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399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399A
KR20180039399A KR1020160130651A KR20160130651A KR20180039399A KR 20180039399 A KR20180039399 A KR 20180039399A KR 1020160130651 A KR1020160130651 A KR 1020160130651A KR 20160130651 A KR20160130651 A KR 20160130651A KR 20180039399 A KR20180039399 A KR 2018003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level
parallel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범
강석훈
김봉수
김수홍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9399A/ko
Priority to US15/673,537 priority patent/US10348443B2/en
Publication of KR2018003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8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2Line-of-sight transmission over an extended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24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allocation is indicated by an address the different channels being transmitted sequentially
    • H04J3/242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allocation is indicated by an address the different channels being transmitted sequentially the frames being of variabl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62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0Arrangements for reducing cross-talk between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을 시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킷을 생성하여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보드 및 제1 보드로부터 직렬 데이터가 수신되면, 각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을 판단하여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보드를 포함하며, 제1 보드는, 각 시간에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로 변환하여,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킷 구분자 및 복수의 시분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직렬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TV,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전자 기기들은 소비자의 디테일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수많은 데이터를 내부에서 처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 내부에서 보드간 복수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보드 간 복수의 데이터를 병렬 케이블에 의해 송수신할 경우에는 전송 속도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케이블링이 발생할 수 있고, 어떤 회선의 신호가 다른 회선으로 흘러 들어가는 크로스 토크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렬 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직렬 데이터로 전송 후 다시 병렬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병렬 데이터의 각 라인을 규정할 수 있는 구분자가 필요하다.
한편, 종래에는 각 라인을 규정하는 구분자로 헤더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복원함에 있어서 헤더 코드 해석에 의한 딜레이 타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변환된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복원함에 있어서, 각 데이터 라인을 딜레이 타임 없이 즉시 복원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렬 데이터에 포함된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진 신호에 기초하여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복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을 시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보드; 및 상기 제1 보드로부터 직렬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각 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직렬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드는, 상기 각 시간에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보드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하이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제1신호로 변환하고, 로우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2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킷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보드는, 상기 패킷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드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패킷에 포함된 신호 중 제1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1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고, 제2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2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보드는, 광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보드는, 광 통신을 통해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보드는, 광 통신을 통해 상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을 시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직렬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각 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직렬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시간에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하이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제1신호로 변환하고, 로우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2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킷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패킷에 포함된 신호 중 제1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1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고, 제2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2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렬 데이터의 송수신은, 광 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포토 디텍터를 이용하여 광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드 간 전송된 직렬 데이터를 딜레이 타임 없이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킷에 포함된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분할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분할된 데이터를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로 변환하고, 제3 신호를 부가하여 생성된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여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제1 보드(100) 및 제2 보드(200)를 포함한다.
