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023A -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023A
KR20180039023A KR1020177036881A KR20177036881A KR20180039023A KR 20180039023 A KR20180039023 A KR 20180039023A KR 1020177036881 A KR1020177036881 A KR 1020177036881A KR 20177036881 A KR20177036881 A KR 20177036881A KR 20180039023 A KR20180039023 A KR 20180039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formation
physical layer
ptp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052B1 (ko
Inventor
라클란 브루스 마이클
가즈유키 다카하시
사토시 오카다
유이치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format, e.g. an encoded audi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4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g. by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4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unidirectional time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7Bidirectional timestamps, e.g. NTP or PTP for compensation of clock drift and for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신 장치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시각 정보를,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출력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IP 전송 방식에 대응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본 기술은,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 방송 규격의 하나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주로, TS(Transport Stream) 패킷이 아니라, UDP/IP, 즉, UDP(User Datagram Protocol) 패킷을 포함하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사용하는 방식(이하, IP 전송 방식이라고 한다)이 채용되는 것이 결정되어 있다. 또한, ATSC3.0 이외의 방송 방식에서도, 장래적으로, IP 전송 방식이 채용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TS를 방송하는 경우에는,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동기를 취하기 위한 시각 정보로서, PCR(Program Clock Reference)이 전송된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ARIB STD-B44 2.0판 일반 사단 법인 전파 산업회
그런데, IP 전송 방식에 있어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동기를 취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제안이 요청되고 있었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수신 장치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변환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일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가 취득되고,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가,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상기 시각 정보가, 상기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출력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수신 장치의 복조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물리층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송신 장치의 변조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시각 정보와 그 메타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PTP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UTC 메타데이터의 신택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윤초가 삽입되는 경우의 시각의 조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윤초가 삭제되는 경우의 시각의 조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ALP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패킷 타입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ALP 패킷의 시그널링으로서 시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ALP 패킷에 있어서의 ALP 헤더와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IP/UDP 패킷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 형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통상의 수신 장치의 경우의 복조 LSI와 메인 SoC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2의 수신 장치의 경우의 복조 LSI와 메인 SoC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시각 정보 형식 변환 출력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시스템의 구성
2.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의 전송
3.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에 전송되는 시각 정보의 형식의 변환
4.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의 출력 타이밍
5. 수신측의 처리의 흐름
6. 컴퓨터의 구성
<1. 시스템의 구성>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을 말한다.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1)은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로 구성된다. 이 전송 시스템(1)에서는, ATSC3.0 등의 IP 전송 방식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의 규격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송신 장치(10)는 전송로(30)를 통하여 콘텐츠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컴포넌트)과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전송로(30)를 통하여 송신한다.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컴포넌트)과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영상이나 음성을 재생한다.
또한,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전송로(30)는 지상파 방송 이외에, 예를 들어, 방송 위성이나 통신 위성을 이용한 위성 방송, 또는, 케이블을 사용한 유선 방송(CATV) 등이어도 된다.
(수신 장치의 구성예)
도 2는, 도 1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하여 송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되어서 처리됨으로써,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가 재생된다. 도 2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제어부(201), RF부(202), 복조부(203), 처리부(204) 및 출력부(205)로 구성된다.
제어부(201)는 수신 장치(20)의 각 부 동작을 제어한다.
RF부(202)는 안테나(211)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RF(Radio Frequency)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고, 복조부(203)에 공급한다. 또한, RF부(202)는 예를 들어, RF IC로서 구성된다.
복조부(203)는 RF부(20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대한 복조 처리(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조 등)를 행한다. 또한, 복조부(203)는 복조 처리에서 얻어지는 복조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고, 그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신호를, 처리부(204)에 공급한다. 또한, 복조부(203)는 예를 들어, 복조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구성된다.
처리부(204)는 복조부(20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대한 처리(예를 들어 복호 처리 등)를 행하고, 그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데이터를, 출력부(205)에 공급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예를 들어, 메인 SoC(System on Chip)로서 구성된다. 즉, 복조 LSI로서의 복조부(203)와, 메인 SoC로서의 처리부(204)는, 상이한 칩(Chip)으로서 구성되고, 소정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신호선)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205)는 예를 들어, 표시부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는, 처리부(204)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스피커는, 처리부(204)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205)는 처리부(204)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데이터를, 외부의 기기로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수신 장치(2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텔레비전 수상기, 셋톱 박스(STB: Set Top Box), 또는, 녹화기 등의 고정 수신기 이외에,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 등의 모바일 수신기여도 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기기여도 된다.
(복조부의 구성예)
도 3은, 도 2의 수신 장치(20)를 구성하는 복조부(203)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의 복조부(203)의 구성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물리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전송되는 시각 정보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블록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복조부(203)는 FFT 트리거 추정부(231), FFT부(232), 채널 추정부(233), 등화부(234), 주파수 디인터리버(235), L1-Basic 추출부(236), L1-Basic 처리부(237), L1-Basic 정보 추출부(238), L1-Detail 추출부(239), L1-Detail 시간 디인터리버(240), L1-Detail 처리부(241), L1-Detail 정보 추출부(242), 시각 정보 취득부(243), 시각 정보 형식 변환부(244) 및 출력부(245)로 구성된다.
복조부(203)에 있어서, RF부(202)로부터의 신호(IF 신호)는 A/D 변환되고, DC 성분이 제거된 후, 디지털 직교 복조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기저 대역의 OFDM 신호가 출력된다. 이 디지털 직교 복조로 얻어지는 OFDM 신호는, FFT 연산이 행해지기 전의 시간 영역의 신호이며, 이하, 이 FFT 연산이 행해지기 전의 OFDM 신호를, OFDM 시간 영역 신호라고도 한다.
또한, OFDM 시간 영역 신호는, 직교 복조된 결과, 실축 성분(I(In Phase) 성분)과 허축 성분(Q(Quadrature Phase) 성분)을 포함하는, 복소수로 표시되는 복소신호이다.
FFT 트리거 추정부(231)는 OFDM 시간 영역 신호의 자기 상관(가드 상관)을 구하고, FFT 연산 범위에 따른 연산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FFT 트리거를 추정하고, FFT부(232)에 공급한다.
