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520A -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520A
KR20180039520A KR1020160130914A KR20160130914A KR20180039520A KR 20180039520 A KR20180039520 A KR 20180039520A KR 1020160130914 A KR1020160130914 A KR 1020160130914A KR 20160130914 A KR20160130914 A KR 20160130914A KR 20180039520 A KR20180039520 A KR 20180039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weight
vegetable oil
polymerization
defoam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5040B1 (en
Inventor
이광진
이현민
이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3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040B1/en
Publication of KR2018003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5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having a foam inhibiting effect and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has the foam inhibiting effect by containing a specific amount of a de-foaming agent in the form of vegetable oil and can remarkably reduce the foam generation in the production of a molded article using the de-foaming agent.

Description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본 발명은 거품 발생 억제효과가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having an effect of suppressing foam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latex.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하는 수지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부분의 가공기기에 적용 가능하여 응용분야가 다양하다. 게다가, 물리적·화학적 성질, 예컨대 기계적 강도, 내후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The vinyl chloride resin is a resin containing 50% or more of vinyl chloride. It is inexpensive, hardness is easy to control, and can be applied to most processing equipments. In addition, it can provide molded articles having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strength, weath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는 가소제, 착색제, 열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공정, 칼렌다 공정, 사출공정, 페이스트 가공 등으로 성형되어 제품화된다. 특히 가소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페이스트 가공의 경우 그 가공방법에 따라 건축재료, 장난감, 인조가죽, 신발, 장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의 제품으로 성형된다.Such a vinyl chloride resin is molded into a product by extrusion, calendering, injection molding, paste molding, etc. after mixing various additives such as a plasticizer, a colorant and a heat stabilize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paste processing using a mixture with a plasticizer, it is molded into various applic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building materials, toys, artificial leather, shoes, and glove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상기 페이스트 가공은 일반적으로 유화중합에 의해 얻어진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분무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하여 최종 수지 입자를 형성하고, 상기 입자는 용매나 가소제에 분산시켜 코팅(reverse roll-coating, knife coating, screen coating, spray coating), 그라비아 및 스크린 프린팅(gravure and csreen printing), 회전 캐스팅(ratotion casting), 쉘 캐스팅 및 딥핑(shell casting and dipping)과 같은 공정을 통해 바닥재, 벽지, 타포린, 우의, 장갑, 자동차 언더 바디 코팅, 실란트, 카펫 타일 등의 제품에 적용된다. The pasting is generally performed by spray drying a paste-working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obtain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to form final resin particles, and th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solvent or a plasticizer to form a reverse roll-coating knife coatings, screen coatings, spray coatings, gravure and csreen printing, rotocation casting, shell casting and dipping, to produce flooring, wallpaper, tarpaulin, Gloves, automotive underbody coatings, sealants and carpet tiles.

이러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통상 가소제와 함께 열안정제 등의 여러 가지 첨가제로 구성되는 플라스티졸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공 시 상기 플라스티졸 내에 기포가 존재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된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예컨대 인장강도 등)을 저하시키거나, 투명성을 필요로 하는 성형품의 경우에는 외관상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가공 전 플라스티졸 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Such a vinyl chloride polymer for paste processing is usually processed and used in the form of a plastisol composed of various additives such as heat stabilizers together with a plasticizer. When bubbles are present in the plastisol at the time of processing, Mechanical properties (for example, tensile strength and the like) may be lowered, or in the case of a molded article requiring transparency, problems may occur in appearance. Accordingly, a defoaming process for removing bubbles in the plastisol before processing is essentially required.

또한, 유화중합을 통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중합반응 말기 중합 개시제에 의한 바구니 효과(cage effect)로 인하여 급격한 온도 상승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안정성이 저하됨은 물론 반응기 내부 압력 상승으로 인한 공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vinyl chloride type polymer latex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a rapid temperature rise occurs due to the cage effect of the lat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vinyl chloride type polymer latex produced thereby deteriorate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rocess stability is lowered due to an increase in pressure inside the reactor.

따라서, 안정성이 좋으면서 페이스트 가공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which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paste processing.

JPJP 2003-5163012003-516301 AA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품 발생 억제효과가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nyl chloride type polymer latex having an effect of suppressing foam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의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을 포함하는 규소계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polymer; And 0.02 part by weight to 0.05 part by weight of a vegetable oil-based antifoam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comprises a silicon-based mixture contain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do.

