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775A - Led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Led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775A
KR20180043775A KR1020180045500A KR20180045500A KR20180043775A KR 20180043775 A KR20180043775 A KR 20180043775A KR 1020180045500 A KR1020180045500 A KR 1020180045500A KR 20180045500 A KR20180045500 A KR 20180045500A KR 20180043775 A KR20180043775 A KR 2018004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voltage
channels
channel
led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708B1 (ko
Inventor
정일용
양승욱
이재용
김진겸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7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3
    • H05B33/0815
    • H05B33/08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02B20/347

Abstract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채널을 포함하며, 각 LED 채널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LED 발광 장치는,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1 단자 각각에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LED 채널의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류 제어부,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시점을 검출 시점으로 결정하는 검출 제어부, 상기 검출 시점에서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를 지시하는 상기 상태 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단선되지 않은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 중에서 최소 전압을 검출하는 최소값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 시점에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의 검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LED 발광 장치{LED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LED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를 사용한 발광 장치는 LED에 전류를 공급하여 LED를 구동하고, LED는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는 밝기의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LED 발광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수광형 표시 장치의 광원 또는 조명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LED 발광 장치는 일정한 밝기의 빛을 방출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LED 채널을 포함하고, 각 LED 채널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LED를 포함한다. 그리고 LED 발광 장치는 복수의 LED 채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 변환기를 포함한다.
LED는 복수의 LED 채널이 사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LED 채널의 두 LED 사이가 단선(open)될 수 있다. 단선된 LED 채널을 파악하지 못하면, 전력 변환기는 최대의 전압을 복수의 LED 채널에 공급하므로 전력 소비를 증가 시킬 수 있고 발열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단선된 LED 채널을 파악하는 회로의 한 예로, 복수의 LED 채널에 최대의 전압을 공급하고 각 LED 채널의 최종단의 전압을 감지하여서 0V의 최종단 전압을 가진 LED 채널을 단선된 LED 채널로 파악하는 회로가 있다. 그러나, 단선된 LED 채널의 파악을 위하여 최대의 전압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전력 소비를 증가 시킬 수 있고 발열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소비와 발열을 줄이면서도 단선된 LED 채널을 파악할 수 있는 LED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채널을 포함하며, 각 LED 채널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LED 발광 장치는,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1 단자 각각에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LED 채널의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류 제어부,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시점을 검출 시점으로 결정하는 검출 제어부, 상기 검출 시점에서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를 지시하는 상기 상태 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단선되지 않은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 중에서 최소 전압을 검출하는 최소값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 시점에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의 검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출력 전압이 LED 동작 전압에 이르기 전에 단선된 LED 채널을 파악할 수 있어 전력 소비와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와 LED 상태 검출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제어부와 전력 변환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과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의 파형도를 보여준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LED 발광 장치는 복수의 LED 채널(10)과 LED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LED 구동 장치는 복수의 LED 전류 제어부(20), 전력 변환부(30), LED 상태 검출 제어부(40), LED 상태 검출부(50), 전력 변환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복수의 LED 채널(10)은 전력 변환부(30)의 출력 단자(OUT)와 복수의 전류 제어부(20)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LED 채널(10)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LED를 포함한다. 이러한 LED 채널(10)은 LED 구동 장치의 부하로 작용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ED 발광 장치는 3개의 LED 채널(10)을 가진 것으로 가정하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복수의 LED 전류 제어부(20)는 복수의 LED 채널(10)과 접지 단자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 단자(CT)를 가진다. LED 전류 제어부(20)는 제어 단자(CT)에 입력되는 LED 전류 제어 신호(S2)에 따라 대응하는 LED 채널(10)에 LED 상태 검출 전류나 LED 동작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LED 동작 전류는 추가적인 제어 신호에 따라 가변할 수 있으나, LED 상태 검출을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LED 상태 검출 전류는 LED 동작 전류에 비해 작게 설정된다. 예컨데, LED 동작 전류가 100mA에 해당한다면, LED 상태 검출 전류는 1uA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ED 전류 제어 신호(S2)가 하이 레벨을 갖는 경우에 LED 전류 제어부(20)는 대응하는 LED 채널(10)에 LED 상태 검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반면, LED 전류 제어 신호(S2)가 로우 레벨을 갖는 경우에 LED 전류 제어부(20)는 대응하는 LED 채널(10)에 LED 동작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LED 상태 검출을 위한 시간을 보장해 주기 위하여, LED 전류 제어 신호(S2)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화할 때, LED 전류 제어부(20)는 약간의 지연 후에 대응하는 LED 채널(10)에 LED 동작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30)는 입력 전압(Vin)을 복수의 LED 채널(10)의 구동에 적합한 전압(Vout)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OUT)로 출력한다.
