬(344)는 상기 블루광을 반사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영역(B1)과 나머지 제2 영역(B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렌즈(342)의 굴절각 및 상기 릴레이 렌즈(342) 및 상기 광펀넬(344)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B1, B2)가 구획된다. 상기 제2 영역(B2)에 의하여 반사된 광은 상기 형광휠(345)에 입사하도록 상기 광펀넬(344)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The optical funnel 344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B1 for reflecting the blue light and a second region B2 for outputting the blue light.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B1 and B2 are divided based on the refraction angle of the relay lens 342 and the position of the relay lens 342 and the optical funnel 344. [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gion B2 may be output from the optical funnel 344 to be incident on the fluorescent wheel 345.

상기 형광휠(345)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광펀넬(344)의 내부 반사면에 의하여 넓은 영역으로 출력된다.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luorescent wheel 345 is outputted to a wide area by the inner reflection surface of the optical funnel 344.

상기 형광휠(345)은 상기 광펀넬(344)의 제2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광펀넬(344)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형광휠(345)을 통하여 파장이 변경되고, 다시 상기 광펀넬(344)을 향하여 반사된다. 상기 광펀넬(344)에 입사한 광은 다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43a, 343b, 343c)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The fluorescent wheel 34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egion of the optical funnel 344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unnel 344 is changed in wavelength through the fluorescent wheel 345, And reflected toward the funnel 344. Light incident on the optical funnel 344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343a, 343b, and 343c sequential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펀넬 및 릴레이 렌즈의 배치구조에 의하여 광펀넬의 일 영역으로 입사한 광이 형광휠을 향하여 반사되므로, 블루광을 형광휠에 도달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광학구조가 불필요하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light incident on one region of the optical funnel is reflected toward the fluorescent wheel by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optical funnel and the relay lens, a separate optical structure for reaching the blue light to the fluorescent wheel is unnecessary .

도 5b에 따른 광원유닛(350)의 구성요소는 RGB 플레이트(351)를 제외하고 도 5a의 광원유닛(34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ponents of the light source unit 350 according to FIG. 5B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light source unit 340 shown in FIG. 5A except for the RGB plate 351, so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description is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350)은 광축(z축)을 따라 배열되는 릴레이 렌즈(343)의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343a, 343b, 343) 및 광펀넬(344) 및 상기 광축과 수직하는 x축을 따라 배치되는 광원(341) 및 미러(34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광원유닛(350)은 상기 광펀넬(344)로부터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RGB 플레이트(35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RGB 플레이트(351)는 베이스 기판에 (예를 들어 유리기판) 형광체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형광체 패턴은 다양한 파장의 형광체들 및 형광체 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RGB 플레이트(351)는 회전 및 이동이 제한된 고정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RGB 플레이트(351)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상기 블루광이 도달한 영역에 대응되는 형광체의 컬러를 갖도록 빛의 파장이 변경된다. The light source unit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to third lenses 343a, 343b and 343 and the optical funnel 344 of the relay lens 343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z axis) And a mirror 342 and a light source 341 disposed along a vertical x-axis. The light source unit 350 includes an RGB plate 351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unnel 344 enters. For example, the RGB plate 351 may have a phosphor pattern formed on a base substrate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nd the phosphor pattern may include phosphors and phosphor elements having various wavelengths. The RGB plate 351 is composed of a fixed plate whose rotation and movement are restricted. The RGB plate 35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wavelength of the light is changed so as to have the color of the phosphor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blue light reaches.

본 실시예에 따른 광펀넬(344)도 상기 제1 및 제2 영역(B1, B2)로 구획된다. 상기 광원(341)에서 출력된 블루광은 상기 제2 렌즈(343b)의 제1 영역(A1)으로 입사하여, 상기 광펀넬(344)의 상기 제1 영역(B1)에 도달한다. 상기 광펀넬(344)의 상기 제1 영역(B1)에 의하여 반사된 상기 블루광은 상기 RGB 플레이트(351)에 의하여 파장이 변경된 상태로 반사된다. The optical funnel 34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B1 and B2. The blu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341 enters the first area A1 of the second lens 343b and reaches the first area B1 of the optical funnel 344. [ The blu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gion B1 of the optical funnel 344 is reflected by the RGB plate 351 in a state where the wavelength is changed.

파장이 변경된 상태의 광은 다시 상기 광펀넬(344)에 의하여 반사 및 방출되어 상기 릴레이 렌즈(343)를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광원유닛에 의하면 상기 RGB 플레이트로 향하여 빛을 이동시키는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불필요하다. The light having the changed wavelength is again reflected and emitted by the optical funnel 344 and passes through the relay lens 343.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additional component for moving light toward the RGB plate is unnecessary.