FFT부(232)는 FFT 트리거 추정부(231)로부터의 FFT 트리거에 따라서, OFDM 시간 영역 신호로부터, FFT 구간의 OFDM 시간 영역 신호(의 샘플 값)를 추출하고,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의 고속 연산인 FFT 연산을 행한다.
또한, OFDM 시간 영역 신호의 FFT 연산에 의해 얻어지는 OFDM 신호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이며, 이하, 이 FFT 연산이 행해진 후의 OFDM 신호를, OFDM 주파수 영역 신호라고도 한다. 이 OFDM 주파수 영역 신호는, 채널 추정부(233) 및 등화부(234)에 공급된다.
채널 추정부(233)는 OFDM 주파수 영역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SP(Scattered Pilots) 신호에 기초하여, OFDM 신호가 전송되어 온 전송로(30)의 주파수 특성인 전송로 특성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을 행하고, 그 추정 결과를, 등화부(234)에 공급한다.
등화부(234)는 FFT부(232)로부터 공급되는 OFDM 주파수 영역 신호를, 채널 추정부(233)로부터 공급되는 전송로 특성의 추정값을 사용하여 연산함으로써, OFDM 신호가 전송로(30)에서 받은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을, 등화 처리로서 행한다. 왜곡 보정 후의 OFDM 주파수 영역 신호는, 주파수 디인터리버(235)에 공급된다.
주파수 디인터리버(235)는 등화부(234)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심볼 단위의 주파수 디인터리브(Frequency De-Interleave)를 행하고, L1-Basic 추출부(236) 및 L1-Detail 추출부(239)에 공급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물리층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리앰블은, L1-Basic, L1-Detail, Payload 등의 심볼로 구성된다.
L1-Basic 추출부(236)는 주파수 디인터리버(23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프리앰블의 L1-Basic의 심볼을 추출하고, L1-Basic 처리부(237)에 공급한다. L1-Basic 처리부(237)는 L1-Basic 추출부(236)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BICM(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이나 디스크램블링 처리를 행하고, L1-Basic 정보 추출부(238)에 공급한다. L1-Basic 정보 추출부(238)는 L1-Basic 처리부(237)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L1-Basic 정보를 추출한다.
이 L1-Basic 정보는, 200비트의 고정 길이의 데이터(시그널링)이다. 또한, L1-Detail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L1-Basic 정보가 필요해진다.
L1-Detail 추출부(239)는 주파수 디인터리버(23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프리앰블의 L1-Detail의 심볼을 추출하고, L1-Detail 시간 디인터리버(240)에 공급한다. L1-Detail 시간 디인터리버(240)는 L1-Detail 추출부(239)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 디인터리브(Time De-Interleave)를 행하고, L1-Detail 처리부(241)에 공급한다.
L1-Detail 처리부(241)는 L1-Detail 시간 디인터리버(240)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BICM(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이나 디스크램블링 처리를 행하고, L1-Detail 정보 추출부(242)에 공급한다. L1-Detail 정보 추출부(242)는 L1-Detail 처리부(241)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L1-Detail 정보를 추출한다.
이 L1-Detail 정보는, 가변 길이의 데이터(시그널링)이다. 또한, L1-Detail 정보에는,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등의 선두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와 그 메타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L1-Detail 정보는, 시각 정보 취득부(243)에 공급된다.
시각 정보 취득부(243)는 L1-Detail 정보 추출부(242)로부터의 L1-Detail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시각 정보 형식 변환부(244)에 공급한다. 시각 정보 형식 변환부(244)는 시각 정보 취득부(243)로부터의 시간 정보를, 소정의 형식(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예를 들어,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를 출력부(245)에 공급한다.
출력부(245)는 시각 정보 형식 변환부(244)로부터의 데이터(예를 들어,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를 소정의 타이밍에, 소정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신호선)를 통하여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또한, 도 3의 구성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물리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전송되는 시각 정보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블록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전송 미디어에 대해서도 복조 처리나 오류 정정 처리 등이 행해지고, 그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이,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처리부(204)로 출력된다.
또한, 도 5에는, 도 3에 도시한 수신 장치(20)의 복조부(203)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의 변조부(10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L1 시그널링 생성부(131)에 의해 생성된 L1-Basic 정보가, L1-Basic 처리부(132)에 의해 처리되어, 프리앰블 구성부(135)에 공급된다. 또한, L1 시그널링 생성부(131)에 의해 생성된 L1-Detail 정보가, L1-Detail 처리부(133)에 의해 처리되어, L1-Detail 시간 인터리버(134)에 의해 시간 인터리브(Time Interleave)되어, 프리앰블 구성부(135)에 공급된다. 단, 이 L1-Detail 정보에는, 시각 정보(와 그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 구성부(135)에 있어서는, L1-Basic 정보 및 L1-Detail 정보로부터, 프리앰블이 구성된다. 프리앰블 구성부(135)에 의해 구성된 프리앰블은, 주파수 인터리버(136)에 의해 주파수 인터리브(Frequency Interleave)되어, 파일럿 신호 삽입부(137)에 의해 SP(Scattered Pilots) 신호나 CP(Continual Pilots) 신호 등이 삽입되고, IFFT부(138)에 의해 IFFT 연산이 행해져, GI 삽입부(139)에 공급된다. 그리고, GI 삽입부(139)에 의해 가드 인터벌(GI: Guard interval)이 삽입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전송로(30)를 통하여 송신되게 된다.
<2.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의 전송>
그런데, ATSC3.0에서는, 물리층의 시그널링으로서,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등의 선두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이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시각 레퍼런스 포인트)의 절대적인 시각(절대로 시각)을 나타낸다.
여기서,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이란,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송신 장치(10)로 한창 처리되고 있는 중의 소정의 타이밍의 시각이다.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송신 장치(10)로 한창 처리되고 있는 중의 소정의 타이밍 시각으로서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가 있는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출력되었을 때의 타이밍 시각이나, 송신 장치(10)가 있는 블록에서, 소정의 위치의 비트의 처리가 행해진 타이밍의 시각 등이 있다.