LED 상태 검출 제어부(40)는 복수의 LED 채널(10)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 FB2, FB3)에 기초하여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과 LED 전류 제어 신호(S2)를 출력한다.
LED 상태 검출부(50)는 복수의 LED 채널(10)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 FB2, FB3)에 기초하여 복수의 LED 채널(10)의 상태를 검출한다.
전력 변환 제어부(60)는 복수의 LED 채널(10)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 FB2, FB3)과 복수의 LED 채널(10)의 상태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부(30)의 출력 전압(Vout)을 조절할 지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전력 변환 제어 신호(S3)를 전력 변환부(30)로 출력한다. 전력 변환부(30)는 전력 변환 제어 신호(S3)에 기초하여 출력 전압(Vout)을 조절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40)와 LED 상태 검출부(5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40)는 최대값 검출부(41a), 비교기(42a), 및 부정(NOT) 게이트(43a)를 포함한다.
최대값 검출부(41a)는 복수의 LED 채널(10)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 FB2, FB3) 중에서 최대 전압(MAX_FB)을 출력한다.
비교기(42a)는 최대값 검출부(41a)가 출력하는 최대 전압(MAX_FB)과 기준 전압(Vth1)을 비교하고, 최대 전압(MAX_FB)가 기준 전압(Vth1)보다 작으면 로우 레벨의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출력하고, 최대 전압(MAX_FB)가 기준 전압(Vth1)보다 크면 하이 레벨의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출력한다. 로우 레벨의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는 LED 상태 검출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고, 하이 레벨의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는 LED 상태 검출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복수의 LED 채널(10)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 FB2, FB3) 중에서 최대 전압(MAX_FB)이 기준 전압(Vth1)에 도달할 때 단선되지 않은 모든 LED 채널(10)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기준 전압(Vth1)이 결정될 수 있다.
부정(NOT) 게이트(43a)는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의 레벨을 반전하여 LED 전류 제어 신호(S2)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40)는 복수의 비교기(41b), 논리합(OR) 게이트(42b), 및 부정(NOT) 게이트(43b)를 포함한다.
복수의 비교기(41b)는 복수의 LED 채널(10)에 각각 대응한다. 각 비교기(41b)는 대응하는 LED 채널(10)의 최종단의 전압이 걸리는 비반전 단자(+)와 기준 전압(Vth1)이 걸리는 반전 단자(-)를 가진다. 비반전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Vth1)보다 작으면 비교기(41b)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반전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Vth1)보다 크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논리합(OR) 게이트(42b)는 복수의 비교기(41b)의 출력 신호에 대해 OR 연산하여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출력한다.
부정(NOT) 게이트(43b)는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의 레벨을 반전하여 LED 전류 제어 신호(S2)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부(50)는 복수의 비교기(51a)와 복수의 논리곱(AND) 게이트(52a)를 포함한다.
복수의 비교기(51a)는 복수의 LED 채널(10)에 각각 대응한다. 비교기(51a) 각각은 대응하는 LED 채널(10)의 최종단의 전압이 걸리는 비반전 단자(+)와 기준 전압(Vth2)이 걸리는 반전 단자(-)를 가진다. 비반전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Vth2)보다 작으면 비교기(41b)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반전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Vth2)보다 크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기준 전압(Vth2)은 단선된 LED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단선된 LED 채널의 최종단에는 0V가 걸리므로, 기준 전압(Vth2)은 기준 전압(Vth1)보다 작고 0V보다 큰 전압으로 결정된다.
복수의 논리곱(AND) 게이트(52a)는 복수의 LED 채널(10)에 각각 대응한다. 각 논리곱(AND) 게이트(52a)는 대응하는 비교기(51a)의 출력 신호와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AND 연산하여 대응하는 LED 채널(10)의 LED 채널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가 하이 레벨을 가지는 경우에, 로우 레벨의 LED 채널 상태 신호는 대응하는 LED 채널(10)이 단선됨을 나타내고, 하이 레벨의 LED 채널 상태 신호는 대응하는 LED 채널(10)이 단선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와 LED 상태 검출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제어부(40)는 복수의 비교기(41c), 논리합(OR) 게이트(42c), 타이머(43c), 및 부정(NOT) 게이트(44c)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 상태 검출 검출부(50)는 복수의 논리곱(AND) 게이트(51b)를 포함한다.
복수의 비교기(41c)는 복수의 LED 채널(10)에 각각 대응한다. 각 비교기(41c)는 대응하는 LED 채널(10)의 최종단의 전압이 걸리는 비반전 단자(+)와 기준 전압(Vth1)이 걸리는 반전 단자(-)를 가진다. 비반전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Vth1)보다 작으면 비교기(41c)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반전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Vth1)보다 크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논리합(OR) 게이트(42c)는 복수의 비교기(41c)의 출력 신호에 대해 OR 연산한다.
