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379A - 세면대 하부장 - Google Patents

세면대 하부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379A
KR20180041379A KR1020160133441A KR20160133441A KR20180041379A KR 20180041379 A KR20180041379 A KR 20180041379A KR 1020160133441 A KR1020160133441 A KR 1020160133441A KR 20160133441 A KR20160133441 A KR 20160133441A KR 20180041379 A KR20180041379 A KR 20180041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module
air
air conditio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777B1 (ko
Inventor
전진현
양인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77B1/ko
Priority to CN201710950874.7A priority patent/CN107951430B/zh
Priority to US15/783,122 priority patent/US10501918B2/en
Publication of KR2018004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6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90Basins movable between several positions
    • F24F2003/16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급수밸브와 물을 담는 세면보올이 구비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형을 이루고, 내부가 모듈화되어 공간이 구획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모듈화된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조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면대 하부장{Washstand Furniture}
본 발명은 세면대 아래에 배치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에는 욕실용품을 정리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본체에 거울이 구비된 도어를 설치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수용공간에 욕실용품을 수납하는 형태로 상부장을 두어 용실용품을 정리한다.
상부장 이외의 욕실 하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KR 20-2011-0011271는 세면대의 하부장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에 세탁바구니를 두어 세면대의 하부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다만, 습기가 많은 욕실에서 바닥의 물기를 제거하거나 신체를 건조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된 장치가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하부장 내부의 공간의 공기를 순환하는 별도의 장지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면대의 하부공간을 하부장으로 활용하고, 세면대 하부장을 이용하여 욕실의 공기를 건조 또는 사람의 신체를 건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세면대 하부장 내부의 공간 또는 하부장 내부에 배치된 모듈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욕실을 건조하기 위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면대 하부장은 하부장의 내부에 외부로 건조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모듈은 토출구 상부나 하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내부의 공기를 유동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면대 하부장은 내부에 배치된 공조모듈을 이용하여, 하부장 내부의 공간 또는 하부장 내부에 배치된 모듈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공조모듈과 하부장 내부의 공간 또는 모듈을 연통하는 홀을 형성한다.
첫째, 세면대 하부를 모듈을 수용하는 하부장으로 형성하여 욕실 내부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세면대 하부장 내부에 공조모듈을 배치하여 욕실 내부를 건조시키거나 사람의 신체를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세면대 하부장 내부에 공조모듈을 하부장 내부에 모듈화로 구획된 공간으로 연결하여 모듈화된 공간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세면대 하부장 내부에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모듈내부로 공기를 유동시켜 모듈 내부를 건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모듈케이스가 인출된 상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및 공조모듈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및 공조모듈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정면도이다.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배면도이다.
도 7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베인이 모터에 의해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b)는 도 7의 베인이 모터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이 모터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이 모터에 의해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이 모터에 의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과 모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유동하는 공기가 공조모듈 상부의 모듈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에 착탈가능한 공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모듈케이스가 인출된 상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및 공조모듈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베인이 모터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이 모터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과 모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유동하는 공기가 공조모듈 상부의 모듈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급수밸브(24)와 물을 담는 세면보올(22)이 구비된 세면대(20); 상기 세면대(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형을 이루고, 내부가 모듈화되어 공간이 구획된 하우징(30); 및 상기 하우징(30)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모듈화된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조모듈(300)을 포함한다.
세면대(20)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대(20) 상단에는 급수밸브(24)가 구비된다. 세면대(20) 중앙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세면보올(22)이 구비된다. 또한, 세면대(20)는 세면보올(22)에 담겨있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시설(미도시)과 연결된다.
세면보올(22)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하우징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0)은 세면대(20)의 하부에 위치한다. 하우징(30)은 세면대 하부장(10)의 둘레 및 바닥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30)의 상부는 세면보올(22)과 연결된다.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세면보올(22)은 하우징(30)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실링된다.
하우징(30)의 하부에는 세면대 하부장(10)을 욕실의 바닥면을 일정거리 이격하기 위한 하부장 다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부장 다리(50)는 하부장(10)의 사용용도 및 공간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하부장 다리가 생략되는 경우, 하우징의 하부는 욕실의 바닥면과 연결된다. 하우징 하부는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욕실 바닥면과 하우징 하부는 실링될 수 있다.
