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515A -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515A
KR20180040515A KR1020177032549A KR20177032549A KR20180040515A KR 20180040515 A KR20180040515 A KR 20180040515A KR 1020177032549 A KR1020177032549 A KR 1020177032549A KR 20177032549 A KR20177032549 A KR 20177032549A KR 20180040515 A KR20180040515 A KR 2018004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ast non
zero coefficient
sub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인지
최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4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04N19/6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ordering of coefficients or of bits for transmission
    • H04N19/6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ordering of coefficients or of bits for transmission by grouping of coefficients into blocks after the trans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복호화 장치는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가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결정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본 발명은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고행사도,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기존 영상 데이터 처리 방식과 비교할 때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은 증가하게 된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영상 압축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영상 압축 기술은 일반적으로 이산코사인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양자화(Quantization), 가변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 또는 이진화 산술 코딩(binary arithmetic coding) 등을 수행한다. 이산코사인변환을 통해 공간 영역의 영상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며, 양자화를 통해 손실압축방법으로 주파수영역의 데이터를 줄이게 되며, 가변길이 부호화를 통한 통계적 방법 또는 컨텍스트 모델링(context modeling)을 통한 이진화 산술 코딩(binary arithmetic coding)에 따른 방법에 의해 데이터의 여분(redundancy)를 제거하는 무손실 압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논-제로 변환 계수를 인코딩할 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라스트 논-제로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 픽셀의 위치 정보를 (x, y) 좌표 형식의 코드 정보로 인코딩하게 된다. 그러나, 블록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면(예를 들어, 64 X 64 픽셀 크기의 TU) 인코딩해야하는 위치 정보의 바이너리(binary) 값이 길어지게 되므로 그만큼 인코딩해야하는 데이터의 양이 커지고, 압축률에서 손실을 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논-제로 변환 계수의 픽셀 위치에 대한 정보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인코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논-제로 변환 계수의 픽셀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에 필요한 빈(bin) 수를 줄여 압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장치는,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에서 last non-zero 계수를 가지는 픽셀의 위치를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결정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판단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판단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상기 판단된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하고,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고,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 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부는,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PPS(Picture Parameter Sets), SPS(Sequence Parameter Sets)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셋에 상기 구분된 복수의 그룹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1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을 제외한 제2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2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제외한 제3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3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잇다.
또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인덱스(index) 형식 또는 플래그(flag) 형식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는,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가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결정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고,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이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이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에서 last non-zero 계수를 가지는 픽셀의 위치를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판단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상기 판단된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고,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 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1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을 제외한 제2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2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제외한 제3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3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가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고,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이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이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논-제로 변환 계수의 픽셀 위치에 대한 정보의 크기를 절약하여 동영상 압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프로세스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x4 변환 계수 블록에 대한 코딩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된 변환 계수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된 변환 계수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트 스트림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화 장치(100)는 움직임 예측부(111), 움직임 보상부(112),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참조영상 버퍼(190)를 포함한다.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해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은 화면 내 예측, 인터 예측은 화면 간 예측을 의미한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115)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115)가 인터로 전환된다.