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929A -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929A
KR20180042929A KR1020160135530A KR20160135530A KR20180042929A KR 20180042929 A KR20180042929 A KR 20180042929A KR 1020160135530 A KR1020160135530 A KR 1020160135530A KR 20160135530 A KR20160135530 A KR 20160135530A KR 20180042929 A KR20180042929 A KR 2018004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nnection
connection
vehicle
address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성수
백순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929A/ko
Priority to US15/426,671 priority patent/US9848457B1/en
Priority to CN201710123764.3A priority patent/CN108377287A/zh
Publication of KR2018004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1Searching for avail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5Selective call decoders
    • H04W88/026Selective call decoders using digital address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보다 편리하게 두 기기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 1 명령에 따라 제 1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1 메뉴 및 제 2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2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 제 2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또는 상기 제 2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과 자동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의 무선 연결 주소가 기 저장된 주소와의 일치 여부를 이용하고, 상기 제 2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코드에서 획득되는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보다 편리하게 두 기기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과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 통신의 사용성 증대로 인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기간 연동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 중 특히 블루투스 기술은 스마트폰과 차량간의 간편한 연결을 위해 대중화되고 있다.
블루투스 연결은 두 개의 장치를 블루투스라는 인프라를 이용하여 연결한다는 의미이다. 연결은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를 찾아서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이러한 연결 절차에 대하여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연결을 위한 조작에 어려움을 느껴, 관련 기능 자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로, 차량과 스마트폰 간의 블루투스 연결 절차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설정 메뉴를 호출하여 무선 연결을 선택하고, 무선 연결에서 블루투스 메뉴를 찾아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후 주변에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하는 기기 검색 절차가 수행되면 결과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차량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한 다음 소정 프로토콜(예를 들어, SSP: Secure Simple Pairing)에 따른 연결 승인까지 거쳐야 비로소 연결이 완료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들은 블루투스 연결이 필수적인 핸즈프리 기능조차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게 기기 간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무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에서 복잡한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간단한 선택만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는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 1 명령에 따라 제 1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1 메뉴 및 제 2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2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 제 2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또는 상기 제 2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과 자동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의 무선 연결 주소가 기 저장된 주소와의 일치 여부를 이용하고, 상기 제 2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코드에서 획득되는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는, 제 1 명령에 따라 제 1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1 메뉴 및 제 2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2 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제 2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또는 상기 제 2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과 자동 연결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의 무선 연결 주소가 기 저장된 주소와의 일치 여부를 이용하고, 상기 제 2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코드에서 획득되는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연결 시스템에서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무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 일측 단말기에서 연결 방식을 선택하는 조작만으로 해당 방식으로 무선 연결이 수행되므로 편리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AVN 시스템의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연결 대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연결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에서 연결 정보의 암호화에 따른 QR 코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 및 스마트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다 편리한 무선 연결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호 연결을 수행하는 기기들 중 일측에서 복수의 연결 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연결 방식에 따른 연결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최소화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호 연결을 수행하는 기기들 중 하나는 차량의 AVN 시스템이고, 나머지 하나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상호 무선 연결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기기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복수의 연결 방식은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복수의 연결 방식 중 하나는 기기 검색 및 선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연결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차량의 AVN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를 이용해 연결을 수행하는 코드 인식 방법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AVN 시스템은 연결에 필요한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광학 판독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술한 디지털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등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디지털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을 위한 정보는 암호화된 형태로 코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편의상 디지털 코드를 "QR코드"로 가정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스마트폰에는 연결 희망 차량의 AVN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제조사나 연식별로 특정 차량군에 할당되는 블루투스 기기 주소(BD Address)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스마트폰에서는 연결 희망 차량의 AVN 시스템을 보다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기기 주소 정보 외에 무선 신호의 강도까지 고려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AVN 시스템 및 스마트 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AVN 시스템의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AVN 시스템에서는 연결 절차가 시작됨에 따라 QR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S110). 이때, QR 코드는 연결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BD Address: Bluetooth Device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절차의 시작은 운전자가 AVN 시스템을 통해 연결을 시작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 예를 들어, 기기 추가(ADD New Device) 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시작될 수 있다.