도 5c에 따른 광원유닛(360)은 상기 광원(311), 상기 미러(312), 광펀넬(344), 상기 릴레이 렌즈(343), 상기 컬러휠(362) 및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61)를 포함한다. 상기 컬러휠(362) 및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61)를 제외하고, 도 5c의 광원유닛(360)의 구성요소는 도 5a의 광원유닛(34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light source unit 360 according to FIG. 5C includes the light source 311, the mirror 312, the optical funnel 344, the relay lens 343, the color wheel 362, and the phosphor plate 361 . The components of the light source unit 360 of FIG. 5C, except for the color wheel 362 and the phosphor plate 361,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light source unit 340 of FIG. 5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제2 및 제3 렌즈(343b, 343c) 사이에 상기 컬러휠(362)이 배치되고, 상기 광펀넬(344)의 일 단부와 인접하게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61)가 배치된다. The color wheel 36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lenses 343b and 343c and the phosphor plate 361 is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optical funnel 344. [

상기 광원(341)으로부터 출력된 블루광은 상기 미러(342)에서 반사하여 상기 제2 및 제1 렌즈(343b, 343a)를 통과하여 상기 광펀넬(344)의 내부로 입사한다. 상기 광펀넬(344)의 내부 반사면에 의하여 반사된 블루광은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61)에 의하여 다시 반사된다. The blu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341 is reflected by the mirror 34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and first lenses 343b and 343a and enters the optical funnel 344. The blue light reflected by the inner reflecting surface of the optical funnel 344 is reflected by the phosphor plate 361 again.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61)는 형광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61)에 의하여 반사된 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으로 변경되며, 상기 다양한 파장의 빛의 혼합에 의하여 백색광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광원에서 출력된 블루광은 상기 형광체 플레이트(361)에 의하여 백색광으로 반사된다.The phosphor plate 361 includes a phosphor element. The light reflected by the phosphor plate 361 is changed into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and white light is formed by mixing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That is, the blu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the phosphor plate 361 as white light.

반사된 백색광은 다시 상기 광펀넬(344) 및 상기 제1 및 제2 렌즈(343a, 343b)를 통과하여 상기 컬러휠(362)에 입사된다. 상기 컬러휠(362)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 하나의 파장의 색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컬러휠(362)은 회전하면서 상기 백색광 중 특정 영역의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컬러휠(362)이 회전하면서 다양한 컬러의 광이 상기 제3 렌즈(343c)에 도달한다.The reflected white light is again incident on the color wheel 362 through the optical funnel 344 and the first and second lenses 343a and 343b. The color wheel 36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ach of which is formed to pass the color of one wavelength. The color wheel 362 rotates while passing only the light of the specific region of the white light. As a result, the color wheel 362 rotates and light of various colors reaches the third lens 343c.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광을 이용하여 백색광을 형성하고, 컬러휠을 통하여 다양한 컬러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te light is formed using blue light, and light of various colors can be output through the color wheel.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펀넬의 특정 영역에 특정각도로 블루광을 입사하도록 미러를 배치하여, 별도의 구성요소가 없이 블루광의 파장을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mirror can be arranged so that blue light is incident on a specific region of the optical funnel at a specific angle, and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can be changed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집광렌즈를 통하여 광경로를 변경하는 광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6A and 6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light source unit for changing an optical path through a condenser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따른 광원유닛(410)은 광원(411), 제1 집광부(412), 형광휠(413), 제2 집광부(4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집광부(412, 414)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렌즈로 이루어진다. The light source unit 410 according to FIG. 6A includes a light source 411, a first light collecting unit 412, a fluorescent wheel 413, and a second light collecting unit 414. The first and second light collecting parts 412 and 414 are formed of lenses formed to have at least one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광원(411)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어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집광부(414)는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집광한다. 상기 제2 집광부(414)를 통과한 광은 상기 제1 집광부(412)의 제1 영역(c1)으로 입사한다. The light source 411 may be a lase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laser diodes. The second light condensing unit 414 condenses the light output from the laser arra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414 is incident on the first area c1 of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412.

상기 제1 집광부(412)는 제1 면과 제2 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광원(411)으로부터 출력된 빛이 입사하는 상기 제1 영역(c1)과 상기 형광휠(413)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방출되는 제2 영역(c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면과 인접하게 상기 형광휠(413)이 배치된다. The first surface (c1) on which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411 is incident and the first surface (c1) on which the fluorescent wheel 413 And a second region c1 through which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gion c1 is emitted. And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urface.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1 영역(c1)은 상기 제1 영역(c1)으로 입사한 빛이 상기 형광휠(413)이 배치된 상기 제2 면의 일 영역으로 굴절되도록 기 설정된 곡률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c1, c2)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c1)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region c1 of the first surface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that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gion c1 is refracted into a region of the second surface on which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disposed. The curva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1 and c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may have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first region c1 may be a flat surface.

