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264A -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264A
KR20180040264A KR1020160131913A KR20160131913A KR20180040264A KR 20180040264 A KR20180040264 A KR 20180040264A KR 1020160131913 A KR1020160131913 A KR 1020160131913A KR 20160131913 A KR20160131913 A KR 20160131913A KR 20180040264 A KR20180040264 A KR 2018004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ecurity cable
agent
biometric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990B1 (ko
Inventor
정연규
최문성
Original Assignee
(주)그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립 filed Critical (주)그립
Priority to KR102016013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9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데스크톱 상에서 디자인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완을 유지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데스크톱과 같은 제1 단말에 탑재되고,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절체하여 상기 이미지 전송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하는 보안 케이블, 및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제2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보안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System for Sharing Image Data Using Security Cable}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소유하게 되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의 선택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외관 디자인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예컨대, 배경 이미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이미지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다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거나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디자인 작업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구동되는 이미지를 디자인하는 대부분의 디자이너들은 데스크톱과 같은 단말기(이하, 데스크톱이라 함)에 설치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자인한다.
하지만, 스마트 디바이스의 경우 데스크톱과 비교할 때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동일한 이미지라 하더라도 색상, 밝기, 채도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는 데스크톱에서 디자인한 이미지를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데스크톱에서 디자인한 이미지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 디자이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USB 케이블을 통해 데스크톱에 직접 연결하거나 와이파이, NFC,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스크톱에 연결해야만 하는데, 대부분의 스마트 디바이스 제조사 또는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사는 보안 정책상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USB 케이블의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금지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디자인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설령, 보안을 해제하여 USB 케이블의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허용된다 하더라도, 디자이너는 디자인한 이미지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하여 이미지를 확인한 후, 이미지의 수정이 요구되면 데스크톱에서 이미지를 수정한 후 수정한 이미지를 다시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하여 수정된 이미지를 확인해야만 하므로 디자인 작업이 절차적으로 매우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USB 케이블을 통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의 경우, USB 포트의 보완이 해제된 상태로 이미지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기 때문에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스크톱 상에서 디자인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완을 유지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제1 단말에 탑재되고,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절체하여 상기 이미지 전송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하는 보안 케이블, 및 제2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보안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안 케이블은, 상기 보안 케이블을 사용자 인증모드 및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고, 상기 보안 케이블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생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체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하여 상기 보안 케이블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이미지 전송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 상기 제1 단말의 USB 포트에 삽입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단말의 충전단자에 삽입되고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안 케이블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는, 암호화 패턴 규칙과 암호화 패턴 키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모듈은, 상기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암호화 패턴 규칙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선택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매핑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키와 함께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는, 상기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암호화 패턴 키와 매핑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규칙을 획득하고, 획득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패턴 규칙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들 중 각 암호화 패턴 규칙에 매칭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키 별로 정해진 위치에 하나 이상의 비트를 삽입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안 케이블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암호화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암호화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보안 케이블이 상기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보안 케이블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암호화모듈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암호화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케이블은 생체정보의 등록, 변경,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위한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가 저장되는 에이전트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1 단말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를 상기 제1 단말에 설치하고, 상기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를 활성화시켜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가 상기 생체정보의 입력 또는 등록을 가이드 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는, 상기 제1 단말의 USB 포트에 상기 보안 케이블의 삽입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케이블로 확인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보안 케이블로부터 상기 확인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통해 상기 보안 케이블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 데스크톱 상에서 디자인된 이미지 데이터가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 케이블이 이미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때문에 이미지 데이터의 보안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스크톱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디자이너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안 케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제2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 보안 케이블(300), 및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를 포함한다.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제1 단말(T1)에 탑재된다.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제1 단말(T1)에 기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안 케이블(300)을 통해 이미지 출력 에이전트(4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제1 단말(T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에서원격 전송 기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의 원격 전송 기능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120)가 원격으로 전송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터셉터한다.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인터셉터한 이미지 데이터를 보안 케이블(300)로 전달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인터셉터한 이미지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USB 소켓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보안 케이블(3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인터셉터한 이미지 데이터의 프로토콜이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NFC 등과 같은 무선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의 이미지 데이터를 USB 소켓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USB 소켓 프로토콜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안 케이블(30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는 생성된 이미지를 전송한다는 점에서 가상의 제1 서버로 동작하고,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는 점에서 가상의 제1 클라이언트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제1 커넥션 매니져(202) 및 프로토콜 변환부(204)를 포함한다.