또한,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를 혼합하고 중합하는 단계(단계 A)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규소계 혼합물은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A) of mixing and polymerizing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0.02 to 0.05 parts by weight of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herein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comprises a silicon mixture, Wherein the silicon-based mixture comprises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는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특정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거품 발생 억제효과가 있어,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 시 거품 발생이 억제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별도의 탈포공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감소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좋아질 수 있다.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am inhibiting effect by containing a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n a specific amount, and foam production can be suppressed during the production of a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so that a separate defoaming step is not necessary And the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은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에 투입함으로써 반응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할 수 있다.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xcellent reaction stability by introducing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at a specific polymerization conversion time point, and consequently,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having excellent stability can be produc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 사용된 소포제 분산액의 시간경과에 따른 분산성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혼합 직후, b)는 30분 방치 후 c)는 100분 방치 후의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dispersibility with time of the defoamer dispersion used in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essation of minute, c) was observed after 100 mi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거품 발생이 적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having excellent stability and little foam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 100 중량부; 및 상기 유래단위 100 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의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규소계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based monomer-derived units; And 0.02 part by weight to 0.05 part by weight of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erived unit, wherein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comprises a silicon-based mixture contain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만약,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더 적은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거품 발생 억제효과가 미미하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더 많은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거품 발생 억제효과는 좋을 수 있으나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의 점도가 상승하여 유동성이 악화됨으로써 성형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조된 성형품의 외관특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s contained in a smaller amount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suppressing foaming may be insignificant or not. If the defoam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the above range, But the viscosity of the plastisol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 type polymer latex containing the latex is increased and the flowability is deteriorated to lower the molding processability and consequently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molded article are deteriorated May occur.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실록산(siloxane)"은 Si-O 결합을 포함하고, 규소, 산소 및 수소로 구성되어 있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As used herein, the term "siloxane" refers to a compound comprising Si-O bonds and consisting of silicon, oxygen and hydrog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 100 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규소계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comprises a vinyl chloride- And 0.02 part by weight to 0.05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식물로부터 얻어진 오일 성분인 것으로 채종유(rapeseed oi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일부 성분으로서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규소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함유하는 채종유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계 혼합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 중량% 내지 7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규소계 혼합물을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 더 과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표면에 핀홀 등이 발생하여 외관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egetable oil-based antifoaming agent may be one comprising an oil component obtained from a plant and containing rapeseed oil, and may include a silicon mixture includ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as some components. That is,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be a seed oil contain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At this time,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include 1 to 10% by weight of the silicon-based mixture, and specifically 3 to 7% by weight. If the vegetable oil defoamer contains a silicon-based mixture in excess of the above-mentioned range, pinholes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appearance characteristics.

또한, 상기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1 ㎛ 내지 2 ㎛의 평균입경(D50)을 갖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licon particles and the siloxane particles may independentl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1 μm to 2 μm.

일반적으로, 중합체에 사용되는 소포제는 일정한 농도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물에 대한 분산성이 좋지 못할 경우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소포제가 필요하게 되고, 저장 안정성이 용이하지 않아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합체의 다른 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목적하는 거품 발생 억제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소포제가 물에 대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낼 필요성이 있다. Generally, the defoamer used in the polymer is diluted with water to a certain concentration and is used. When the dispersibility to water is poor, a large amount of defoamer is required for achieving the objective, and storage stability is not easy. .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defoaming agent exhibits excellent dispersibility with respect to water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foaming inhibiting effect without affecting other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규소 혼합물을 포함하면서, 상기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 각각이 전술한 바와 같은 평균입경을 가짐으로써 물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licon mixture includ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wherein each of the silicon particles and the siloxane particles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as described above, Can be excellent.

여기에서, 상기 평균입경은 입도측정기(Nanotrac 150, Microtrac 社)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평균입경을 측정하고자 하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 각각을 탈이온수에 0.1 중량%로 희석하여 시료를 준비한 후 상기 입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pecifically,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measur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Nanotrac 150, Microtrac). Specifically, the silicon particles and the siloxane particles to be measured fo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were each diluted to 0.1 wt% in deionized water, And then measured using the particle size analyze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는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특정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라텍스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거품 발생 억제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 시 탈포 공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탈포 공정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거품에 의한 물성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Therefore,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n a specific amount, thereby having excellent latex stability and foam suppressing effect. Therefore, a defoaming process is not required in the production of a molded article using the plastisol containing the foam, and the defoaming process time can be reduced, and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due to foam can be suppressed.

한편,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는 염화비닐계 단량체로부터 기인한 중합체, 염화비닐계 단량체 자체 또는 상기 중합체와 단량체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인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it derived from the vinyl chloride monomer may be a polymer originating from a vinyl chloride monomer, a vinyl chloride monomer itself, or a state in which the polymer and the monomer are mixed.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는 염화비닐 단량체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혼합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가 염화비닐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의 혼합인 경우에는 이를 통하여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내 염화비닐이 50 중량% 이상 포함되도록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The vinyl chloride monomer may be a mixture of a vinyl chloride monomer or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inyl monomer having a copolymerization with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the vinyl chloride monomer may be a mixture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inyl monomer The vinyl chloride polymer may be used by adjusting the vinyl chloride content of the prepared vinyl chloride polymer to 50 wt% or more.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틴 등의 올레핀(olefin) 화합물;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테아린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vinyl ester)류;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비닐메틸 에테르, 비닐에틸 에테르, 비닐옥틸 에테르, 비닐라우릴 에테르 등의 비닐알킬 에테르류;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리덴(vinylidene)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및 이들 지방산의 무수물;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말레인산 모노 메틸, 말레인산 디메틸, 말레인산 부틸벤질 등의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ester)류;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의 가교성 단량체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vinyl monom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lefin compounds such as ethylene, propylene and butyne;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and vinyl stearate;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Vinyl alkyl ethers such as vinyl methyl ether, vinyl ethyl ether, vinyl octyl ether and vinyl lauryl ether; Vinylidene halides such as vinylidene chlorid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and anhydrides of these fatty acids; Unsaturated fatty acid esters such a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monomethyl maleate, dimethyl maleate, and butyl benzyl maleate; Diallyl phthalate, and the like. These vinyl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초산비닐인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inyl monomer may be vinyl acet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를 혼합하고 중합하는 단계(단계 A)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규소계 혼합물은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mixing and polymerizing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0.02 to 0.05 parts by weight of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step A), and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Silicon mixture, wherein the silicon-based mixture comprises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여기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상기 규소계 혼합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규소계 혼합물을 3 중량% 내지 7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Here,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include 1 to 10% by weight of the silicon-based mixture, and more specifically 3 to 7% by weight of the silicon-based mix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염화비닐계 단량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이거나,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의 혼합일 수 있고, 구체적인 비닐계 단량체는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The vinyl chloride monomer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vinyl chloride monomer alone, or a mixture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inyl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the specific vinyl monomer may be a tact As shown in FIG.

