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037A -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 Google Patents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037A
KR20180043037A KR1020160135828A KR20160135828A KR20180043037A KR 20180043037 A KR20180043037 A KR 20180043037A KR 1020160135828 A KR1020160135828 A KR 1020160135828A KR 20160135828 A KR20160135828 A KR 20160135828A KR 20180043037 A KR20180043037 A KR 20180043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pipe
supply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539B1 (ko
Inventor
윤기영
Original Assignee
(주)제일체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체육공사 filed Critical (주)제일체육공사
Priority to KR102016013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5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원, 어린이 놀이터 또는 워터파크 등에 설치되는 물놀이 시설에 사용되는 물 공급관을 고정하면서 감싸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물 공급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물 공급관을 고정해 줄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라 헐거워지거나 부식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수명이 긴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형상으로,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상이 구비되는 삽입홈(110)이 돌출형성되는 고정기둥(100); 상기 고정기둥(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 공급관(200); 및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되, 상기 물 공급관(20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Fixing post for pipe of water play structure}
본 발명은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원, 어린이 놀이터 또는 워터파크 등에 설치되는 물놀이 시설에 사용되는 물 공급관을 고정하면서 감싸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물 공급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물 공급관을 고정해 줄 수 있고, 나아가 피스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라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 내구성 및 수명이 긴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및 어린이들이 뛰노는 놀이터, 공원, 학교 운동장 등(이하, 총칭하여 "놀이터"라 한다)에는 어린이들의 체력 및 지각능력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놀이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놀이터에는 그네나 미끄럼틀, 시소 등 다양한 놀이시설물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놀이시설물을 변형하여 어린이들이 보다 호기심을 가지면서도 체력 및 지각 능력을 다양하게 키울 수 있도록 놀이시설물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특히, 놀이시설물 자체에서 물이 분사되거나 소형의 풀장 형태를 이루고 풀장 내측에 놀이시설물이 설치되어 여름철 등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 많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풀장 놀이시설은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워터파크(물놀이 공원)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한편, 풀장에 물놀이 장치를 설치하여, 물을 이용하여 인공폭포와 같은 인공 연출 시에는 다량의 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한다. 또한, 많은 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물놀이 시설 또는 물놀이 장치들은 비교적 큰 구조물로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파이프를 설치하고 이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클램프를 구비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은 상기 파이프의 측면에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은 클램프를 아무리 세게 조여 놓는다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클램프가 헐거워져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힘이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해 구조물간의 연결이 헐거워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와 파이프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물놀이 시설은 클램프에 물이 계속 닿아 클램프가 쉽게 부식되어 클램프의 교체를 자주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클램프를 제때 교체해주지 않거나, 유아 및 어린이들이 유희를 즐기다가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파이프 역시 자연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산화되어 부식되고, 이로 인해 물놀이 시설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시설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놀이 시설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측면부에 물 공급관이 부착되거나 고정되기 때문에 물놀이 시설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공간활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942843호
상기 특허문헌에는 담수된 물을 유동시키면서 정수할 수 있으며,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저장조에 담수되는 물의 높이 조절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물의 정수 시에 미생물 등의 세균을 살균함과 동시에 물속에 함유된 미네랄의 크기를 조절하는 등 물의 성질을 양호하게 하여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한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용 구조물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물놀이 시설물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틀 및 정글짐 등 다양한 물놀이 시설(10)이 물놀이 장에 설치된다. 이러한 물놀이 시설(10)의 경우 지면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 공급수단을 통하여 놀이시설의 상부에 구비되는 분사구(11)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이러한 물은 풀(20)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사구(11)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측면 또는 저면에 별도의 물 공급관이 클램프 등에 의해 고정되거나 아니면 물 공급관이 단독으로 고정 기둥의 역할을 하면서 물 공급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잦은 물에 접촉에 의해 클램프가 산화되어 파손되며, 이로 인해 물 공급관도 산화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 기둥이 물 공급관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도 외력에 의해 고정 기둥이 파손되는 경우 물 공급관 전체를 교체하여야 되므로 시간적 또는 경제적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워터파크 등에 설치되는 물놀이 시설에 사용되는 물 공급관을 고정하면서 감싸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물 공급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파이프를 고정해 줄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라 부식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수명이 긴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기둥의 내측에 물 공급관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항상 물 공급관이 고정 기둥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서도 물 공급관이 흔들리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지지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연결하는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안정성이 향상된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 형상으로,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상이 구비되는 