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613A -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613A
KR20180043613A KR1020160136538A KR20160136538A KR20180043613A KR 20180043613 A KR20180043613 A KR 20180043613A KR 1020160136538 A KR1020160136538 A KR 1020160136538A KR 20160136538 A KR20160136538 A KR 20160136538A KR 20180043613 A KR20180043613 A KR 2018004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important
content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524B1 (ko
Inventor
권경석
심상수
김부섭
이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04L65/40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6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04L67/28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D2D 통신을 이용하여 우선순위가 설정된 중요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aching for Effective Contents Delivery}
본 실시예는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트래픽을 직접 전송하는 통신 방식이다.
현재 D2D 통신 기술은 동기화(Synchronization), 탐색(Discovery) 등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D2D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 컨텐츠(Content)를 배포할 때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 등의 인프라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는 D2D 단말기들이 캐시(Cache)를 이용하여 자주 이용되는 컨텐츠를 캐시에 저장되도록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장비(예: 라우터, 스위치 등)에서 캐시를 이용하는 방안은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일반적인 캐시 정책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또는 요청되는) 컨텐츠를 자신의 캐시에 저장하고, 이후에 같은 컨텐츠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본인의 캐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이용함으로써 컨텐츠의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캐시 정책은 캐시의 용량이 포화 상태에서 새로운 컨텐츠가 들어오게 되면 가장 늦게 들어온 컨텐츠를 제거하고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자주 사용되는 컨텐츠가 캐시에 오래 머물게 되어서 캐시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캐시 정책은 유선 네트워크의 라우터나 스위치 같은 이미 장비 자체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적합하지만, 무선 네트워크, 특히 D2D 통신에서 단말기가 캐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캐시 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컨텐츠 전송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특수한 통신 환경 예컨대, 재난 상황에서의 D2D 통신 환경에서는 컨텐츠 전송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우선순위가 설정된 중요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과정; 및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부; 및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의 캐시에 우선순위가 상위 레벨인 컨텐츠들을 우선적으로 저장함으로써, D2D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다른 단말기로 중요 컨텐츠를 배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서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기지국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특수한 통신 환경(재난 통신망)에서도 중요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복 컨텐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캐시 메모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User Equipment, UE)를 포함한다. 기지국 각각은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Coverage)인 셀(Cell)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인 섹터(Sector)로 나뉠 수 있다.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하향링크라고 하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상향링크라고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지국(110)은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으로서, eNB(evolved-NodeB),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ystem, 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기(120, 122, 130)는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장치로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단말(Mobile Terminal), 사용자단말(User Terminal, UT), 가입자지국(Subscriber Station, SS),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의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100)에는 다양한 다중접속(Multiple Access) 전송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중접속은 코드, 주파수, 시간, 및 공간 등을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다중접속은 고정할당 접근방식과 동적할당 접근방식으로 나뉜다. 고정할당 접근방식의 예로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 주파수분할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방식,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방식,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방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적할당 접근방식의 예로는 반송파감지다중접속(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방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통신 시스템(100)에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다양한 이중화(Duplexing)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중화 기술의 예로는 주파수분할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시분할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에는 다중안테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중안테나는 안테나의 구성을 기준으로 단일 전송 안테나 단일 수신 안테나(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단일 전송 안테나 다중 수신 안테나(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다중 전송 안테나 단일 수신 안테나(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및 다중 전송 안테나 다중 수신 안테나(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로 나뉜다. 전송 안테나는 하나의 신호 또는 스트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안테나를 의미하고, 수신 안테나는 하나의 신호 또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안테나를 의미한다.
