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744A -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744A
KR20180037744A KR1020160128317A KR20160128317A KR20180037744A KR 20180037744 A KR20180037744 A KR 20180037744A KR 1020160128317 A KR1020160128317 A KR 1020160128317A KR 20160128317 A KR20160128317 A KR 20160128317A KR 20180037744 A KR20180037744 A KR 20180037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tter
sub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희
정우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744A/ko
Publication of KR2018003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명은,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복수개로 구분되는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상기 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상기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 조명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차량 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통해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의 배터리가 충전되려면,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간의 전기적 연결방식의 일 예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물리적인 케이블(cable) 또는 전선의 사용이 동반된다. 따라서 단자공급방식의 장비들을 많이 취급하는 경우, 많은 케이블들이 상당한 작업 공간을 차지하고 정리가 곤란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단자공급방식은 단자들간의 서로 다른 전위차로 인한 순간방전현상, 이물질에 의한 소손 및 화재 발생, 자연방전, 배터리의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 충전시스템(이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라 칭함.)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과거에는 일부 단말에 기본 장착되지 않고 소비자가 별도 무선 충전 수신기 액세서리를 별도로 구매해야 했기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낮았으나 무선 충전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단말 제조사에서도 무선충전 기능을 기본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등)에 의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전력 송신단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단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또는/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특정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기 공진 방식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기구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RF 신호에 저전력의 에너지를 실어 원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 받기 때문에, 무선 전력 수신기와 연결되어 있는 기기(이하, "무선 전력 수신측"이라 칭함.)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필요하지 않다. 즉, 무선 전력 수신측은 전원 및 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배선이 필요하지 않다.
차량의 개폐부(예를 들어, 테일게이트(tailgate), 트렁크 리드(trunk lid))는 차량의 바디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의 후미등(tail lamp)는 활성화되기 위한 전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어 있는 후미등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복잡한 배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복잡한 배선이 필요 없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미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차량 바디와 분리되어 있는 후미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 바디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명은,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복수개로 구분되는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상기 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상기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는 차량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는 개폐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은 후미등(tail lamp)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폐부는 트렁크 리드(trunk lid) 또는 테일게이트(tailgate)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유닛은,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서브유닛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전력의 크기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은,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구분되는 제1조명 및 제2조명; 상기 제1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기; 상기 제2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2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전력의 크기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조명은 차량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2조명은 상기 개폐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조명 및 제2조명은 후미등(tail lamp)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폐부는 트렁크 리드(trunk lid) 또는 테일게이트(tailgate)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명 제어 방법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면,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복수개로 구분되는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중 어느 하나의 서브유닛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을 전달 받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는 차량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는 개폐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유닛은,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력을 전달 받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폐부는 트렁크 리드(trunk lid) 또는 테일게이트(tailgate)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유닛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전력의 크기를 달리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제어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어 있는 후미등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배선을 요구하지 않아 후미등의 설치 및 교체의 편의성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후미등으로의 배선이 필요하지 않아 전력선의 피복의 손상, 부식 등에 따른 합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을 제거함으로써 배선 자체의 비용 및 전력선 설치하기 위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후미등에 대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심미성이 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WPC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는 PMA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상태 천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에 배치되는 후미등으로 전력 신호를 공급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조명 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기, 무선충전장치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단말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탁자 위 등에서 놓여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으로도 개발되어 적용되어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이하, "디바이스"라 칭함.)