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의 입력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입력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분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12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예측부(111)는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참조 영상 버퍼(19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에서 입력 블록과 가장 매치가 잘 되는 영역을 찾아 움직임 벡터를 구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112)는 움직임 벡터와 참조 영상 버퍼(19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감산기(125)는 입력 블록과 생성된 예측 블록의 차분에 의해 잔여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잔여 블록에 대해 변환(transform)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양자화부(140)는 입력된 변환 계수를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계수(quantized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양자화부(140)에서 산출된 값들 또는 부호화 과정에서 산출된 부호화 파라미터 값 등을 기초로, 심볼(symbol)을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bit 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편의상 부호화부(150)로 기재하도록 한다.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은 다양한 값을 갖는 심볼을 입력 받아, 통계적 중복성을 제거하면서, 복호 가능한 2진수의 열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심볼이란 부호화/복호화 대상 구문 요소(syntax element) 및 부호화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잔여 신호(residual signal)의 값 등을 의미한다. 부호화 파라미터는 부호화 및 복호화에 필요한 매개변수로서, 구문 요소와 같이 부호화 장치(100)에서 부호화되어 복호화 장치(200)로 전달되는 정보뿐만 아니라, 부호화 혹은 복호화 과정에서 유추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부호화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인트라/인터 예측 모드, 이동/움직임 벡터, 참조 영상 색인, 부호화 블록 패턴, 잔여 신호 유무, 변환 계수, 양자화된 변환 계수, 양자화 파라미터, 블록 크기, 블록 분할 정보 등의 값 또는 통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잔여 신호는 원신호와 예측 신호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고, 또한 원신호와 예측 신호의 차이가 변환(transform)된 형태의 신호 또는 원신호와 예측 신호의 차이가 변환되고 양자화된 형태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잔여 신호는 블록 단위에서는 잔여 블록이라 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가 적용되는 경우, 높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적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고 낮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많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어 심볼이 표현됨으로써, 부호화 대상 심볼들에 대한 비트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통해서 영상 부호화의 압축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해 지수 골룸(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부호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부(150)에는 가변 길이 부호화(VLC: Variable Lenghth Coding/Code) 테이블과 같은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고, 부호화부(150)는 저장된 가변 길이 부호화(VLC) 테이블을 사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150)는 대상 심볼의 이진화(binarization) 방법 및 대상 심볼/빈(bin)의 확률 모델(probability model)을 도출한 후, 도출된 이진화 방법 또는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16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170)에서 역변환될 수 있다. 역양자화, 역변환된 계수는 가산기(175)를 통해 예측 블록과 더해지고 복원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복원 블록은 필터부(180)를 거치고, 필터부(180)는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 SAO(Sample Adaptive Offset), ALF(Adaptive Loop Fil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쳐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180)를 거친 복원 블록은 참조 영상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 중에서 영상의 부호화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성요소들, 예컨대, 움직임 예측부(111), 움직임 보상부(112),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필터부(180) 등을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여 부호화부로 통칭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움직임 보상부(250), 필터부(260) 및 참조 영상 버퍼(270)를 포함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장치에서 출력된 비트스트림을 입력 받아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입력 받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잔여 블록(residual block)을 얻고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복원된 잔여 블록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재구성된 블록, 즉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양자화된 계수(quantized coefficient) 형태의 심볼을 포함한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를 편의상 복호화부(210)라고 기재하도록 한다.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2진수의 열을 입력 받아 각 심볼들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상술한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과 유사하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22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230)에서 역변환되며, 양자화된 계수가 역양자화/역변환 된 결과, 복원된 잔여 블록(residual block)이 생성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24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보상부(250)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영상 버퍼(27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원된 잔여 블록과 예측 블록은 가산기(255)를 통해 더해지고, 더해진 블록은 필터부(260)를 거친다. 필터부(260)는 디블록킹 필터, SAO, AL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쳐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260)는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한다. 복원 영상은 참조 영상 버퍼(270)에 저장되어 화면 간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복호화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움직임 보상부(250), 필터부(260) 및 참조 영상 버퍼(270) 중 영상의 복호화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성요소들, 예컨대,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움직임 보상부(250), 필터부(260) 등을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여 복호화부로 통칭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된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파싱하는 도시하지 않은 파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싱부는 복호화부(21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복호화부(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파싱부는 또한 복호화부(210)의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프로세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부호화 프로세스는 컨텍스트 모델링 구성요소 및 엔트로피 인코더를 포함한다. 컨텍스트 모델링 구성요소는 입력 시퀀스 x(비트 시퀀스 b0, b1, ... , bn)를 수신한다. 컨텍스트 모델링 구성요소는 시퀀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이전 비트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비트 bi에 대한 컨텍스트를 결정하고, 이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그 비트 bi와 연관되어 있는 확률 pi를 결정하며, 이 확률은 비트가 LPS(Least Probable Symbol)일 확률이다. 규약에 따라, LPS는 이진 실시예에서, "0" 또는 "1"일 수 있다. 확률을 결정하는 것은 그 자체가 그 동일한 컨텍스트에 대한 이전의 비트들/심볼들에 의존할 수 있다.