제1 보드(100)는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2 보드(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는 제1 보드(100) 내부에 존재하는 소자에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전자 장치 내부의 다른 보드로부터 제1 보드(100)에 전송된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가 제1 보드(100) 내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먼저, 제1 보드(100)는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을 시분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드(100)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시분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슬롯으로 분할하는 방식으로서, 이에 따라 제1 보드(100)는 하나의 전송 통신로를 복수의 채널로 다중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드(100)는 일정한 시간 구간으로 분할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성되는 각 패킷에는 시분할된 데이터의 레벨, 즉 하이(high)레벨 또는 로우(Low)레벨에 따라서 변환된 신호 및 패킷 구분자를 나타내는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이 후, 제1 보드(100)는 생성한 복수의 패킷을 연결함으로써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고, 변환한 직렬 데이터를 제2 보드(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보드(100)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드(100)는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통해서 직렬 데이터를 제2 보드(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통신에 이용되는 광신호는 적외선 대역에서 가시광선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드(200)는 제1 보드(100)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먼저, 제2 보드는 제1 보드(100)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보드(200)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드(200)는 포토 디텍터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통해서 직렬 데이터를 제1 보드(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통신에 이용되는 광신호는 적외선 대역에서 가시광선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제2 보드(200)는 직렬 데이터가 수신되면,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보드(200)는 직렬 데이터에 포함된 패킷을 분석하고, 패킷에 포함된 패킷 구분자를 이용하여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드(200)는 패킷 구분자의 신호를 이용하여 각 패킷을 구분하고, 시분할된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보드 및 제2 보드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에만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보드 내부에 존재하는 제1 칩 및 제2 칩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드(100)는 송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송신부(110)는 제1 보드(100)에 위치한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2 보드(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부(110)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00)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부(100)는 광통신을 통해서 제1 보드(100)에 위치한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2 보드(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통신에 이용되는 광신호는 적외선 대역에서 가시광선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통신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일 예에 해당할 뿐, 그 외 전기적인 회선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20)는 제1 보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고, 제1 보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보드(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시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별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성되는 패킷에는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시분할된 데이터를 각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로 변환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시분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레벨이 하이 레벨이면 제1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레벨이 로우 레벨이면 제2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킷 구분자를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에 각각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제1, 제2 및 제3 신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시분할 된 데이터가 변환된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각 라인의 데이터에 있어서, 데이터의 레벨이 하이(High)이면 데이터를 제1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데이터의 레벨이 로우(Law)이면 데이터를 제2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신호는 패킷 구분자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러한,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는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진다. 여기서, 서로 다른 펄스폭은 하이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로우를 유지하는 시간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로우를 유지하는 시간을 다르게 조정하여 제1 신호(210), 제2 신호(220) 및 제3 신호(230)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의 레벨이 하이일 때 변환되는 제1 신호(310)는 프로세서(120)가 일정한 시간 구간(t(cyc))에서 로우를 유지하는 시간을 50(nsec)(t(D1))으로 설정한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의 레벨이 로우일 때 변환되는 제2 신호(320)는 프로세서(120)가 일정한 시간 구간(t(cyc))에서 로우를 유지하는 시간을 100(nsec)(t(D2))으로 설정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패킷 구분자를 나타내는 제3 신호(330)는 프로세서(120)가 일정한 시간 구간(t(cyc))에서 로우를 유지하는 시간을 150(nsec)(t(H))으로 설정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킷에는 패킷 구분자를 나타내는 제3 신호(330)와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나타내는 제1 신호(310) 또는 제2 신호(320)가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진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신호(310), 제2 신호(320) 및 제3 신호(330)에 기초하여,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분할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 제1 보드(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시분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병렬 데이터(410, 420, …,430)를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간 구간 t(cyc)별로 시분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410, 420,…,430)는 펄스 폭이 변조된 12 라인의 디밍 신호(PWM Dimming Signal)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복수의 병렬 데이터는 8 라인, 12 라인, 16 라인 또는 24 라인 등의 신호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410, 420,…,430)가 12 라인의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시분할된 데이터의 레벨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0에서 t1구간에서 제1 라인의 데이터(410)의 레벨을 로우로 분석할 수 있고, 제2 라인의 데이터(420)의 레벨을 로우로 분석할 수 있으며,…, 제12 라인의 데이터(430)의 레벨을 로우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t1에서 t2구간에서 제1 라인의 데이터(410)의 레벨을 하이로 분석할 수 있고, 제2 라인의 데이터(420)의 레벨을 하이로 분석할 수 있으며,…, 제12라인의 데이터(430)의 레벨을 하이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t2에서 t3구간에서 제1 라인의 데이터(410)의 레벨을 로우로 분석할 수 있고, 제2 라인의 데이터(420)의 레벨을 하이로 분석할 수 있으며,…, 제12라인의 데이터(430)의 레벨을 하이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분석한 시분할된 데이터의 레벨에 기초하여 시분할된 데이터를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로 변환하고, 패킷구분자를 나타내는 제3신호가 부가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분할된 데이터를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로 변환하고, 제3 신호를 부가하여 생성된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0에서 t1구간에서 제1 라인의 데이터(410)의 레벨은 로우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2 신호(511)로 변환할 수 있고, 제2 라인의 데이터(420)의 레벨도 로우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2 신호(512)로 변환할 수 있으며, …, 제12 라인의 데이터(430)의 레벨도 로우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2 신호(513)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방법으로 변환된 신호를 제1 라인부터 제12 라인까지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제1 패킷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패킷 