도 1에서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제1 단말기(120, 122)와 기지국(110)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제2 단말기(13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단말기(120, 122)는 셀룰러 단말 및/또는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제1 단말기(120, 122)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포함하여 각종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제1 단말기(120, 122)는 기지국(110)과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시스템(100)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무선 프레임을 사용하여 단말기 간에 단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과 D2D 통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내에서 혼재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120, 122)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제2 단말기(130)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120, 122)와 연동하는 단말이다. 제2 단말기(130)는 제1 단말기(120, 122)로부터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 단말기(13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캐시 메모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말기(130)는 셀룰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으나, 재난 상황에서 기지국과 통신이 끊겨 제1 단말기(120, 122)와 D2D 통신만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100)의 통신망은 재난 안전통신망으로 구축될 수 있고, 제1 단말기(120, 122), 제2 단말기(130) 등은 재난 상황에서 재난안전통신망을 이용하여 셀룰러 통신 및/또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국방, 철도, 지방자치단체 등 국가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한 통신망으로서, 재난 발생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국가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재난안전통신망으로는 3GPP가 표준화한 Public Safety-LTE(PS-LT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S-LTE는 LTE 기술을 기반으로 공공안전 통신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용한 기술 방식이고, 그룹통신, 단말 간 통신, 망 생존성 등의 요구사항을 지원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경찰, 소방관 등의 구조요원들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단말기들는 재난안전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조요원들이 수행하는 업무는 높은 중요도 및 긴급도가 요구되므로, 구조요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들은 다른 단말기들보다 통신망을 우선적으로 접속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구조요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가 D2D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무선성능을 제한하고 우선적으로 구조요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D2D 연결이 승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의 캐싱을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캐시 메모리가 구비된 제1 단말기(120, 122) 중 하나의 단말기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부 또는 별도의 서버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일부 기능을 기지국(110)에 구현한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통신부(210), 컨텐츠 판단부(220), 캐시 저장부(230), 네트워크 관리부(240),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 및 컨텐츠 공유부(27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및/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 단위로 합쳐져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기지국(110), 컨텐츠 제공서버(미도시), 단말기(120, 122) 등과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10)는 기지국(110) 또는 컨텐츠 제공서버(미도시)로부터 송신된 컨텐츠를 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수신된 컨텐츠를 컨텐츠 판단부(220)로 전송하여 캐시 저장부(23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공유되도록 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지역 안내 정보, 날씨 정보, 재난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긴급 구조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와 연동하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캐시 저장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판단부(220)는 수신된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CI,i, i는 우선순위) 및 일반 컨텐츠(CU)로 구분한다. 컨텐츠 판단부(220)는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로 판단하고,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를 일반 컨텐츠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 중요 컨텐츠(CI,i)는 우선순위 정보가 주어지며, 예를 들어,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1은 CI,1이고,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2는 CI,2이고,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3은 CI,3일 수 있다. 중요 컨텐츠는 재난 상황에서 반드시 공유되어야 하는 컨텐츠로서, 재난 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긴급 구조 정보 등일 수 있다.
한편, 일반 컨텐츠는 우선순위 정보가 없으며, 재난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상황에서 공유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컨대, 일반 컨텐츠는 지역안내 정보 날씨 정보 등일 수 있다.
캐시 저장부(230)는 컨텐츠의 빠른 처리를 위한 임시 메모리로써, 중요 컨텐츠 및 일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캐싱(Caching)한다. 캐시 저장부(230)는 캐시 메모리, 디스크 캐시, 캐시 기억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캐시 저장부(23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용량의 한계가 존재하며, 메모리 용량이 포화 상태에서 신규 컨텐츠가 추가되는 경우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를 삭제한다. 여기서, 캐시 저장부(230)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로부터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를 삭제한다.
네트워크 관리부(24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120, 122)와 연동하여 네트워크 및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상황 및 상태를 수집 및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관리부(240)는 단말 확인부(242), 컨텐츠 확인부(244) 및 기준레벨 설정부(246)를 포함한다.
단말 확인부(242)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 확인부(242)는 기지국(110)과 연동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단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개수, 네트워크 접속시간 등에 대한 단말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확인부(244)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 각각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한다.
컨텐츠 확인부(244)는 컨텐츠 정보를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로 전송하여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중복되는 컨텐츠가 삭제되도록 한다.
컨텐츠 확인부(244)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가 최신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컨텐츠 확인부(244)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 각각의 캐시에 저장된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부터 컨텐츠의 변화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컨텐츠 확인부(244)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중요 컨텐츠를 판단한다.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제어하기 위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중요 컨텐츠의 개수를 초기 기준레벨로 결정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 복수의 단말기(120, 122)로 전송한다. 복수의 단말기(120, 122) 모두에서 중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면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초기 기준레벨을 우선순위 기준레벨로 결정한다. 한편, 복수의 단말기(120, 122) 중 중요 컨텐츠를 모두 저장할 수 없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저장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캐시 용량이 가장 작은 단말기를 기준으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레벨 설정부(246)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 복수의 단말기(120, 122)가 모두 동일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갖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20, 122) 각각의 캐시 저장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캐시 저장부(230) 또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120, 122)의 캐싱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LI)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캐싱을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캐시 저장부(230)에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는 D2D 통신으로 보장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여기서,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상위 레벨은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레벨로서, 예컨대, 우선순위 기준레벨(LI)이 2인 경우, 우선순위가 2 이하인 CI,1 및 CI,2에 대한 중요 컨텐츠를 상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LI)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의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배포(공유)하기 위해 캐시 저장부(230)의 저장 용량이 포화상태이더라도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다른 컨텐트로 교체하지 않고 캐시 저장부(230)에 유지되도록 한다.
