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925A -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925A
KR20180043925A KR1020160137341A KR20160137341A KR20180043925A KR 20180043925 A KR20180043925 A KR 20180043925A KR 1020160137341 A KR1020160137341 A KR 1020160137341A KR 20160137341 A KR20160137341 A KR 20160137341A KR 20180043925 A KR20180043925 A KR 2018004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evaluation
pitch
song fil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일
Original Assignee
정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일 filed Critical 정문일
Priority to KR102016013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925A/ko
Publication of KR2018004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노래 평가 시스템 및 서버와 노래 평가 방법을 개시한다. 노래 평가 방법은 (A)제 1데이터베이스에 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B)제2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비교모듈에서 노래파일에 해당하는 원곡을 검색하고, 노래파일의 원곡이 존재하는 경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D)평가모듈에서 비교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하는 단계; (E)평가모듈에서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F) 2차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받는 경우, 요금정산 모듈에서 2차 평가가 진행된 구간의 음표 개수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의 2차 평가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및 (G)통신모듈에서 노래파일을 레코딩 한 사용자에게 노래파일에 대한 1차 평가 및 2차 평가 정보를 전달하고, 정산된 평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SINGING EVALUATION SYSTEM, SINGING EVALUATION SERVER AND METHOD THEREOF}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노래 평가 서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신의 노래실력에 대해 전문가로부터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노래 평가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 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래를 잘 부르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선망하는 능력이기 때문에, 모두 자신의 노래실력을 향상시키고 싶어한다. 이를 위해, 노래방에서 노래 연습을 하고, 노래방 기계의 평가 점수를 올리려는 사람들이 있지만, 종래 노래방 기계에서 제공되는 노래 평가 점수는 음정이나 박자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고성으로만 불러도 높은 점수가 나오기 때문에 노래방 기계에서 나오는 점수를 노래실력을 평가 지표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본인의 노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주로 친구나 가족들에게 노래를 듣고 평가해주기를 부탁한다. 하지만, 친구나 가족들은 노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만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가 많다.
자신의 노래 실력을 전문가로부터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기 때문에 노래실력을 평가받기 위해서는 직접 전문가를 찾아가거나,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다.
1. 한국 특허공개 제 10-2000-0056609호(2002.04.03)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분석하여, 원곡의 음정, 박자, 가사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노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 평가자에게 노래실력을 평가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해 응답을 받는 경우, 이를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면에 따른 노래 평가 방법은 (A)제 1데이터베이스에 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B)제2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비교모듈에서 노래파일에 해당하는 원곡을 검색하고, 노래파일의 원곡이 존재하는 경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D)평가모듈에서 비교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하는 단계;
(E)평가모듈에서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F) 2차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 받는 경우, 요금정산 모듈에서 2차 평가가 진행된 구간의 음표 개수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의 2차 평가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및 (G)통신모듈에서 노래파일을 레코딩 한 사용자에게 노래파일에 대한 1차 평가 및 2차 평가 정보를 전달하고, 정산된 평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면에 따른 노래 평가 서버는 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노래파일에 해당하는 원곡을 검색하고, 노래파일의 원곡이 존재하는 경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모듈; 비교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하고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하는 평가모듈; 2차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 받는 경우, 요금정산 모듈에서 2차 평가가 진행된 구간의 음표 개수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의 2차 평가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 정산 모듈; 및 노래파일을 레코딩 한 사용자에게 노래파일에 대한 1차 평가 및 2차 평가 정보를 전달하고, 정산된 평가 요금을 과금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노래 평가 서버는 자신의 노래실력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받기 어려웠던 일반인들에게 음정, 박자, 고칠 점 등에 대해 전문가에게 빠르게 전문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노래 평가 서버를 통해 음정 오차율 및 박자 주의구간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곡과 유사하게 부르는 부분과 차이가 많이 나는 부분을 알 수 있어 곡 흐름상 자신이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고,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전공생 들은 노래 평가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에게 과금 한 요금의 일정 부분을 자신의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버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버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b는 노래 평가 서버를 통한 노래 평가 과정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시스템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래 평가 시스템은 노래 평가 서버(100),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 및 노래 평가자의 스마트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은 노래 실력을 평가를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음악 파일을 음악 평가 서버(100)에 업로드 한다.
노래 평가 서버(100)는 음악 파일에 레코딩 된 노래의 평가 요소를 기 저장된 원곡과 비교하여 노래 실력을 평가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평가 요소에는 음정, 박자, 가사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노래 평가 서버(100)는 노래가 레코딩 된 음악파일을 노래 실력을 전문적으로 평가 가능한 전문 평가자 들의 스마트 단말(300)로 전송하여 실용음악 전공생 및 작곡가 등 노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 평가자 들이 음악 파일에 담긴 노래를 듣고, 레코딩 된 노래를 코멘트나 점수 등으로 평가 할 수 있게 한다.
