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494A - 멀티 카메라 - Google Patents

멀티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494A
KR20180041494A KR1020160133718A KR20160133718A KR20180041494A KR 20180041494 A KR20180041494 A KR 20180041494A KR 1020160133718 A KR1020160133718 A KR 1020160133718A KR 20160133718 A KR20160133718 A KR 20160133718A KR 20180041494 A KR20180041494 A KR 20180041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image data
camera
visible ligh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043B1 (ko
Inventor
안희균
Original Assignee
지스마트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스마트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스마트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0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04N5/2258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04N5/2254
    • H04N5/2352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에는 상기 대상물을 동시에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며, 각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카메라{MULTI CAMERA}
본 발명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멀티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 카메라는 컬러나 흑백 이미지를 캡처 또는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시광 카메라는 대상물 주변에 빛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적외선 카메라는 대상물의 열 방사를 적외선 이미지로 캡처 또는 촬영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는 가시광 스펙트럼 대역에 국한된 카메라의 촬영을 제한하는 낮은 조명 하에서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시광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는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서로 구분되는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23776호에는 메가픽셀(megapixel)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핀홀렌즈가 개시되고 있다. 해당 핀홀렌즈는 가시광선용 감시카메라에 적용되거나, 근적외선용 감시카메라에 각각 구분되어 적용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23776호
본 발명은 대상물의 촬영 선명도를 개선하거나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 멀티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에는 상기 대상물을 동시에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며, 각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이미지의 부가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서 대상물을 동시에 촬영하고,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의 취사 선택, 합성 등을 이용해서 촬영 영상의 선명도, 휘도, 노이즈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 데이터의 합성을 이용해 촬영 영상의 대상물 주변에 오오라를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카메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제3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4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 및 처리부(200)를 포함하고, 스마트폰 등의 각종 휴대 단말기(10)에 탑재될 수 있다.
카메라부(100)에는 대상물을 동시에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110, 120, 130, 140)이 마련될 수 있다.
각 카메라 모듈은 렌즈, 렌즈가 설치된 경통, 렌즈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대상물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독립된 카메라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마련된 카메라부(100)에 따르면, 동일한 대상물을 동일 시점에 촬영한 동일한 영상 데이터가 복수로 획득될 수 있다.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더라도 역시 동일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별다른 이익이 없다.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최종 출력 데이터의 선명도 등이 개선되도록, 각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촬영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촬영하도록 각 카메라 모듈에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필터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 필터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렌즈와 함께 경통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부(100)에는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110), 적외선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120), 마이크로웨이브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 모듈(130), 자외선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 모듈(140) 중 적어도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처리부(200)는 카메라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처리부(200)는 각 카메라 모듈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처리부(200)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합성해서 출력하거나, 각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처리부(200)에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처리부(200)는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해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 데이터가 복수이면 처리부(200)는 선택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 조건은 각 영상 데이터마다 설정된 휘도값의 만족 여부일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제1 영상 데이터는 가시광선을 촬영한 것으로, RGB(Red, Green, Blue)가 포함된 일반적인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출력된 제2 영상 데이터는 적외선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가 영상에 포함된 각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제1 휘도값을 만족하고, 제2 영상 데이터가 영상에 포함된 각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제2 휘도값을 만족하는 경우, 처리부(200)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외선 영상에는 휘도가 높은 밝은 부분과 휘도가 낮은 어두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대상물이 인물인 경우 적외선을 발산하는 사람은 밝게 촬영되며, 주변 배경은 검게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상 데이터가 제1 영상 데이터에 합성되면, 합성된 출력 데이터의 인물 부위는 제1 영상 데이터의 인물 부위와 제2 영상 데이터의 인물 부위가 합성되어 밝아질 수 있다. 반면, 합성된 출력 데이터의 주변 배경 부위는 어두워지거나 검게 변할 수 있다.