상기 단계 A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로, 염화비닐계 단량체와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규소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만약,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상기 범위 보다 적은 양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내에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의 양이 너무 적어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 시 거품 발생 억제가 미미할 수 있어 거품 발생에 의하여 최종 제품의 물성이 악화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상기 범위 보다 많은 양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내에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의 양이 과량이 될 수 있고, 이에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 예컨대 외관특성 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step A may be carried out by mixing and polymerizing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and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vinyl chloride monomer 100 0.02 part by weight to 0.05 part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composition. Herein,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ncludes a silicon mixture includ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and is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I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s added in an amount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contained in the prepared vinyl chloride type polymer latex is too small, And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n the produced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may be excessive in the case of adding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n an amount exceeding the above range ,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same are deteriorated.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 개시 후 특정시점에 염화비닐계 단량체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중합 개시 후 중합 전환율 5% 내지 90%인 시점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 개시 후 중합 전환율 5% 내지 20%인 시점 또는 중합 전환율 70% 내지 90%인 시점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 개시 후 중합 전환율 80% 내지 90%인 시점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특정시점에 첨가하여 중합 반응에 참여시킴으로써 중합 반응 말기 급격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반응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전술한 중합 전환율 시점 범위 내에서 중합에 사용되는 전량을 일괄적으로 첨가하거나, 특정비율로 분할투입하거나, 또는 연속투입할 수 있다.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vinyl chloride monomer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fter the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For example,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be add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5% to 90%. Specifically, the vegetable oil-based antifoaming agent may be added at a time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is 5% to 20% after polymerization initiation or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is 70% to 90%. More specifically, the vegetable oil- May be added at a point of time of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80% to 90% after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action stability by suppressing the rapid temperature rise at the end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by adding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at a specific time and participating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is excellent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can be produced. In this case,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be added all at once or all at once in a specific ratio, or may be added continuously in the range of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time point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합 전환율"은 염화비닐계 단량체가 중합체로 전환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장착한 부탄 트레이서(butane trac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정 중합 조건에서 조건 때마다 시간에 따른 염화비닐계 단량체와 부탄과의 비율에 따른 중합 전환율 곡선을 중합 조건 때마다 작성해 두고, 이를 근거로 하여 중합 조건에 따라 중합 전환율을 얻었다. 또한, 상기 중합 전환율은 측정에 따른 오차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term "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degree of conversion of a vinyl chloride monomer into a polymer, which may be measured using a butane tracer equipped with gas chromatography. Specifically, a polymerization conversion curve according to the ratio of vinyl chloride monomer to butane over time was prepared at each polymerization condition under a certain polymerization condition, and polymerization conversion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polymeriz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curve. 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may include an error range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또한, 상기 중합은 30℃ 내지 7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Further,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ranging from 30 ° C to 70 ° C.

한편,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방법 1 또는 방법 2를 통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Meanwhile,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specifically, it may be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 1 or 2.

이하, 상기 중합을 방법 1 또는 방법 2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olymeriza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Method 1 or Method 2.

방법 1Method 1

상기 중합은 제1 시드 및 제2 시드를 포함하는 시드 혼합물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반응 개시 후 특정 전환율 시점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adding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and a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to a seed mixture containing a first seed and a second seed,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At this time,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may be added at a specific conversion rate after the start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시드 혼합물은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결합력을 높이고, 최종 생성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에 바이모달(bimodal)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The seed mixture is used for enhancing the bonding force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imparting a bimodal effect to the finally produced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The seed mixture i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It can be used.

또한, 상기 시드 혼합물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1 시드 및 제2 시드를 적절한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예컨대 제1 시드 및 제2 시드를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시드는 평균입경(D50)이 0.5 ㎛ 내지 1.0 ㎛인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시드는 평균입경(D50)이 0.05 ㎛ 이상, 0.5 ㎛ 미만인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시드는 상대적으로 대구경을 갖는 입자이고, 상기 제2 시드는 상대적으로 소구경을 갖는 입자인 것일 수 있다. The seed mix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 first seed and a second seed at an appropriate weight ratio as desired. For example, the first seed and the second seed may b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1 to 5: 1 May include. Here, the first seed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0.5 μm to 1.0 μm, and the second seed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0.05 μm or more and less than 0.5 μm. That is, the first seed may be a particl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the second seed may be a particle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합은 상기 시드 혼합물 및 중합수가 혼합되어 있는 진공 반응기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투입하고 중합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 개시 후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은 5% 내지 90%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0%인 시점 또는 70% 내지 90%인 시점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90%인 시점인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by charging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nto a vacuum reactor in which the seed mixture and the polymerization water are mixed,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can be carried out after a specific polymerization And may be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t the conversion time point. The specific polymerization conversion time point may be 5% to 90%, specifically 5% to 20%, or 70% to 90%, more specifically 80% to 90% . ≪ / RTI >

또한, 상기 중합은 중합반응 중에 제1 유화제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 분자량 조절제, 전해질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while the first emulsifier is continuously added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f necessary, additives such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molecular weight adjuster, and an electrolyte may be further added.