라면 족하고, 단말 또는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차량, 무인 항공기, 에어 드론 등에도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밴드 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인밴드 통신, BLE 통신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주파수 변조 방식, 위상 변조 방식, 진폭 변조 방식, 진폭 및 위상 변조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 코일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소정 패턴으로 ON/OFF 스위칭하여 궤환 신호(feedback signal)를 생성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에 각종 제어 신호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효율 또는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크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10), 상기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20) 및 수신된 전력을 공급 받는 전자기기(2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과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과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대역외(Out-of-ban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과 무선 전력 수신기(2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는 서로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 사이에 교환되는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후술할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인밴드 통신 및 대역외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방향 통신 또는 반이중 방식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방향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기(20)이 무선 전력 송신기(10)으로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10)이 무선 전력 수신기(2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이중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기(20)과 무선 전력 송신기(1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가능하나,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만 정보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전자 기기(3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30)의 상태 정보는 현재 전력 사용량 정보, 실행중인 응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CPU 사용량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 출력 전압/전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기기(30)로부터 획득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제어에 활용 가능한 정보이면 족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고속 충전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소정 패킷을 무선 전력 수신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접속된 무선 전력 송신기(10)이 고속 충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이를 전자 기기(30)에 알릴 수 있다. 전자 기기(30)는 구비된 소정 표시 수단-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음-을 통해 고속 충전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30) 사용자는 액정 표시 수단에 표시된 소정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을 선택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0)이 고속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30)는 사용자에 의해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소정 고속 충전 요청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수신된 고속 충전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0)에 전송함으로써,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를 고속 충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예로, 도면 부호 20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10)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연결되어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시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할당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 연결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20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들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20)과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기(20)의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등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WPC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WPC 표준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선택 단계(Selection Phase, 310), 핑 단계(Ping Phase, 320),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33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340)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단계(310)는 파워 전송을 시작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선택 단계(310)에서 송신기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핑 단계(320)로 천이할 수 있다(S301). 선택 단계(3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 코일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핑 단계(320)에서 송신기는 물체가 감지되면,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고, 수신기가 WPC 표준이 호환되는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전송한다. 핑 단계(320)에서 송신기는 디지털 핑에 대한 응답 시그널-예를 들면, 신호 세기 지시자-을 수신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선택 단계(310)로 천이할 수 있다(S302). 또한, 핑 단계(32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파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단계(310)로 천이할 수도 있다(S303).
핑 단계(320)가 완료되면,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 및 수신기 구성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식별 및 구성 단계(330)로 천이할 수 있다(S304).
식별 및 구성 단계(33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패킷 전송 오류가 있거나(transmission error), 파워 전송 계약이 설정되지 않으면(no power transfer contract) 선택 단계(310)로 천이할 수 있다(S305).
수신기에 대한 식별 및 구성이 완료되면, 송신기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단계(340)로 천이할 수 있다(S306).
전력 전송 단계(34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기 설정된 파워 전송 계약에 대한 위반이 발생되거나(power transfer contract violation), 충전이 완료된 경우, 선택 단계(310)로 천이할 수 있다(S307).
또한, 전력 전송 단계(340)에서, 송신기는 송신기 상태 변화 등에 따라 파워 전송 계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식별 및 구성 단계(330)로 천이할 수 있다(S308).
상기한 파워 전송 계약은 송신기와 수신기의 상태 및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 상태 정보는 최대 전송 가능한 파워량에 대한 정보, 최대 수용 가능한 수신기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PMA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MA 표준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대기 단계(Standby Phase, 410), 디지털 핑 단계(Digital Ping Phase, 420), 식별 단계(Identification Phase, 43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440) 단계 및 충전 완료 단계(End of Charge Phase, 450)로 구분될 수 있다.
대기 단계(410)는 파워 전송을 위한 수신기 식별 절차를 수행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대기 단계(410)에서 송신기는 충전 표면(Charging Surface)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충전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거나 RXID 재시도가 진행중인 경우, 디지털 핑 단계(420)로 천이할 수 있다(S401). 여기서, RXID는 PMA 호환 수신기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이다. 대기 단계(4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을 전송하며, 송신 코일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예를 들면, 충전 베드-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디지털 핑 단계(420)로 천이된 송신기는 감지된 물체가 PMA 호환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 신호를 송출한다. 송신기가 전송한 디지털 핑 신호에 의해 수신기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수신기는 수신된 디지털 핑 신호를 PM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하여 소정 응답 시그널을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시그널은 수신기에 수신된 전력의 세기를 지시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핑 단계(420)에서 수신기는 유효한 응답 시그널이 수신되면, 식별 단계(430)로 천이할 수 있다(S402).
만약, 디지털 핑 단계(420)에서, 응답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거나, PMA 호환 수신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즉, FOD(Foreign Object Detection)인 경우-, 송신기는 대기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3). 일 예로, FO(Foreign Object)는 동전, 키 등을 포함하는 금속성 물체일 수 있다.
식별 단계(43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 절차가 실패하거나 수신기 식별 절차를 재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및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수신기 식별 절차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 대기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4).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에 성공하면, 식별 단계(430)에서 전력 전송 단계(440)로 천이하여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S405).