컨텍스트 모델링 구성요소는 입력 시퀀스, 즉 비트들(b0, b1, ... , bn)을 그 각자의 확률들(p0, p1, ... , pn)과 함께 출력한다. 이 확률들은 컨텍스트 모델에 의해 결정되는 추정된 확률이다. 이 데이터는 이어서 확률 정보를 사용하여 입력 시퀀스를 인코딩하는 엔트로피 인코더에 입력된다. 엔트로피 인코더는 여기서, 이진 산술 코더일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더는 인코딩된 데이터의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x4 변환 계수 블록에 대한 코딩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HEVC 표준에 따른 도 4의 4x4 DCT 블록을 참조하면, 스캔 순서는 블록의 좌측 상부 코너에서 시작하고 우측 하부 코너로 대각선(diagonal), 수평(horizontal) 또는 수직(vertical) 방향의 스캔 패턴을 따라갈 수 있다. HEVC 표준에서 사용되는 컨텍스트 모델은 각 블록의 계수를 이러한 스캔 패턴에 따라 last non-zero 계수로부터 역순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스캐닝은 last non-zero 계수 이후에 종료될 수 있으며, 부호화되는 시퀀스들의 길이는 계수 값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된 변환 계수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부(150)는 일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은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부(150)가 영상의 특성에 따라서 서브 블록을 다양하게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 블록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5는 16x16 픽셀 크기의 변환 계수 블록이 9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뉘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부호화부(150)는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에서 last non-zero 계수를 가지는 픽셀의 위치를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부(150)는 좌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픽셀을 위치 정보를 좌표 (0, 0)로 표현할 수 있으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픽셀은 (x, y)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변환 계수 블록이 클수록, 특히 64x64 pixel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픽셀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의 양이 커질 수 밖에 없어, 부호화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아래 표는,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픽셀의 좌표 x와 y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유너리 코드 및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한 것이다.
Magnitude of last position component x, y Truncated unary (context model) Fixed binary(by pass)
0 0 -
1 10
2 110 -
3 111(0) -
4-5 11110
6-7 11111(0) X
8-11 1111110 XX
12-15 1111111(0) XX
16-23 111111110
24-31 111111111 XX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호화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뉘어진 변환 계수 블록에서,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픽셀을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도 5에 있어서, 6번 서브블록 내에 last non-zero 계수가 포함되는 경우, 부호화부(150)는 'code zoneIndex==6'과 같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데이터를 부호화할 수 있다.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데이터는, 0번 서브블록은 1, 1번 서브블록은 01, 2번 서브블록은 001, 3번 서브블록은 0001, 4번 서브블록은 00001, 5번 서브블록은 000001, 6번 서브블록은 0000001, 7번 서브블록은 00000001, 8번 서브블록은 00000000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즉, 부호화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부호화 순서에 따라,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지 않는 서브 블록은 0,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은 1로 부호화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 블록의 인덱스를 binarization하는 방식은 표 1과 같이 truncated unary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번 서브 블록은 0으로, 나머지 1번 내지 8번 서브 블록은 각각 0000, 0001, 0010, 0011, 0100, 0101, 0110, 0111과 같이 0xxx의 데이터 형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부호화부(150)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판단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로 변환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즉,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환 계수 블록의 좌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픽셀의 좌표 (0,0)을 기준으로 서브 블록의 좌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픽셀의 좌표가 (a, 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번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포함되는 경우 6번 서브 블록의 좌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픽셀의 좌표는 (8, 4)가 된다. 이때, 부호화부(150)는 변환 계수 블록의 좌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픽셀의 좌표 (0, 0)을 기준으로 하는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6번 서브 블록의 좌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픽셀의 좌표 (8, 4)를 기준으로 하는 새로운 위치 (x', y')=(x-8, y-4)로 표현할 수 있다.