생성된 QR 코드는 AVN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대기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S120). 이때, 설정에 따라 일반적인 연결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안내 정보(예를 들어, 패스키 정보 등)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후, 스마트폰으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S130), 나머지 연결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물론, 시스템에 따라 SS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경우 SSP 수락 절차가 완료된 후에 나머지 연결 절차가 진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서는 스마트폰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기능의 활성화, 복수의 연결 방식 제공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결 방식에 따른 자동 연결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가 수행된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방식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며(S210A),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S210B).
여기서 자동 연결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S220A), 스마트폰은 자신의 블루투스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231A). 스마트폰은 확인 결과 이미 연결된 상태이면 연결된 기기가 등록된 차량의 AVN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33A). 만일 등록된 차량의 AVN 시스템(즉, 사용자가 연결을 희망하는 연결 대상 기기)인 경우, 새로이 연결 절차를 재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 프로세스가 종료되나(S235A), 등록된 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기존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235C).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연결된 기기가 없거나, 기 설정된 연결이 해제된 경우 스마트폰에서 주변기기 검색이 수행되고(S240A), 검색 결과에 연결 대상 기기의 존재 여부가 판단된다(S250A).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는 연결 대상 기기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 대상 기기의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연결을 희망하는 차량의 BD Address, 해당 차량의 제조사에서 자사 차량의 AVN 시스템에 부여하는 BD Address의 대역 등이 될 수 있다. BD Address의 대역인 경우, 대역은 다시 세부 카테고리(예를 들어, 차종, 연식 등)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판단 과정은 검색된 기기의 BD Address가 해당 제조사의 특정 차종에 해당하는지, 사용자가 보유한 차종의 연식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으며, 주변에 동일 연식의 동일 차종이 있을 경우(즉, DB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BD address가 복수개 검색된 경우)를 대비하여 무선 신호 강도(예를 들어, SINR, RSSI 등)까지 고려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결 대상 기기가 아닌 경우 주변 기기 검색과정은 기 설정된 반복 회수에 도달할 때까지(S251A)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회수만큼 반복 검색이 수행되었음에도 연결 대상 기기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자동 연결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S253A).
이와 달리 연결 대상 기기가 검색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최종 연결 여부에 대한 확인을 거쳐(S260) 나머지 기기 연결 절차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S280). 만일, 사용자가 최종 연결 의사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나 사용자가 연결을 거부한 경우에는 자동 연결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S270).
한편, 사용자가 QR코드 인식을 이용하는 QR 연결을 선택한 경우(S220B), 스마트폰에서는 AVN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QR 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QR리더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S230B). 이때, QR 코드의 광학적 판독을 위해 스마트폰의 카메라 모듈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QR 코드의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코드에 포함된 AVN 시스템의 BD Address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기기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S280). 만일, BD Address 정보가 암호화된 상태로 QR 코드에 포함된 경우라면, 인식된 코드의 복호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S250B).
다시 정리하면, 자동 연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자동 연결 메뉴의 선택만으로(S260단계가 생략될 경우) 연결이 완료될 수 있으며, QR 코드 방식의 경우 코드 연결 메뉴의 선택 후 스마트폰을 AVN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향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연결이 완료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AVN 시스템 및 스마트폰 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연결 대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사용자가 차량 AVN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기 추가(Add new device)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 3과 같이 수동 연결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패스키: 310)와 함께, AVN 시스템의 BD Address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320)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수동 연결에 필요한 정보(310)는 표시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연결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자동 연결 메뉴(410)와 코드 연결 메뉴(42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연결 메뉴(410)가 선택되면, 도 4의 (b)와 같이 스마트폰 상에는 자동 연결이 수행됨을 나타내는 정보(410')가 표시되면서 차량 AVN 시스템(10)과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AVN 시스템에는 기기 추가 명령이 입력되어 QR 코드가 표시된 상태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은 주변 기기를 검색한 결과 AVN 시스템이 연결 대상 기기인 경우 자동으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의 (a)에서 코드 연결 메뉴(420)가 선택된 경우, 도 4의 (c)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AVN 시스템(10) 상으로 표시되는 QR 코드(320)를 판독하고, 판독 결과를 이용하여 AVN 시스템과의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정보(예를 들어, AVN 시스템의 BD Address)의 암호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에서 연결 정보의 암호화에 따른 QR 코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VN 시스템(10)에서는 먼저 BD Address 정보에 소정의 코드(예를 들어, PIN 코드: passkey)를 부가하고(S510), 코드가 부가된 BD Address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S520). 