예를 들어, 상기 형광휠(413)은 상기 제2 면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c1)은 상기 형광휠(413)의 중심으로 상기 광원(411)과 인접한 상기 제1 면의 끝영역과 인접한 가장자리영역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광휠(413)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제1면의 일 영역으로 굴절되어 방출된다. 상기 제1 면의 일 영역으로 방출된 광들은 이동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first region c1 is located at a center of the fluorescent wheel 413, And an edge region adjacent to the end region of the fac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refracted into one area of the first surface and is emitted. The light emitted to one region of the first surface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moving direction.

도 6b에 따른 광원유닛(420)은 상기 광원(411), 상기 제1 집광장치(412) 및 상기 형광휠(4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집광장치(412)는 서로 다른 곡률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면의 중심영역과 인접하게 상기 형광휠(413)이 배치된다. The light source unit 420 according to FIG. 6B includes the light source 411, the first condensing device 412, and the fluorescent wheel 413. The first condensing device 412 includes first and second surfac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And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area of the second surface.

상기 광원(411)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어레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상기 제1 면의 특정 영역(c3)으로 입사하여, 굴절된다. 상기 제1 면으로 입사한 광은 상기 형광휠(413)이 배치된 상기 제2 면의 일 영역에 도달한다. The light source 411 includes a lase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laser diodes. The light output from the laser array enters the specific region c3 of the first surface and is refracted.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surface reaches one region of the second surface on which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disposed.

상기 레이저 어레이는 상기 광이 상기 제2 면의 일 영역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면의 일 영역에 입사하도록 배치된다. The laser array is arranged to be incident on one area of the first surface so that the light can reach one area of the second surface.

한편, 상기 형광휠(413)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제1면을 통하여 굴절되어, 일 방향으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집광부(412)의 제1면은 상기 형광휠(413)에 의하여 반사된 광이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비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refracted through the first surface and is output in one directi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4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aspherical so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fluorescent wheel 413 is transmitted in the same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집광부의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형광휠(413)의 입사경로 및 상기 형광휠(413)로부터의 반사경로를 상기 제1 집광부에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경로를 형성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고, 상기 형광휠(413)을 상기 제1 집광부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광의 누설을 방지하며 공간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cident path of the fluorescent wheel 413 and the reflecting path from the fluorescent wheel 413 can be formed in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by dividing the area of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Accordingly, a separate component for forming an optical path is not required, and the fluorescent wheel 413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ndensing unit,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light and maximizing space efficiency.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total refle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에 따른 광원유닛(510)은 광원(511), 전반사부(512), 형광부(513), 제1 집광부(514) 및 제2 집광부(515)를 포함한다. 7 includes a light source 511, a total reflection part 512, a fluorescent part 513, a first light collecting part 514 and a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515.

상기 전반사부(512), 상기 형광부(513), 상기 제1 및 제2 집광부(514, 515)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광원(511)은 상기 광축과 수직한 z축방향으로 상기 전반사부(512)를 향하여 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반사부(512)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 total reflection part 512, the fluorescent part 513,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collecting parts 514 and 515 are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z axis) direction. The light source 51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otal reflection part 512 to output light toward the total reflection part 512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전반사부(51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즘은 전반사면(512a)을 이루도록 서로 이격 틈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반사면(512a)은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전반사면(512a)으로 입사한 광은 제1 면(512b)을 향하여 반사한다. 상기 제1면(512b)은 상기 형광부(513)와 인접한 면이고, 제2 면(512c)는 상기 제1 면(512b)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집광부(514)와 인접한 면에 해당된다. The total reflection part 51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rism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prism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total reflection surface 512a. Due to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total reflection surface 512a, the light incident on the total reflection surface 512a is reflected toward the first surface 512b. The first surface 512b is adjacent to the fluorescent portion 513 and the second surface 512c is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512b and is adjacent to the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514 .

상기 제1 면(512b)으로 반사된 상기 광은 상기 형광부(513)에 의하여 다시 반사되어 상기 제1 및 제2 면(512b, 512c)를 통하여 상기 제1 집광부(514)로 출력된다. 상기 형광부(513)은 입사한 광의 파장을 변경하는 RGB 플레이트 또는 형광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surface 512b is reflected again by the fluorescent portion 513 and output to the first condensing portion 51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512b and 512c. The fluorescent portion 513 may be an RGB plate or a fluorescent wheel that changes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상기 제1 및 제2 집광부(514, 515)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형광부(513)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광경로를 형성한다. The first and second light collecting units 514 and 515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and form an optical path such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fluorescent unit 513 moves in one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며 광경로를 변경하는 전반사부를 통하여 광경로를 변경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불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mponent for changing the optical path through the total reflecting portion which is made of a prism and changes the optical path.