제1 커넥션 매니져(202)는 보안 케이블(300)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로부터 1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1단계 사용자 인증이란 해당 사용자가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의 원격 전송 기능을 수행할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커넥션 매니져(202)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의 구동이 감지되면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에 해당 인증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가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는 제1 커넥션 매니져(202)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1단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원격 전송 기능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또한, 제1 커넥션 매니져(202)는 제1 단말(T1)의 USB 포트(미도시)에 케이블이 삽입되면, 삽입된 케이블이 보안 케이블(300)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형태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보안 케이블(300)로 전송한다. 제1 커넥션 매니져(202)는 확인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보안 케이블(3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USB 포트에 삽입된 케이블이 보안 케이블(300)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1 커넥션 매니져(202)는 USB 포트에 삽입된 케이블이 보안 케이블(300)인 것으로 판단되면, 그 결과를 프로토콜 변환부(204)로 알림으로써 프로토콜 변환부(204)가 프로토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안 케이블(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프로토콜 변환부(204)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의 원격 전송 기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결과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의 원격 전송 기능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로부터 원격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터셉터하여 인터셉터한 이미지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USB 소켓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프로토콜 변환부(204)는, 제1 커넥션 매니져(202)에 의해 USB 포트에 삽입된 케이블이 보안 케이블(300)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소켓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안 케이블(300)로 전송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보안 케이블(300)은 사용자 인증모드 및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보안케이블(300)은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2단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2단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보안 케이블(300)은 사용자 인증모드에서 2단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동작 모드를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절체한다. 보안 케이블(300)은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제1 단말(T1)에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와 제2 단말(T2)에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를 연결하여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로 전달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안 케이블(300)은 사용자 인증모드에서 2단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절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2단계 사용자 인증의 성공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 인증모드가 종료하면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절체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보안 케이블(300)은 2단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폐기한다. 이때, 보안 케이블(300)은 사용자의 인증이 실패하였다는 것을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보안 케이블(3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케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케이블(300)은 제1 커넥터(310), 제어모듈(320), 생체정보 입력모듈(325), 암호화모듈(330), 제1 스위치(342), 제2 스위치(344), 스위치 제어부(346), 및 제2 커넥터(3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케이블(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360),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370), 및 에이전트 저장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310)는 제1 단말(T1)의 USB 포트(미도시)에 삽입된다. 제1 커넥터(310)는 보안 케이블(300)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보안 케이블(300)의 인증을 위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모듈(320)로 전달한다. 제1 커넥터(310)는 제어모듈(320)로부터 확인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USB 포트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커넥터(210)는 보안 케이블(300)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300)로부터 1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커넥터(310)는 보안 케이블(300)이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 즉, 제어모듈(320)에 의해 2단계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 모듈(33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커넥터(310)는 다양한 규격의 USB 타입(예컨대, UUSB 2.0 또는 USB 3.0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모듈(320)은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20)은 제1 커넥터(310)가 제1 단말(T1)의 USB 포트에 삽입되면 보안 케이블(300)을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시킨다.
제어모듈(320)은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가 사용자 인증모드로 결정되면, 이를 스위치 제어부(346)로 전송하여 스위치 제어부가(346)가 제1 스위치(342) 및 제2 스위치(344)를 제어모듈(32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320)은 보안 테이블(300)의 동작모드가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결정되면 이를 스위치 제어부(346)로 전송함으로써, 스위치 제어부(346)가 제1 스위치(324) 및 제2 스위치(344)를 암호화 모듈(33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어모듈(320)은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를 사용자 인증모드로 결정하면, 1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제2 단말(T2)에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단말(T1)에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인증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로 입력되어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가 1단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제어모듈(302)은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가 사용자 인증모드일 때, 제1 커넥터(31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커넥터(31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 전송한다.
보안 케이블(300)의 인증이 성공하면, 제어모듈(320)은 생체정보 입력모듈(325)를 활성화시켜 생체정보 입력모듈(325)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입력 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정보의 입력은 보안 케이블(300)의 인증이 성공하면 제1 단말(T1)에 설치된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가 제1 단말(T1)의 화면을 통해 생체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단말(T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의 등록/삭제/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단말(T1)에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모듈(320)은 에이전트 저장부(38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를 제1 단말(T1)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정보의 입력은 보안 케이블(300)의 인증이 성공하면 제2 단말(T2)에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가 제2 단말(T1)의 화면을 통해 생체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모듈(320)은 생체정보 입력모듈(325)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와 비교함에 의해 2단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체정보가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생체정보와 동일하면 해당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한다.