이 시각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PTP(Precision Time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PTP는, IEEE 1588-2008로 규정되어 있는 80비트의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시각 정보로서는, PTP에 한하지 않고, 소정의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시각의 정보나, 기타 독자적으로 결정된 형식의 시각 정보 등 임의의 시각의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도 6은,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시간의 방향은, 도면 중의 좌측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된다.
도 6에 있어서, 각 물리층 프레임(Frame)은 부트스트랩(Bootstrap), 프리앰블(Preamble) 및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또한, 시간축 상에 있어서, 각 물리층 프레임의 간격(주기)은 일정하게 된다.
부트스트랩 또는 프리앰블에는, 시그널링(L1 시그널링)을 배치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프리앰블의 시그널링에, PTP 등의 시각 정보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의 시그널링)에 배치되는 시각 정보(PTP)는 그 프리앰블의 선두를 나타내는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로 된다.
예를 들어, 첫번째의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의 시그널링)에 배치되는 시각 정보(PTP)는 첫번째의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의 선두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를 나타내고 있다. 이후의 물리층 프레임에서도 마찬가지로, 각 프리앰블(의 시그널링)에 배치되는 시각 정보(PTP)는 그 프리앰블의 선두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를 나타내고 있다.
페이로드에는, ALP(ATSC Link-layer Protocol) 패킷 또는 IP/UDP 패킷에 저장된 데이터가 배치된다. ALP 패킷은, 레이어2(L2)의 전송 패킷(L2 Packet)이며, 그 페이로드에 IP/UDP 패킷이 배치된다. IP/UDP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비디오나 오디오, 시그널링의 데이터 등이 배치된다.
또한, 시각 정보(PTP)에 따른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가 나타내는 위치로서는, 도 6에 도시된 프리앰블의 선두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부트스트랩의 선두, 페이로드의 선두, 또는,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 등, 시각의 레퍼런스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위치(데이터가 끊어진 곳이 되는 위치)이기만 하면, 다른 위치를 가리키게 해도 된다. 단, 도 6의 예에 있어서,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는, 프리앰블 내의 위치로 된다.
도 7에는,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예를 들어, 첫번째의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의 시그널링)에 배치되는 시각 정보(PTP)는 첫번째의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의 선두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1 이외에, 부트스트랩의 선두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2, 페이로드의 선두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3, 또는,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4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후의 물리층 프레임에서도 마찬가지로, 각 프리앰블(의 시그널링)에 배치되는 시각 정보(PTP)는 프리앰블의 선두, 부트스트랩의 선두, 페이로드의 선두, 또는,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도 7의 P1, P2, P3, 또는 P4)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의 물리층 프레임의 예에서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이 프리앰블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시그널링은, 부트스트랩 등에 배치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부트스트랩에 배치되는 시그널링의 시각 정보(PTP)는 부트스트랩의 선두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2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정보는, L1 시그널링에 한하지 않고, 다른 시그널링 등에 포함되게 해도 된다. 또한, 시각 정보는, PTP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등의 다른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ATSC3.0의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는, 프리앰블의 선두, 부트스트랩의 선두, 페이로드의 선두, 또는,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예를 들어 PTP나 UTC 등)가 프리앰블 또는 부트스트랩의 시그널링에 배치되고, 전송되고 있다.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시각 정보의 예)
도 8은,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시각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전송되는 시각 정보는, 예를 들어, 80비트의 PTP(Precision Time Protocol)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각 정보(PTP)에는, 32비트의 UTC 메타데이터를 부가할 수 있다.
(PTP의 구성)
도 9에는, IEEE 1588-2008로 규정되어 있는 PTP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P의 시각을 나타내는 80비트 중, 48비트가, 초 단위의 시각을 나타내고, 나머지 32비트가 나노초 단위의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PTP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하는 시각 정보로서는, 충분한 정밀도가 있고, 정확한 시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P는, 48비트의 초 필드와, 32비트의 나노초 필드로 구성되지만, 그들 필드를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비트를 저감시켜서, PTP의 정밀도를 낮추도록 해도 된다. 즉, PTP에 의하면, 극히 정확한 시각을 표현할 수 있지만,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서 방송에 의한 서비스를 행하는 경우에, 그 방송에 필요 이상의 정밀도의 시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전송 대역을 압박하여, 효율적이지 않다.
80비트의 PTP는, 방송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충분하고도 남는 정밀도의 시각 정보이며, PTP의 정보량을 어느 정도 저하시켜도, 방송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서는, 시각 정보로서의 PTP를, 그 정보량을 저하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PTP의 정보량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PTP를 압축하는 방법이 있다.
PTP를 압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PTP에 있어서, 초 필드의 48비트를, 32비트로 저감시키고, 2106년(epoch 1970 +136 =2106)까지 사용 가능하게 하는 등, 필요에 따른 값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는, 27MHz 또는 90MHz의 클럭(시스템 클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27MHz 또는 90MHz의 정밀도를 보증하기 위한 PTP의 나노초 필드는, 19비트 또는 27비트에 상당하고 있다. 따라서, PTP에 있어서, 나노초 필드의 32비트를, 예를 들어 그 하위의 13비트 또는 5비트를 삭제하여, 19비트 또는 27비트로 저감시켜도,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PTP의 나노초 필드의 32비트 중, 상위의 2비트는, 상시 0이기 때문에, 하위의 13비트 또는 5비트를 삭제한 19비트 또는 27비트의 나노초 필드의 대해서는, 추가로, 상위 2비트를 삭제하여, 17비트 또는 25비트의 나노초 필드로 할 수 있다.
단, ATSC3.0에서는, PTP를 이용하는 경우에, 초 필드의 48비트를, 32비트로 조정(압축)하고, 나노초 필드의 32비트를, 19비트 또는 27비트(17비트 또는 25비트)로 조정(압축)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UTC 메타데이터의 구성)
또한, UTC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전송 미디어의 제시 동기를 위한 정보 등의 오프셋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UTC 메타데이터를, 시각 정보(PTP)에 대하여 부가할 지 여부는, 임의이다. 도 10에는, UTC 메타데이터의 신택스를 도시하고 있다.