부호화부(150)는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code zoneIndex'과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 code(last x', last y')를 부호화하여,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비트 수를 절약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x, y)를 새로운 좌표 (x', y')=(x-8, y-4)로 표현하면, 0번 서브 블록 및 1번 서브 블록의 가로 8 픽셀 및 세로 4 픽셀의 계수가 논제로인지 여부를 표현하기 위한 비트수를 절약할 수 있다. 즉, '000000001'로 표현되는 x를 '1'로, '00001'로 표현되는 y를 '1'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x 좌표의 경우 8비트, y 좌표의 경우 4비트를 절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화부(150)는 변환 계수 블록을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그룹핑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뉘어진 변환 계수 블록의 경우 다시 세 개의 그룹(81, 82, 83)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제1 그룹(81)은 변환 계수 블록의 좌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서브 블록이고, 제2 그룹(82)는 제1 그룹(81)에 인접한 서브 블록으로 이루어진 그룹이며, 제3 그룹(83)은 제2 그룹(82)에 인접한 서브 블록으로 이루어진 그룹일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룹(82)은 제1 그룹의 각 변 및 코너에 맞닿아 있는 서브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그룹(83)은 제2 그룹(82)의 각 변 및 코너에 맞닿아 있는 서브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부호화부는,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PPS(Picture Parameter Sets), SPS(Sequence Parameter Sets)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셋에 상기 구분된 복수의 그룹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부(150)는 last non-zero 계수가 복수의 그룹 중 일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그룹에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해당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각 그룹에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이 포함되는지 여부는 '1', '0'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1 그룹(81)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는 경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는 '1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룹(81) 내에는 서브 블록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또한 '1'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그룹(81)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지 않고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는 경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는 '01'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비트 '0'은 제1 그룹(81)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지 않음을 가리키며, 두 번째 비트 '1'은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함을 가리킨다.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이 제2 그룹의 1번 서브 블록인 경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는 '011'로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세 번째 비트 '1'은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 중 스캐닝 순서상 1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예로,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이 제2 그룹의 2번 서브 블록인 경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는 '0101'로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세 번째 비트 '0'은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 중 1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네 번째 비트 '1'은 제2 그룹(83)에 포함된 서브 블록 중 스캐닝 순서상 2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이 제2 그룹(82)의 3번 서브 블록인 경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는 '01001'로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세 번째 비트 '0'과 네 번째 비트 '0'은 각각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 중 1번 서브 블록과 2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다섯 번째 비트 '1'은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 중 스캐닝 순서상 3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스캐닝 순서상 제2 그룹(82)의 마지막 서브 블록인 3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할 수 밖에 없으므로 '01001'은 다섯 번째 비트 '1'이 생략되어 '0100'으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1 비트를 더 절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그룹(81) 또는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지 않고 제3 그룹(83)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는 경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는 '00'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비트 '0'과 두 번째 비트 '0'은 각각 제1 그룹(81) 및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이 제3 그룹(83)의 4번 서브 블록인 경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는 '001'로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세 번째 비트 '1'은 제3 그룹(83)에서 스캐닝 순서상 4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이 제3 그룹(83)의 5번 서브 블록인 경우에는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는 '0001'로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세 번째 비트 '0'은 제3 그룹(83)에서 4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지 않으며, 네 번째 비트 '1'은 제3 그룹(83)에서 5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이 제3 그룹(83)의 8번 서브 블록인 경우에는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는 '0000001'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비트 '0'과 두 번째 비트 '0'은 각각 제1 그룹(81) 및 제2 그룹(82)에 포함된 서브 블록에 last non-zero 계수가 위치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세 번째 비트 '0' 내지 여섯 번째 비트 '0'은 각각 제3 그룹(83)에서 4번 블록 내지 7번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일곱 번째 비트 '1'은 제3 그룹(83)에 포함된 서브 블록 중 스캐닝 순서상 8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스캐닝 순서상 제3 그룹(83)의 마지막 서브 블록인 8번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할 수 밖에 없으므로 '0000001'은 일곱 번째 비트 '1'이 생략되어 '000000'으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1 비트를 더 절약할 수 있다.
다만, truncated unary 방식 또는 다양한 VLC 방식으로 binarization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서브 블록이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식이 도 8에 나타난 실시 예와 다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트 스트림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비트 스트림의 일 부분은 변환 계수 블록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비트 스트림의 일 부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트로피 부호화 이전 또는 엔트로피 복호화 이후의 비트 스트림이다. 엔트로피 부호화는 CABAC, CAVLC, 또는 기타 컨텍스트 기반 엔트로피 코딩 방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스트림에는 last non-zero 계수임을 나타내는 플래그(last_flag)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last_flag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비트 스트림은 last non-zero 계수의 x, y 좌표인 last_pos_x 및 last_pos_y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부호화부(150)는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플래그(flag) 형식 또는 바이너리로 나타내어지는 인덱스(index) 형식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유효 계수(significant coefficient) 시퀀스 및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ast_pos_x 및 last_pos_y 값들은 고정 길이 이진화(fixed length binarization)를 사용하여 이진화될 수 있다. 이들 이진값의 길이는 변환 계수 블록의 크기에 의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300)는 통신부(301), 프로세서(302) 및 메모리(3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복호화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01)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호화 장치(300)는 통신부(301)를 통해 복호화 장치(400) 등을 포함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301)는 복호화 장치(200)로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303)는 부호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03)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302)를 구성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어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last non-zero 위치 부호화 프로세스에 따라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부호화 어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프로세스들 중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입력 시퀀스를 엔트로피 부호화하고 비트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부호화 어플리케이션은 콤팩트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장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400)는 통신부(401), 프로세서(402) 및 메모리(4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01)는 부호화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부호화 장치(300)로부터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403)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402)를 구성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호화 어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last non-zero 위치 부호화 프로세스에 따라 부호화되어 있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last non-zero 위치 컨텍스트 모델링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양자화된 변환 영역 계수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복호화 어플리케이션은 콤팩트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장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에서 last non-zero 계수를 가지는 픽셀의 위치를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결정한다(S1210). 이때,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이 후, 변환 계수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 중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판단한다(S1220).