예컨대, 상기 중합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수 7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 반응기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를 투입하고 30℃ 내지 70℃의 온도범위에서 중합을 개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에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에 참여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 후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제1 유화제를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중합 개시제,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의 전해질,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분자량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adding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to a vacuum reactor containing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ed water of 70 parts by weight to 120 parts by weight, The polymerization is initi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in an amount of 0.02 part by weight to 0.05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t a specific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0.7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emulsifier may be continuously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If necessary, 0.1 part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may be added. 1.5 parts by weigh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0.5 parts by weight to 2 parts by weight of an electrolyte, and 0.1 parts by weight to 1 part by weight of a molecular weight adjuster.

상기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수용성 중합 개시제 및 유용성 중합 개시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퍼옥시 카보네이트류, 퍼옥시 에스테르류 및 아조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합 개시제는 라우릴 퍼옥사이드(LPO),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 퍼옥시카보네이트(OPP), t-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one or more of a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oil-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roxycarbonates, peroxyesters and azo compounds can be used have. Specifically,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uryl peroxide (LPO), diisopropyl peroxy dicarbonate, di-2-ethylhexyl peroxycarbonate (OPP), t-butyl peroxypivalate, Neodecanoate, and 2,2-azobisisobutyronitril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제1 유화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라우릴 벤젠 술폰산,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에톡시레이티드 설페이트, 소듐 옥타데실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및 직쇄 알킬벤젠 설폰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emulsifi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lauryl sulfate, lauryl benzene sulfonate, alpha-olefin sulfonate, sodium lauryl ethoxylate sulfate, sodium octadecyl sulfate, sodium lauryl ether sulfate and straight chain alkyl benzene sulfonate It may be more than one kind selected.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n-부틸머캅탄, n-옥틸머캅탄,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등의 머캅탄류인 것일 수 있다.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mercaptans such as n-butyl mercaptan, n-octyl mercaptan, n-dodec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and the like.

상기 전해질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중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아황산수소칼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인산사칼륨, 피로인산사나트륨, 인산삼칼륨, 인산삼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The electroly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potassium chloride, sodium chloride, potassium bi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potassium hydrogen sulfite, sodium hydrogen sulfite, sodium pyrophosphate, sodium pyrophosphate, tripotassium phosphate, trisodium phosphate, Potassium, and disodium hydrogenphosphate.

한편, 상기 제1 시드 및 제2 시드는 각각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미세입자인 것으로, 서로 상이한 중합방법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평균입경을 갖도록 제조된 것일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eed and the second seed are microparticles prepared by polymerizing vinyl chloride monomers, respectively, and may be prepared to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as described above by different polymerization methods.

예컨대, 상기 제1 시드는 중합 반응기에 중합 개시제,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제1 유화제를 투입하고 균질화한 후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합수, 제2 유화제, 반응 억제제 및 분산제 등을 더 사용하여 유화중합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ed may be prepared by add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first emulsifier to a polymerization reactor, homogenizing the mixture, and then emulsifying and condensing the mixture. If necessary, the first seed may be a polymerization water, a second emulsifier, May be used to further perform emulsion polymerization.

상기 중합 개시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에 따라 제조되는 제1 시드의 평균입경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된 제1 시드의 평균입경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see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For example, as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crease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oduced first seed may decreas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1 유화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The first emulsifier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1 part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상기 균질화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0℃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온도에서 균질기를 사용하여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균질화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균질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rotor-stator 타입의 균질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homogenization may be performed by homogenizing for 1 hour to 3 hours using a homogenizer at a temperature of 20 DEG C or less, preferably 5 DEG C to 15 DEG C, 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At this time, the homogen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 one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For example, a rotor-stator type homogenizer can be used.

상기 제1 시드 제조를 위한 유화중합은 30℃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균질화 수행 온도에서 40℃ 내지 50℃를 승온하여 유화중합을 개시하고 5 시간 내지 15 시간 동안 유화중합을 진행시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emulsion polymerization for preparing the first see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0 ° C to 70 ° C. Specificall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ay be start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mogenization at 40 ° C to 50 ° C for 5 to 15 hours And then performing emulsion polymerization for a while.

또한, 상기 제2 시드는 중합 반응기에 중합 개시제, 제1 유화제 및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유화중합하여 제조하되, 중합 중에 제2 유화제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중합을 수행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합수를 더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seed may be prepared by add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first emulsifier, and a vinyl chloride monomer to a polymerization reactor and emulsifying and polymerizing the same, wherein the second seed is prepared by continuously carrying out polymerization while the second emulsifier is added during polymerization. , And the number of the polymerized water can be increased.

이때, 상기 제2 시드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수용성 중합 개시제인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과황산 칼륨, 과황산암모늄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second seed preparation may be a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and hydrogen peroxide.

상기 제2 시드 제조에 사용되는 제1 유화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화제의 사용량에 따라 제조된 제2 시드의 평균입경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유화제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제2 시드의 평균입경이 증가할 수 있다. The first emulsifier used for preparing the second see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part by weight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seed prepa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first emulsifier used Can be adjusted. For example, as the amount of the first emulsifier used increase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seed may be increased.

또한, 상기 제2 시드 제조에 사용되는 제2 유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 중에 반응기 내에 연속적으로 투입되며,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6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The second emulsifier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seed may be continuously fed into the reactor during polymerization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드 및 제2 시드에 사용된 제1 유화제 및 제2 유화제는 동일한 물질이거나, 상이한 물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제1 유화제와 같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ulsifier and the second emulsifier used in the first seed and the second seed may b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and the specific species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emulsifier described above.