구분자를 나타내는 신호로써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는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제3 신호(510)를, 제1패킷이 시작하는 구간에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t1에서 t2구간에서 제1 라인의 데이터(410)의 레벨은 하이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1 신호(521)로 변환할 수 있고, 제2 라인의 데이터(420)의 레벨도 하이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1 신호(522)로 변환할 수 있으며,…, 제12 라인의 데이터(430)의 레벨도 하이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1 신호(523)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방법으로 변환된 신호를 제1 라인부터 제 12라인까지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제2 패킷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패킷 구분자를 나타내는 신호로써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는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제3 신호(52)를, 제2패킷이 시작하는 구간에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t2에서 t3구간에서 제1 라인의 데이터(410)의 레벨은 로우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2 신호(531)로 변환할 수 있고, 제2 라인의 데이터(420)의 레벨은 하이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1 신호(532)로 변환할 수 있으며, …, 제12라인의 데이터(430)의 레벨은 하이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제1 신호(533)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방법으로 변환된 신호를 제1 라인부터 제 12라인까지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제3 패킷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패킷 구분자를 나타내는 신호로써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는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제3 신호(530)를, 제3패킷이 시작하는 구간에 부가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여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여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방법으로 생성된 복수의 패킷을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렬 데이터의 0에서 td구간의 데이터는, 12 라인의 병렬 데이터에 있어서 0에서 t1구간의 시분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이고, 제1 패킷 다음으로 연결되는 패킷은 제2 패킷이며,…,그 다음으로 연결되는 패킷은 제n 패킷이 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제1 패킷부터 제n 패킷까지 각 패킷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보드(200)는 수신부(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제1 보드(2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수신부(210)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드(200)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드(200)는 포토 디텍터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통해서 직렬 데이터를 제1 보드(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통신에 이용되는 광신호는 적외선 대역에서 가시광선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통신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은 일 예에 해당할 뿐, 그 외 전기적인 회선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220)는 제2 보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고, 제2 보드(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1 보드(100)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수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2 보드(200)가 제1 보드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면, 프로세서(220)는 각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을 판단하여,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제2 보드(200)가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시분할된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패킷, 제2 패킷 및 제3 패킷 등을 포함하는 직렬 데이터가 제2 보드로 수신된다.
먼저, 프로세서(220)는 수신한 직렬 데이터에 포함된 패킷 구분자를 이용하여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직렬 데이터에 포함된 패킷을 분석함에 있어서, 시분할된 시간 단위(t1)별로 패킷에 포함된 신호를 분석하고, 제3 신호가 분석될 경우 새로운 패킷이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킷부터 제n 패킷까지의 각 패킷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직렬 데이터를 분석함에 있어서, 프로세서(220)는 처음에 0에서 ta구간의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0에서 ta 구간의 신호가 제3 신호이므로 제1 패킷이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220)는 직렬 데이터에 포함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제3 신호 다음으로 분석되는 신호를 제1 패킷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0에서 t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1 라인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제3 신호 다음으로 분석되는 시간 구간을 제1 시간 구간(ta 에서 tb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1 시간 구간의 신호가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1 라인의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제1 시간 구간 다음으로 분석되는 시간 구간을 제2 시간 구간(tb 에서 tc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2 시간 구간의 신호가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2 라인의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프로세서(220)는 각 시간 구간마다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가 제1 신호인지 또는 제2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복수의 병렬 데이터의 각 라인의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각 시간 구간에서 판단한 데이터의 레벨에 기초하여,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제1 시간 구간(ta 에서 tb 구간)의 신호는 제2 신호이므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로우 데이터를 제1 라인(810)에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2 시간 구간(tb 에서 tc 구간)의 신호는 제2 신호이므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로우 데이터를 제2 라인(811)에 복원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프로세서(220)는 t1 구간별로 각 시간 구간의 신호를 분석하여 하이 또는 로우 데이터를 해당 라인에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순차적으로 직렬 데이터에 포함된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시 제3 신호가 분석되면, 제1 패킷 다음에 연결된 제2 패킷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3 신호 다음으로 분석되는 신호를 제2 패킷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t1 에서 t2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1 라인의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신호로 판단될 경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을 제2 패킷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t1 에서 t2 구간)의 제1 라인(820)에 복원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프로세서(220)는 t1 구간별로 각 시간 구간의 신호를 분석하여 하이 또는 로우 데이터를 해당 라인에 복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제1 보드(100)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보드(200)는 일반적인 헤더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와 달리, 1번 데이터 라인부터 딜레이 타임 없이 시분할된 복수의 병렬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즉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1 보드는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시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킷을 생성하여 변환한 직렬 데이터를 제2 보드로 송신한다(S910).