전력 전송 단계(440)에서, 송신기는 원하는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FO가 감지되거나, 송신 코일의 전압이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기 단계(410)으로 천이할 수 있다(S406).
또한, 전력 전송 단계(440)에서, 송신기는 내부 구비된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충전 완료 단계(450)로 천이할 수 있다(S407).
충전 완료 단계(45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가 충전 표면에서 제거된 것이 확인되면, 대기 상태(410)으로 천이할 수 있다(S409).
또한, 송신기는 Over Temperature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측정된 온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 충전 완료 단계(450)에서 디지털 핑 단계(420)로 천이할 수 있다(S410).
디지털 핑 단계(420) 또는 전력 전송 단계(44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EOC(End Of Charge) 요청이 수신되면, 충전 완료 단계(450)로 천이할 수도 있다(S408 및 S41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510)와 무선 전력 수신기(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510)가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520)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51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520)에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52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기(510)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510)는 특정 전력 전송 주파수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무선 전력 수신기(520)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520)는 무선 전력 송신기(51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전송을 위한 주파수는 6.78MHz 대역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510)에 의해 전송된 전력은 무선 전력 송신기(510)와 공진을 이루는 무선 전력 수신기(520)에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5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520)의 최대 개수는 무선 전력 송신기(510)의 최대 전송 전력 레벨, 무선 전력 수신기(520)의 최대 전력 수신 레벨, 무선 전력 송신기(510) 및 무선 전력 수신기(520)의 물리적인 구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510)와 무선 전력 수신기(52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주파수 대역-즉,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양방향 통신은 반이중 방식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510)와 무선 전력 수신기(520)는 상기 양방향 통신을 통해 서로의 특성 및 상태 정보-즉, 전력 협상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520)는 무선 전력 송신기(51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전력 수신 상태 정보를 양방향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5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510)는 수신된 전력 수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510)는 전력 전송 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전압(Over-Voltage)에 따른 부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 저전압(Under-Voltage)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510)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520)에 대한 인증 및 식별하는 기능, 호환되지 않는 장치 또는 충전이 불가능한 물체를 식별하는 기능, 유효한 부하를 식별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과정을 상기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510)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ier, 511), 전력변환부(Power Conversion Unit, 512), 매칭회로(Matching Circuit, 513), 송신공진기(Transmission Resonator, 514), 주제어부(Main Controller, 515) 및 통신부(Communication Unit, 5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데이터 송신기(Data Transmitter)와 데이터 수신기(Data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1)는 주제어부(515)의 제어에 따라 전력변환부(512)에 특정 공급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급 전압은 DC 전압 또는 AC 전압일 수 있다.
전력변환부(521)는 주제어부(515)의 제어에 따라 전력공급부(511)로부터 수신된 전압을 특정 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변환부(521)는 DC/DC 변환기(DC/DC convertor), AC/DC 변환기(AC/DC convertor),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매칭회로(513)는 전력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전력변환부(521)와 송신공진기(514)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회로이다.
송신공진기(514)는 매칭회로(513)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따라 특정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520)는 수신공진기(Reception Resonator, 521), 정류기(Rectifier, 522), DC-DC 변환기(DC-DC Converter, 523), 부하(Load, 524), 주제어부(Main Controller, 525) 및 통신부(Communication Unit, 5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데이터 송신기(Data Transmitter)와 데이터 수신기(Data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공진기(521)는 공진 현상을 통해 송신공진기(514)에 의해 송출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기(521)는 수신공진기(521)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C-DC 변환기(523)는 정류된 DC 전압을 부하(524)에 요구되는 특정 DC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부하(524)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포함되어 있는 단말의 내부 배터리일 수 있다. 내부 배터리는 DC-DC 변환기(523)에서 출력되는 특정 DC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주제어부(525)는 정류기(522) 및 DC-DC 변환기(523)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무선 전력 수신기(520)의 특성 및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526)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510)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520)의 특성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제어부(525)는 정류기(522)와 DC-DC 변환기(523)에서의 출력 전압 및 전류의 세기를 모니터링하여 정류기(522) 및 DC-DC 변환기(5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 및 전류의 세기 정보는 통신부(526)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510)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525)는 정류된 DC 전압을 소정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과전압 상태(Over-Voltage State)인지 저전압 상태(Under-Voltage State)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시스템 오류 상태가 감지되면, 감지 결과를 통신부(526)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5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어부(525)는 시스템 오류 상태가 감지되면, 부하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정류기(522) 및 DC-DC 변환기(523)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위치 또는(및)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한 소정 과전류 차단 회로를 이용하여 부하(524)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도 5에서는 주제어부(515, 525)와 통신부(516, 526)가 서로 다른 모듈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주제어부(515, 525)와 통신부(516, 526)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 회로도이다.