방법 2Method 2

상기 중합은 수용성 중합 개시제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투입하여 중합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 개시 후 전술한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에 첨가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키는 것일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introducing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wherein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s added at the time of the above- . ≪ / RTI >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합은 제1 유화제 및 수용성 중합 개시제 및 중합수가 혼합되어 있는 진공 반응기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투입하고 중합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 개시 후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by charging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nto a vacuum reactor in which a first emulsifier, a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olymerization water are mixed,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The vegetable oil- And may be added at a specific polymerization conversion time point after initiation to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t this time, the specific polymerization conversion time point may b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중합은 중합반응 중에 제2 유화제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산제, 반응 억제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while the second emulsifier is continuously added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f necessary, an additive such as a dispersant or a reaction inhibitor may be added.

예컨대, 상기 중합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수 7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제1 유화제 0.01 중량부 내지 0.06 중량부 및 수용성 중합 개시제 0.006 중량부 내지 0.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 반응기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를 투입하고 30℃ 내지 70℃의 온도범위에서 중합을 개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중합 전환율 시점에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에 참여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 후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제2 유화제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in a vacuum reactor comprising 70 parts by weight to 12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water, 0.01 to 0.06 part by weight of the first emulsifier and 0.006 to 0.01 part by weight of a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is added to initiate polymerization at a temperature ranging from 30 to 70 DEG C, and 0.02 part by weight or more of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t the time of the above- And 0.05 part by weight of the monomer is added to the polymerization. After the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0.7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emulsifier may be continuously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상기 수용성 중합 개시제, 제1 유화제 및 제2 유화제는 방법 1에서 기술한 것과 같을 수 있다. The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first emulsifier, and the second emulsifier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method 1.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및 상기 플라스티졸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tisol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and a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plastisol.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티졸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100 중량부 및 가소제 4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산 희석제, 열안정제, 점도 저하제 및 발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astisol may include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and 40 to 120 parts by weight of the plasticizer. If necessary, additives such as a dispersion diluent, a heat stabilizer, a viscosity reducing agent and a foaming agent are further included can do.

본 발명에서 용어 "플라스티졸(plastisol)"은 가열에 의해 성형, 주형 혹은 연속 필름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수지와 가소제를 섞은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와 가소제를 혼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The term "plastisol"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mixture of a resin and a plasticizer so as to be processed into a molding, a mold or a continuous film by heating. For example, a paste in which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a plasticizer are mixed Lt; / RTI >

본 발명에서 용어 "가소제(plasticizer)"는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여 열가소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의 고온에서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기 첨가제 물질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The term "plasticizer "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rganic additive material which serves to improve moldability at high temperatures of the resin by adding thermoplastic resin to the thermoplastic resin.

상기 가소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lasticizers and additiv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ose customary in the art can be used.

또한, 상기 성형품은 플라스티졸을 이용하여 페이스트 가공하여 제조된 페이스트 성형품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Further, the molded article may be a paste molded product produced by pasting using a plastisol. The molded article may be manufactured using a plastisol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provided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1 One

교반기가 부착된 내부 용적이 1 m3인 반응기에 50℃의 중합수 100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0.018 중량부 및 과황산칼륨(KPS) 0.07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교반하면서 반응기에 진공을 걸었다. 진공상태의 반응기에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를 투입한 후 반응기 온도를 50℃로 승온시켜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개시 후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1.6 중량부를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중합 전환율 5%인 시점에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켰다.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은 상온의 물(25℃)에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넣고 150 rpm으로 교반시켜 제조하였으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규소 혼합물을 5 중량%로 포함하는 채종유였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은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가 되는 양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내부 압력이 3.5 K/G에 도달하면 반응기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반응을 종결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water at 50 캜, 0.018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and 0.07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KPS) were put into a reactor having an internal volume of 1 m 3 equipped with a stirrer, and the reactor was vacuumed while stirring.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was charged into a reactor in a vacuum state,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50 캜 to initiate polymerization. After the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1.6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was continuously added for 6 hours, and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5%.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was prepared by adding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to water (25 ° C) at room temperature and stirring at 150 rpm.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prepared by adding 5 wt% of a silicon mixture contain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0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Thereafte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eactor reached 3.5 K / 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measured and the reaction terminated to obtain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실시예Example 2 2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5 중량부가 되는 양이 되도록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Except that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0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 latex was obtained.

실시예Example 3 3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 전환율 50%인 시점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50% to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실시예Example 4 4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 전환율 85%인 시점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85% to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실시예Example 5 5

500 ℓ의 고압반응기에 50℃의 중합수 100 중량부 및 황산구리(II) 0.002 중량부, 제1 시드 4.5 중량부 및 제2 시드 1.6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기에 진공을 걸었다. 진공상태의 반응기에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를 투입한 후 반응기의 내부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중합을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시드는 평균입경 0.68 ㎛의 염화비닐 중합체 입자이고, 상기 제2 시드는 평균입경 0.12 ㎛의 염화비닐 중합체 입자이었다. 상기 중합 개시 후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0.9 중량부를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 전환율 5%인 시점에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켰다. 이때,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은 상온의 물(25℃)에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투입하고 150 rpm으로 교반시켜 제조한 것으로,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규소 혼합물을 5 중량%로 포함하는 채종유였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은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가 되는 양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내부 압력이 3.5 K/G에 도달하면 반응기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반응을 종결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water at 50 占 폚 and 0.002 parts by weight of copper sulfate (II), 4.5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seed and 1.6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seed were put in a 500 L high-pressure reactor and the reactor was vacuumed while stirring.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monomer was charged into a reactor in a vacuum state, and t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50 占 폚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this time, the first seed was vinyl chloride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68 mu m, and the second seed was vinyl chloride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2 mu m. After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0.9 weight part of sodium lauryl sulfate was continuously fed into the reactor for 6 hours, and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5%.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was prepared by adding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to water (25 ° C) at room temperature and stirring the mixture at 150 rpm.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prepared by adding a silicon mixture contain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to 5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0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Thereafte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eactor reached 3.5 K / 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measured and the reaction terminated to obtain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실시예Example 6 6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5 중량부가 되는 양이 되도록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0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 latex was obtained.