본 발명의 광원유닛은 영상투사장치뿐만 아니라 조명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 an illumination device as well as an image projection device.

상기와 같이 설명된 광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와 조명장치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light source unit and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an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ly applied,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Or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Claims (10)

제1방향으로 블루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블루광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미러;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통과한 블루광의 파장을 변경하며,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을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를 관통하도록 반사시키는 형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A light source for outputting blue light in a first direction;
A mirror disposed obliquely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blue light moves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lenses;
And a fluorescent portion that changes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enses and reflects the changed wavelength of the light so as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lenses alo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블루광이 통과하고 가장자리 영역과 인접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이 감싸며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이 통과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through which the blue light passes and which is adjacent to an edge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rough which the first region surrounds and through which light having the changed wavelength pas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irror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a first region of at least one of the len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부는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블루광의 파장을 변경하는 형광휠 또는 형광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블루광의 파장을 변경하는 RGB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orescent unit comprises a fluorescent wheel or fluorescent elements for rotating the one axis and changing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and an RGB plate for changing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부는 상기 블루광의 파장을 변경하여 화이트광을 반사시키는 형광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광부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이트광으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컬러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orescent portion comprises a fluorescent plate that changes the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to reflect white light,
Wherein the fluorescen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color wheel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nd pass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from the white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및 상기 형광부 사이에 배치는 광펀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펀넬은 내부면 도달한 블루광을 상기 형광부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내부면은 반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funnel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fluorescent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tical funnel is formed as a reflecting surface so as to reflect the blue light reaching the inner surface to the fluoresc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블루광 및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이 통과하는 제1 렌즈는 상기 블루광 및 상기 파장이 변경된 광이 입사 또는 출력되는 제1 면과, 상기 형광부와 인접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중 상기 블루광이 입사하는 일 영역의 굴절률은 나머지 영역의 곡률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ue light and the first lens through which the wavelength changed light include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blue light and the changed wavelength light are incident or output and a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fluorescent portion, and,
Wherein a refractive index of one region of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blue light is incident is different from a curvature of the remaining reg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레이저 어레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광원과 인접한 제2 렌즈는, 상기 블루광이 상기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형광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광원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ght source comprises a plurality of laser arrays,
And a second lens adjacent to the light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is formed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blue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lens and reaches the fluorescent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레이저 어레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출력된 평행광이 굴절되어 상기 형광부에 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ght source comprises a plurality of laser arrays,
Wherein the first lens is configured so that the parallel light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laser arrays is refracted to reach the fluoresc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제1 렌즈는 상기 블루광을 전반사 시키도록 이격틈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ens of the plurality of lenses includes first and second prisms arranged to form a clearance for total reflection of the blue light.
KR1020160138489A 2016-10-24 2016-10-24 Light source unit KR102531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89A KR102531419B1 (en) 2016-10-24 2016-10-24 Light sourc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89A KR102531419B1 (en) 2016-10-24 2016-10-24 Light sourc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76A true KR20180044676A (en) 2018-05-03
KR102531419B1 KR102531419B1 (en) 2023-05-11

Family

ID=6224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489A KR102531419B1 (en) 2016-10-24 2016-10-24 Light sourc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41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0285A (en) * 2012-05-30 2013-12-12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unit
JP2014089462A (en) * 2013-12-20 2014-05-1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projector using the same
JP2015163947A (en) * 2014-02-03 2015-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Light source optical system, light source device hav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0285A (en) * 2012-05-30 2013-12-12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unit
JP2014089462A (en) * 2013-12-20 2014-05-1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projector using the same
JP2015163947A (en) * 2014-02-03 2015-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Light source optical system, light source device hav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419B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4498B2 (en) Light source unit, lighting apparatus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4524265B2 (en) Illumination unit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828448B2 (en) Illumination unit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20060039140A1 (en) Multiple channel illumination system
US9857672B2 (en) Light source unit, lighting apparatus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US8672484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for projecting light that has been collimated
JP2003241136A (en) Lighting device and projector type display apparatus
JP4355381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849614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5184303A (en) Light source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2004029325A (e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projection type display using the same
JP6493721B2 (en) Light source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KR102135356B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4941704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or
KR20130115005A (en)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531419B1 (en) Light source unit
US10481309B2 (en) Prism unit and projector
KR20130116740A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WO2011162321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or
JP6696297B2 (en) Projection device
KR101581759B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KR20060022588A (en) Led light device
KR20100121971A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7349668B2 (en) Optical unit and projection device
RU2338232C1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