타이머(43c)는 로우 레벨의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출력하다가, 논리합(OR) 게이트(42c)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에지로부터 타이머 만료 시간이 경과하면 하이 레벨의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출력한다. 논리합(OR) 게이트(42c)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에지로부터 타이머 만료 시간이 경과할 때 단선되지 않은 모든 LED 채널(10)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타이머 만료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부정(NOT) 게이트(44c)는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의 레벨을 반전하여 LED 전류 제어 신호(S2)를 출력한다.
복수의 논리곱(AND) 게이트(51b)는 복수의 LED 채널(10)에 각각 대응한다. 각 논리곱(AND) 게이트(51b)는 대응하는 비교기(41c)의 출력 신호와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AND 연산하여 대응하는 LED 채널(10)의 LED 채널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제어부(60)와 전력 변환부(30)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제어부와 전력 변환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제어부(60)는 최소값 검출부(61), 오차 증폭부(62), 커패시터(C1), 비교기(63)를 포함한다.
최소값 검출부(61)는 LED 채널 상태 신호(LED_S1, LED_S2, LED_S3)에 기초하여 단선되지 않은 LED 채널의 최종단의 전압 중에서 최소 전압(MIN_FB)을 출력한다.
오차 증폭부(62)는 기준 전압(Vref)과 최소 전압(MIN_FB)을 비교하여 오차 증폭 신호(VE)를 생성한다. 오차 증폭부(62)의 출력단에는 커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어 오차 증폭 신호(VE)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오차 증폭부(62)는 최소 전압(MIN_FB)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를 포함하고, 기준 전압(Vref)에서 최소 전압(MIN_FB)을 뺀 전압을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여 오차 증폭 신호(VE)를 생성한다.
비교기(63)는 오차 증폭 신호(VE)와 톱니파 신호(sawtooth wave signal)를 비교하여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신호에 해당하는 전력 변환 제어 신호(S3)를 출력한다.
전력 변환부(30)의 한 예로 DC(direct current)-DC 변환기 중 부스트(boost) 변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변환부(30)는 스위치(SW1), 인덕터(L1),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인덕터(L1)의 한 단자는 입력 전압(Vin)에 연결되어 있으며, 인덕터(L1)의 다른 단자는 다이오드(D1)의 애노드와 스위치(SW1)의 한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커패시터(C2)의 한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C1)의 다른 단자와 스위치(SW1)의 다른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커패시터(C2)의 전압이 출력 전압(Vout)으로 된다.
스위치(SW1)는 전력 변환 제어 신호(S3)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SW1)가 턴온되면 입력 전압(Vin)에서 인덕터(L1) 및 스위치(SW1)를 통해 접지 단자로 전류가 흘러서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한다. 다음 스위치(SW1)가 턴오프되면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충전되어 입력 전압(Vin)이 출력 전압(Vout)으로 변환된다. 이때 출력 전압(Vout)은 전력 변환 제어 신호(S3)의 듀티 비(duty ratio)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과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의 파형도를 보여준다.
특히, 도 7과 관련하여, LED 발광 장치는 제1 LED 채널, 제2 LED 채널, 및 제3 LED 채널을 가지고, 제2 LED 채널은 단선된 채널이고, 제1 LED 채널의 문턱 전압(Vx)은 제3 LED 채널의 문턱 전압보다 작다고 가정한다.
LED 발광 장치가 턴온된 직후, LED 전류 제어 신호(S2)는 하이 레벨을 가지므로, 복수의 LED 전류 제어부(20)의 각각은 대응하는 LED 채널(10)에 LED 상태 검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전력 변환부(30)의 출력 전압(Vout)이 제1 LED 채널의 문턱 전압(Vx)에 도달하기 전에는 복수의 LED 채널(10)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 FB2, FB3)은 모두 0V이다.
전력 변환부(30)의 출력 전압(Vout)이 제1 LED 채널의 문턱 전압(Vx)에 도달하고 나서는(t1) 제1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 또한 상승한다.
