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847A -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847A
KR20180037847A KR1020160128583A KR20160128583A KR20180037847A KR 20180037847 A KR20180037847 A KR 20180037847A KR 1020160128583 A KR1020160128583 A KR 1020160128583A KR 20160128583 A KR20160128583 A KR 20160128583A KR 20180037847 A KR20180037847 A KR 2018003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lded
stack
electrode assembly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131B1 (ko
Inventor
표정관
김성종
구상현
김수령
구자훈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2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131B1/ko
Priority to EP17858615.2A priority patent/EP3396766B1/en
Priority to PL17858615T priority patent/PL3396766T3/pl
Priority to PCT/KR2017/009659 priority patent/WO2018066820A1/ko
Priority to CN201780009245.2A priority patent/CN108604704B/zh
Priority to US16/072,401 priority patent/US10854924B2/en
Publication of KR2018003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차 전지의 정렬도를 향상시키고, 고용량의 전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두 개의 분리막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전극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전극 적층체, 및 제1 전극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전극 적층체의 외측 양면에 부착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 적층체는 제1 전극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의 사이 영역이 폴딩(folding)된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차 전지의 정렬도를 향상시키고, 고용량의 전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 중에서 스택 & 폴딩형 전극 조립체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택 & 폴딩형(Stack & folding) 전극 조립체(11)는 양극(1), 분리막(3), 음극(5)이 순차로 적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유닛셀(10)들을 시트형 분리막(9)에 부착하고, 이 시트형 분리막(9)을 일방향(L)으로 폴딩하여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스택 & 폴딩형 전극 조립체(11)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종래의 스택 & 폴딩형의 전극 조립체(11)에서는 양극(1), 분리막(3), 음극(5)을 적층하여 기본단위체로 절단하여 형성된 개별적인 유닛셀(10)을 먼저 만든 후에 이 유닛셀(10)을 시트형 분리막(9)에 부착하여 폴딩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전극 조립체 제조 절차가 복잡하였다.
또한, 먼저 유닛셀(10)을 만드는 공정에서 양극(1), 음극(5), 분리막 각각에서 발생한 공차가 누적되고, 이러한 유닛셀(10)을 다음단계에서 폴딩하면, 폴딩 및 적층되는 과정에서 유닛셀(10) 간의 공차가 다시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양극(1)이 음극(5)을 벗어나서 정렬이 흐트러지는 오버행(overhang) 이슈가 크게 발생하였다.
도 2는 라미네이션 앤 스택형(Lamination & stacking) 전극 조립체의 적층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작하면, 라미네이션 앤 스택형(Lamination & stacking)의 전극 조립체(12)에서는 양극(1), 분리막(3), 음극(5), 분리막(3)이 적층되어 형성된 유닛셀(20)들이 분리막(3)의 외곽 치수에 의하여 정렬되게 되는데, 이 경우 역시도 오버행 이슈가 발생하였다.
즉, 유닛셀(20)을 만드는 과정에서 복수의 전극(1,5)과 복수의 분리막(3)의 개별 공차가 누적되고, 유닛셀(20)끼리의 공차 역시 누적되므로, 양극(1)이 음극(5)을 벗어나는 오버행 이슈가 발생하였다. 도 2에서는 양극(1)이 음극(5)을 벗어나는 영역인 오버행 영역(A)이 도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상의 전극 조립체가 개발되고 있는 등 많은 노력이 뒤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이차 전지에서 오버행(Overhang) 이슈를 극소화하여 전지의 정렬도를 향상시키고, 고용량의 전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두 개의 분리막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전극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전극 적층체, 및 제1 전극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전극 적층체의 외측 양면에 부착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 적층체는 제1 전극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의 사이 영역이 폴딩(folding)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두 개의 분리막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제1 전극을 개재시켜 전극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전극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전극 적층체의 외측 양면에 제2 전극을 적층하는 단계, 분리막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 및 제1 전극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의 사이 영역에서 전극 적층체를 폴딩(fold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두 개의 분리막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전극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전극 적층체, 및 제1 전극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전극 적층체의 외측 양면에 부착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 적층체는 제1 전극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의 사이 영역이 폴딩(folding)됨으로써, 오버행(Overhang) 이슈를 극소화하여 전지의 정렬도를 향상시키고, 고용량의 전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두 개의 분리막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제1 전극을 개재시켜 전극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전극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전극 적층체의 외측 양면에 제2 전극을 적층하는 단계, 분리막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 및 제1 전극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의 사이 영역에서 전극 적층체를 폴딩(folding)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 중에서 스택 & 폴딩형 전극 조립체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라미네이션 앤 스택형(Lamination & stacking) 전극 조립체의 