이후, AVN 시스템(10)은 QR 코드(320)를 생성하고(S530), 기기 추가 명령 등에 따라 생성된 코드(3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 측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복호화를 위해, 암호화시 적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 및/또는 그를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개인키나 공개키 등)은 미리 AVN 시스템과 스마트폰 양측에 공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교적 쉽게 노출되고 해석될 수 있는 QR 코드 방식에 보안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passkey가 QR 코드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passkey를 입력하거나 확인하는 절차(예를 들어, SSP 방식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패스키 확인 절차)가 생략될 수 있어 편리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각 기기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 및 스마트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VN 시스템(10)은 코드 생성부(11), 코드 표시부(13), 연결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0)은 코드리더(21), 연결 제어부(23) 및 주소 데이터 베이스(2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 요소의 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코드 생성부(11)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AVN 시스템에 탑재된 무선 통신 모듈의 주소(예를 들어, BD Address)와 PIN 코드 등을 확인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디지털 코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 표시부(13)는 코드 생성부(11)에서 생성된 QR 코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코드 표시부(13)는 AVN 시스템을 구성하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연결 제어부(15)는 스마트폰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연결 과정의 전반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드 리더(21)는 사용자가 코드 연결을 선택할 경우 활성화되어 AVN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판독 결과를 복호화하여 BD Address와 PIN 코드를 추출한다.
연결 매니저(23)는 수신한 BD Address가 주소 데이터 베이스(25)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하고, 존재하는 경우 바로 해당 AVN 시스템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주소 데이터 베이스(25)에는 AVN 시스템의 제조사에 대응되는 BD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폰의 구조는 기능적인 분류에 따른 것으로, 실제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디지털 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BT 모듈 및/또는 Wi-Fi 모듈 등의 무선 통신부;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주소 정보, 운영 체제, 연결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 및 운영체제/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연산을 담당하는 제어부;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나 동작 상태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차량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 1 명령에 따라 제 1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1 메뉴 및 제 2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2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
    제 2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또는 상기 제 2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과 자동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의 무선 연결 주소가 기 저장된 주소와의 일치 여부를 이용하고, 상기 제 2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코드에서 획득되는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자동 연결되는 단계는,
    연결 가능한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 획득된 상기 차량의 무선 연결 주소를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무선 연결 주소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자동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주소는,
    상기 차량의 제조사별로 상이하게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주소는,
    상기 차량의 기종과 연식별로 상이하게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무선 연결 주소가 복수개 검색된 경우, 상기 각 무선 연결 주소에 대응되는 신호 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하여 자동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 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자동 연결되는 단계는,
    코드 리더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코드 리더를 통해 판독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 자동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판독된 디지털 코드가 암호화된 경우,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는 상기 무선 연결 주소와 함께 패스키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포함된 패스키 코드를 이용하여 패스키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명령은,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무선 연결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차량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명령에 따라 제 1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1 메뉴 및 제 2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제 2 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제 2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또는 상기 제 2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과 자동 연결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의 무선 연결 주소가 기 저장된 주소와의 일치 여부를 이용하고, 상기 제 2 연결 방식은 상기 차량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코드에서 획득되는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연결 가능한 주변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획득된 상기 차량의 무선 연결 주소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무선 연결 주소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으로의 자동 연결이 수행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주소는,
    상기 차량의 제조사별로 상이하게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주소는,
    상기 차량의 기종과 연식별로 상이하게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무선 연결 주소가 복수개 검색된 경우, 상기 각 무선 연결 주소에 대응되는 신호 강도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하여 자동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의 광학 판독을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명령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 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디지털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무선 연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 자동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디지털 코드가 암호화된 경우 복호화하여 상기 무선 연결 주소를 획득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는 상기 무선 연결 주소와 함께 패스키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함된 패스키 코드를 이용하여 패스키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명령은,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무선 통신부의 무선 연결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135530A 2016-10-19 2016-10-19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2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30A KR20180042929A (ko) 2016-10-19 2016-10-19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5/426,671 US9848457B1 (en) 2016-10-19 2017-02-07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201710123764.3A CN108377287A (zh) 2016-10-19 2017-03-03 无线连接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30A KR20180042929A (ko) 2016-10-19 2016-10-19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29A true KR20180042929A (ko) 2018-04-27