캐시 저장부(230)의 저장용량이 포화상태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따른 컨텐츠의 캐싱 제어 동작은 다음과 같다.
캐시 저장부(230)에 일반 컨텐츠와 중요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일반 컨텐츠부터 제거되도록 제어한다. 캐시 저장부(230)에 일반 컨텐츠가 모두 제거되면 중요 컨텐츠가 제거되도록 하되, 중요 컨텐츠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하여 제거된다. 다시 말해, 우선순위가 하위 레벨인 중요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캐시 저장부(230)에 유지되도록 한다. 만약, 캐시 저장부(230)에 일반 컨텐츠만 존재하는 경우, 일반적인 캐시 정책과 동일하게 오래된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거한다.
한편,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캐싱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에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동일 컨텐츠가 저장된 소정의 단말기로 동일 컨텐츠를 삭제하도록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동일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해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중복되는 중요 컨텐츠에 대해 하나의 중요 컨텐츠만 제외하고 나머지 동일 중요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해 기지국(110) 커버리지 내에서 랜덤하게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기지국(110) 커버리지 내 포함된 단말기(120, 122)의 위치 또는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결정된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을 기준으로 위치가 가까운 단말기에 중요 컨텐츠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복수의 단말기(120, 122)의 통신상태를 비교하여 통신 신호세기가 센 단말기에 중요 컨텐츠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중요 컨텐츠 전체를 대상으로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상위 레벨에 해당하는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즉,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를 대상으로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는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에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는 필수적으로 저장되도록 보장하고,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에 중복되지 않도록 분산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을 생성한다.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컨텐츠 사용을 위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저장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거나, D2D 통신을 기반으로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120, 122)로 컨텐츠 요청을 수행한다.
이하, 컨텐츠 사용을 위한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컨텐츠 사용 요청을 위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자신의 캐시 저장부(230)에서 컨텐츠 사용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캐시 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 즉, 동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들의 캐시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면 D2D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110) 또는 외부 단말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해당 컨텐츠가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인 경우, 우선적으로 기지국(110)에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요청한 중요 컨텐츠를 수신한 경우, 캐시 저장부(230)에 저장되도록 한다. 중요 컨텐츠에 대해 우선적으로 기지국(110)으로 요청을 수행하는 이유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이 중요 컨텐츠를 계속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신속하게 주변 단말기(120, 122), 외부 단말기(130) 등으로 공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외부 단말기(130)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의 동작을 설명한다.
외부 단말기(130)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자신의 캐시 저장부(230)에서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캐시 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130)로 공유되도록 한다.
만약, 자신의 캐시 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주변 단말기(120, 122)의 캐시를 확인한다. 주변 단말기(120, 122)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주변 단말기(120, 122)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여 외부 단말기(130)로 공유되도록 한다.
만약, 주변 단말기(120, 122)에 해당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D2D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할 수 없다면,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기지국(110)에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여 획득한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130)로 공유되도록 한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는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인 경우에만 기지국(110)으로 컨텐츠를 요청한다. 즉, 외부 단말기(130)가 요청한 컨텐츠가 중요 컨텐츠가 아닌 일반 컨텐츠인 경우 캐시 저장부(230) 및 주변 단말기(120, 122)의 캐시만을 확인하고, 해당 컨텐츠가 없으면 외부 단말기(130)의 요청을 무시한다.
다만, 외부 단말기(130)가 요청한 컨텐츠가 시간제약(Time-Deadline)이 있는 일반 컨텐츠 예컨대, 기상 특보(폭염, 폭풍, 폭우 등)와 같은 일반 컨텐츠의 경우 기지국(110)에 해당 일반 컨텐츠를 요청하여 컨텐츠가 공유되도록 한다.