해당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되면, 제어모듈(320)은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를 사용자 인증모드에서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절체하고, 그 결과를 암호화 모듈(330) 및 스위치 제어부(346)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모듈(3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체정보가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생체정보와 동일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모듈(320)은 해당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어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 실패를 제1 커넥터(310)를 통해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실시예 따르는 경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는 제어모듈(320)로부터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생체정보의 재입력을 요구 또는 생체정보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제1 단말(T1)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생체정보 입력모듈(325)은 보안 케이블(300)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어모듈(320)의 활성화 명령에 따라 활성화되어 사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입력 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지문정보일 수 있고, 생체정보 입력모듈(325)은 지문인식모듈일 수 있다.
암호화 모듈(330)은 제어모듈(320)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여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가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절체되면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암호화모듈(330)은 제1 커넥터(31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한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모듈(330)은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 절체에 따라 활성화되면,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370)로부터 암호화 패턴 규칙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암호화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 패턴 규칙은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들 중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하나 이상의 비트를 추가하는 것이고, 각 암호화 패턴 규칙은 암호화 패턴 규칙들을 구분하기 위한 암호화 패턴 키와 매칭되어 있다. 이때, 각 암호화 패턴 규칙 별로 비트가 삽입되는 위치 또는 삽입되는 비트의 수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암호화 모듈(330)은 선택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매칭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키를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제2 커넥터(35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 모듈(330)은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와 암호화 패턴 키를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여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에 암호화 패턴 키가 포함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스위치(342)는 스위치 제어부(346)의 제어에 따라 제1 커넥터(310)를 제어모듈(320) 및 암호화 모듈(3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342)는 보안 케이블(300)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제1 커넥터(310)를 제어모듈(320)과 연결시키고, 보안 케이블(300)이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제1 커넥터(310)를 암호화모듈(330)과 연결시킨다.
제2 스위치(344)는 스위치 제어부(346)의 제어에 따라 제2 커넥터(350)를 제어모듈(320) 및 암호화 모듈(3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치(344)는 보안 케이블(300)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제2 커넥터(350)를 제어모듈(320)과 연결시키고, 보안 케이블(300)이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제2 커넥터(350)를 암호화모듈(330)과 연결시킨다.
스위치 제어부(346)는 제어모듈(320)에 의해 결정되는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에 따라 제1 스위치(342) 및 제2 스위치(344)의 연결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제어부(346)는 제어모듈(320)에 의해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가 사용자 인증모드로 결정되면, 1단계 사용자 인증, 2단계 사용자 인증, 및 보안 케이블(300)의 인증을 위해 제1 스위치(342)를 제어하여 제1 커넥터(310)와 제어모듈(320)을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44)를 제어하여 제1 커넥터(350)와 제어모듈(320)을 연결시킨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346)는 제어모듈(320)에 의해 보안 케이블(300)의 동작모드가 이미지 데이터 전송모드로 결정되면, 이미지 데이터의 암호화 및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제1 스위치(342)를 제어하여 제1 커넥터(310)와 암호화 모듈(330)을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44)를 제어하여 제2 커넥터(350)와 암호화 모듈(330)을 연결시킨다.
