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28A -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28A
KR20180042628A KR1020160135038A KR20160135038A KR20180042628A KR 20180042628 A KR20180042628 A KR 20180042628A KR 1020160135038 A KR1020160135038 A KR 1020160135038A KR 20160135038 A KR20160135038 A KR 20160135038A KR 20180042628 A KR20180042628 A KR 2018004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bile phone
sub
hole
pho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신
Original Assignee
최승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신 filed Critical 최승신
Priority to KR102016013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628A/ko
Publication of KR2018004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 촬영시 휴대폰 카메라에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서브렌즈를 휴대폰 배면 카메라 위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측면 및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는 측면부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밀착되는 배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배면 카메라 위치에 하나 이상의 서브렌즈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서브렌즈 어셈블리와 끼움 결합하여,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며, 휴대폰 카메라 촬영시 사용하는 서브렌즈의 휴대성이 향상되어 보관 및 장착이 편리하고, 상기 서브렌즈를 휴대하기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시킨 후에도 휴대폰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CELLULAR PHONE CASE HAVING LENS HOLE }
본 발명은 사진 촬영시 휴대폰 카메라에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서브렌즈를 휴대폰 배면 카메라 위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처 폰(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phone)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들의 침투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에 적합하게 제작된 케이스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자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을 가지거나, 개인의 명함 또는 카드 수납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활용하여 촬영하는 것이 보편화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의 성능을 극대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광각렌즈, 접사렌즈 등의 서브렌즈가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서브렌즈들은 사용자가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서브렌즈의 보관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렌즈를 보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5277호에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접사, 어안, 광각 촬영이 가능한 회전렌즈부를 구성하되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공간부상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다양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휴대폰 기종에 관계없이 서브렌즈를 사용 가능함도 불구하고,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 교체시 서브렌즈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렌즈의 사양을 사용자 기호에 따라 조정할 수 없으며, 휴대폰 케이스 내부에 접사렌즈, 어안렌즈, 광각렌즈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므로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52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 촬영시 사용하는 서브렌즈의 휴대성이 향상되어 보관 및 장착이 편리하고, 상기 서브렌즈를 휴대하기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시킨 후에도 휴대폰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사용자 취향에 맞춰서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켜, 사용자 고유의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판상의 부재를 결합시켜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폰의 측면 및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는 측면부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밀착되는 배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배면 카메라 위치에 하나 이상의 서브렌즈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서브렌즈 어셈블리와 끼움 결합하여,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서브렌즈를 결합하기 위한 보관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홀은, 상기 배면판의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홀은, 다수 개의 서브렌즈가 분리되어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홀 및 보관홀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서브렌즈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렌즈는,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작은 내경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속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 내측에는 체결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프레임 외측에는 결속나사산이 형성되어, 각각의 서브렌즈는 상기 체결나사산과 결속나사산의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홀은, 상기 결속프레임의 외측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종류에 따라 다수 개의 서브렌즈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광각렌즈, 접사렌즈 또는 어안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면판은,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이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등간격의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에는,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휴대폰 배면의 열배출 효율을 증가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부를 지나 상기 결합돌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에는, 십자형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에 대하여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 촬영시 사용하는 서브렌즈의 휴대성이 향상되어 보관 및 장착이 편리하고, 상기 서브렌즈를 휴대하기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시킨 후에도 휴대폰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사용자 취향에 맞춰서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켜, 사용자 고유의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판상의 부재를 결합시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결합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결합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결합돌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는 배면판(100)과 측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배면판(100)에는 휴대폰 카메라 및 플래시에 대향되는 정면 위치에 체결홀(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110)의 상단 내측에는 서브렌즈(2100)가 끼움 결합되었을 때 탈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턱(10)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렌즈(2100)는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광각렌즈, 접사렌즈 또는 어안렌즈와 같이 카메라 촬영시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렌즈를 말하며, 렌즈부(2110), 지지프레임(2120) 및 결속프레임(2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렌즈부(2110)는 광학적 특성에 따라 광각, 접사 또는 어안 등의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120)은 상기 렌즈부(211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프레임(2120)의 상단 내측에는 체결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프레임(2130)은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작은 내경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속프레임(2130)의 외측에는 결속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서브렌즈(2100)는 상기 지지프레임(2120) 체결나사산과 상기 결속프레임(2130) 결속나사산의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렌즈(2100)를 두 개 이상 결합한 것을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라고 한다.