하우징(3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200)이 배치된다.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200)은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기장치이다. 모듈(200)의 외부규격은 일정한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200)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하우징(30) 내부에서 모듈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상부는 하우징(30)의 전방에 2개의 모듈(A, B)이 배치되고, 후방에 하나의 모듈(C)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에 배치된 모듈(C)의 공간에는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시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는 납작한 판 형상의 모듈(D)이 배치될 수 있다. (D)모듈은 욕실 건조 또는 신체건조를 위한 공조모듈(300)일 수 있다. 공조모듈(300)은 하우징(30)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또한, 도 3의 (b)와 같이, 상부에 3개의 모듈(A, B, C)이 나란히 좌우로 배치되고, 하부에 납작한 판 형상의 모듈(D)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b)에서의 (D)모듈도 욕실 건조 또는 신체건조를 위한 공조모듈(300)일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모듈의 배치는 실시예로써, 모듈의 배치구조는 모듈의 개수, 위치 및 크기, 하우징의 크기 및 사용용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장(10) 내부에는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2개이상으로 구획하고, 상기 모듈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100)가 배치될 수 있다. 모듈 케이스(100)는 모듈이 수납되는 공간이다. 모듈(200)은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착탈된다.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3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모듈 케이스(100)는 모듈(200)의 외형을 둘러싸는 크기로 형성된다.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30) 내부의 일정한 공간을 차지한다.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모듈을 수용한다.
하우징(30)의 상부에는 하부장(10) 내부의 모듈(200)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40)가 형성된다. 입력부(40)는 사용자가 직립자세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세면대 바로 아래인 하우징(30)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하부장(10)의 모듈(200) 또는 공조모듈(3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 LED 등의 표시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40)는 터치패널로 형성되어 표시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입력부(40)의 배면의 하우징(30) 내측에는 각 모듈을 인식하고,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우징(30) 하부에 배치된 공조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입력부(40)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어한다.
공조모듈(300)은 욕실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욕실 바닥이나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하도록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공조모듈(300)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다. 공조모듈(300)을 통해 바닥을 건조하도록, 바닥면과 가까운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하우징의 상부나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조모듈(300)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318)가 형성된 흡입부(310); 상기 공조모듈(30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342)가 형성된 토출부(340); 및 상기 토출구(342)를 개폐하는 베인(350)을 포함한다.
흡입부(310)는 공조모듈(300)의 후방에 위치하여 하부로 개구된 흡입구(318)가 형성된다. 흡입부(310)는 흡입구(318)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314)이 배치된다. 흡입구(318)에는 공조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31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310)는 하부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318)가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시로코팬 등을 활용하여 측면으로 개구된 흡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312)는 공조모듈 내부에 설치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제거하거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각종 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312)는 공조모듈(30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필터(312)는 공조모듈(300)과 공조모듈(300) 상부에 배치된 모듈(200) 사이에서 연통되는 공간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340)는 공조모듈(300)의 전방에 위치한다. 토출부(340)는 전방으로 개구된 토출구(342)가 형성된다. 토출구(342)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베인이 설치된다. 베인(350)은 토출구(3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제어한다.
베인(350)이 회전함에 따라, 공조모듈(300)은 욕실의 바닥면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욕실바닥을 건조하거나, 상부로 토출하여 신체나 욕실공간을 건조시킨다.
베인(350)은 토출구(342)를 가리거나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전면베인(352); 상기 전면베인(352)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면베인(352)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베인(354) 및 상기 전면베인(352)과 후면베인(354)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35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베인(352)은 토출구(342)를 가릴 수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후면베인(354)은 전면베인(352)보다 작은 크기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후면베인(354)은 전면베인(352)에서 후방으로 평행하게 이격된다.
연결부(356)는 전면베인(352)과 후면베인(354)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연결부(356)는 전면베인(352)과 후면베인(354) 사이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전면베인(352)과 후면베인(354) 사이에는 연결부(356) 사이로 복수개의 가이드홀(357)이 형성된다. 후면베인과 연결부(356)는 전면베인(352)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써의 기능도 한다.
전면베인(352)과 후면베인(354)의 양측에는 측면부(358)가 배치된다. 측면부(358)는 전면베인(352)과 후면베인(354)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측면부(358)는 전면베인(352)에서부터 후면베인(354) 후방까지 연장된다.
측면부(358)는 일측에 베인(35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59)이 형성된다. 회전축(359)은 후면베인(354)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회전축(359)을 기준으로 베인(350)이 회전하면, 전면베인(352)과 후면베인(354)이 상측이나 하측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토출방향이 변경된다.