적층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가 폴딩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구현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하여 구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가 폴딩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구현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하여 구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전극 적층체(110)와 전극 적층체(110)의 외측 양면에 부착되는 제2 전극(10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 적층체(110)는 두 개의 분리막(103)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전극(101)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두 개의 분리막(103)은 시트형의 분리막일 수 있고, 제1 전극(101)은 두 개의 분리막(103) 사이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전극 적층체(110)에서 제1 전극(101)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전극 적층체(110)의 외측 양면에는 제2 전극(105)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한 위치에서 구분해서 볼 때, 위에서 아래로 제2 전극(105), 분리막(103), 제1 전극(101), 분리막(103), 제2 전극(105)이 순차로 적층된 형태가 되며, 그 이웃한 위치에서는 분리막(103), 제1 전극(101), 분리막(103)이 적층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5)은 서로 반대의 극성을 나타내는 전극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101)이 음극, 제2 전극(105)이 양극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전극(101)이 음극이고, 제2 전극(105)이 양극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101)의 크기가 제2 전극(105)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는 두 개의 분리막(103)과,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5)이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열과 압력 모두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막(103)과 제1 전극(101), 제2 전극(105)의 전체에 대해서 라미네이션 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 적층체(110)는 제1 전극(101)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101)의 사이 영역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는 전극 적층체(110)가 폴딩되는 부분인 폴딩부(107)가 도시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 적층체(110)는 복수의 폴딩부(107)를 구비하며, 이러한 복수의 폴딩부(107)에서 폴딩될 수 있다.
그리고 폴딩부(107)는 인접한 폴딩부(107)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적층체(110)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되는 형태는 도 4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적층체(110)는 제1 전극(101)의 크기를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하나의 전극을 기준으로 적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 전극(101)은 하나의 전극이므로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기에, 이를 기준을 적층할 경우 서로 다른 전극(101, 105) 및 분리막(103)의 공차가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정렬도가 현저히 좋아지며, 양극과 음극의 대응 하는 위치가 어긋나는 오버행(Overhang) 이슈를 극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5)이 위치가 곧 바르게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도시의 편의상 전극 조립체 내부에서 전극 적층체를 연결하는 분리막(103)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두 개의 분리막(103)은 폴딩된 전극 적층체(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도 5 참조). 도 5에서는 이와 같이 분리막(103)이 폴딩된 전극 적층체(110) 둘레를 한 바퀴 감싸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리막(103)으로 전극 조립체를 한 바퀴 감싸는 경우 우수한 전극 조립체의 정렬도를 우수하게 유지시키는데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분리막(103)은 전체적으로 열 또는 압력에 의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는 핫 프레스(hot-press)로 씰링하는 방법으로 분리막(103)을 폴딩된 전극 적층체(110)의 외곽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정렬도는 더욱 좋아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두 개의 분리막(103)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제1 전극(101)을 개재시켜 전극 적층체(110)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전극(101)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전극 적층체(110)의 외측 양면에 제2 전극(105)을 적층하는 단계, 분리막(103)과,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5)을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 및 제1 전극(101)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101)의 사이 영역인 폴딩부(107)에서 전극 적층체(110)를 폴딩(fold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전극(101)은 음극, 제2 전극(105)은 양극일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적층체(11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릴(reel)(미도시)에서 권출되어 이송되는 두 개의 분리막(103) 사이로 제1 전극(101)을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01)의 하나 건너 하나 위치마다 두 개의 분리막(103) 바깥쪽에 상하로 제2 전극(105)을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라미네이션 할 수 있다. 