상세하게, 도 6은 후술할 레퍼런스 파라메터들이 측정되는 등가 회로상에서의 인터페이스 지점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6에 표시된 레퍼런스 파라메터들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ITX와 ITX _COIL은 각각 무선 전력 송신기의 매칭 회로(또는 매칭 네트워크)(601)에 인가되는 RMS(Root Mean Square) 전류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공진기 코일(602)에 인가되는 RMS 전류를 의미한다.
ZTX _IN과 ZTX _IN_COIL은 각각 무선 전력 송신기의 매칭 회로(601) 전단의 입력 임피던스(Input Impedance)와 매칭 회로(601) 후단 및 송신공진기 코일(602) 전단에서의 입력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L1과 L2는 각각 송신공진기 코일(602)의 인덕턴스 값과 수신공진기 코일(603)의 인덕턴스 값을 의미한다.
ZRX _IN은 무선전력수신기의 매칭회로(604) 후단과 필터/정류기/부하(605) 전단에서의 입력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사용되는 공진 주파수는 6.78MHz ± 15㎑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동시 충전-즉, 멀티 충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새로 추가되거나 삭제되더라도 남아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전력 변화량은 소정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 전력 변화량은 ±10%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수신 전력 변화량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영역에 추가 또는 삭제 시 기존 무선 전력 수신기와 중첩되지 않아야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의 매칭 회로(604)가 정류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ZTX _IN의 실수부(Real Part)는 정류기의 부하 저항-이하, RRECT이라 명함-과 역의 관계일 수 있다. 즉, RRECT의 증가는 ZTX_IN을 감소시키고, RRECT의 감소는 ZTX_IN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정합 효율(Resonator Coupling Efficiency)은 수신공진기 코일에서 부하(604)로 전달되는 전력을 송신공진기 코일(602)에서 공진 주파수 대역에 실어주는 전력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최대 전력 수신 비율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의 공진기 정합 효율은 송신공진기의 레퍼런스 포트 임피던스(ZTX_IN)과 수신공진기의 레퍼런스 포트 임피던스(ZRX _IN)가 완벽하게 매칭되는 경우에 산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상태 천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크게 구성 상태(Configuration State, 710), 전력 절약 상태(Power Save State, 720), 저전력 상태(Low Power State, 730),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State, 740), 로컬 장애 상태(Local Fault State, 750) 및 잠금 장애 상태(Latching Fault State, 7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력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성 상태(710)로 천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성 상태(710)에서 소정 리셋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초기화 절차가 완료되면, 전력 절약 상태(720)로 천이할 수 있다.
전력 절약 상태(72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비콘 시퀀스를 생성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720)에 진입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비콘 시퀀스가 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720) 천이 후 50ms 이내에 비콘 시퀀스가 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력 절약 상태(72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비콘 시퀀스(First Beacon Sequence)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전송하고, 수신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즉, Load Variation-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비콘과 제1 비콘 시퀀스를 각각 Short Beacon과 Short Beacon 시퀀스라 명하기로 한다.
특히, Short Beacon 시퀀스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기 전까지 무선 전력 송신기의 대기 전력이 절약될 수 있도록 짧은 구간 동안(tSHORT _BEACON) 일정 시간 간격(tCYCLE)으로 반복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tSHORT _BEACON은 30ms이하, tCYCLE은 250ms ±5 ms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hort Beacon의 전류 세기는 소정 기준치이상이고,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점증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일 예로, Short Beacon의 최소 전류 세기는 상기 테이블 2의 카테고리 2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Short Beacon에 따른 수신 공진기에서의 리액턴스(reactance) 및 저항(resistance)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 센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절약 상태(72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부팅(Booting) 및 응답에 필요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비콘 시퀀스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비콘과 제2 비콘 시퀀스를 각각 Long Beacon과 Long Beacon 시퀀스라 명하기로 한다.