측면부(358)의 일측에는 모터(360)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350)은 측면부(358)의 회전축(359)에 모터(360)가 연결된다. 모터(360)의 회전으로 베인(350)이 회전한다. 베인(350)은 측면부(358)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으로 토출구(342)에 설치된 베인(350)의 배치가 달라져서 공조모듈(3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변경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에서는 모터(3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구(342)의 하부방향으로 개구된 상태로, 욕실의 바닥을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의 (b)는 모터(3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구(342)가 상부방향으로 개구된 상태로, 사람의 신체나 욕실의 공간을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른 베인(400)은 토출구(342)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베인(410)과 토출구(342)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베인(420)을 포함한다. 상부베인(410)과 하부베인(420)은 토출구(342)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 토출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부분에서 절곡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400)은 도 9의 (a)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도 9의 (b)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조모듈의 흡입부(310)와 토출부(340) 사이에는 연결유로(330)가 형성된다. 연결유로(330)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70)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380)가 배치될 수 있다. 히터(370)는 공조모듈(300) 내부에 설치된다. 히터(370)는 토출구(342)로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욕실의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히터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하우징 외부로 토출한다. 이오나이저(380)는 공조모듈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이온을 발생시켜 토출구(342)로 배출한다.
공조모듈(300)은 욕실건조 및 신체건조 이외에 하우징 내부의 모듈로 공기를 유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조모듈(300)의 흡입부(310)와 토출부(340) 사이에는 연결유로(330)가 형성된다.
연결유로(330) 상에는 공조모듈(300) 상부에 배치된 모듈화된 공간을 공기를 유동하게 하는 연통홀(320)이 형성된다. 공조모듈(300)의 상부에는 공조모듈(300) 상측의 모듈과 연통하는 연통홀(320)이 형성된다. 공조모듈(300)은 연통홀(320)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32)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32)는 연결유로 상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공조모듈(300) 상부의 연통홀(320)로 가이드하도록 ‘L’가 형태로 형성된다.
연통홀(320)을 통해 공조모듈(300)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하우징 내부의 모듈화된 공간으로 유동된다. 모듈화된 공간에 모듈이 배치된 경우 모듈에 필요한 공기를 유동시키고, 모듈화된 공간에 모듈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간 내부에 공기를 유동시켜 모듈화된 공간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세면대 하부장(10)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100)를 포함하는 경우, 모듈 케이스(100)는 공조모듈(300)의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모듈흡입구(132) 및 모듈배기구(134)가 형성된다. 모듈 케이스(100)에 수용되는 모듈(200)도 모듈흡입구(132) 및 모듈배기구(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220, 230)이 형성된다. 모듈(200)은 모듈(200)에 형성된 홀(220, 230)은 공기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310)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부(332)를 통해 연통홀(320)로 유동한다. 연통홀(320)을 통과한 공기는 모듈 케이스(100)의 모듈흡입구(132)로 모듈 케이스(100) 내부로 유동한다. 모듈 케이스 내부에서 모듈배기구(134)로 배출된 공기는 연통홀(320)을 통해 흡입된 공기와 섞여 다시 모듈 케이스(100) 내부로 순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로, 모듈 케이스(100)의 전원공급부(140)로부터 모듈전원부(240)로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된다.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모듈이 수용되는 경우,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어할 수 있다.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모듈이 수용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인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모듈(200)이 배치된 경우, 모듈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모듈(200)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 모듈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에 착탈가능한 공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공조모듈(300)이 세면대 하부장(10)의 하부에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공조모듈(300)은 상부에 걸이부(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90)는 공조모듈(300)을 세면대 하부장(10)의 하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세면대 하부장(10)의 하부에는 상기 걸이부(390)가 걸릴 수 있는 걸이홈(3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300)의 걸이부(390)가 하부장(10) 하부면에 형성된 걸이홈(35)에 걸리는 형식으로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다., 세면대 하부장(10)의 하부에 공조모듈(300)이 장착되는 경우, 공조모듈(300)은 공조모듈(300)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모듈 내부로 유동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10 : 세면대 하부장 20 : 세면대
30 : 하우징 40 : 입력부
100 : 모듈 케이스 200 : 모듈
300 : 공조모듈 310 : 흡입부
320 : 연통홀 330 : 연결유로
340 : 토출부 350, 400 : 베인
370 : 히터 380 : 이오나이저

Claims (12)

  1. 급수밸브와 물을 담는 세면보올이 구비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형을 이루고, 내부가 모듈화되어 공간이 구획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모듈화된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부;
    상기 공조모듈 내부의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제어하는 세면대 하부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공조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흡입부와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유로 상에는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가 배치된 세면대 하부장.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 전면베인;
    상기 전면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면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후면베인; 및