즉, 열과 압력으로 제1 전극(101), 분리막(103), 제2 전극(105)이 서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전극 적층체(110)를 폴딩하는 단계에서, 라미네이션으로 접착된 전극 조립체는 폴딩부(107)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즉, 전극 적층체(110)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하나의 폴딩부(107)가 일방향(G)으로 폴딩되는 경우 그에 이웃하는 폴딩부(107)는 타방향(I)으로 폴딩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이 경우 전극 적층체(110)는 제1 전극(101)의 크기를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되면 양극이 음극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오버행(overhang) 이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설비 측면에서, 기존에는 유닛셀을 만드는 라미네이션 설비와 유닛셀을 분리막 시트에 부착하여 폴딩하는 폴딩 설비가 모두 있어야 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의 경우 라미네이션 공정과 폴딩 공정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은 두 개의 분리막(103)의 연장부분을 이용하여 폴딩된 전극 적층체(110)를 감싸는 씰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 단계에서 두 개의 분리막(103)은 열 또는 압력에 의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씰링 단계에서 두 개의 분리막(103)은 핫 프레스(hot-press)에 의하여 폴딩된 전극 적층체(110)의 외각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극 조립체의 안정성과 효율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다른 실시예는 제2 전극의 크기가 일 실시예의 경우와 다르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작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제2 전극(205)의 크기는 제1 전극(20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전극(205)의 크기가 제1 전극(201)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전극(201)은 음극이고, 제2 전극(205)은 양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양극의 크기를 음극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양극이 음극을 벗어나지 않게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즉, 양극이 음극을 벗어나는 오버행 이슈의 우려가 없으므로 양극의 크기를 증대하여 고용량의 배터리(battery)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 양극
3: 분리막
5: 음극
9: 시트형 분리막
10, 20: 유닛셀
11: 스택 & 폴딩형 전극 조립체
12: 라미네이션 앤 스택형 전극 조립체
101, 201: 제1 전극
103, 203: 분리막
105, 205: 제2 전극
107, 207: 폴딩부
110, 210: 전극 적층체

Claims (16)

  1. 두 개의 분리막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전극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전극 적층체; 및
    상기 제1 전극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전극 적층체의 외측 양면에 부착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적층체는 상기 제1 전극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의 사이 영역이 폴딩(folding)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양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적층체는 폴딩되는 부분인 폴딩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폴딩부는 인접한 폴딩부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적층체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적층체는 상기 제1 전극의 크기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크기는 상기 제1 전극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분리막은 폴딩된 상기 전극 적층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분리막은 열 또는 압력에 의하여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0. 두 개의 분리막 사이에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제1 전극을 개재시켜 전극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이 있는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 건너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전극 적층체의 외측 양면에 제2 전극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과 그에 이웃된 제1 전극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전극 적층체를 폴딩(fol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적층체를 폴딩하는 단계에서,
    폴딩되는 부분인 폴딩부와 그에 인접한 폴딩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적층체를 폴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극 적층체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적층체는 상기 제1 전극의 크기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분리막의 연장부분으로 폴딩된 상기 전극 적층체를 감싸는 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씰링 단계에서 상기 두 개의 분리막은 열 또는 압력에 의하여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씰링 단계에서 상기 두 개의 분리막은 핫 프레스(hot-press)에 의하여 폴딩된 상기 전극 적층체의 외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0160128583A 2016-10-05 2016-10-05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83A KR102065131B1 (ko) 2016-10-05 2016-10-05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EP17858615.2A EP3396766B1 (en) 2016-10-05 2017-09-04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L17858615T PL3396766T3 (pl) 2016-10-05 2017-09-04 Zespół elektrodowy i sposób jego wytwarzania
PCT/KR2017/009659 WO2018066820A1 (ko) 2016-10-05 2017-09-04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780009245.2A CN108604704B (zh) 2016-10-05 2017-09-04 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US16/072,401 US10854924B2 (en) 2016-10-05 2017-09-04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83A KR102065131B1 (ko) 2016-10-05 2016-10-05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47A true KR20180037847A (ko) 2018-04-13
KR102065131B1 KR102065131B1 (ko) 2020-03-02

Family

ID=6183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583A KR102065131B1 (ko) 2016-10-05 2016-10-05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54924B2 (ko)
EP (1) EP3396766B1 (ko)
KR (1) KR102065131B1 (ko)
CN (1) CN108604704B (ko)
PL (1) PL3396766T3 (ko)
WO (1) WO201806682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74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를 내장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1430773A (zh) * 2020-04-30 2020-07-17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极层叠组件的制造方法及电极层叠组件、电极层叠装置