제2 커넥터(350)는 보안 케이블(300)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1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모듈(320)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커넥터(350)는 보안 케이블(300)이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 암호화 모듈(330)로부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커넥터(350)의 일단은 연결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암호화 모듈(3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단말(T2)의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저장되고,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370)에는 이미지 데이터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패턴 규칙이 암호화 패턴 키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또한, 에이전트 저장부(380)에는 생체정보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가 저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모듈(320)은 제1 커넥터(310)가 제1 단말(T1)의 USB 포트에 최초로 연결되면 에이전트 저장부(380)로부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를 독출하여 제1 단말(T1)에 설치한다. 이후,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가 제1 단말(T1)에 설치되면,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220)는 생체정보 등록을 안내하는 UI를 제1 단말(T1)의 화면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안 케이블(300)에 설치된 생체정보 입력모듈(325)을 통해 생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에이전트 저장부(380)에는 제2 단말(T2)에 설치되는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가 추가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모듈(320)은 제2 커넥터(350)가 제2 단말(T2)의 충전단자에 최초로 삽입되면 제2 단말(T2)에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에이전트 저장부(38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를 제2 단말(T2)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커넥터(310), 제어모듈(320), 생체정보 입력모듈(325), 암호화모듈(330), 제1 스위치(342), 제2 스위치(344), 스위치 제어부(346),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360),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370), 및 에이전트 저장부(380)는 하나의 제어보드에 실장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제2 단말(T2)에 설치된다.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보안 케이블(300)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호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2 단말(T2)의 해상도에 맞도록 변환하여 제2 단말(T2)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면에서 가상의 제1 클라이언트로 동작하고,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가상의 제1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점에서 가상의 제2 서버로 동작함과 동시에 수신된 이미지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기 때문에 가상의 제2 클라이언트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와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 사이 및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와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 사이에만 직접 컨넥션이 생성되므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와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직접 컨넥션을 생성하지 않고도 직접 컨넥션을 생성하여 통신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게 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제2 커넥션 매니져(410), 복호화모듈(420), 해상도 변환부(430), 및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440)를 포함한다.
제2 커넥션 매니져(410)는 보안 케이블(300)과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간의 연결을 매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커넥션 매니져(410)는 보안 케이블(300)을 구성하는 제2 커넥터(350)가 제2 단말(T2)의 충전단자에 삽입되어 보안 케이블(300)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하면, 제2 단말(T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1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 입력 요청 화면을 출력한다. 제2 커넥션 매니져(410)는 인증정보 입력 요청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보안 케이블(300)을 통해 제1 단말(T1)에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 전달하고,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가 해당 인증정보를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로 전달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210)가 1단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복호화모듈(420)은 보안 케이블(300)에 의해 2단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보안 케이블(300)로부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복호화모듈(420)은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화 패턴 키를 추출하고,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암호화 패턴 키에 매칭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규칙을 획득한다. 이후, 복호화모듈(420)은 획득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따라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패턴 규칙이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들 중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하나 이상의 비트를 추가하는 것이었을 때, 복호화 모듈(420)은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따라 추가된 비트의 수 및 추가된 비트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서 비트를 제거함으로써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해상도 변환부(430)는 복호화모듈(420)로부터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해상도를 제2 단말(T2)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한다. 해상도 변환부(430)는 해상도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2 단말(T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440)는 보안 케이블(300)에 포함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이미지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화 패턴 규칙이 암호화 패턴 키가 매칭되어 저장도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이미지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편집하여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400)는 이미지 데이터 편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케이블(300)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알 수 있듯이, 보안 케이블(300)의 제1 커넥터(310)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및 전송 작업이 이루어지는 제1 단말(T1)의 USB 포트(미도시)에 삽입되고, 보안 케이블(300)의 제2 커넥터(320)는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작업이 이루어지는 제2 단말(T2)의 충전단자에 삽입된다.
또한, 보안 케이블(300)의 제어보드(미도시)는 하우징(390) 내에 포함되고, 2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한 생체정보가 입력되는 생체정보 입력모듈(325)이 하우징(39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제2 커넥터(320)의 일단은 제2 단말(T2)의 충전단자에 삽입되고 타단은 케이블(395)을 통해 하우징(390) 내의 제어모드에 연결되며, 제1 커넥터(310)는 제어보드에 직접 실장되므로 하우징(390)에 직접 연결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 210: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
300: 보안 케이블 310: 제1 커넥터
320: 제어모듈 325: 생체정보 입력모듈
330: 암호화 모듈 342: 제1 스위치
344: 제2 스위치 346: 스위치 제어부
350: 제2 커넥터 400: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

Claims (7)

  1. 제1 단말에 탑재되고, 이미지 데이터 생성 에이전트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절체하여 상기 이미지 전송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하는 보안 케이블; 및