16비트의 PTP_UTC_OFFSET는, PTP와 UTC(협정 세계시)의 오프셋 정보이다. PTP_UTC_OFFSET에서는, PTP와 UTC의 시간차를 초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단, UTC(협정 세계시)는 TAI(국제 원자시)와의 차를 정수 초로 유지하면서, UT1(세계시)에 근사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초의 삽입 또는 삭제를 행하는, 윤초(윤초) 조정을 도입하고 있다. 한편, PTP에서는 윤초를 조정하는 운용은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UTC에서의 윤초의 삽입 또는 삭제에 따라, PTP_UTC_OFFSET의 값이 변경되게 된다.
2비트의 LEAP_SECOND_FLAG은, 윤초(Leap Second)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2비트의 LEAP_SECOND_FLAG에 의해 표현되는 2개의 플래그 중, 한쪽의LEAP_SECOND_FLAG[0]은, 윤초가 발생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또한, 다른 쪽의 LEAP_SECOND_FLAG[1]은, 윤초의 삽입 또는 삭제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LEAP_SECOND_FLAG[1]로서, "0"이 설정된 경우, 윤초가 삽입(+1초)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LEAP_SECOND_FLAG[1]로서, "1"이 설정된 경우, 윤초가 삭제(-1초)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32비트의 UTC 메타데이터 중 나머지 14비트는, 장래의 확장을 위한 미정의(Reserved)의 영역으로 된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UTC 메타데이터를 사용한 윤초의 시각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UTC가 나타내는 시각에, 윤초가 삽입(+1초)되는 경우의 시각의 조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시간의 방향은, 도면 중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사각 내의 숫자(예를 들어, 「25」이나 「26」)가 PTP_UTC_OFFSET에 의해 설정되는, PTP와 UTC 간의 초 단위의 시간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LEAP_SECOND_FLAG[0]은, 윤초의 발생 시각을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윤초의 삽입(+1초)이 행해지기 1일 전(24시간 전)에, 윤초의 조정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통지하고 있다. 또한, LEAP_SECOND_FLAG[1]은, 윤초의 삽입 또는 삭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윤초의 삽입(+1초)이 행해지기 때문에, LEAP_SECOND_FLAG[1]로서, "0"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7/1의 23:59:59에, UTC가 나타내는 시각에, 윤초가 삽입된다고 하면, 지금, UTC에 따른 미디어 타임(Media time)이 6/30의 23:59:59가 될 때, PTP와 UTC의 시간차는 25초이며, 윤초의 조정 처리가 행해지기 1일 전(24시간 전)에는, 아직 되지 않았으므로, LEAP_SECOND_FLAG[0]에는, "0"이 설정되어 있다.
그 1초 후인 7/1의 0:0:0이 되었을 때, 윤초의 조정 처리가 행해지기 1일 전(24시간 전)이 되었으므로, LEAP_SECOND_FLAG[0]은, "0"으로부터 "1"로 변화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는, 윤초의 조정 처리가 24시간 이내에 행해진다는 것이 통지되게 된다.
그리고, 미디어 타임이, 7/1의 23:59:59가 될 때까지 이 상태가 계속되고, 미디어 타임이, 7/1의 23:59:59가 되었을 때, UTC가 나타내는 시각에, 윤초가 삽입(+1초)됨에 따라, PTP_UTC_OFFSET에 의해 설정되는, PTP와 UTC의 시간차를 나타내는 값이, 25초로부터 26초로 조정된다.
또한, 도 12는, UTC가 나타내는 시각으로부터, 윤초가 삭제(-1초)되는 경우의 시각의 조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PTP_UTC_OFFSET, LEAP_SECOND_FLAG[0]이나 LEAP_SECOND_FLAG[1]의 표기에 대해서는, 도 11과 동일하게 되지만, 이 예에서는, 윤초의 삭제(-1초)가 행해지기 때문에, 윤초의 삭제(-1초)가 행해지기 1일 전(24시간 전)에 있어서, LEAP_SECOND_FLAG[1]로서, "0"이 아니라, "1"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7/1의 23:59:59에, UTC가 나타내는 시각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된다고 하면, 지금, UTC에 따른 미디어 타임(Media time)이 6/30의 23:59:59가 될 때, PTP와 UTC의 시간차는, 25초이며, 윤초의 조정 처리가 행해지기 1일 전(24시간 전)에는, 아직 되지 않았으므로, LEAP_SECOND_FLAG[0]에는, "0"이 설정되어 있다.
그 1초 후인 7/1의 0:0:0이 되었을 때, 윤초의 조정 처리가 행해지기 1일 전(24시간 전)이 되었으므로, LEAP_SECOND_FLAG[0]과 LEAP_SECOND_FLAG[1]은, "0"으로부터 "1"로 변화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는, 윤초의 조정 처리가 24시간 이내에 행해진다는 것이 통지되게 된다.
그리고, 미디어 타임이, 7/1의 23:59:58이 될 때까지, 이 상태가 계속되고, 미디어 타임이, 7/1의 23:59:59가 되었을 때, UTC가 나타내는 시각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됨에 따라, PTP_UTC_OFFSET에 의해 설정되는, PTP와 UTC의 시간차를 나타내는 값이, 25초로부터 24초로 조정된다(윤초의 삭제(-1초)가 행해진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윤초의 조정 처리에서는, 수신 장치(20)에 대하여 1일 전(24시간 전)에, 윤초의 조정 처리가 행해진다는 통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 통지는, 예를 들어 3일 전이나 반일 전 등, 운용에 따라서 임의의 타이밍에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시각 정보(PTP)에 대하여 UTC 메타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윤초의 조정 처리를 행하는 등, 다양한 운용 형태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에 전송되는 시각 정보의 형식 변환>
상술한 바와 같이, ATSC3.0에서는, 물리층의 시그널링으로서, PTP 등의 시각 정보가 전송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시각 정보를,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전송할 필요가 생긴다. 상위층에서는, 물리층에서 전송된 시각 정보를 사용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단,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복조 LSI로서 구성되는 복조부(203)에 의해 물리층의 처리가 행해져, 메인 SoC로서 구성되는 처리부(204)에 의해 상위층의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본 기술에서는, 이 물리층 프레임에 배치되는 시각 정보를, 상위층에서 처리되는 소정의 데이터 형식(포맷)으로 변환하고 나서, 처리부(204)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위층에 전송되는 시각 정보의 데이터 형식이, 복조 LSI(복조부(203))와, 메인 SoC(처리부(204)) 간에 주고받기되는 데이터의 형식과 통일되도록 한다.