주변 배경 부위가 어두워지면 선명도 개선 또는 휘도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기 어려울 수 있다. 선명도 개선 또는 휘도 개선을 위해 처리부(200)는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상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의 부가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처리부(200)는 제1 휘도값을 만족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200)는 제2 휘도값을 만족하는 제2 영상 데이터 전체를 그대로 제1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는 대신 제2 영상 데이터에서 제2 휘도값을 만족하는 인물 부위만을 추출해서 제1 영상 데이터에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에는 제1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주변 배경이 포함되고, 제1 영상 데이터보다 밝게 처리된 인물이 포함될 수 있다. 그 결과, 처리부(200)의 출력 데이터는 메인 이미지와 비교하여 인물 부위의 휘도(Dynamic range)가 증가될 수 있으며, 선명도 역시 개선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가 메인 이미지로 설정되거나,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중간 데이터가 메인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외선 영상에 해당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합성에 의해 휘도가 증가된 제1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중간 데이터가 처리부(2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중간 데이터가 메인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의 주 목적은 일반 RGB 영상의 선명도를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주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 처리부(200)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제1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제1 영상 데이터의 노이즈 레벨 또는 휘도값을 먼저 확인하고, 해당 노이즈 레벨이 설정값 이상이거나 휘도값이 제1 설정값을 만족하면 우선적으로 제1 영상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처리부(200)는 제2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출력된 제2 영상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처리부(200)에서 합성되는 각 영상 데이터가 모두 동일한 이미지를 갖도록, 각 카메라 모듈은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각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실질적으로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부(100)는 하나의 휴대 단말기(10)에 탑재되는 것이 좋다.
도 2는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카메라부(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휴대 단말기(10)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의 앞면 또는 뒷면에는 카메라부(1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00)는 카메라부(100)에 내장되거나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될 수 있다.
카마라부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실질적으로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각 카메라 모듈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카메라부(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되는 카메라부(100)에는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 모듈은 가상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상에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카메라부(100)에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이 포함된 경우, 제1 카메라 모듈(110)의 광축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의 광축 사이의 가운데에 마련된 가상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은 '1'자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이 카메라부(100)에 제1 카메라 모듈(110), 제2 카메라 모듈(120), 제3 카메라 모듈(13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 모듈 사이의 가운데에 마련된 가상축을 기준으로 각 카메라 모듈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3개의 카메라 모듈은 가상의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c)와 같이 카메라부(100)에 제1 카메라, 모듈, 제2 카메라 모듈(120), 제3 카메라 모듈(130), 제4 카메라 모듈(14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 모듈 사이의 가운데에 마련된 가상축을 기준으로 각 카메라 모듈은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4개의 카메라 모듈은 가상의 사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는 처리부(200) 또는 휴대 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선(19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처리부(2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처리부(200)는 제1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제1 영상 데이터 ①과 제2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출력된 제2 영상 데이터 ②를 합성해서 출력 데이터 K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상 데이터 ①이 메인 이미지로 설정된 상태이면, 처리부(200)는 제2 영상 데이터 ② 전체를 그대로 합성하는 대신, 제2 영상 데이터 ②의 일부 영역만을 추출해서 제1 영상 데이터 ①에 합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카메라부(100)에는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적외선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1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10)에는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제1 필터(1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필터(111)는 400nm~750nm의 파장대(wavelength)의 빛을 통과(transmission)시키고, 나머지 파장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20)에는 적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제2 필터(1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121)는 750nm를 초과하는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파장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 모듈(130)이 추가로 마련된 경우, 제2 필터(121)는 750nm~1mm의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파장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처리부(200)는 제1 카메라 모듈(110)의 제1 영상 데이터 ①을 출력하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제2 카메라 모듈(120)의 제2 영상 데이터 ②를 출력하는 적외선 촬영 모드, 제1 영상 데이터 ①과 제2 영상 데이터 ②를 합성하는 가시광선/적외선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에는 가시광선/적외선 촬영 모드가 개시되고 있다.