컨텐츠 공유부(270)는 컨텐츠 요청 처리부(260)의 동작에 근거하여 주변 단말기(120, 122) 또는 외부 단말기(130)로 컨텐츠를 공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컨텐츠 공유부(270)는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지국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S310). 여기서, 컨텐츠는 지역 안내 정보, 날씨 정보, 재난상황 지도, 재난상황 영상, 긴급 구조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 또는 일반 컨텐츠로 구분하고(S320), 구분된 컨텐츠를 캐시에 저장한다(S33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중요 컨텐츠로 판단하고,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를 일반 컨텐츠로 판단한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하기 위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설정한다(S340). 우선순위 기준레벨은 기 설정된 소정의 레벨 또는 중요 컨텐츠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120, 122) 각각으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저장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캐시 용량이 가장 작은 단말기를 기준으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용량이 포화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50).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용량이 포화상태가 아닌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단계 S310으로 돌아가 컨텐츠를 계속하여 수신한다.
한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캐시 용량이 포화상태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캐시에서 제거하기 위한 컨텐츠가 중요 컨텐츠인지 일반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60).
단계 S360의 확인 결과, 일반 컨텐츠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캐시에 저장된 일반 컨텐츠를 삭제한다(S362).
단계 S360의 확인 결과, 중요 컨텐츠인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비교한다(S37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의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배포(공유)하기 위해 캐시에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가 유지되도록 한다(S380).
한편,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하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의 경우, 하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캐시에서 삭제한다(S372).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복 컨텐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를 확인한다(S41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동일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단말기(120, 122)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단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확인한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S420), 수집된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한다(S43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동일 중요 컨텐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440).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동일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단계 S410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동일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동일 컨텐츠가 저장된 소정의 단말기로 삭제 요청신호 전송한다(S450).
단계 S440 내지 S450에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를 갖는 중요 컨텐츠 전체를 대상으로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을 갖는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를 대상으로 컨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우선순위 기반의 캐시 메모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 A 및 단말 B가 동일한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갖는 경우의 캐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의 (b)는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단말 A 및 단말 B의 저장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갖는 경우의 캐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 기준레벨이 2인 경우 단말 A 및 단말 B 각각은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인 CI,1 및 CI,2 모두를 중복하여 저장한다.
단말 A 및 단말 B는 컨텐츠 서버가 아닌 소형의 단말기가 컨텐츠 저장을 위한 캐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로써, 캐시 메모리의 용량은 컨텐츠를 대량으로 저장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상위 레벨인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캐싱을 제어한다.
즉,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캐싱 정책에 근거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 A 및 단말 B들이 협동하여 컨텐츠를 공유 및 유지하도록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우선순위 기준레벨보다 하위 레벨인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하나의 기지국(110) 커버리지 내에서 1 개의 컨텐츠만 보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A에 CI,3와 CI,5 가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 B에서는 CI,3와 CI,5를 저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단말 B에서 CI,4와 CI,6가 저장되어 있으면, 단말 A에서는 CI,4와 CI,6를 저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요 컨텐츠를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분산하여 캐싱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즉, 복수의 단말 각각은 자신들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들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컨텐츠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 또는 기지국(110)으로 전송하여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캐싱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eNB(610)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캐싱할 수 있는 복수의 단말기(620)에 대한 네트워크 캐싱을 제어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eNB(610) 또는 복수의 단말기(620) 중 하나에 포함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eNB(610)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단말기(620)에 중요 컨텐츠가 캐싱되도록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200)는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말기(620) 각각에서 반드시 캐싱이 유지되어야 하는 일부 중요 컨텐츠를 유지시키고, 일부 중요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eNB(610)의 커버리지 내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복수의 단말기(620) 각각에 분산하여 캐싱되도록 한다.