즉, 복조 LSI(복조부(203))와 메인 SoC(처리부(204)) 간에 주고받기되는 데이터의 형식이 통일되어 있지 않으면(시각 정보만이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되어버리면), 복수의 데이터 형식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복잡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복조 LSI와 메인 SoC에 있어서, 인터페이스(I/F)로 되는 핀수가 증가하거나 하기 때문에, 공통의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취득된 시각 정보이며,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에 전송되는 시각 정보가, ALP 패킷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시각 정보의 데이터 형식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의 형식이,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즉, ALP 패킷은, IP/UDP 패킷을 포함하는 레이어2(L2)의 전송 패킷이며,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에 저장된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에 전송되는 시각 정보가, ALP 패킷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각데이터를 통일된 데이터 형식(포맷)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LP 패킷의 구성)
도 13은, ALP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P 패킷은, ALP 헤더와, 데이터가 배치되는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또한, ALP 헤더는, 베이스 헤더(Base Header) 이외에,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와 옵셔널 헤더(Optional Header)를 배치할 수 있다.
ALP 헤더(베이스 헤더)의 선두에는, 3비트의 타입 정보(Packet_Type)가 설정된다. 이 프레임 A로 둘러싸인 타입 정보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P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즉, 페이로드에 IPv4의 IP 패킷(IP/UDP 패킷)이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000"이 설정된다. 또한, 페이로드에, 압축된 IP 패킷(IP/UDP 패킷)이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001"이 설정된다. 또한, 페이로드에, MPEG2-TS 방식의 TS 패킷이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010"이 설정된다.
또한, 페이로드에, LLS(Link Layer Signaling) 패킷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타입 정보는, "100"이 설정된다. 이 LLS 패킷은, LLS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패킷이다. LLS 시그널링은, 방송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스트림이나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LLS 패킷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레이어(2)의 시그널링인 L2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011", "101", "110"의 타입 정보는, 장래의 확장을 위한 미정의(Reserved)의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3개의 미정의(Reserved)의 영역에 의한 확장으로는 부족한 경우에는, 소정의 영역을 포함하는 타입 정보를 확장하기 위해서, "111"이 설정된다.
도 13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ALP 패킷의 ALP 헤더(베이스 헤더)에 있어서, 타입 정보의 다음에는, 1비트의 패킷 설정 정보(PC: Packet Configuration)가 배치된다. 패킷 설정 정보로서, "0"이 설정된 경우, 그 다음에 배치되는 1비트의 헤더 모드(HM: Header Mode)에 따라, 싱글 패킷 모드(Single packet mode)가 되고, ALP 헤더에는, 11비트의 길이 정보(Length)나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가 배치된다.
또한, 싱글 패킷 모드에 있어서, 확장 헤더가 배치되지 않는 ALP 패킷은, 노멀 패킷(normal packet)이라 칭해지는 한편, 확장 헤더가 배치되는 ALP 패킷은, 롱 패킷(long packet)이라 칭해진다.
한편, 패킷 설정 정보(PC)로서, "1"이 설정된 경우, 그 다음에 배치되는 1비트의 S/C(Segmentation/Concatenation)에 따라, 세그멘테이션 모드(Segmentation mode) 또는 연결 모드(Concatenation mode)가 되고, ALP 헤더에는, 11비트의 길이 정보(Length)나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가 배치된다.
그리고, ALP 패킷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ALP 헤더에 이어, 페이로드가 배치된다. 이 페이로드에는, ALP 헤더(베이스 헤더)의 타입 정보에 따라, 예를 들어, IPv4의 IP 패킷(IP/UDP 패킷)이나 LLS 패킷 등을 배치할 수 있다.
(ALP 패킷에 시각 정보를 배치)
도 15는, 시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ALP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에는, ALP 패킷의 ALP 헤더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그 구성은, 도 13의 ALP 헤더(베이스 헤더)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5의 ALP 패킷에 있어서, ALP 헤더의 선두에 배치되는 타입 정보(Packet_Type)에는, 프레임 B로 둘러싸여 있도록, LLS 패킷을 나타내는 "100"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ALP 패킷의 페이로드에, 시각 정보(PTP)를 배치하기 위해서, "0"인 패킷 설정 정보(PC)와, "0"인 헤더 모드(HM)가 설정된다.
여기서, 도 16에는, ALP 패킷에 있어서의 ALP 헤더와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의 ALP 패킷에 있어서, ALP 헤더에는, "100"인 타입 정보(Packet_Type), "0"인 패킷 설정 정보(PC), "0"인 헤더 모드(HM) 및 "000 0001 0010"인 길이 정보(Length)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도 16의 ALP 패킷은, 패킷의 타입이 LLS 패킷이며, 싱글 패킷 모드가 되기 때문에, ALP 헤더에는, 11비트의 길이 정보가 배치되게 된다. 이 길이 정보에는, ALP 헤더에 이어 배치되는 페이로드의 비트 길이가, 18바이트가 되는 것을 나타내는 "000 0001 0010"이 설정되어 있다.
이 18바이트의 페이로드로서, 선두부터 4바이트에는, 32비트의 페이로드 헤더(payload header)가 배치되고, 그에 이어지는 10바이트에는, 80비트의 시각 정보(PTP)가 배치되고, 또한 그에 이어지는 4바이트에는, 32비트의 UTC 메타데이터(UTC Metadata)가 배치된다.
페이로드 헤더는, 8비트의 타입 정보(type), 16비트의 확장 타입 정보(type extension) 및 8비트의 버전 정보(version)로 구성된다.