삽입홈(110)이 돌출형성되는 고정기둥(100); 상기 고정기둥(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 공급관(200); 및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되, 상기 물 공급관(20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10)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 요철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111)와 각각 치결합되는 제2 요철부(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단면의 형상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내측면에 제2 요철부(131)와 치결합되도록 제3 요철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복수가 적층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요철부(131) 및 제3 요철부(132)가 치결합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131)와 수직을 이루는 표면에는, 다양한 직경의 물 공급관(200)과 접하도록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되는 복수의 곡면(133)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133)의 각각의 경계는 단턱부(134)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100)은, 그 외측면에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요홈(1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물놀이 시설용 지지대의 일측면에 별도의 물 공급을 위한 공급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에 의해 파손 또는 물 접촉에 의한 부식도 없어 물놀이 시설의 내구성의 증가 및 수명이 연장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 기둥의 내측에 물 공급관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항상 물 공급관이 고정 기둥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서도 물 공급관이 흔들리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지지를 하여 물놀이 시설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정 기둥에 연결되는 데크, 계단 및 다른 파이프와의 연결시에 기존에는 물 공급관에는 나사를 사용할 수 없어서 고정이 다소 불완전한 측면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나사를 포함하는 피스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고정시켜도 내부에 물 공급관은 손상을 받지 않으므로 안전이 확보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공급관의 직경을 원하는 직경의 파이프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연결 클램프에 맞추어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측면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을 구성하는 고정기둥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물놀이 시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을 구성하는 고정기둥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은, 파이프 형상으로,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상이 구비되는 삽입홈(110)이 중심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고정기둥(1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기둥(100)은 평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한 삽입홈(110)은 도면에 총 2쌍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고정기둥(100)의 직경이 비교적 작을 경우 내부의 삽입홈(110)은 1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둥(100)은, 그 외측면에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요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01)에는 가드레일 등과 같은 완충부재 또는 수평부재와 같은 다른 구조물이 결속될 수 있다. 원활한 결속을 위해 상기한 구조물들의 단부 또는 측면에는 상기 요홈(101)의 대칭되는 형상인 “”형으로 형성되어 결속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는 구조물들에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를 결합하여 상기 요홈(101)에 연결부재를 통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재의 형상을 “”형으로 형성하여 결속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기둥(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 공급관(200)이 구비된다. 상기 물 공급관(200)은 물이 공급되는 양 및 상기 고정기둥(100)의 테두리 길이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물 공급관(200)이 내재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기둥(100)의 내측면과 물 공급관(200)의 외측면은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후술할 고정부재(130)에 의하여 이격되는 공간이 채워지는 것이며, 이로 인해 물 공급관(200)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되, 상기 물 공급관(20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1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결속되며, 이를 위해 상기 삽입홈(110)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 요철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111)와 각각 치결합되는 제2 요철부(1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요철부(111)는 서로 대향되도록 평행되도록 형성되고, 이와 치결합되도록 제2 요철부(131)는 외측을 향하여 서로 평행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부재(1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재(130)는, 단면의 형상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내측면에 제2 요철부(131)와 치결합되도록 제3 요철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는, 복수가 적층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요철부(131) 및 제3 요철부(132)가 치결합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요철부(131)와 수직을 이루는 표면에는, 다양한 직경의 물 공급관(200)과 접하도록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되는 복수의 곡면(133)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133)의 각각의 경계는 단턱부(134)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재(130)는 사용자의 편의상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즉, 고정 기둥(100)의 길이가 길 경우 고정부재(130)도 고정 기둥(1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의상 일정 길이로 형성하여 고정 기둥(100)의 중간 중간에 삽입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6은 고정기둥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30)의 복수의 곡면(133)에서 중앙부분(133-3)은 직경이 작은 파이프를 접하게 반경이 작은 원호로 형성하고, 중간부분(133-2)은 직경이 중간인 파이프가 접할 수 있도록 중간 크기의 원호로 형성하며, 외곽부분(133-1)은 큰 파이프를 접할 수 있도록 반경이 큰 원호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곡면은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가장 안쪽에 형성되는 곡면은 비교적 작은 직경의 물 공급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가장 외측에 형성되는 곡면은 비교적 큰 직경의 물 공급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간에 형성된 곡면은 중간 크기 직영의 물 공급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은, 물놀이 시설을 구성하는 각종 골재를 상기한 고정 기둥(100)이 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 물놀이 시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200)이 상기 고정 기둥(100)에 내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130)의 제1 내지 제3 요철부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물 공급관(200)의 미세한 크기의 변화에 따라 고정부재(130)를 위치를 고정 기둥(100)의 중심부 또는 외측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 기둥(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물 공급관(200)은 공급되는 물의 양 및 