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060A -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060A
KR20180043060A KR1020160135891A KR20160135891A KR20180043060A KR 20180043060 A KR20180043060 A KR 20180043060A KR 1020160135891 A KR1020160135891 A KR 1020160135891A KR 20160135891 A KR20160135891 A KR 20160135891A KR 20180043060 A KR20180043060 A KR 20180043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ed power
voltage
power source
distributed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열
김석진
장대
진영규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060A/ko
Publication of KR2018004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는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이 되도록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DISTRIBUTED POWER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 소비량 중 전기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환경 및 비용의 문제로 인해 새로운 발전 및 송전 시설의 설치는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분산형 전원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분산형 전원이란 전력 계통에 설치되어 있는 주발전기와는 별도로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설비를 말하며, 이러한 분산형 전원은 건설기간이 짧고 첨두부하에 대한 대응이 높으며 송전 손실이 낮은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분산형 전원은 에너지 실수요자 근처 혹은 건물 내부에 소형 발전 설비를 설치해 에너지 손실과 송/배전설비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산형 전원으로는 태양광 발전, 연료 전지 발전 및 풍력 발전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현재는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원격 자동 운전 등을 통해 경제성 있는 규모로도 분산형 전원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분산형 전원이 배전계통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분산형 전원을 배전계통으로 송출하게 되며, 분산형 전원의 발전량에 따라 분산형 전원에서 배전계통으로 되는 전압 등이 변동하게 된다. 특히, 다수의 대용량 분산형 전원이 하나의 배전선로에 연계되어 운전하게 되면,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규정된 전압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형 전원의 발전량이 목표치를 초과하거나 전압이 규정된 전압을 초과하여 되는 경우 분산형 전원과 연결된 계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산형 전원에 대해 역률을 제어하여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는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이 되도록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분산형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전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상기 분산형 전원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일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의 상승에 따른 유효 전력의 상승분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무효 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는 전력 계통에 제공되는 일괄 전압과 전류일 수 있다.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 상기 유효전력 및 피상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 및 경고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은 분산형 전원; 및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이 되도록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분산형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전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상기 분산형 전원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일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상기 분산형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는 전력 계통에 인가되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에 대해과전압을 상시 감시하고, 전압 유지 범위 이탈시 역률 제어를 일괄적으로 하여 분산형 전원 체계의 발전량 및 전력 품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분산형 전원의 통계 관리, 품질관리 및 종합 감시/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계통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분산형 전원의 가압 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의 제어신호 생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특고압에 대한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a)과 저압에 대한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b)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분산형 전원(10),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 전력 계통(30), 차단기(40), 변압기(50), 인버터(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산형 전원(10)은 태양광 발전, 연료 전지 발전, 소수력 발전 등 신 재생에너지 발전을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분산형 전원(10)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특고압용 또는 저압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국가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는 분산형 전원(10)에 대한 역률을 제어하여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2에서 설명한다.
전력 계통(30)은 분산형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수급할 수 있다.
차단기(40)는 개폐와 함께 과부하, 단락 등의 이상 상태에 대해 회로를 차단하여 연결된 회로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차단기(4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압기(50)는 분산형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관리자(70)의 요구, 전원 사용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변압되는 전원은 국가 및 전력 계통(30)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인버터(60)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 상승이 있는 경우에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분산형 전원(10)의 역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신호에 의해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는 복수의 분산형 전원(10)과 연결된 인버터(6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분산형 전원(10)의 역률이 제어되고, 역률에 따라 무효 전력이 조절되어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버터(60)는 분산형 전원(10)의 운전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의 블록도인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는 수집부(21), 산출부(22), 제어부(23), 출력부(24), 저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집부(21)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에 대한 정보는 분산형 전원(10)을 수급하는 전력 계통(30)에 연결된 차단기(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배선과 전력 계통(30)의 접점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집부(21)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전력 계통(30)으로 공급되는 전압, 전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산출부(22)는 수집부(21)를 통해 수신한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S는 복소 전력, V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 I는 분산형 전원의 전류, P는 유효 전력, Q는 무효전력이다. (이 때, 전압 및 전류는 실효값을 기준으로 한다)
제어부(23)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분산형 전원(10)의 초과 전압만큼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버터(6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20000Ⅴ 내지 25000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의 제어신호 생성을 설명하는 도면인 도 3a 및 도3b를 참조하면, 복수의 분산형 전원(10)에서 생성된 전원은 선로 임피던스(L)를 통해 전력 계통(3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고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전압은 각 분산형 전원(10)에 비해 고압이므로, 분산형 전원(10)을 기준으로 전력 계통(30) 측으로 전압 상승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전압이 도 3b(1)과 같이, 기준전압(V)보다 상승하는 경우, 분산형 전원(10)의 역률을 조절하여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고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전압이 기준전압(V)이 되도록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고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전압을 강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로,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의 상승에 따른 유효 전력의 상승분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무효 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23)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의 기준 전압에 대한 초과 전압을 보상할 수 있도록(도 3b(2) 참조), 분산형 전원(10)의 무효 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전압 즉,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은 기준 전압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3b(3)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어부(23)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여 분산형 전원(10)과 연결된 전원 계통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고압에 대한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개략도인 도 4a와 저압에 대한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100)의 개략도인 도4b를 참조하면,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특고압과 저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특고압에 대한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100)에서 분산형 전원(10), 인버터(60), 변압기(50), 차단기(40), 전력 계통(30)은 앞서 도 1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a에서 계폐기(G)는 분산형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력 계통(30)으로 수급되는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단기(40a)의 개폐에 따라 전력 계통(30)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31)는 전력 계통(30) 및 분산형 전원(10)에 대한 전반적인 데이터(배전 선로의 전류, 전압, 역률, 전력, 고장 여부, 개폐기 상태 감시 등)를 수집하고 취합하고 모니터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31)는 배전 자동화 단말 장치(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일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3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31)는 개폐정보를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력 계통(30)에 대한 분산형 전원(10)의 전원 공급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는 단말장치로부터 분산형 전원(10)의 전원 공급이 차단이 일어난 경우, 인버터(60)에 분산형 전원(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는 분산형 전원(10)의 운전을 제어하고, 역가압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분산형 전원(10)에 의한 전력 계통(30)의 전압 상승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분산형 전원(10)의 발전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저압에 대한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100)에서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는 특고압에서 측정된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일괄 전압과 전류를 수집부(21)에서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복수의 분산형 전원(10)에 대해 일괄적인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전력 계통(30)의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 차단기 (40b)는 예를 들어, ACB(Air Circuit Breakers)일 수 있다. 또한, 차단기 (40b)에서 저압에 대한 분산형 전원(10)이 공급하는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정보를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력 계통(30)으로 가압이 차단된 경우에도 일괄적으로 분산형 전원(10)의 운전을 방지하여 분산형 전원(10)의 발전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계통(3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분산형 전원(10)의 가압 여부를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가 수신하여 그에 따른 차단 분산형 전원(10) 공급 차단을 인버터(6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공급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예로, 차단기 (40a)로부터 수신한 전압이 0V)되면 복수의 분산형 전원(10)을 제어하는 각 인버터(60)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신호를 제공하여 분산형 전원(10)단독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관리자(70)는 전력 계통(30) 및 분산형 전원(10) 전체에 대한 전력 품질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20)는 저장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5)는 분산형 전원(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 상기 유효전력 및 피상전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5)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 (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 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 (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출력부(24)는 알람 및 경고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또는 경고 메시지는 전력 계통(30)에 제공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관리자(7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
10: 분산형 전원
20: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30: 전력 계통
40: 차단기
50: 변압기
60: 인버터
70: 관리자