실시예Example 7 7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 전환율 50%인 시점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50% to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실시예Example 8 8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 전환율 85%인 시점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85% to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교반기가 부착된 내부 용적이 1 m3인 반응기에 50℃의 중합수 100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0.018 중량부 및 과황산칼륨(KPS) 0.07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교반하면서 반응기에 진공을 걸었다. 진공상태의 반응기에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를 투입한 후 반응기 온도를 50℃로 승온시켜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개시 후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1.6 중량부를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켰다. 이후, 반응기의 내부 압력이 3.5 K/G에 도달하면 반응을 종결하고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water at 50 캜, 0.018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and 0.07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KPS) were put into a reactor having an internal volume of 1 m 3 equipped with a stirrer, and the reactor was vacuumed while stirring.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was charged into a reactor in a vacuum state,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50 캜 to initiate polymerization. After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1.6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was added continuously for 6 hours to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reafte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eactor reached 3.5 K / G, the reaction was terminated and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500 ℓ의 고압반응기에 50℃의 중합수 100 중량부 및 황산구리(II) 0.002 중량부, 제1 시드 4.5 중량부 및 제2 시드 1.6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기에 진공을 걸었다. 진공상태의 반응기에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를 투입한 후 반응기의 내부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중합을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시드는 평균입경 0.68 ㎛의 염화비닐 중합체 입자이고, 상기 제2 시드는 평균입경 0.12 ㎛의 염화비닐 중합체 입자였다. 상기 중합 개시 후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0.9 중량부를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에 참여시켰다. 이후, 반응기의 내부 압력이 3.5 K/G에 도달하면 반응기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반응을 종결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water at 50 占 폚 and 0.002 parts by weight of copper sulfate (II), 4.5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seed and 1.6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seed were put in a 500 L high-pressure reactor and the reactor was vacuumed while stirring.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monomer was charged into a reactor in a vacuum state, and t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50 占 폚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this time, the first seed was vinyl chloride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68 mu m, and the second seed was vinyl chloride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2 mu m. After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0.9 part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was continuously fed into the reactor for 6 hours to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reafte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eactor reached 3.5 K / 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measured and the reaction terminated to obtain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대신에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lydimethylsiloxane was used in place of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대신에 FoamStar® A10(Cognis 社)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A vinyl chloride typ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FoamStar ® A10 (Cognis) was used instead of the vegetable oil type defoaming agen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가 되는 양이 되도록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01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 latex was obtain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6 6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가 되는 양이 되도록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1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 latex was obtain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7 7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 개시 전에 투입하고 중합을개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er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prior to the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and polymerization was start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8 8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반응 종료 후에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after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9 9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가 되는 양이 되도록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01 part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 latex was obtain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0 10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을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가 되는 양이 되도록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us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was 0.1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 latex was obtain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1 11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 개시 전에 투입하고 중합을개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before the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and polymerization was start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2 12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5.6% w/w)를 중합반응 종료 후에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5.6% w / w) was added after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실시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 사용된 소포제 분산액의 분산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 제조 직후(혼합 직후), 30분 방치 후 및 100 분 방치 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ispersibility of the defoamer dispersion used in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changes were observed immediately after the preparation (immediately after mixing), after 30 minutes of standing, and after 100 minutes of standing.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분산액은 물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방치 후에도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Fig. 1,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dispersion of Example 1 including the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d excellent dispersibility in water and was uniformly dispersed without causing layer separation even after being left for a long time Respectively.

반면에, 종래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상업화된 FoamStar® A10을 포함하는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소포제 분산액은 방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층분리가 일어났으며, 특히 FoamStar® A10은 방치 30분 후부터는 층분리가 눈에 띄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foamer dispersions of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which include the conventionally known polydimethylsiloxane and the commercialized FoamStar ® A10, layer separation occurred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in particular, FoamStar ® A10 was neglected After 30 minu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layer separation occurred conspicuousl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12에서 제조한 각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내 소포제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라텍스의 거품 발생 억제 정도 및 반응 안정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content of defoamer in each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prepared in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2 was measured and the degree of inhibition of bubble formation and the stability of reaction of the latex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내 소포제의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 Liquid chromatography)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건조하여 각각 분말상태로 제조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tetrahydrofuran) 용액 100 중량부에 상기 각 염화비닐 중합체 분말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녹인 뒤, 메탄올을 사용하여 상등액을 추출하고 여과하여 각각 분석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각 분석시료를 Aquilty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ters 社) 장치 및 Xevo G2-S QTof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The content of defoamer in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was measured by liquid chromatography (LC) analysis. Specifically, each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was dried to prepare a powder, and 1 part by weight of each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powders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tetrahydrofuran (THF) solution. The resulting mixture was dissolv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supernatant was extracted and filtered to prepare analytical samples, respectively. Each prepared analytical sample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an Aquilty UPLC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ters) apparatus and a Xevo G2-S QTof mass spectrometer.