US11342576B2 (en) 2018-02-01 2022-05-24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3282718A1 (en) * 2021-07-09 2023-01-12 Lg Energy Solution,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equipment
WO2023282715A1 (en) * 2021-07-09 2023-01-12 Lg Energy Solution,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7590B (zh) * 2019-06-28 2022-04-12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电芯制造的叠片方法和电芯极组制造装备
WO2021022482A1 (zh) * 2019-08-06 2021-02-11 东莞市超鸿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极复合单元翻折式电芯的制造方法
CN111755756B (zh) * 2020-06-05 2021-10-22 无锡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电芯叠片方法及装置
CN112271340A (zh) * 2020-09-28 2021-01-26 江苏塔菲尔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346A (ko) * 2010-06-10 2011-12-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전지의 전극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1843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이차전지용 전극 분리막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5017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290A (ko) * 2009-06-22 2010-12-30 에너원코리아 주식회사 와인딩 방식의 전극적층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적층체
KR101146401B1 (ko) 2009-11-02 2012-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8709637B2 (en) 2009-11-02 2014-04-29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with centrally wound separator member
KR101349205B1 (ko) * 2011-04-15 2014-01-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다중 삽입 적층 장치 및 방법
KR101370801B1 (ko) 2011-04-19 2014-03-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제조 방법
US9318733B2 (en) * 2012-12-27 2016-04-19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JP6185596B2 (ja) * 2012-12-27 2017-08-2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階段構造の電極組立体
KR101572832B1 (ko) * 2013-02-15 2015-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군 적층체
JP5969131B2 (ja) * 2013-02-15 2016-08-1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
KR20140128512A (ko) 2013-04-26 2014-11-06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스택 적층방법 및 그 리튬 이차전지 스택
KR101676406B1 (ko) 2013-10-31 2016-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346A (ko) * 2010-06-10 2011-12-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전지의 전극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1843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이차전지용 전극 분리막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5017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2576B2 (en) 2018-02-01 2022-05-24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142974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를 내장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1430773A (zh) * 2020-04-30 2020-07-17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极层叠组件的制造方法及电极层叠组件、电极层叠装置
WO2023282718A1 (en) * 2021-07-09 2023-01-12 Lg Energy Solution,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equipment
WO2023282715A1 (en) * 2021-07-09 2023-01-12 Lg Energy Solution,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96766T3 (pl) 2020-11-02
KR102065131B1 (ko) 2020-03-02
CN108604704B (zh) 2021-03-30
CN108604704A (zh) 2018-09-28
EP3396766A4 (en) 2019-03-27
US10854924B2 (en) 2020-12-01
EP3396766B1 (en) 2020-03-18
US20200127334A1 (en) 2020-04-23
WO2018066820A1 (ko) 2018-04-12
EP3396766A1 (en)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847A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4092B1 (ko) 단차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JP5943243B2 (ja) 段差を有する電極組立体、それを含む電池セル、電池パック及びデバイス
KR101395016B1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US9203058B2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2023530B1 (ko) 전극 조립체
KR101440972B1 (ko) 두께 방향의 형상 자유도가 우수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102016645B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12272B1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KR101590259B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디바이스
KR102311950B1 (ko) 전극조립체
KR20180106408A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29815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위한 기본 단위체
KR20170032042A (ko) 전극 조립체 폴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 폴딩 방법
KR20150134660A (ko) 계단 구조의 복합 전극 조립체
KR101613771B1 (ko) 이차전지용 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4605B1 (ko) 폴리머 배터리 및 폴리머 배터리 제조 방법
US11342576B2 (e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42165B1 (ko)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CN111430772A (zh) 叠片极组和具有其的动力电池
JP2010251085A (ja) 積層型二次電池
JP2010016308A (ja) 蓄電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806585B1 (ko) 노칭 방법,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
JP2010016307A (ja) モジュール型蓄電装置
KR20170057779A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