복수의 단말기(620) 각각은 캐싱 기능이 없는 일반 단말기(630)와 D2D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한다. 즉, 일반 단말기(630)의 요청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말기(620)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되는 중요 컨텐츠를 일반 단말기(630)로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D2D 통신 분야에 적용되어, D2D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다른 단말기로 중요 컨텐츠를 배포할 수 있고, 기지국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특수한 통신 환경(재난 통신망)에서도 중요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무선통신 시스템
110: 기지국 120, 122: 제1 단말기
130: 제2 단말기
200: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
210: 통신부 220: 컨텐츠 판단부
230: 캐시 저장부 240: 네트워크 관리부
250: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250), 260: 컨텐츠 요청 처리부
270: 컨텐츠 공유부

Claims (9)

  1.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과정; 및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확인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으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확인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캐시에 저장된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변화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중요 컨텐츠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중요 컨텐츠의 개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캐시 용량에 근거하여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기준레벨 설정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캐싱 제어과정은,
    상기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중요 컨텐츠를 대상으로 상기 커버리지 내에서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캐싱 제어과정은,
    상기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상위 레벨에 해당하는 중요 컨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중요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요청 처리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7. D2D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캐싱(Caching)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Cache)에 저장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근거하여 중요 컨텐츠의 우선순위 정보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부; 및
    상기 커버리지 내에 동일한 우선순위 정보를 갖는 상기 중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요 컨텐츠가 중복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소정의 단말기로 상기 중요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중요 컨텐츠의 개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캐시 용량에 근거하여 우선순위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기준레벨 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네트워크 캐싱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중요 컨텐츠를 대상으로 상기 커버리지 내에서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삭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D2D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캐시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중요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요청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캐싱 제어장치.
KR1020160136538A 2016-10-20 2016-10-20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8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38A KR102083524B1 (ko) 2016-10-20 2016-10-20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38A KR102083524B1 (ko) 2016-10-20 2016-10-20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13A true KR20180043613A (ko) 2018-04-30
KR102083524B1 KR102083524B1 (ko) 2020-03-02

Family

ID=6208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538A KR102083524B1 (ko) 2016-10-20 2016-10-20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61B1 (ko) * 2018-10-26 2020-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캐싱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7919A (ko) * 2018-10-26 2020-05-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캐싱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7920A (ko) * 2018-10-26 2020-05-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캐싱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및 시스템
KR102163214B1 (ko) * 2019-05-30 2020-10-08 한국과학기술원 CoMP 기반 스몰 셀 네트워크에서의 기계학습을 활용한 능동 캐싱 기법
KR102188783B1 (ko) * 2019-08-09 2020-12-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콘텐츠 캐싱 장치 및 방법
KR102235494B1 (ko) * 2019-12-04 2021-04-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을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249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105298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이언트에서 캐시를 이용하여 서버의 멀티 미디어 컨텐트를 스트리밍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90306A (ko) * 2014-01-27 2015-08-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수의 단말기 간 컨텐츠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249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105298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이언트에서 캐시를 이용하여 서버의 멀티 미디어 컨텐트를 스트리밍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90306A (ko) * 2014-01-27 2015-08-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수의 단말기 간 컨텐츠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61B1 (ko) * 2018-10-26 2020-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캐싱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7919A (ko) * 2018-10-26 2020-05-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캐싱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7920A (ko) * 2018-10-26 2020-05-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캐싱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및 시스템
KR102163214B1 (ko) * 2019-05-30 2020-10-08 한국과학기술원 CoMP 기반 스몰 셀 네트워크에서의 기계학습을 활용한 능동 캐싱 기법
KR102188783B1 (ko) * 2019-08-09 2020-12-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콘텐츠 캐싱 장치 및 방법
KR102235494B1 (ko) * 2019-12-04 2021-04-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을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524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3613A (ko)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0925099B2 (en) Multi-egress backhaul
US8830930B2 (en) Device in wireless network, device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gateway and network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the network server
CN108702638B (zh) 无人驾驶飞行器uav能力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202287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셀 내의 무선랜 망의 검색 및 선택 방법 및 장치
US10560929B2 (en) Resource request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network side node
US10743361B2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handling PDU session in 5G mobile communication
US10356610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mall cell communications
US867558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tting up radio bearer
US20230112312A1 (en) Support of service continuity for handover between snpn and plmn
US20230164668A1 (en) Communication related to network slice
US11751281B2 (en) Method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when disaster situation ends,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20230094211A1 (en) Support of service continuity between snpn and plmn
US20220217618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4199586A1 (en) Method for managing session
US20230276342A1 (en) Method for managing prohibited plmn list during disaster roaming,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EP40577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related to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1077995A (ja) 通信制御装置
US115707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for and scheduling relay resource
US20230084683A1 (en) Pws service method in npn
CN105637909A (zh) 应急通信方法和装置
CN117478431B (zh) 一种基于可信网络的工业物联网控制方法
US202303197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87426B1 (ko) 단말의 가드 존 및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단말 간 연결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7062015A (zh) 利用北斗定位及短报文系统的数据连接分配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