또한, 상기 거품 발생 억제 정도는 상기 각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1 L를 비커에 넣고 기포 발생기를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고 부피 증가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기포는 기포 발생기로 공기량을 10 L/min로 주입하고 주입 5분이 되는 시점에 부피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거품 발생 억제 정도 평가는 5점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구체적인 평가기준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degree of inhibition of foaming was evaluated by placing 1 L of each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into a beaker, generating bubbles by using a bubble generator, measuring the volume increase rate. At this time, the air bubble was injected into the bubble generator at an air flow rate of 10 L / min, and the volume increase rate was measured at 5 minutes after the injection. The foam inhibition degree evaluation was evaluated by a five-point method, and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are shown in Table 1 below.

또한, 상기 반응 안정성은 중합 반응 종결 전 측정한 반응기 내부 온도를 비교하였다.In addition, the above reaction stability was compared wit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measured before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폼 레벨Foam level 부피 증가율
(라텍스 투입량 대비 거품 발생량)
Volume increase rate
(Amount of bubble generated per latex input)
1(매우 우수)1 (very good) 10 이상 20 미만10 to less than 20 2(우수)2 (excellent) 20 이상 40 미만20 to less than 40 3(보통)3 (usually) 40 이상 50 미만40 to less than 50 4(열세)4 (thirteen) 50 이상 100 미만50 to less than 100 5(매우 열세)5 (very poor) 100 이상100 or more

구분division 소포제 함량(중량부)Defoaming agent content (parts by weight) 거품 발생 억제 정도(점)Bubble generation inhibition (point) 반응 안정성(℃)Reaction stability (캜) 실시예 1Example 1 0.020.02 33 7575 실시예 2Example 2 0.050.05 22 6868 실시예 3Example 3 0.020.02 22 7070 실시예 4Example 4 0.020.02 1One 6262 실시예 5Example 5 0.020.02 33 7171 실시예 6Example 6 0.050.05 22 6464 실시예 7Example 7 0.020.02 22 6565 실시예 8Example 8 0.020.02 1One 585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 55 858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 55 757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020.02 44 838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0.020.02 44 8585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0.010.01 55 858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0.10.1 22 6464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0.020.02 55 8282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0.020.02 1One 8383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0.010.01 55 7373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0.10.1 22 6565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0.020.02 55 7272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0.020.02 1One 787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2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대비 거품 발생이 적고 반응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반응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반응 말기 온도상승이 적어 중합 반응 시 온도와의 차이가 적음을 나타내고 제조된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중합 반응 이후에 수행되는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내에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한 잔류 단량체 스트리핑(stripping) 단계에서 잔류 단량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에 최종 성형품 제조에 적용하여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As shown in Table 2,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Examples 1 to 8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less foaming than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12 and had excellent reaction stability Respectively. Here, the term "excellent in the reaction stability" means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prepared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is small, because the temperature rise at the end of the reaction is small at the end of the reaction. As a result, The residual monomers can be easily removed in the residual monomer stripping step for removing the unreacted monomers in the vinyl polymer latex and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final molded product to ensure excellent storage stability.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각각이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대비 거품 발생 정도가 적으면서 반응 안정성이 크게 우수하였다.Specifically, each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Example 1 and Example 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 foam generation rate lower than that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produced without using a defoaming agent And the reaction stability was excellent.

또한,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포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의 경우,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 대비 거품 발생 정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반응 안정성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실시예 1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와 비교해서는 거품 발생도 증가하고, 반응 안정성도 크게 감소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which were produced by using conventional antifoaming agents, the degree of foaming was somewhat reduced compared to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no defoaming agent was used ,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eaction stability was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of Example 1, foaming was increased and the reaction stability was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소포제 함유량보다 더 적게 포함하는 비교예 5 및 비교예 9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는 각각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와 동등한 수준으로 거품이 발생되고 반응 말기 온도상승이 일어났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소포제 함량보다 적은 양의 소포제는 포함하는 경우에는 거품 발생 억제 및 반응 안정성에 유효한 효과를 낼 수 없음을 의미한다.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Comparative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9, which contained less than the defoame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the same level as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Bubbles were generated and the end-of-reaction temperature rose. This means that when the antifoam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 antifoaming agen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not have an effective effect on the foaming suppression and the reaction stability.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소포제 함유량보다 더 많게 포함하는 비교예 6 및 비교예 10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의 경우에는 각각 실시예 2 및 실시예 6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와 동등한 수준으로 우수한 거품 발생 정도 및 반응 안정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소포제 사용량 대비 거품 발생 억제 및 반응 말기 온도상승 억제 효과는 미미하고, 오히려 과량의 소포제 포함으로 인하여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시 점도 상승으로 가공성이 저하되고, 제조된 성형품에 핀홀을 발생시켜 표면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Comparative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10 which contained more than the defoame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foaming was as high as that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of Example 2 and Example 6 However,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foaming and the end-of-reaction temperature rise is in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amount of the defoaming agent used, and rather, due to the excessive defoaming agent, the viscosity is increased due to the viscosity increase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molded article us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There arises a problem that pinholes are generated in the produced molded article to lower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us the practical application is limited.