여기에서, 생성된 패킷은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판단하기 위한 패킷 구분자를 나타내는 제3 신호를 포함하고,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변환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제2 보드는 수신한 직렬 데이터에서 각 시간 구간의 병렬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하고 직렬 데이터를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한다(S920).
구체적으로, 제3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패킷을 식별하고,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이용하여 직렬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가 복수의 병렬 데이터에 있어서 하이 레벨을 가진 데이터인지 로우 레벨을 가진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이용하여 직렬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복원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전자 장치
100: 제1 보드
200: 제2 보드

Claims (1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을 시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보드; 및
    상기 제1 보드로부터 직렬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각 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직렬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드는,
    상기 각 시간에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하이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제1신호로 변환하고, 로우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2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킷 구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드는,
    상기 패킷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드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패킷에 포함된 신호 중 제1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1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하고, 제2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2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드는, 광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드는, 광 통신을 통해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드는, 광 통신을 통해 상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을 시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직렬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각 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직렬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시간에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각각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하이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제1신호로 변환하고, 로우 레벨을 갖는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2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킷 각각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킷 구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패킷에 포함된 신호 중 제1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1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하고, 제2 시간 구간의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병렬 데이터 중 제2 데이터의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의 송수신은, 광 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것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포토 디텍터를 이용하여 광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130651A 2016-10-10 2016-10-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9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51A KR20180039399A (ko) 2016-10-10 2016-10-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673,537 US10348443B2 (en) 2016-10-10 2017-08-1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51A KR20180039399A (ko) 2016-10-10 2016-10-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99A true KR20180039399A (ko) 2018-04-18

Family

ID=6183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651A KR20180039399A (ko) 2016-10-10 2016-10-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48443B2 (ko)
KR (1) KR20180039399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8995A1 (en) 2009-03-06 2010-09-09 Jacobus William E Universal Serial Bus Data Encryption Device with the Encryption Key Delivered by any Infrared Remote Handheld Controller where the Encryption Key is Unreadable by the Attached Computer System
KR20130135450A (ko) 2012-06-0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JP5908167B2 (ja) 2013-05-02 201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親局装置、子局装置、光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帯域割当方法
JP2015197365A (ja) 2014-04-01 2015-11-09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テストシステム
KR101530491B1 (ko) 2014-08-18 2015-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칩 간 무선 전송을 위한 무선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2867A1 (en) 2018-04-12
US10348443B2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5019B2 (en) Digital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for adjusting multi-channel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JP4690854B2 (ja) ソース同期サンプリング方法
JP3387379B2 (ja) パラレルデータスキュー検出回路
CN105578585B (zh) 一种确定链路延时的方法、装置和通信设备
CN109239576B (zh) 一种高速光通信芯片测试系统及方法
KR20130038331A (ko) 수신 장치, 데이터 식별 재생 장치, pon 시스템 및 데이터 식별 재생 방법
US20200110682A1 (en) Microcontroller and method for modifying a transmission signal
CN104768050A (zh) 音视频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684328A (zh) 用于通过数据偏置进行导频音调制的系统和方法
EP1437855B1 (e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n eye diagram of a digital signal
US9354274B2 (en) Circuit test system electric element memory control chip under different test modes
EP3072249B1 (en) Data serializer
KR20180039399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874593A (zh) 数字电子装置设计调整方法以及服务器
CA2357193A1 (en) Seralised test of parallel optical module
US20180138985A1 (en) System and method of de-skewing electrical signals
US9571704B2 (en) Signal multiplex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apparatus
CN104981990A (zh) 检测上行光信号的功率的方法、装置、光线路终端和光网络系统
EP3188423B1 (en) Frame reception monitoring method in serial communications
CN112994871A (zh) 一种同步机级联多通道同步输出装置及方法
US20140314163A1 (en)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WO2023207998A1 (zh) 旁链路sl上的资源选择方法、终端
JP2004015243A (ja) 光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
CN112765065B (zh) 主从系统及其数据传输方法
KR20180096721A (ko) 다중 레이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