즉,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비콘 시퀀스를 통해 부팅이 완료되면, 대역외 통신 채널을 통해 소정 응답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특히, Long Beacon 시퀀스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부팅에 필요한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Short Beacon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구간 동안(tLONG_BEACON)동안 일정 시간 간격(tLONG _BEACON_PERIOD)으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tLONG _BEACON은 105 ms+5 ms, tLONG _BEACON_PERIOD 은 850ms로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Long Beacon의 전류 세기는 Short Beacon의 전류 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다. 또한, Long Beacon은 전송 구간 동안 일정 세기의 전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된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Long Beacon 전송 구간 동안 소정 응답 시그널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응답 시그널을 광고 시그널(Advertisement Signal)이라 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대역외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해 광고 시그널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시그널은 해당 대역외 통신 표준에 정의된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적법한 또는 해당 무선 전력 송신기에 호환 가능한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서비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 식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출력 전력 정보, 부하에 인가되는 정격 전압/전류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안테나 이득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인증 정보, 과전압 보호 기능의 탑재 여부에 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광고 시그널이 수신되면, 전력 절약 상태(720)에서 저전력 상태(730)로 천이한 후, 무선 전력 수신기와의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연이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역외 통신이 블루투스 저전력 통신인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서로의 상태 정보, 특성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저전력 상태(730)에서 대역외 통신을 통해 충전을 개시하기 위한 소정 제어 신호-즉, 무선 전력 수신기가 부하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요청하는 소정 소정 제어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저전력 상태(730)에서 전력 전송 상태(740)로 천이될 수 있다.
만약, 저전력 상태(730)에서 대역외 통신 링크 설정 절차 또는 등록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저전력 상태(730)에서 전력 절약 상태(720)에 천이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와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분리된 링크 만료 타이머(Link Expiration Timer)가 구동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소정 시간 주기로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자신이 존재함을 알리는 소정 메시지를 링크 만료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전송해야 한다. 링크 만료 타이머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리셋되며, 링크 만료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으면 무선 전력 수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에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는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저전력 상태(730) 또는 전력 전송 상태(74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에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에 대응되는 모든 링크 만료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전력 절약 상태(720)로 천이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상태(73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유효한 광고 시그널이 수신되면 소정 등록 타이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등록 타이머가 만료되면, 저전력 상태(73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720)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등록에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소정 알림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구비된 알림 표시 수단-예를 들면, LED 램프, 디스플레이 화면, 비퍼(beeper) 등을 포함함-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전송 상태(74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접속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저전력 상태(730)로 천이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성 상태(710), 로컬 장애 상태(750) 및 잠금 장애 상태(760)를 제외한 나머지 상태에서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기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 상태(740)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전송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되는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 정보, 정류기 후단에서 측정된 전압 및/또는 전류 정보, 충전 상태 정보, 과전류 및/또는 과전압 및/또는 과열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정보,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따라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수단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 상태 정보는 미리 지정된 주기로 전송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따라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수단은 ON/OFF 스위치, 제너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되는 수신기 상태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유선으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대역외 통신 방식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일 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으로 변경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자신의 현재 가용한 전력,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우선 순위,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수신해야 할 전력 세기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전력 세기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기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전력 대비 얼마의 비율로 전력을 수신해야 하는지로 결정될 수 있다.
이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결정된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소정 전력 제어 명령을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해 결정된 전력 세기로 전력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소정 전력 제어 응답 메시지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 전력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소정 수신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이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전력 전송 상태(740)는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에 따라 제1 상태(741), 제2 상태(742) 및 제3 상태(743)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상태(741)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접속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정상 전압인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태(742)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저전압 상태이고 고전압 상태인 무선 전력 수신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상태(743)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고전압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720) 또는 저전력 상태(730) 또는 전력 전송 상태(740)에서 시스템 오류가 감지되면, 잠금 장애 상태(760)로 천이될 수 있다.
잠금 장애 상태(76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접속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영역에서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성 상태(710) 또는 전력 절약 상태(720)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장애 상태(76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가 감지되면, 로컬 장애 상태(750)로 천이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장애 상태(750)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가 해제되면, 다시 잠금 장애 상태(760)로 천이될 수 있다.