타입 정보에는,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이 예에서는, 타입 정보로서, "time_info"가 설정되어 있고, 페이로드에서는, 페이로드 헤더에 이어 시각 정보(PTP)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확장 타입 정보에는, 시그널링의 상세 정보, 즉, 페이로드 헤더에 이어 배치되는 시각 정보(PTP)의 상세 정보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페이로드 헤더에 이어 시각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 확장 타입 정보에는, "0x00"이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페이로드 헤더에 이어 시각 정보(PTP)만이 배치되는 경우, 확장 타입 정보에는, "0x01"이 설정된다. 또한, "0x02" 내지 "0xff"의 확장 타입 정보는, 장래의 확장을 위한 미정의(Reserved)의 영역으로 된다.
버전 정보에는, 예를 들어, 시각 정보나 UTC 메타데이터의 버전을 설정할 수 있다.
페이로드 헤더의 다음으로는, 80비트의 시각 정보(PTP)와, 32비트의 UTC 메타데이터(UTC Metadata)가 배치된다. 이 시각 정보로서는, 도 9에 도시된 PTP 등의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사용된다. 또한, UTC 메타데이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P와 UTC의 오프셋 정보이다.
또한, 시각 정보(PTP)에 대하여 UTC 메타데이터를 부가할 지 여부는 임의이며, UTC 메타데이터를 부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각 정보(PTP)만이 전송된다. 또한, UTC 메타데이터는, 시각 정보에 부가되는 메타데이터의 일례이며, 다른 메타데이터가 부가되게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ALP 패킷의 페이로드에, 시간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를 배치하고, 물리층의 처리를 행하는 복조 LSI(복조부(203))로부터, 상위층의 처리를 행하는 메인 SoC(처리부(204))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시각 정보(PTP)의 데이터 형식이, 복조 LSI와 메인 SoC 간에 주고받기되는 데이터의 형식과 통일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복조 LSI(복조부(203))와 메인 SoC(처리부(204))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할 때, 예를 들어, 복잡한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핀수가 증가하거나 하는 일은 없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시각 정보의 다른 형식으로의 변환)
상술한 설명에서는, ALP 패킷을 사용하여,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에 시각 정보(PTP)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다른 전송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ALP 패킷 대신에 ALP 패킷에 포함되는 IP/UDP 패킷을 사용하여 시각 정보(PTP)가 전송되게 해도 된다.
도 17은, IP/UDP 패킷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PTP)를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 형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8비트의 table_id는, 시각 정보(PTP)를 전송하기 위한 섹션 ID이다. table_id의 다음은, 6비트의 미정의(Reserved)의 영역으로 된다.
1비트의 ptp_short_format_indicator는, PTP의 포맷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PTP의 쇼트 포맷이 설정되는 경우, ptp_short_format_indicator에는, "1"이 설정된다.
1비트의 utc_offset_metadata_indicator는, 시각 정보(PTP)에 대하여 UTC 메타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시각 정보(PTP)에, UTC 메타데이터가 부가되는 경우, utc_offset_metadata_indicator에는, "1"이 설정된다.
ptp_short_format_indicator로서, "1"이 설정되는 경우, 32비트의 ptp_second_field와, 17비트의 ptp_nanosecond_field가 배치된다. 32비트의 ptp_second_field에는, 쇼트 포맷의 PTP 초 필드가 설정된다. 또한, 17비트의 ptp_nanosecond_field에는, 쇼트 포맷의 PTP 나노초 필드가 설정된다.
한편, ptp_short_format_indicator로서, "1" 이외의 값, 즉, "0"이 설정되는 경우, 48비트의 ptp_second_field와, 32비트의 ptp_nanosecond_field가 배치된다. 48비트의 ptp_second_field에는, PTP 초 필드가 설정된다. 또한, 32비트의 ptp_nanosecond_field에는, PTP 나노초 필드가 설정된다.
utc_offset_metadata_indicator로서, "1"이 설정되는 경우, 32비트에는, utc_offset_metadata가 배치된다. utc_offset_metadata에는, UTC 메타데이터가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IP/UDP 패킷의 페이로드에, 시간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를 배치하고, 복조 LSI(복조부(203))로부터 메인 SoC(처리부(204))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시각 정보(PTP)의 데이터 형식이, 복조 LSI와 메인 SoC 간에 주고받기되는 데이터의 형식과 통일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복조 LSI(복조부(203))와 메인 SoC(처리부(204))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할 때, 예를 들어, 복잡한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핀수가 증가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에, 시각 정보(PTP)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포맷)으로서, ALP 패킷 또는 IP/UDP 패킷의 페이로드에, 시간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를 배치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당해 데이터 형식으로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시각 정보(PTP)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다른 데이터 형식(포맷)을 채용해도 된다.
<4.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의 출력 타이밍>
이어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복조 LSI(복조부(203))로부터, 메인 SoC(처리부(204))에 전송되는,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시각 정보(PTP)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의 절대적인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가 시각 정보로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되기 위해서, 이 정보를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에 전송하게 되는데, 전송할 때에 지터가 실려버리면, 예를 들어, 시각 정보(PTP)가 나타내는 시각의 오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ATSC3.0의 물리층 프레임의 구조에 기초하여,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지터를 없애고, 예를 들어, 시각 정보(PTP)가 나타내는 시각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각 물리층 프레임의 프레임 기간은, 일정 기간이 되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일정한 타이밍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8에는, ATSC3.0의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SC3.0의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프리앰블의 선두(P1), 부트스트랩의 선두(P2), 페이로드의 선두(P3) 및 시각 정보(PTP)의 삽입 개소(P4)의 4개소에,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가 존재하고 있다.
단, 이 예에서는,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4로서, 프리앰블로 시각 정보(PTP)가 전송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시각 정보(PTP)의 삽입 개소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어, 시각 정보(PTP)가 부트스트랩으로 전송된 경우에는,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4는, 부트스트랩 상의 시각 정보(PTP)의 삽입 개소에 따른 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들 4개소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 중, 어느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에 따라, 물리층 프레임마다,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하나씩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시각 정보(PTP) 이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ALP 패킷에 대해서는, 다소의 지터가 실렸다고 해도,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만큼은 지터가 실리지 않도록,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에 따라서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부트스트랩의 선두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2에 따라,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1프레임분의 간격(프레임 기간)마다,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출력되게 된다.