한편, 상기 배면판(1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결합돌기(120)들이 등간격의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20)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00)는 휴대폰 측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며, 휴대폰 전원 버튼 및 음량 버튼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버튼홀(210)과 휴대폰 충전 단자, 이어폰 단자, 마이크 및 스피커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단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서브렌즈(2100)는 일반적으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갖는 렌즈들을 조합한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 형태로 판매되고 제공된다.
이는,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갖는 서브렌즈(2100)들을 결합하면, 결합된 서브렌즈(2100)들이 제3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므로,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갖는 서브렌즈(2100)들을 체결 가능하게 제공하면, 사용자들은 이러한 서브렌즈(2100)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접사렌즈로 구성되는 렌즈부(2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브렌즈(2100)의 상부에 광각렌즈로 구성되는 렌즈부(2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브렌즈(2100)를 결합시켜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를 만든 후,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를 휴대폰 카메라 촬영시 함께 사용하면 더 넓은 화각을 가지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서브렌즈(2100)들을 조합하여 만드는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를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상기 서브렌즈(210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홀(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렌즈(2100)를 결합하기 위한 보관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홀(130)은 상기 서브렌즈(2100)의 미사용시 보관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홀(110)과 동일하게 상기 서브렌즈(2100)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턱(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관홀(130)은 일반적으로 휴대폰 카메라 촬영시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렌즈(2100) 하나만을 사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2000)를 분리하여, 사용할 서브렌즈(2100)는 상기 체결홀(110)에 결합하고 사용하지 않는 서브렌즈(2100)는 상기 보관홀(130)에 결합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렌즈(2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체결홀(110)과 상기 보관홀(130)에 각각 따로 결합하면, 휴대폰 케이스의 렌즈 결합으로 인한 높이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보관홀(130)이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가 상기 체결홀(110)과 두 개의 상기 보관홀(13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서브렌즈(2100)를 각각 따로 상기 보관홀(130)에 결합시켜 두 개의 서브렌즈(2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휴대폰 케이스를 바닥에 두었을 때 렌즈로 인한 높이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가 상기 체결홀(110)과 세 개의 상기 보관홀(13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서브렌즈(2100)가 세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각각 상기 보관홀(130)에 결합할 수 있어, 상기 서브렌즈(2100) 미사용시에도 보관하는 것이 간편하고, 네 개의 서브렌즈(2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체결홀(110)과 세 개의 상기 보관홀(130)에 각각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결합돌기(120)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결합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결합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결합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120)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과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120)는 상기 배면판(100)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등간격의 격자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돌기(120)에 레고 블록을 사용자 취향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켜, 사용자 고유의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20)는 휴대폰 배면의 열배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120)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는 휴대폰 배터리가 구비되기 때문에 발열이 일어나는데, 휴대폰 케이스에 통기공이 존재하지 않아 발생된 열이 배출되지 않으면, 휴대폰 부품의 작동 효율이 떨어지며 휴대폰 수명이 줄어들거나 고장이 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120)에는 판상의 부재를 끼워 휴대폰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삽입홈(1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상의 부재는 일반적으로 소지하고 다니는 체크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상의 부재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끼울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폰을 가로로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124)에 판상의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끼울 수 있고, 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124)에 판상의 부재를 가로 방향으로 끼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124)은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20)의 전길이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20)의 높이에 대하여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120)의 전길이에 대하여 삽입홈(124)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124)에 판상의 부재를 삽입하여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시 결합력이, 상기 결합돌기(120)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홈(124)이 형성되는 경우의 결합력보다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20)의 높이에 대하여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삽입홈(124)이 형성되는 경우,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과 상기 결합돌기(120)의 체결시 결합력이, 상기 결합돌기(120)의 전길이에 대하여 삽입홈(124)이 형성되는 경우의 결합력보다 높은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홈(124)은 도 7a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20)의 중심부를 지나 상기 결합돌기(12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b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삽입홈(124)이 상기 결합돌기(12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120)와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의 결합력이 상기 결합돌기(120)에 십자형으로 삽입홈(124)이 형성되는 경우보다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24)이 상기 결합돌기(120)에 십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120)와 판상의 부재의 결합력이 상기 삽입홈(124)이 상기 결합돌기(120)에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사진 촬영시 휴대폰 카메라에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서브렌즈를 휴대폰 배면 카메라 위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카메라 촬영시 사용하는 서브렌즈의 휴대성이 향상되어 보관 및 장착이 편리하고, 상기 서브렌즈를 휴대하기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시킨 후에도 휴대폰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고정턱 100 : 배면판