제1 필터(111)에 의해 제1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400nm~750nm 파장대의 Red, Green-A, Green-B, Blue가 촬영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10)의 제1 영상 데이터 ①은 일반 사진기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유사할 수 있다.
제2 필터(121)에 의해 제2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750nm 초과 파장대의 적외선이 촬영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800nm 파장대의 적외선이 촬영(점선으로 표시)되며, 제2 영상 데이터 ②와 같이 열화상이 획득될 수 있다.
처리부(200)는 제1 영상 데이터 ①과 제2 영상 데이터 ②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 데이터 ①이 메인 이미지로 지정된 상태라면, 처리부(200)는 제2 영상 데이터 ②에서 설정 휘도값을 넘는 부분만을 추출해서 제1 영상 데이터 ①에 합성할 수 있다.
합성 결과에 해당하는 출력 데이터 K에는 약 470nm 파장의 빛(블루), 540nm 파장의 빛(그린), 620nm 파장의 빛(레드), 800nm 파장의 빛(적외선)이 포함될 수 있다. 적외선의 합성으로 인해 출력 데이터 K에 포함된 인물 부위는 제1 영상 데이터 ①에 포함된 인물 부위보다 높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00)에 따르면, 인물이 보다 밝고 선명하게 표시되는 출력 데이터 K가 생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00)에는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 외에 다른 카메라 모듈도 추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부(100)에는 제1 카메라 모듈(110), 제2 카메라 모듈(120) 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 모듈(13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제3 카메라 모듈(130)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3 카메라 모듈(130)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통과시키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제3 필터(1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필터(131)는 1mm를 초과하는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파장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00)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적외선 촬영 모드, 가시광선/적외선 촬영 모드, 제3 카메라 모듈(130)의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촬영 모드, 제1 영상 데이터 ①과 제3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마이크로웨이브 촬영 모드, 제2 영상 데이터 ②와 제3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적외선/마이크로웨이브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메라부(100)에는 제1 카메라 모듈(110), 제2 카메라 모듈(120) 및 자외선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 모듈(14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제4 카메라 모듈(140)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4 카메라 모듈(140)에는 자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제4 필터(141)가 마련될 수 있다. 제4 필터(141)는 400nm 미만의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고, 다른 파장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처리부(200)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적외선 촬영 모드, 가시광선/적외선 촬영 모드, 제4 카메라 모듈(140)의 제4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외선 촬영 모드, 제1 영상 데이터 ①과 제4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자외선 촬영 모드, 제2 영상 데이터 ②와 제4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적외선/자외선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메라부(100)에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이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나머지 카메라 모듈이 추가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카메라부(10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카메라가 다양하게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부(100)에는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제4 카메라 모듈(14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00)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자외선 촬영 모드, 가시광선/자외선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카메라부(100)에 제2 카메라 모듈(120)과 제4 카메라 모듈(140)이 포함되거나, 카메라부(100)에 제2 카메라 모듈(120)과 제3 카메라 모듈(130)이 포함되거나, 카메라부(100)에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3 카메라 모듈(130)이 포함되는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파장대의 빛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서 대상물을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각 영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합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관심을 갖는 대상물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데이터가 역광 이미지인 경우, 그림자속 정보가 사라져서 인물의 얼굴 등이 검게 표시되는 색정보 소멸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제2 영상 데이터가 합성되면 휘도(Dynamic range)가 증가되므로, 인물의 얼굴 등이 검게 표시되는 색정보 소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안개 또는 스모그 낀 환경에서 해안 경비용, 해상 교통 감시용, 도로 감시용, 공원 감시용으로 멀티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는 연기가 자욱한 화재 현장에서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야간 투시용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파장대의 빛을 방사하는 식별표의 소지를 통해 경찰 또는 군의 피아식별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는 다양한 파장대의 빛을 구분해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신선도에 따라 다른 빛을 흡수, 반사, 방사하는 식품의 신선도 확인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오오라 등 다양한 영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휴대 단말기
100...카메라부 110...제1 카메라 모듈
111...제1 필터 120...제2 카메라 모듈
121...제2 필터 130...제3 카메라 모듈
131...제3 필터 140...제4 카메라 모듈
141...제4 필터 190...리드선
200...처리부

Claims (9)

  1.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에는 상기 대상물을 동시에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며,