즉, 각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2는, 동일한 간격(1 프레임분의 간격)이 되므로,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복조 LSI(복조부(203))로부터, 메인 SoC(처리부(204))로 출력되는,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각 프레임의 선두 패킷이,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되고,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이 일정하게 된다.
여기서, 복조 LSI(복조부(203))와, 메인 SoC(처리부(204))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도 2의 수신 장치(20)의 비교를 위해서, 먼저, 통상의 수신 장치(20A)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고 나서, 도 2의 수신 장치(20)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통상의 수신 장치(20A)에서는, 도 2의 수신 장치(20)와 같은,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취득한 시각 정보(PTP)를 ALP 패킷에 저장하고, 일정한 타이밍에 출력한다는 일련의 처리는 행해지고 있지 않다.
도 19는, 통상의 수신 장치(20A)에 있어서, 복조 LSI(복조부(203A))와, 메인 SoC(처리부(204A))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 ALP 패킷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의 수신 장치(20A)에서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복조 LSI(복조부(203A))로부터 메인 SoC(처리부(204A))에 시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른 신호선(다른 핀)에서 전송하거나, 또는, 시리얼 통신 등에 의해 전송할 필요가 있고, 그 상황에 따라서는, 지터가 실려버릴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20은, 도 2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복조 LSI(복조부(203))와, 메인 SoC(처리부(204))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 ALP 패킷을 나타내고, 도면 중의 「시각」은,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신 장치(20)에서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복조 LSI(복조부(203))에 있어서,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취득한 시각 정보(PTP)가 ALP 패킷에 저장되고, 그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에 따라, 일정한 타이밍에 출력되게 된다.
이에 의해, 메인 SoC(처리부(204))에서는, 복조 LSI(복조부(203))로부터, 1 프레임분의 간격(프레임 기간)으로,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이 순차 취득되게 되므로, 지터의 영향 없이, 시각 정보(PTP)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예를 들어, 지터의 영향 없이, 프레임의 선두 위치를 검출한다고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0의 예에서는, 시각 t1로부터 시각 t2까지의 간격이, 1 프레임분의 간격(프레임 기간)에 상당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시각 정보를 IP/UDP 패킷에 저장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에 따라서 일정한 타이밍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지터의 영향이 없어지도록 할 수 있다.
<5. 수신측의 처리의 흐름>
(시각 정보 형식 변환 출력 처리)
이어서, 도 2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시각 정보 형식 변환 출력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RF부(202)는 안테나(211)를 통하여,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복조부(203)의 시각 정보 취득부(243)는 스텝 S21의 처리에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물리층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시각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복조부(203)의 시각 정보 형식 변환부(244)는 스텝 S22의 처리에서 취득된 시각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시각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가, ALP 패킷 또는 IP/UDP 패킷의 페이로드에 저장됨으로써,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된다.
스텝 S24에 있어서, 복조부(203)의 출력부(245)는 스텝 S23의 처리에서, 페이로드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 즉, 시각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ALP 패킷 또는 IP/UDP 패킷을,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시각 정보(PTP)와 UTC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ALP 패킷 또는 IP/UDP 패킷은,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에 따라, 복조 LSI(복조부(203))로부터, 메인 SoC(처리부(204))로 출력되게 된다.
스텝 S24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21의 시각 정보 형식 변환 출력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시각 정보 형식 변환 출력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시각 정보 형식 변환 출력 처리에서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되고,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PTP)가 취득되고, 당해 시각 정보(PTP)가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고,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시각 정보(PTP)를 포함하는 ALP 패킷 또는 IP/UDP 패킷)가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각 레퍼런스 포인트 P에 따라, 메인 SoC(처리부(204))로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으로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주로,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3.0)를 설명했지만,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게 해도 된다. 또한, 지상 디지털 방송 이외에, 위성 디지털 방송이나 디지털 유선 방송 등에서 채용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디지털 방송의 규격 이외의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전송로(30)로서,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10)는 예를 들어, 인터넷 상에 설치된 서버로 할 수 있다.
<6.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22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컴퓨터(9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901), ROM(Read Only Memory)(902), RAM(Random Access Memory)(903)은, 버스(9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9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9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05)에는, 입력부(906), 출력부(907), 기록부(908), 통신부(909) 및 드라이브(9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9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9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9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9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9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900)에서는, CPU(901)가, ROM(902)이나 기록부(9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905) 및 버스(904)를 통하여, RAM(9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900)(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9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9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드라이브(9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905)를 통하여,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통신부(909)로 수신하고,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기타, 프로그램은, ROM(902)이나 기록부(9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1대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IP(Internet Protocol)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변환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상기 변환부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를, UDP(User Datagram Protocol)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인 IP/UDP 패킷, 또는, 상기 IP/UDP 패킷을 전송하는 전송 패킷에 저장하는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IP/UDP 패킷 또는 상기 전송 패킷이, 상기 처리부로 출력되는 타이밍이 일정해지도록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프리앰블의 선두, 부트스트랩의 선두, 페이로드의 선두, 또는 상기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를 나타내는 시각의 정보이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프리앰블의 선두, 부트스트랩의 선두, 페이로드의 선두, 또는 상기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를 기준으로 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IP/UDP 패킷 또는 상기 전송 패킷을 출력하는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시각 정보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시각 정보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5)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메타데이터는, 전송 미디어의 제시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6)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상기 PTP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를 구성하는 48비트의 초 필드 및 32비트의 나노초 필드 중, 상기 초 필드의 1비트 이상의 상위 비트를 삭제함과 함께, 상기 나노초 필드의 1비트 이상의 하위 비트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시각 정보를 압축하는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상기 취득부, 상기 변환부 및 상기 출력부는, 복조 LSI로서 구성되고,
상기 처리부는,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조 LSI와,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0)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 전송 시스템
10: 송신 장치
20: 수신 장치
30: 전송로
201: 제어부
202: RF부
203: 복조부
204: 처리부
205: 출력부
231: FFT 트리거 추정부
232: FFT부
233: 채널 추정부
234: 등화부
235: 주파수 디인터리버
236: L1-Basic 추출부
237: L1-Basic 처리부
238: L1-Basic 정보 추출부
239: L1-Detail 추출부
240: L1-Detail 시간 디인터리버
241: L1-Detail 처리부
242: L1-Detail 정보 추출부
243: 시각 정보 취득부
244: 시각 정보 형식 변환부
245: 출력부
900: 컴퓨터
901: CPU

Claims (10)

  1. IP(Internet Protocol)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변환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를, UDP(User Datagram Protocol)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인 IP/UDP 패킷, 또는, 상기 IP/UDP 패킷을 전송하는 전송 패킷에 저장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IP/UDP 패킷 또는 상기 전송 패킷이, 상기 처리부로 출력되는 타이밍이 일정해지도록 하는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프리앰블의 선두, 부트스트랩의 선두, 페이로드의 선두, 또는 상기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를 나타내는 시각의 정보이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의, 프리앰블의 선두, 부트스트랩의 선두, 페이로드의 선두, 또는 상기 시각 정보의 삽입 개소를 기준으로 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IP/UDP 패킷 또는 상기 전송 패킷을 출력하는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시각 정보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전송 미디어의 제시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P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를 구성하는 48비트의 초 필드 및 32비트의 나노초 필드 중, 상기 초 필드의 1비트 이상의 상위 비트를 삭제함과 함께, 상기 나노초 필드의 1비트 이상의 하위 비트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시각 정보를 압축하는
    수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 상기 변환부 및 상기 출력부는, 복조 LSI로서 구성되고,
    상기 처리부는,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조 LSI와,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수신 장치.