이 후,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판단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판단된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한다(S1230). 이때,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 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로 표현될 수 있다.
이 후,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부호화한다(S124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블록 중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가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한다(S1310). 이때,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으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 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로 표현될 수 있다.
이 후,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S1320).
이 후,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결정한다(S1330).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블록 중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가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기 설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서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에서 last non-zero 계수를 가지는 픽셀의 위치를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결정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판단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판단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상기 판단된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하고,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고,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는, 부호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 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인, 부호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PPS(Picture Parameter Sets), SPS(Sequence Parameter Sets)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셋에 상기 구분된 복수의 그룹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1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을 제외한 제2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2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제외한 제3 그룹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3 그룹에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가 존재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인덱스(index) 형식 또는 플래그(flag) 형식으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10.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가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결정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복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고,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는, 복호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의 픽셀 좌표가 (a,b)로 표현되는 경우, (x', y')는 (x-a, y-b)인, 복호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이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수신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블록이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결정하는, 복호화 장치.
  14.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환 계수 블록에서 last non-zero 계수를 가지는 픽셀의 위치를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 중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판단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상기 판단된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last non-zero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 블록 및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고,
    상기 변환된 last non-zero 계수의 위치는, 상기 서브 블록의 기 설정된 픽셀을 기준으로 x'번째 픽셀 및 y'번째 픽셀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픽셀 좌표 (x', y')로 표현되는, 부호화 방법.
KR1020177032549A 2015-09-10 2016-07-26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20180040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16578P 2015-09-10 2015-09-10
US62/216,578 2015-09-10
PCT/KR2016/008159 WO2017043763A1 (ko) 2015-09-10 2016-07-26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515A true KR20180040515A (ko) 2018-04-20

Family

ID=5824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549A KR20180040515A (ko) 2015-09-10 2016-07-26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31102B2 (ko)
EP (1) EP3306930A4 (ko)
KR (1) KR20180040515A (ko)
CN (1) CN108353179A (ko)
MX (1) MX2018001540A (ko)
WO (1) WO201704376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32A1 (ko) * 2018-07-13 2020-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WO2021107634A1 (ko) * 2019-11-27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픽처 분할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68511A (ko) * 2019-04-04 2021-06-09 텐센트 아메리카 엘엘씨 비디오 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2003720B2 (en) 2020-11-26 2024-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picture partitioning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51489B2 (en) * 2017-04-13 2021-05-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entropy encoding, decoding video signal
US10356411B2 (en) 2017-05-30 2019-07-16 Google Llc Adaptation of scan order entropy coding
JP2022016726A (ja) * 2018-11-16 2022-01-2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912522B2 (ja) * 2019-06-24 2021-08-04 Kddi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188180B (zh) * 2019-07-05 2022-04-01 浙江大学 一种处理子块图像的方法及装置
CN113132734B (zh) * 2019-12-31 2023-05-2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编码、解码方法、装置及其设备
WO2023272517A1 (zh) * 2021-06-29 2023-0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编解码方法、码流、编码器、解码器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0780B2 (ja) * 2002-04-15 2008-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復号化方法