Family

ID=6062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530A KR20180042929A (ko) 2016-10-19 2016-10-19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48457B1 (ko)
KR (1) KR20180042929A (ko)
CN (1) CN1083772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086A (ko) * 2018-11-22 2020-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6102B2 (ja) * 2017-10-02 2022-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子時計、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01383B1 (ko) * 2018-02-27 202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의 무결절성 멀티 전자 기기 연결 방법 및 장치
US10893043B1 (en) * 2018-09-12 2021-01-12 Massachusetts Mutual Lif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display of data on computing devices
US11367322B2 (en) * 2020-03-05 2022-06-21 Austin Igein Portable securement apparatus with GPS locationing
US11335149B2 (en) * 2020-03-05 2022-05-17 Austin Igein Locker port system for GPS tracked portable securement devices
CN111885596A (zh) * 2020-08-03 2020-11-03 南京创通微新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端口的数据转发系统及方法
US20220070640A1 (en) * 2020-08-27 2022-03-03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host device and a barcode reader
CN113329373A (zh) * 2021-06-08 2021-08-3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机互联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27B1 (ko) * 2004-11-16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JP2009086154A (ja) * 2007-09-28 2009-04-23 Kenwood Corp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車載器
WO2009063947A1 (ja) * 2007-11-16 2009-05-22 Fujitsu Ten Limited 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認証装置
US9439051B2 (en) 2011-09-01 2016-09-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providing Internet access to an automotive vehicle having a multimedia device
KR20130102149A (ko) 2012-03-07 2013-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블루투스 호환 제어방법과 호환 제어를 위한 서버와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의 기록매체
US20130311694A1 (en) * 2012-05-21 2013-11-2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irect pairing in a wireless docking system
KR101241293B1 (ko) 2012-09-11 2013-03-15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Nfc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폰과 내비게이션 장치의 자동 통신 방법
US8880240B2 (en) 2012-11-19 2014-1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of controlling vehicle interfaces using device motion and near field communications
KR101459481B1 (ko) 2013-09-16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607710A (zh) * 2013-12-02 2014-02-26 北京东方泰华投资有限公司 一种无线设备与智能终端的快速连接方法及装置
KR101588778B1 (ko) 2013-12-30 2016-01-2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단말기와 휴대용단말기의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3065A (ko) 2014-02-06 2015-08-17 옥은호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카메라 시스템과 그 방법
US9602679B2 (en) * 2014-02-27 2017-03-21 Lifeprint Llc Distributed printing social network
CN104038263B (zh) * 2014-06-18 2017-0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建立蓝牙连接的方法和装置
US20160057564A1 (en) 2014-08-25 2016-02-25 Hyundai Motor Company Bluetooth pairing method using a wired connection
CN105515846B (zh) * 2015-12-01 2019-10-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基于客户端的nvr配置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086A (ko) * 2018-11-22 2020-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77287A (zh) 2018-08-07
US9848457B1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2929A (ko) 무선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797553B (zh) 用于连接到外部设备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WO2018076604A1 (zh) 一种蓝牙配对方法以及终端设备
US9473617B2 (en) Termina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collaboration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KR10165863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0237A (ko) 심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2218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a session over audible and visual interfaces
KR20140005410A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장치
US947743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KR20150017186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0021849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493729B (zh) 增强现实设备的交互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140534B2 (en) Non-intrusive proximity based advertising and message delivery
US107130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a session between audible interface and visual interface
KR20200071841A (ko) 차량용 음성명령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3548B1 (ko)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02026A (ko) 지문 입력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200017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67876A (ko)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009182B1 (ko) 앱 다운로드 시스템, 스마트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앱 설치 방법
KR20180006777A (ko) 개인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037304A (ko) 전자 장치 및 그 연결 방법
WO2014129378A1 (ja) 文字列入力システム
KR20180051092A (ko) 방문 차량을 위한 주차장소 예약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