Claims (11)

  1.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이 되도록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분산형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제공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전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상기 분산형 전원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일괄적으로 제공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의 상승에 따른 유효 전력의 상승분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무효 전력을 상승시키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는 전력 계통에 제공되는 일괄 전압과 전류인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 상기 유효전력 및 피상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알람 및 경고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8. 분산형 전원; 및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기 분산형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이 되도록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분산형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제공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전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상기 분산형 전원을 제어하는 인버터로 일괄적으로 제공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상기 분산형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형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160135891A 2016-10-19 2016-10-19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43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91A KR20180043060A (ko) 2016-10-19 2016-10-19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91A KR20180043060A (ko) 2016-10-19 2016-10-19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60A true KR20180043060A (ko) 2018-04-27

Family

ID=6208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91A KR20180043060A (ko) 2016-10-19 2016-10-19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0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202A (ko) * 2020-06-08 2021-12-1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형 전원 연계 장치 및 제어 시스템
KR20220153821A (ko) * 2021-05-12 2022-11-21 윤극영 분산전원 연계형 전압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202A (ko) * 2020-06-08 2021-12-1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형 전원 연계 장치 및 제어 시스템
KR20220153821A (ko) * 2021-05-12 2022-11-21 윤극영 분산전원 연계형 전압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259B1 (ko) 전력 저장을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
US9954370B2 (en) Electrical grid control system, electrical grid control method,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KR101147206B1 (ko)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합 제어기
US20140103724A1 (en) Bidirectional power system, operation method, and controller for operating
CN101958554A (zh) 用于操作功率转换器的系统、方法和设备
AU2012216501A1 (en)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system
US20120235492A1 (en) Power supply system
KR101109187B1 (ko) 실시간 전력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운영방법
CN104836236A (zh) 用于独立型微电网的配电板
KR101977117B1 (ko) 계층형 전력 제어 시스템
CN103269084A (zh) 一种防逆流控制装置及其用于光伏储能并网发电的方法
US11139681B2 (en) Smart switching panel for secondary power supply
CN111799880A (zh) 一种离网一体化通信电源系统、控制方法及储存介质
KR20140137545A (ko) 에너지 저장 모듈을 구비한 지능형 배전반 시스템
CN105406593B (zh) 一种开关柜电动驱动器智能控制装置及方法
KR20180043060A (ko)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N107611794A (zh) 基于bas和fas监控系统的消防配电柜
CN207410045U (zh) 一种风力发电机组辅助供电系统电网适应性系统
CN103475030A (zh) 一种防逆流控制方法和装置
US9979228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13185A (ko)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JP2013118786A (ja) 蓄電装置
KR101695218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운용시스템
CN111162607A (zh) 一种清洁能源远程实时集中监控系统
CN221103020U (zh) 一种化学储能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