또한,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함에 있어 소포제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투입시점이 아닌 중합 개시 전에 투입하여 제조된 비교예 7 및 비교예 11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는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각각 중합 전환율 5%인 시점에 소포제 투입) 대비 거품 발생이 증가하고 반응 말기 온도상승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반면, 소포제를 중합 완료 후에 투입하여 제조된 비교예 8 및 비교예 12의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의 경우에는 거품 발생 억제 효과는 우수하였으나, 중합 반응 종료 후 투입함으로써 반응 말기 온도상승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여 제조된 라텍스의 안정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저장 가공성이 낮은 문제가 있어 실질적인 성형품 제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In prepar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of Comparative Example 7 and Comparative Example 11 prepared by adding the defoamer before the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not at the time of introduc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Foam generat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each time the defoaming agent was add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5%),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at the end of the reaction was not exhibited. On the other hand, the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of Comparative Example 8 and Comparative Example 12 prepared by adding the defoamer after completion of polymerization had an excellent foam inhibiting effect. Howev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stability of the latex was poor, and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orage processability was low.

Claims (14)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 100 중량부; 및
상기 유래단위 100 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의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규소계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monomer-derived units; And
0.0 > 0.05 < / RTI > parts by weight of a vegetable oil-based antifoam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erived unit,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comprises a silicon-based mixture comprising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채종유(rapeseed oil)을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comprises rapeseed oi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계 혼합물을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antifoaming agent comprises 1 to 10% by weight of a silicon-based mix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1 ㎛ 내지 2 ㎛의 평균입경(D50)을 갖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licon particles and the siloxane particles independentl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1 to 2 μm.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규소계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규소계 혼합물은 규소 입자 및 실록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0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0.02 part by weight to 0.05 part by weight of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ncludes a silicon-based mixture,
The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late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licon-based mixture comprises silicon particles and siloxane particle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반응 개시 후 5% 내지 90%인 시점에 투입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s introduced at a time point of 5 to 90% after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반응 개시 후 5% 내지 20%인 시점 또는 70% 내지 90%인 시점에 투입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s added at a time point of 5% to 20% or 70% to 90% after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는 중합반응 개시 후 80% 내지 90%인 시점에 투입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getable oil-based antifoaming agent is introduced at a time point of 80 to 90% after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제1 시드 및 제2 시드를 포함하는 시드 혼합물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투입하고 중합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charging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and a vegetable oil-based defoaming agent into a seed mixture containing a first seed and a second seed,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드 혼합물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ed mixture is us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드 혼합물은 제1 시드 및 제2 시드를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ed mixture contains the first seed and the second seed at a weight ratio of 1: 1 to 5: 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드는 평균입경(D50)이 0.5 ㎛ 내지 1.0 ㎛인 것이고,
상기 제2 시드는 평균입경(D50)이 0.05 ㎛ 이상, 0.5 ㎛ 미만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seed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0.5 탆 to 1.0 탆,
Wherein the second seed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0.05 탆 or more and less than 0.5 탆.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수용성 중합 개시제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를 투입하여 중합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introducing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egetable oil defoaming agent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30℃ 내지 7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in a temperature range of from 30 캜 to 70 캜.
KR1020160130914A 2016-10-10 2016-10-10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05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914A KR102105040B1 (en) 2016-10-10 2016-10-10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914A KR102105040B1 (en) 2016-10-10 2016-10-10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20A true KR20180039520A (en) 2018-04-18
KR102105040B1 KR102105040B1 (en) 2020-04-27

Family

ID=6208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914A KR102105040B1 (en) 2016-10-10 2016-10-10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0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301A (en) 1999-12-10 2003-05-13 エムビー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Solubilized defoamer for cement composition
JP2013128887A (en) * 2011-12-21 2013-07-04 San Nopco Ltd Defoaming agent
US20140142020A1 (en) * 2011-06-29 2014-05-22 Nanjing Sixin Scientific-Technological Application Research Institute Co. Ltd. Particle defoamer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20150031689A (en)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Post-polymerization deforming agent for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and method for polymerizing vinyl chloride res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301A (en) 1999-12-10 2003-05-13 エムビー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Solubilized defoamer for cement composition
US20140142020A1 (en) * 2011-06-29 2014-05-22 Nanjing Sixin Scientific-Technological Application Research Institute Co. Ltd. Particle defoamer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2013128887A (en) * 2011-12-21 2013-07-04 San Nopco Ltd Defoaming agent
KR20150031689A (en)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Post-polymerization deforming agent for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and method for polymerizing vinyl chloride re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040B1 (en)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36B1 (en) Vinyl chlorid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80049974A (en) Method for preparing paste vinylchloride resin for glove
KR102004734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vinylchloride
KR20160058567A (en) Paste vinyl chloride resi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US10040878B2 (en) Vinyl chlorid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614547B (en) Vinyl chloride-based polymer,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plastisol comprising same
KR20180039520A (en)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524522B1 (en) Preparation method of vinyl chloride-based polymer
KR102345310B1 (en) Vinyl chlorid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18075B1 (en) Vinyl chloride 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vinyl chloride polymer composition
JP7123176B2 (en) Vinyl chloride polymer and its production method
CN112272678B (en) Process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polymer
KR102132753B1 (en) Vinyl chlorid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755079B1 (en) Vinyl chloride polymer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7105923B2 (en) Vinyl chloride polymer polymeriz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polymer using the same
KR102304735B1 (en) Polyvinyl chloride and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256929B1 (en) A method for preparing vinyl chloride based polymer
KR102527752B1 (en) Preparing method of vinyl chloride based polymer
KR20190046325A (en) Vinyl chloride polym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sol comprising the same
KR20190011514A (en) Preparation method of polyvinyl chloride
KR102564409B1 (en) A method for preparing vinyl chloride based polymer
KR20210038233A (en)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65160B1 (en) Vinyl chloride resin plastiso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produced from the same
KR20190011513A (en) Vinyl chlorid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54256A (en) Method for preparing vinyl chloride 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