  10.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전송되는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상위층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77036881A 2015-08-07 2016-07-22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32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7708 2015-08-07
JPJP-P-2015-157708 2015-08-07
PCT/JP2016/071567 WO2017026249A1 (ja) 2015-08-07 2016-07-22 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023A true KR20180039023A (ko) 2018-04-17
KR102532052B1 KR102532052B1 (ko) 2023-05-15

Family

ID=5798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881A KR102532052B1 (ko) 2015-08-07 2016-07-22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25030B2 (ko)
EP (1) EP3334170A4 (ko)
JP (1) JPWO2017026249A1 (ko)
KR (1) KR102532052B1 (ko)
CA (1) CA2987907C (ko)
MX (1) MX2018001344A (ko)
WO (1) WO20170262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29B1 (ko) * 2019-11-29 2021-03-24 주식회사 텔라움 Catv 신호 주파수 대역 분리,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catv 신호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77201C (en) * 2015-03-04 2024-02-20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102575378B1 (ko) * 2015-03-16 2023-09-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리앰블의 bicm 모드 및 ofdm 파라미터를 함께 시그널링하는 심볼을 포함한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장치 및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방법
DE102016220886B3 (de) * 2016-10-24 2018-03-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Interleaving für die Übertragung von Telegrammen mit variabler Subpaketanzahl und sukzessiver Decodierung
US10903924B2 (en) 2019-02-07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tting primary reference time of server time protocol facility of a coordinated timing network to a precision-time-protocol source
US10958727B2 (en) 2019-02-07 2021-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cilitating precision time protocol use in a coordinated timing network
CN111629241A (zh) * 2020-05-22 2020-09-04 海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提供物理层信令中时间信息方法及显示设备
CN114143585A (zh) * 2021-11-02 2022-03-0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终端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916A1 (en) * 2008-06-23 2010-05-06 Hart Communication Found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alyzer
KR101358768B1 (ko) * 2009-12-16 2014-02-0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10 기가비트 수동 광 네트워크의 헤더 오류 제어에 의해 보호되는 다운스트림 프레임 동기 패턴
JP2014200099A (ja) * 2014-06-09 2014-10-2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及び方法
KR20150001566A (ko) *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구조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15104122A (ja) * 2013-11-22 2015-06-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0396A1 (fr) 2008-04-21 2009-10-23 Thomson Licensing Sas Marquage temporel associe a une synchronisation d'equipements connectes a un reseau
GB201116521D0 (en) * 2011-09-23 2011-11-09 Imagination 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synchronisation in wireless networks
JP2014230154A (ja) 2013-05-23 2014-12-0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2284042B1 (ko) * 2013-09-04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JP6505413B2 (ja) 2013-11-08 2019-04-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WO2015068352A1 (ja) 2013-11-08 2015-05-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10009413B2 (en) * 2014-06-26 2018-06-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llaborative media playback
CN106165321B (zh) * 2014-10-12 2020-01-03 Lg 电子株式会社 广播信号发送装置、广播信号接收装置、广播信号发送方法以及广播信号接收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916A1 (en) * 2008-06-23 2010-05-06 Hart Communication Found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alyzer
KR101358768B1 (ko) * 2009-12-16 2014-02-0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10 기가비트 수동 광 네트워크의 헤더 오류 제어에 의해 보호되는 다운스트림 프레임 동기 패턴
KR20150001566A (ko) *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구조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15104122A (ja) * 2013-11-22 2015-06-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14200099A (ja) * 2014-06-09 2014-10-2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IB STD-B44 2.0판 일반 사단 법인 전파 산업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29B1 (ko) * 2019-11-29 2021-03-24 주식회사 텔라움 Catv 신호 주파수 대역 분리,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catv 신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8001344A (es) 2018-06-15
US20180131457A1 (en) 2018-05-10
EP3334170A1 (en) 2018-06-13
KR102532052B1 (ko) 2023-05-15
JPWO2017026249A1 (ja) 2018-06-07
WO2017026249A1 (ja) 2017-02-16
US10225030B2 (en) 2019-03-05
CA2987907A1 (en) 2017-02-16
EP3334170A4 (en) 2019-01-02
CA2987907C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052B1 (ko)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1497081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US11743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transmission frames
CN107771397B (zh)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和接收方法
US10735789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1290200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20180064369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