전문 평가자들은 자신의 스마트 단말(300)로 노래 평가 서버(100)로부터 음악 파일을 전달 받아, 레코딩 된 노래를 평가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평가자들은 노래 실력에 대한 코멘트를 직접 입력 할 수도 있고, 별점 또는 점수 형태로 평가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 및 노래 실력 향상을 위한 어드바이스 등을 스마트 단말을 통해 입력 할 수 있다.
노래 평가 이후, 노래 평가 서버(100)는 평가된 곡의 음표 개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금을 과금하고, 과금 된 요금의 일정 부분을 전문 평가자들 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 및 평가자의 스마트 단말(300)은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200,300)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노래 평가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200,300)은 개인 PC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노래 평가 서버(1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버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래 평가 서버(100)는 제 1데이터 베이스(110), 제2 데이터 베이스(120), 비교모듈(130), 평가모듈(150) 및 요금 정산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기존 노래들의 음정, 박자, 가사 데이터, 노래 평가 서버 사용자들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음악파일과 전문 평가자 들의 개인정보 등 노래 평가에 필요한 일련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제 1데이터베이스(110)는 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컨대, 제 1데이터베이스(110)는 원곡정보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컨대, 제 2데이터베이스(120)는 노래파일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비교모듈(130)은 노래파일에 해당하는 원곡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노래파일의 원곡이 존재하는 경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한다.
평가모듈(150)은 비교모듈(130)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하고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2차 평가는 전문 평가자에 의한 노래 실력 코멘트, 취약부분에 대한 조언 등이 될 수 있다.
요금 정산 모듈(170)은 전문 평가자로부터 2차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받는 경우, 2차 평가가 진행된 구간의 음표 개수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의 2차 평가 요금을 정산한다.
통신모듈(190)은 노래파일을 레코딩 한 사용자에게 노래파일에 대한 1차 평가 및 2차 평가 정보를 전달하고, 정산된 평가 요금을 사용자에게 과금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버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모듈(130)은 음정 분석부(131), 박자 분석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평가모듈(150)은 1차 평가부(151) 및 2차 평가부(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요금 과금모듈(170)은 평가 요금 연산부(171) 및 기타 요금 연산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석모듈(130)의 음정 분석부(131)는 노래파일의 음정과 원곡의 음정을 비교하기 위해, 노래파일의 주파수와 원곡의 주파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를 비교한다.
박자 분석부(133)는 노래파일의 박자와 원곡의 박자를 비교하기 위해, 주파수 값 별 지속 시간 및 주파수 값이 일정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과 각 시점의 싱크(synch)를 비교한다. 또한, 비교모듈(130)은 추출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원곡 데이터의 음향 분석 및 음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된 음악파일의 음정과 가사가 원곡과 얼마나 유사한지 비교할 수 있다.
평가모듈(150)의 음정 평가부(131)는 원곡 주파수 값과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의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음정을 1차 평가한다.
또한, 박자 평가를 위해,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시점 정보의 차이가 기설정된 경계 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박자를 1차 평가한다. 실시예에서, 1차 평가부(151)는 원곡과 업로드 한 파일의 음정, 박자, 가사를 비교한 결과를 유사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점수로 음악파일을 업로드 한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1차 평가부(151)는 유사도가 일정 수준 미만인 부분을 주의구간으로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음정, 박자, 가사 등이 원곡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차 평가부(151)는 유사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구간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원곡과 매우 유사하게 부른 부분을 알려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평가부(151)는 원곡 주파수와 노래 파일의 주파수 값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음정 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음정 주의구간에서 원곡 주파수 값에 대한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인 음정 오차율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을 분석하여 시점의 차이가 기설정된 경계 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박자 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박자 주의구간에서,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 차이 값인 박자 오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래 평가 서버를 통해 음정 오차율 및 박자 주의구간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곡과 유사하게 부르는 부분과 차이가 많이 나는 부분을 알 수 있어 곡 흐름상 자신이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고,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2차 평가부(153)는 실용음악과 학생 및 작곡가 등을 포함하는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한다. 실시예에서 2차 평가는 전문 평가자들에 의한 노래실력 평가로서,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전문 평가자가 청취한 후 이에 대해 코멘트 하는 방식으로 수행 될 수 있다.
요금 과금 모듈(170)의 평가요금 연산부(171)는 노래 평가가 진행된 곡의 음표 개수에 따라 노래 실력의 1차 평가 및 2차 평가에 대한 요금을 사용자에게 과금 한다. 실시예에 따라 평가요금은 소절 또는 곡 단위로 과금 될 수도 있다.