    각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촬영하는 멀티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처리부는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해서 출력하고, 선택된 영상 데이터가 복수이면 합성해서 출력하는 멀티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처리부는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이미지의 부가 정보로 이용하는 멀티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적외선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는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제1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에는 적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제2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적외선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멀티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적외선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 마이크로웨이브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는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제1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에는 적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제2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카메라 모듈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통과시키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제3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3 카메라 모듈의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촬영 모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적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마이크로웨이브 촬영 모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적외선/마이크로웨이브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멀티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적외선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 자외선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는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제1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에는 적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제2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4 카메라 모듈에는 자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제4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4 카메라 모듈의 제4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적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4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자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4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적외선/자외선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멀티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자외선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는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제1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4 카메라 모듈에는 자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제4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시광선 촬영 모드, 상기 제4 카메라 모듈의 제4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외선 촬영 모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4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시광선/자외선 촬영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멀티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적외선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 마이크로웨이브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 모듈, 자외선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2개가 마련되고,
    상기 처리부는 각 카메라 모듈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멀티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 카메라.
KR1020160133718A 2016-10-14 2016-10-14 멀티 카메라 KR10186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18A KR101862043B1 (ko) 2016-10-14 2016-10-14 멀티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18A KR101862043B1 (ko) 2016-10-14 2016-10-14 멀티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94A true KR20180041494A (ko) 2018-04-24
KR101862043B1 KR101862043B1 (ko) 2018-05-29

Family

ID=6208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718A KR101862043B1 (ko) 2016-10-14 2016-10-14 멀티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40B1 (ko) * 2019-08-16 2021-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200541B1 (ko) * 2019-08-16 2021-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069B1 (ko) * 2007-04-23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상 장치 및 방법
KR101066068B1 (ko) * 2011-03-22 2011-09-20 (주)유디피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40B1 (ko) * 2019-08-16 2021-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200541B1 (ko) * 2019-08-16 2021-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WO2021034003A1 (ko) * 2019-08-16 2021-02-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WO2021034002A1 (ko) * 2019-08-16 2021-02-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043B1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4574B (zh) 成像設備
US8836793B1 (en) True color night vision (TCNV) fusion
CA243872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hibiting projection of selected areas of a projected image
BRPI1102370A2 (pt) aparelho e metodo de processamento de imagem, e, programa
US20070103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recording features of cameras
WO2015101001A1 (zh) 拍摄方法、装置及终端
CN108712608A (zh) 终端设备拍摄方法和装置
TW201711448A (zh) 相機色溫補償系統及智慧終端機
CN107820066A (zh) 一种低照度彩色摄像机
KR20190041586A (ko) 복수의 이미지들을 합성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101455071B1 (ko) 디지털 합성을 이용한 야간 촬영 성능 개선방법
KR101862043B1 (ko) 멀티 카메라
KR102152072B1 (ko) 실영상카메라와 열영상카메라를 일체형으로 한 객체 감지 시스템
US8654210B2 (en) Adaptive color imaging
JPH1173491A (ja) フォアグランド画像生成装置
JP2018023077A (ja) ビデオカメラ撮像装置
CN106878606B (zh) 一种基于电子设备的图像生成方法和电子设备
CN109300186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JPWO2008044270A1 (ja) 発光表示装置
US1168359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hroma suppression program
Maeda et al. Acquiring multispectral light transport using multi-primary DLP projector
CN212012837U (zh) 多光谱相机
US10154201B2 (en) Method for adjusting photographic images to higher resolution
US20180130444A1 (en) Inform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06341614B (zh) 摄影影像调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