제1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이 기준 전압(Vth1)에 도달하면(t2), LED 상태 검출 제어부(40)는 하이 레벨의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를 출력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제1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이 기준 전압(Vth1)보다 큰 시점(t2)에서, 제1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은 기준 전압(Vth2)보다도 크므로, 따라서, LED 상태 검출부(50)는 제1 LED 채널이 단선되지 않은 채널임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제1 LED 채널 상태 신호(LED_S1)를 출력한다. 한편, 제2 LED 채널은 단선된 채널이므로, 제1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이 기준 전압(Vth1)보다 큰 시점(t2)에서 제2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2)은 계속 0V이다. 따라서, LED 상태 검출부(50)는 제2 LED 채널이 단선된 채널임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제2 LED 채널 상태 신호(LED_S2)를 출력한다. 제3 LED 채널의 문턱 전압은 제1 LED 채널의 문턱 전압(Vx)보다 크지만, 제1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1)이 기준 전압(Vth1)보다 큰 시점(t2)에서, 제3 LED 채널의 최종단에 걸리는 전압(FB3)은 기준 전압(Vth1)보다 작고 기준 전압(Vth2)보다는 큰 전압에 해당한다. 따라서, LED 상태 검출부(50)는 제3 LED 채널이 단선된 채널임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제3 LED 채널 상태 신호(LED_S3)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복수의 LED 채널의 LED 채널 상태 신호(LED_S1, LED_S2, LED_S3)를 이용하여 전력 변환 제어부(60)는 전력 변환 제어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전력 변환부(30)는 최대 출력 전압(OVR)을 출력하지 않더라도 전력 변환부(30)가 LED 구동 전압(Vop)에 해당하는 출력 전압을 출력하기 이전에 LED 구동 장치는 단선된 LED 채널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LED 상태 검출 가능 지시 신호(S1)의 레벨이 하이가 되면, LED 전류 제어 신호(S2)의 레벨은 로우가 되어, 복수의 LED 전류 제어부(20)의 각각은 대응하는 LED 채널(10)에 LED 동작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 LED 채널의 LED 채널 상태 신호(LED_S1)와 제3 LED 채널의 LED 채널 상태 신호(LED_S3)는 일시적으로 0V에 가까운 전압 레벨을 갖다가 LED 구동 장치가 안정화된 후에는 일정한 전압 레벨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0: 복수의 LED 채널
20: 복수의 LED 전류 제어부
30: 전력 변환부
40: LED 상태 검출 제어부
50: LED 상태 검출부
60: 전력 변환 제어부

Claims (1)

  1.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채널을 포함하며, 각 LED 채널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LED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1 단자 각각에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LED 채널의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전류 제어부;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시점을 검출 시점으로 결정하는 검출 제어부;
    상기 검출 시점에서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를 지시하는 상기 상태 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단선되지 않은 LED 채널의 제2 단자의 전압 중에서 최소 전압을 검출하는 최소값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시점에 상기 복수의 LED 채널의 단선 상태의 검출이 가능한 LED 발광 장치.
KR1020180045500A 2018-04-19 2018-04-19 Led 발광 장치 KR10197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00A KR101978708B1 (ko) 2018-04-19 2018-04-19 Led 발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00A KR101978708B1 (ko) 2018-04-19 2018-04-19 Led 발광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765A Division KR102063739B1 (ko) 2011-03-31 2011-03-31 Led 발광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775A true KR20180043775A (ko) 2018-04-30
KR101978708B1 KR101978708B1 (ko) 2019-08-29

Family

ID=6208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500A KR101978708B1 (ko) 2018-04-19 2018-04-19 Led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7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245B2 (en) * 2007-01-04 2010-03-09 Allegro Microsystems, Inc. Electronic circuit for driving a diode load
JP2010287601A (ja) * 2009-06-09 2010-12-24 Panasonic Corp 発光素子駆動装置
KR20110017784A (ko) * 2009-08-14 2011-02-2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Led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245B2 (en) * 2007-01-04 2010-03-09 Allegro Microsystems, Inc. Electronic circuit for driving a diode load
JP2010287601A (ja) * 2009-06-09 2010-12-24 Panasonic Corp 発光素子駆動装置
KR20110017784A (ko) * 2009-08-14 2011-02-2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Led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708B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739B1 (ko) Led 발광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US8928248B2 (en) Step up/down converter
US8878445B2 (en)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KR102062566B1 (ko) Led 발광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602577B2 (en) Control circuit, control method and switching power supply thereof
US9154031B2 (en) Current mode DC-DC conversion device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KR101677730B1 (ko) Led 발광 장치
US8492982B2 (en) Current drive circuit for light emitting diode
US7336057B2 (en) DC/DC converter
TWI510131B (zh) 發光元件驅動電路及其控制方法
US7292016B2 (en) Buck/boost DC-DC converter control circuit with input voltage detection
US8179059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therefor
JP2011515027A (ja) 動的に電力管理されるledドライバ
US20110266962A1 (en) Driver ic for electrical load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532421B2 (en) LED driv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LED driving device
JP2013135231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EP3711154A1 (en)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and conversion method
KR102006966B1 (ko) Led 발광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100066267A (ko) 전류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장치
KR101978708B1 (ko) Led 발광 장치
US20100102731A1 (en) Current regulator and method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a LED display system
JP2011181378A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253876A (ja) 負荷駆動装置
KR102062567B1 (ko) Led 발광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08360B1 (ko) Led 발광 장치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