기타 요금 연산부(173)는 노래를 부른 사용자의 질문과 평가자에 의한 답변 개수 및 답변 길이에 따른 질의 요금을 연산한다.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버를 통해 음악 전공생 들은 노래 평가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에게 과금 한 요금의 일정 부분을 자신의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노래 평가 서버를 통한 노래 평가 과정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 평가 서버에 음악 파일을 업로드 한 사용자는 음표 하나하나에 대한 분석 결과 및 전문 평가자에 의한 노래 평가 결과를 동시에 받아 볼 수 있다. 전문 평가자는 음악 파일을 스트리밍 시키고 노래실력에 대한 평가 의견(20)을 입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평가 의견 중 베스트 의견을 선정하여, 베스트 의견을 작성한 전문 평가 위원에게 이에 대한 보상을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작용(기능)은 노래 평가 서버 및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510 단계에서는 제 1데이터베이스에 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컨대, 원곡정보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는 제2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에도 노래파일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는 비교모듈에서 노래파일에 해당하는 원곡을 검색하고, 노래파일의 원곡이 존재하는 경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S530 단계에서는 노래파일의 음정과 원곡의 음정을 비교하기 위해, 노래파일의 주파수와 원곡의 주파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를 비교하고, 노래파일의 박자와 원곡의 박자를 비교하기 위해, 주파수 값 별 지속 시간 및 주파수 값이 일정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과 각 시점의 싱크(synch)를 비교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는 평가모듈에서 비교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한다. S540 단계에서는 원곡 주파수 값과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의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음정을 1차 평가하고,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시점 정보의 차이가 기설정된 경계 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박자를 1차 평가할 수 있다.
또한, 1차 평가 단계는 원곡 주파수와 노래 파일의 주파수 값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음정 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음정주의구간에서 원곡 주파수 값에 대한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인 음정 오차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을 분석하여 상기 시점의 차이가 기 설정된 경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박자 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박자 주의구간에서,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 차이 값인 박자 오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는 평가모듈에서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한다.
S560 단계에서는 상기 2차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 받는 경우, 요금정산 모듈에서 2차 평가가 진행된 구간의 음표 개수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의 2차 평가 요금을 정산한다.
S570 단계에서는 통신모듈에서 노래파일을 레코딩 한 사용자에게 노래파일에 대한 1차 평가 및 2차 평가 정보를 전달하고, 정산된 평가 요금을 과금 한다.
실시예에 따른 노래 평가 서버 및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레코딩 한 노래파일을 분석을 통해, 원곡의 음정, 박자, 가사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자신의 노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로부터 자신의 노래실력을 평가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래 평가 서버를 통해 음정 오차율 및 박자 주의구간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곡과 유사하게 부르는 부분과 차이가 많이 나는 부분을 알 수 있어 곡 흐름상 자신이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고,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전공생 들은 노래 평가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에게 과금 한 요금의 일정 부분을 자신의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200,300: 스마트 단말
100: 노래 평가 서버
110: 제 1 데이터 베이스
120: 제 2 데이터베이스
130: 분석모듈
131: 음정 분석부
133: 박자 분석부
150: 평가모듈
151: 1차 평가부
153: 2차 평가부
170: 요금정산모듈
171: 평가요금연산부
173: 기타요금연산부

Claims (12)

  1. 노래 평가 방법에 있어서,
    (A)제 1데이터베이스에 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B)제2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비교모듈에서 노래파일에 해당하는 원곡을 검색하고, 노래파일의 원곡이 존재하는 경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D)평가모듈에서 상기 비교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하는 단계;
    (E)평가모듈에서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F) 상기 2차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받는 경우, 요금정산 모듈에서 2차 평가가 진행된 구간의 음표 개수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의 2차 평가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및
    (G)통신모듈에서 상기 노래파일을 레코딩 한 사용자에게 노래파일에 대한 1차 평가 및 2차 평가 정보를 전달하고, 정산된 평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래평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C)상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는
    상기 노래파일의 음정과 원곡의 음정을 비교하기 위해, 노래파일의 주파수와 원곡의 주파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노래파일의 박자와 원곡의 박자를 비교하기 위해, 주파수 값 별 지속 시간 및 주파수 값이 일정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과 각 시점의 싱크(synch)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D)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하는 단계; 는
    원곡 주파수 값과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의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음정을 1차 평가하고,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시점 정보의 차이가 기 설정된 경계 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박자를 1차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는
    원곡정보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는
    노래파일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D)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는 단계; 는
    원곡 주파수와 노래 파일의 주파수 값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음정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음정주의구간에서 원곡 주파수 값에 대한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인 음정 오차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을 분석하여 상기 시점의 차이가 기 설정된 경계 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박자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박자주의구간에서,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 차이 값인 박자 오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7. 노래 평가 서버에 있어서,
    원곡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원곡 정보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된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노래파일에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노래파일에 해당하는 원곡을 검색하고, 노래파일의 원곡이 존재하는 경우, 노래파일에서 추출된 음정, 박자 데이터를 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을 1차 평가하고 전문평가자에게 노래파일의 2차 평가를 요청하는 평가모듈;
    상기 2차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받는 경우, 요금정산 모듈에서 2차 평가가 진행된 구간의 음표 개수를 기반으로 노래파일의 2차 평가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 정산 모듈; 및
    상기 노래파일을 레코딩 한 사용자에게 노래파일에 대한 1차 평가 및 2차 평가 정보를 전달하고, 정산된 평가 요금을 과금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노래평가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모듈은
    상기 노래파일의 음정과 원곡의 음정을 비교하기 위해, 노래파일의 주파수와 원곡의 주파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를 비교하는 음정 분석부;
    상기 노래파일의 박자와 원곡의 박자를 비교하기 위해, 주파수 값 별 지속 시간 및 주파수 값이 일정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과 각 시점의 싱크(synch)를 비교하는 박자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서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모듈은
    원곡 주파수 값과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의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음정을 1차 평가하고,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시점 정보의 차이가 기 설정된 경계 값을 초과하는 구간에 포함된 음표의 개수에 따라 노래파일의 박자를 1차 평가하는 1차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서버.