JP5001964B2 (ja) * 2009-02-18 2012-08-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画像符号化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復号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58664B2 (ja) * 2009-04-14 2013-08-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画像符号化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復号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75116B1 (ko) 2009-08-06 2016-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10017719A (ko) 2009-08-14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78968B1 (ko) * 2009-08-21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참조 픽처 보간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688136B2 (ja) * 2010-04-23 2015-03-25 エム アンド 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映像を符号化する装置及び方法
CN106067973B (zh) * 2010-05-19 2019-06-18 Sk电信有限公司 视频解码设备
PL2592832T3 (pl) * 2010-07-09 2016-12-30 Sposób i urządzenie do kodowania/dekodowania entropijnego współczynnika przekształcenia
KR101373814B1 (ko) * 2010-07-31 2014-03-18 엠앤케이홀딩스 주식회사 예측 블록 생성 장치
KR20120012385A (ko) * 2010-07-31 2012-02-09 오수미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
US9042440B2 (en) 2010-12-03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the position of a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within a video block based on a scanning order for the block in video coding
US8976861B2 (en) 2010-12-03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Separately coding the position of a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of a video block in video coding
US9491469B2 (en) * 2011-06-28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of last significant transform coefficient
IN2014CN03598A (ko) * 2011-11-04 2015-07-31 Sharp Kk
EP2795901A1 (en) 2011-12-20 2014-10-2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transform unit encoding
RU2628130C2 (ru) * 2011-12-28 2017-08-15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арифметическог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арифметическ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US9191670B2 (en) * 2012-01-17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Throughput improvement for CABAC coefficient level coding
US9008189B2 (en) * 2012-01-20 2015-04-14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context modeling to enable modular processing
WO2013109990A2 (en) * 2012-01-20 2013-07-25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xt reduction in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position coding
US9565435B2 (en) * 2012-02-04 2017-02-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xt reduction in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position coding
EP2858353B1 (en) * 2012-06-01 2019-03-20 Velos Media International Limited Arithmetic de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arithmetic encoding device, and image encoding device
EP2866443A4 (en) * 2012-06-22 2016-06-15 Sharp Kk ARITHMETIC DECODING DEVICE, ARITHMETIC 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AND IMAGE DEVICES
MY200990A (en) * 2012-07-02 2024-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trophy Coding of a Video and Entropy Decoding of a Video
US10412396B2 (en) * 2013-01-16 2019-09-10 Blackberry Limited Transform coefficient coding for context-adaptive binary entropy coding of video
US9445132B2 (en) * 2013-09-09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Two level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LSC) position coding
US9215464B2 (en) 2013-09-19 2015-12-15 Blackberry Limited Coding position data for the last non-zero transform coefficient in a coefficient grou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32A1 (ko) * 2018-07-13 2020-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10068511A (ko) * 2019-04-04 2021-06-09 텐센트 아메리카 엘엘씨 비디오 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107634A1 (ko) * 2019-11-27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픽처 분할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방법 및 장치
US12003720B2 (en) 2020-11-26 2024-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picture partition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763A1 (ko) 2017-03-16
EP3306930A4 (en) 2018-05-02
US10531102B2 (en) 2020-01-07
EP3306930A1 (en) 2018-04-11
MX2018001540A (es) 2018-05-17
US20180205958A1 (en) 2018-07-19
CN108353179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213B1 (ko) 인트라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6708700B2 (ja) 統一された有意性マップ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40515A (ko)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US1010374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ding and decoding the position of the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US9357185B2 (en) Context optimization for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position coding
KR101523452B1 (ko) 비디오 코딩에서 블록에 대한 스캐닝 순서에 기초하여 비디오 블록 내의 마지막 유효 계수의 포지션을 코딩
US9621921B2 (en) Coefficient groups and coefficient coding for coefficient scans
DK2805487T3 (en) Throughput improvement of cabac weighted level coding
JP6231109B2 (ja) コンテキスト適応型、マルチレベル有意性コーディングに関するコンテキスト導出
US9270988B2 (en) Method of determining binary codewords for transform coefficients
US20130101033A1 (en) Coding non-symmetric distributions of data
WO2012070827A2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WO2015031806A1 (en) Constrained intra prediction in video coding
US10547872B2 (en)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thereof
TWI789668B (zh) 脈絡適應性二進制算術寫碼用參數化體系決定技術
JP2021005867A (ja) 符号化装置、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548685A (ja) 画像データの符号化及び復号化
JP2021093574A (ja) 符号化装置、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