분사되는 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물 공급관(2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관(200)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고정부재(130)를 하나 내지 둘을 적층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셋 이상의 고정부재(130)들을 적층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고정부재(130)가 적층이 되면 고정 기둥(100)의 중심으로 향하여 적층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공급관(200)이 항상 고정 기둥(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부재(130)는 서로 대향되도록 같은 개수의 한 쌍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 공급관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대향되는 고정부재(130)가 둘 이상 즉, 두 쌍 이상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편의상 고정부재(130)를 일측에만 도시하였지만,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10)에 고정부재(130)를 삽입함으로서 사방에서 안정적인 물 공급관(200)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고정부재(130)의 경우 하드한 재질로 형성되되,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직경의 물 공급관(100)의 경우에는 최내측의 곡면(133)과 접하게 된다. 그러나 비교적 큰 직경의 물 공급관(100)이 고정부재(130)의 복수의 곡면(133) 중 가장 큰 곡면에 접할 경우 접촉면에 단턱부(134)가 접하게 되며, 이러한 단턱부(134)들은 물 공급관(100)의 표면과 접하여 미끄러지거나 흔들릴 시 물 공급관(100)을 지지하는 돌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고정부재(130)가 금속재인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긴 하나, 알루미늄의 경우 연질의 금속재이므로 물 공급관(100)과 밀착되더라도 물 공급관(100)의 외측면에 긁히거나 마찰에 의한 손상이 되지 않으면서도 단턱부(134)를 통해 지지하는 돌기의 역할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의 경우 기존과 같이 물놀이 시설용 지지대의 일측면에 별도의 물 공급을 위한 공급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에 의해 파손 또는 물 접촉에 의한 부식도 없어 물놀이 시설의 내구성의 증가 및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고정기둥 101 : 요홈
110 : 삽입홈 111 : 제1 요철부
130 : 고정부재 131 : 제2 요철부
132 : 제3 요철부 133 : 복수의 곡면
134 : 단턱부 200 : 물 공급관

Claims (6)

  1. 파이프 형상으로,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상이 구비되는 삽입홈(110)이 돌출형성되는 고정기둥(100);
    상기 고정기둥(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 공급관(200); 및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되, 상기 물 공급관(20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10)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 요철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111)와 각각 치결합되는 제2 요철부(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단면의 형상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내측면에 제2 요철부(131)와 치결합되도록 제3 요철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복수가 적층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요철부(131) 및 제3 요철부(132)가 치결합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131)와 수직을 이루는 표면에는,
    다양한 직경의 물 공급관(200)과 접하도록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되는 복수의 곡면(133)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133)의 각각의 경계는 단턱부(134)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100)은,
    그 외측면에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요홈(1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KR1020160135828A 2016-10-19 2016-10-19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KR101867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28A KR101867539B1 (ko) 2016-10-19 2016-10-19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28A KR101867539B1 (ko) 2016-10-19 2016-10-19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37A true KR20180043037A (ko) 2018-04-27
KR101867539B1 KR101867539B1 (ko) 2018-06-14

Family

ID=6208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28A KR101867539B1 (ko) 2016-10-19 2016-10-19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00B1 (ko) 2020-01-22 2020-09-09 김상문 원통형 슬라이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80B1 (ko) 2018-09-05 2019-06-13 변민혁 물놀이 시설물 및 수경시설물의 바닥부 방수패널 구조물
KR101989076B1 (ko) 2018-09-05 2019-06-13 변민혁 물놀이 시설물 및 수경시설물의 구조체 방수 배관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33U (ko) * 1997-10-09 1999-05-06 이학진 주철관 이음매의 이탈방지용 압륜
JP2001289365A (ja) * 2000-04-04 2001-10-19 Taisei Corp 高温水二重配管の端部構造
KR100942843B1 (ko)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KR101474833B1 (ko) * 2014-06-10 2014-12-30 (주)제일체육공사 놀이기구 체결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놀이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33U (ko) * 1997-10-09 1999-05-06 이학진 주철관 이음매의 이탈방지용 압륜
JP2001289365A (ja) * 2000-04-04 2001-10-19 Taisei Corp 高温水二重配管の端部構造
KR100942843B1 (ko)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KR101474833B1 (ko) * 2014-06-10 2014-12-30 (주)제일체육공사 놀이기구 체결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놀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00B1 (ko) 2020-01-22 2020-09-09 김상문 원통형 슬라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539B1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539B1 (ko) 물놀이 시설용 파이프 고정 기둥
US9272226B2 (en) Constructible water toy
US6571403B2 (en) Poolsid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US6899647B2 (en) Reversible floating game
US7134990B2 (en) Roller for balancing devices
US3430958A (en) Floatable self-centering target
US11358068B2 (en) Saucer amusement attrac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319425A (en) Gravity operated track
CA3023052C (en) Sports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474833B1 (ko) 놀이기구 체결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놀이기구
ES2206637T3 (es) Dispositivo de juego para parques infantiles o analogos.
CN205699402U (zh) 星际穿梭滑道
KR20210062474A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KR200290587Y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CN204674774U (zh) 一种用于水上漂浮式平台的围栏柱子
CN208717729U (zh) 一种易更换的桥梁伸缩缝防水装置
CN213131896U (zh) 一种拓展类的游乐设施
KR200281515Y1 (ko) 놀이용 시소 블럭
KR200252107Y1 (ko) 공기주입식 수상 미끄럼틀
KR100573911B1 (ko) 정글짐과 미끄럼틀을 연결하는 결합부재
KR101604107B1 (ko) 수상 놀이 공원
FR2930453A1 (fr) Structure jeu de loisirs acrobatique
KR20190073030A (ko) 롤러코스터 완구용 지지구조체
KR101398203B1 (ko) 공기 구조물 그네
CN210992998U (zh) 一种磁性积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