110 : 체결홀 120 : 결합돌기
122 : 관통공 124 : 삽입홈
130 : 보관홀 200 : 측면부
210 : 버튼홀 220 : 하단홀
1000 : 케이스 2000 : 서브렌즈 어셈블리
2100 : 서브렌즈 2110 : 렌즈부
2120 : 지지프레임 2130 : 결속프레임

Claims (12)

  1. 휴대폰의 측면 및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는 측면부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밀착되는 배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배면 카메라 위치에 하나 이상의 서브렌즈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서브렌즈 어셈블리와 끼움 결합하여,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렌즈는,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작은 내경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속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 내측에는 체결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프레임 외측에는 결속나사산이 형성되어, 각각의 서브렌즈는 상기 체결나사산과 결속나사산의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결속프레임의 외측이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종류에 따라 다수 개의 서브렌즈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광각렌즈, 접사렌즈 또는 어안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은,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이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등간격의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원기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에는,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휴대폰 배면의 열배출 효율을 증가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부를 지나 상기 결합돌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에는,
    십자형의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에 대하여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20160135038A 2016-10-18 2016-10-18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80042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38A KR20180042628A (ko) 2016-10-18 2016-10-18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38A KR20180042628A (ko) 2016-10-18 2016-10-18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28A true KR20180042628A (ko) 2018-04-26

Family

ID=6208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038A KR20180042628A (ko) 2016-10-18 2016-10-18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628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33B1 (ko) * 2007-05-03 2008-04-22 마승홍 휴대 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WO2012149206A2 (en) * 2011-04-29 2012-11-01 xDEV, INC.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67827Y1 (ko) * 2012-03-14 2013-07-08 김영준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1009Y1 (ko) * 2012-04-27 2014-02-05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377643B1 (ko) * 2012-06-28 2014-03-26 전선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KR101502227B1 (ko) * 2013-08-29 2015-03-12 김재욱 휴대폰 케이스
US20150374088A1 (en) * 2013-02-26 2015-12-31 Robotis Co., Ltd Unit-expand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s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33B1 (ko) * 2007-05-03 2008-04-22 마승홍 휴대 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WO2012149206A2 (en) * 2011-04-29 2012-11-01 xDEV, INC.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67827Y1 (ko) * 2012-03-14 2013-07-08 김영준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1009Y1 (ko) * 2012-04-27 2014-02-05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377643B1 (ko) * 2012-06-28 2014-03-26 전선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US20150374088A1 (en) * 2013-02-26 2015-12-31 Robotis Co., Ltd Unit-expand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se
KR101502227B1 (ko) * 2013-08-29 2015-03-12 김재욱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925B1 (ko)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US20130044257A1 (en) Mobile device with side-mounted camera module
US9350409B2 (en)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in
KR101892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US10288834B2 (en) Lens module
US20080055747A1 (en) Lens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42628A (ko) 렌즈홀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68602Y1 (ko)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키트
US20110280431A1 (en) Keychain speaker
US20140212125A1 (en) Camera module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US20180199686A1 (en) Protective cover assembly and accessory unit attachment member for handheld device
KR101661659B1 (ko) 소형 카메라 모듈용 후드 유닛 및 상기 후드 유닛이 장착된 장치
CN110896435A (zh) 相机模组
JP2018092141A (ja) パノラマカメラ装置
KR102028687B1 (ko)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구조
US20120091827A1 (en) Voice coil motor with rollers
JP2006100878A (ja) 撮像素子の取付構造
KR200489857Y1 (ko) 핸드폰 거치대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US7324155B2 (en) Camera case structur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50189050A1 (en) Mobile phon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US10560630B1 (en) Camera having far-near focus switching function
JP3181804U (ja) 携帯電話機の補助レンズアダプター
CN219980949U (zh) 相机附件和电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