    상기 전면베인과 상기 후면베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베인과 상기 후면베인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가이드 하는공기가 가이드홀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베인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전면베인과 상기 후면베인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후면베인 후방에 상기 베인을 회전하는 회전축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베인과 상기 토출구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베인과 하부베인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절곡되어진 세면대 하부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모듈화된 공간에 위치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모듈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세면대 하부장.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흡입부와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모듈화된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에는 상기 연통홀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의 공간을 2개이상으로 구획하는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공조모듈의 공기가 유입되는 모듈흡입구가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모듈 케이스에 수용되는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상기 모듈흡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부로 연통하는 홀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KR1020160133441A 2016-10-14 2016-10-14 세면대 하부장 KR10248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41A KR102484777B1 (ko) 2016-10-14 2016-10-14 세면대 하부장
CN201710950874.7A CN107951430B (zh) 2016-10-14 2017-10-13 洗脸台下柜
US15/783,122 US10501918B2 (en) 2016-10-14 2017-10-13 Washstand cabi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41A KR102484777B1 (ko) 2016-10-14 2016-10-14 세면대 하부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379A true KR20180041379A (ko) 2018-04-24
KR102484777B1 KR102484777B1 (ko) 2023-01-04

Family

ID=6190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441A KR102484777B1 (ko) 2016-10-14 2016-10-14 세면대 하부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01918B2 (ko)
KR (1) KR102484777B1 (ko)
CN (1) CN1079514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8934B (zh) * 2020-06-24 2021-07-20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水槽厨房空调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431A (ja) * 1994-03-08 1995-09-19 Aisin Seiki Co Ltd 適湿保管庫
JPH0813296B2 (ja) * 1990-06-29 1996-02-1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足洗装置付洗面台
KR20090042484A (ko) * 2007-10-26 2009-04-30 김재호 간이 화장실의 동파방지를 위한 환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0463A (en) * 1957-03-04 1960-01-12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035418A (en) * 1959-04-24 1962-05-22 Francis X Wright Self-contained water-supply and cooling unit
US3225559A (en) * 1963-04-04 1965-12-28 Sunroc Corp Control system for maintaining different temperature ranges within compartments having a common refrigerating unit
US5727579A (en) * 1996-05-29 1998-03-17 144 Limited Partnership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combined blow drying means and towel dispensing means
CN1718144A (zh) * 2005-07-04 2006-01-11 黄景良 浴室之洗脸台装置
DE102011010913A1 (de) * 2011-02-10 2012-08-16 Airbus Operations Gmbh Handtrocknungsvorrichtung und Waschtisch für ein Luftfahrzeug
CN202086355U (zh) * 2011-03-03 2011-12-28 夏海波 一种多功能集成洗脸盆柜
JP2013096639A (ja) * 2011-10-31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空調室内機
CN104114068B (zh) * 2011-12-09 2017-07-11 W.C.布拉德利公司 具有可调整的加热特征的烹饪炉排
KR200469271Y1 (ko) 2011-12-20 2013-10-02 롯데건설 주식회사 욕실용 하부장
EP2842870B1 (en) * 2013-08-30 2018-04-18 Airbus Operations GmbH Hand treatment device
EP3124887B1 (en) * 2014-03-28 2018-11-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US9759438B2 (en) * 2014-06-10 2017-09-12 Whirlpo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with selective filtering for air purification
CN204581064U (zh) * 2015-05-05 2015-08-26 成都猴子软件有限公司 毛巾消毒卫浴柜
CN105698249A (zh) * 2016-01-31 2016-06-22 贵州美诚凯辉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带空气净化器的电暖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96B2 (ja) * 1990-06-29 1996-02-1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足洗装置付洗面台
JPH07241431A (ja) * 1994-03-08 1995-09-19 Aisin Seiki Co Ltd 適湿保管庫
KR20090042484A (ko) * 2007-10-26 2009-04-30 김재호 간이 화장실의 동파방지를 위한 환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51430A (zh) 2018-04-24
US20180106026A1 (en) 2018-04-19
CN107951430B (zh) 2020-08-25
US10501918B2 (en) 2019-12-10
KR102484777B1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3723B (zh) 浴室管理器
KR10228802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0073B1 (ko) 냉장 모듈 및 욕실관리기
US10663225B2 (en) Washstand furniture
US10591211B2 (en) Washstand furniture
US10677526B2 (en) Washstand furniture
US10648733B2 (en) Washstand furniture
KR102484777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CN108571036B (zh) 洗脸台下柜
KR102484780B1 (ko) 세면대 하부장 모듈
US10648732B2 (en) Washstand furniture
KR102327458B1 (ko) 욕실관리기
KR10224979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9098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2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0B1 (ko) 세면대 하부장
KR20180102959A (ko) 세면대 하부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