  10.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원곡정보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서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노래파일에서 획득된 주파수 값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값에 따른 음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일정한 주파수가 유지되는 시간과 주파수 값이 일정 수준이상 변화하는 시점정보를 분석하여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서버.
  12.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모듈은
    원곡 주파수와 노래 파일의 주파수 값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음정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음정주의구간에서 원곡 주파수 값에 대한 노래 파일 주파수 값인 음정 오차율을 획득하고,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을 분석하여 상기 시점의 차이가 기 설정된 경계 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박자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박자주의구간에서, 원곡과 노래파일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된 시점 차이 값인 박자 오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서버.
KR1020160137341A 2016-10-21 2016-10-21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3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41A KR20180043925A (ko) 2016-10-21 2016-10-21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41A KR20180043925A (ko) 2016-10-21 2016-10-21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25A true KR20180043925A (ko) 2018-05-02

Family

ID=6218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341A KR20180043925A (ko) 2016-10-21 2016-10-21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9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6376A (zh) * 2019-01-08 2019-04-26 北京雷石天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歌曲演唱评价方法及系统
KR102107588B1 (ko) 2018-10-31 2020-05-07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가창 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N113096689A (zh) * 2021-04-02 2021-07-09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歌曲演唱的评价方法、设备及介质
CN117235300A (zh) * 2023-11-13 2023-12-15 深圳市致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k歌系统的歌曲推荐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588B1 (ko) 2018-10-31 2020-05-07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가창 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N109686376A (zh) * 2019-01-08 2019-04-26 北京雷石天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歌曲演唱评价方法及系统
CN109686376B (zh) * 2019-01-08 2020-06-30 北京雷石天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歌曲演唱评价方法及系统
CN113096689A (zh) * 2021-04-02 2021-07-09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歌曲演唱的评价方法、设备及介质
CN117235300A (zh) * 2023-11-13 2023-12-15 深圳市致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k歌系统的歌曲推荐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7235300B (zh) * 2023-11-13 2024-03-15 深圳市致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k歌系统的歌曲推荐方法、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64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music
KR20180043925A (ko) 노래 평가 시스템, 노래 평가 서버 및 노래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625632A (zh) 一种问答对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123057A (zh) 用户推荐方法及装置
CN110782962A (zh) 听力语言康复装置、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235898B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harmonic content relating to music track
KR20130128716A (ko) 어학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CN111368098B (zh) 一种基于情景化的法律咨询评估系统
CN113314119B (zh) 语音识别智能家居控制方法及装置
CN109462603A (zh) 基于盲检测的声纹认证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CN111554303B (zh) 一种歌曲演唱过程中的用户身份识别方法及存储介质
KR102165844B1 (ko) 피아노 연주 학습 보조 장치
CN112614489A (zh) 用户发音准确度评估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9739354A (zh) 一种基于声音的多媒体交互方法及装置
CN107451185B (zh) 录音方法、朗读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装置
KR20200070732A (ko) 음악 콘텐츠 추천 장치
JP5185807B2 (ja) 音声検索装置、音声検索方法及び音声検索プログラム
CN109670393B (zh) 人脸数据采集方法、设备、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6029429A (ja) カラオケ装置
CN107666511B (zh) 一种远程音乐考级的方法、装置及系统
CN111427444A (zh) 一种智能设备的控制方法和设备
KR20200070783A (ko) 사용자 단말의 알람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알람 해제 미션 결정 방법
CN114049973A (zh) 对话质检方法、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及程序产品
JP3973434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078992B (zh) 一种听写内容生成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