    제2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보안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케이블은,
    상기 보안 케이블을 사용자 인증모드 및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고, 상기 보안 케이블이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생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체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하여 상기 보안 케이블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이미지 전송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
    상기 제1 단말의 USB 포트에 삽입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 모듈로 전달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단말의 충전단자에 삽입되고,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케이블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는, 암호화 패턴 규칙과 암호화 패턴 키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모듈은, 상기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암호화 패턴 규칙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선택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매핑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키와 함께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로 전송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 출력 에이전트는, 상기 암호화 패턴 규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암호화 패턴 키와 매핑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규칙을 획득하고, 획득된 암호화 패턴 규칙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패턴 규칙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들 중 각 암호화 패턴 규칙에 매칭되어 있는 암호화 패턴 키 별로 정해진 위치에 하나 이상의 비트를 삽입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케이블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암호화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암호화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보안 케이블이 상기 사용자 인증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보안 케이블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암호화모듈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암호화모듈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케이블은,
    상기 생체정보의 등록, 변경,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위한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가 저장되는 에이전트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1 단말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를 상기 제1 단말에 설치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를 활성화시켜 상기 생체정보 관리 에이전트가 상기 생체정보의 입력 또는 등록을 가이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에이전트는,
    상기 제1 단말의 USB 포트에 상기 보안 케이블의 삽입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케이블로 확인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보안 케이블로부터 상기 확인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통해 상기 보안 케이블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20160131913A 2016-10-12 2016-10-12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192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13A KR101925990B1 (ko) 2016-10-12 2016-10-12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13A KR101925990B1 (ko) 2016-10-12 2016-10-12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264A true KR20180040264A (ko) 2018-04-20
KR101925990B1 KR101925990B1 (ko) 2019-02-26

Family

ID=6208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13A KR101925990B1 (ko) 2016-10-12 2016-10-12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839B1 (ko) * 2019-02-18 2019-08-20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해킹방지용 컴퓨터 시스템
WO2020060135A1 (en) * 2018-09-18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259A (ko) * 2004-03-29 2005-10-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생성 방법
KR101179904B1 (ko) * 2012-05-25 2012-09-05 (주)네티엔 네트워크와 방송 기반의 실시간 다중 이미지 공유 및 전시 시스템과 방법
KR20150059473A (ko) * 2013-11-22 201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지문 정보를 이용한 멀티-디바이스 연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259A (ko) * 2004-03-29 2005-10-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생성 방법
KR101179904B1 (ko) * 2012-05-25 2012-09-05 (주)네티엔 네트워크와 방송 기반의 실시간 다중 이미지 공유 및 전시 시스템과 방법
KR20150059473A (ko) * 2013-11-22 201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지문 정보를 이용한 멀티-디바이스 연동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35A1 (en) * 2018-09-18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032546A (ko) *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CN112740205A (zh) * 2018-09-18 2021-04-30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使用该电子装置控制外部装置的连接的方法
US11244081B2 (en) 2018-09-18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2011839B1 (ko) * 2019-02-18 2019-08-20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해킹방지용 컴퓨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990B1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1387B (zh) 用于安全增强的电子图章系统及其控制方法
US82501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data transmission
US8640196B2 (en) Network system of projector
US11159329B2 (en) Collaborative operating system
KR101541591B1 (ko) Vdi 환경에서의 싱글 사인온 시스템 및 방법
JP2005038411A (ja) 機器認証情報組込システム、端末機器、機器認証情報処理方法、機器認証情報処理プログラム、提供サーバ、機器認証情報提供方法、機器認証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3220148B (zh) 电子签名令牌响应操作请求的方法、系统和电子签名令牌
CN109818742B (zh) 一种设备调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617318B1 (ko)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20141331A (ja) サービス利用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25990B1 (ko) 보안 케이블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CN104821878A (zh) 用于确保数据交换的安全性的便携式安全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40025946A1 (en) Audio-security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ertificate using the same
CN103227804A (zh) 使用帐户代理模块连接超级用户帐户命令解译器的方法
JP2006163508A (ja) 情報処理装置
KR102365254B1 (ko) 보안단말기를 이용한 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638B1 (ko) 시리얼키 기반의 보안 케이블 인증 시스템
CN109684852B (zh) 一种数据交换的导引装置及方法
JP4692922B2 (ja) ローカル端末、リモート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その動作方法及び動作プログラム
CN115734221B (zh) 物联网设备管理方法、设备、移动终端、装置及存储介质
JP5631164B2 (ja) マルチクラスタ分散処理制御システム、代表クライアント端末、マルチクラスタ分散処理制御方法
TWI526868B (zh) 具多重驗證機制及無線介面之電腦切換器及外接模組
KR20190031825A (ko) 이미지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1495766B1 (ko) 원격 보안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JP6162611B2 (ja) 通信制御サーバ、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