반면, 구성 상태(710), 전력 절약 상태(720), 저전력 상태(730), 전력 전송 상태(740)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로컬 장애 상태(750)로 천이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가 해제되면, 구성 상태(710)로 천이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 상태(750)로 천이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 과전류, 과열 등의 장애가 감지되면 로컬 장애 상태(750)로 천이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류, 과전압, 과열 등이 감지되면,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소정 전력 제어 명령을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류, 과전압, 과열 등이 감지되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을 중단시키기 위한 소정 제어 명령을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력 제어 절차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 과전류, 과열 등에 따른 기기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잠금 장애 상태(760)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잠금 장애 상태(760)로 천이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를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도는 미리 지정된 회수 동안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잠금 장애 상태(760)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소정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잠금 장애 상태(760)가 해제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소정 알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의 충전 영역에 위치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가 사용자에 의해 충전 영역에서 제거되면, 잠금 장애 상태(760)가 해제될 수 있다.
반면,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상기 미리 지정된 반복 수행 동안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잠금 장애 상태(760)는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잠금 장애 상태(760)에서 전력 절약 상태(720)로 자동 천이되어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감지 및 식별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전송 상태(74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연속된 전력을 송출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정보 및 미리 정의된 최적 전압 영역(Optimal Voltage Region) 설정 파라메터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 전압 영역(Optimal Voltage Region) 설정 파라메터는 저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최적 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고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과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저전압 영역에 있으면, 송출 전력을 증가시키고, 고전압 영역에 있으면, 송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화되도록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요구된 전력량의 편차가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기 출력 전압이 소정 과전압 영역에 도달한 경우-즉, Over Voltage가 감지된 경우-,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는 크게 비활성화 상태(Disable State, 810), 부트 상태(Boot State, 820), 활성화 상태(Enable State, 830)(또는, On state) 및 시스템 오류 상태(System Error State, 8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기단에서의 출력 전압의 세기-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VRECT이라 명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830)는 VRECT의 값에 따라 최적 전압 상태(Optimum Voltage State, 831), 저전압 상태(Low Voltage State, 832) 및 고전압 상태(High Voltage State, 833)로 구분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81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측정된 VRECT 값이 미리 정의된 VRECT_BOOT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부트 상태(820)로 천이할 수 있다.
부트 상태(820)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의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VRECT 값이 부하단에 요구되는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부트 상태(82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VRECT 값이 부하단에 요구되는 전력에 도달된 것이 확인되면, 활성화 상태(830)로 천이하여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83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충전이 완료되거나 충전이 중단된 것이 확인되면, 부트 상태(820)로 천이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상태(83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소정 시스템 오류가 감지되면, 시스템 오류 상태(840)로 천이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오류는 과전압, 과전류 및 과열뿐만 아니라 미리 정의된 다른 시스템 오류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상태(83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VRECT 값이 VRECT _BOOT 값 이하로 떨어지면, 비활성화 상태(810)로 천이될 수도 있다.
또한, 부트 상태(820) 또는 시스템 오류 상태(84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VRECT 값이 VRECT_BOOT 값 이하로 떨어지면, 비활성화 상태(810)로 천이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원 인가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 구성, 즉, 부팅이 완료되면, 비콘 시퀀스를 생성하여 송신 공진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901).
무선 전력 수신기는 비콘 시퀀스가 감지되면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특성 정보가 포함된 광고 시그널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903). 이때, 광고 시그널은 후술할 연결 요청 신호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되기 이전까지 소정 주기로 반복 전송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광고 시그널이 수신되면,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 연결 요청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905).
무선 전력 수신기는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자신의 정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07).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최대 정류기 출력 전력 정보, 전력 제어를 위한 초기 기준 파라메터 정보, 요구 전압 또는 전력에 관한 정보, 전력 조절 기능 탑재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지원 가능한 대역외 통신 방식에 관한 정보, 지원 가능한 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정보, 무선전력수신기에 초기 설정된 선호 정류기단 전압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를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909).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는 송신기 전력 정보, 클래스 정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지원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최대 개수에 관한 정보 및/또는 현재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후,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자신의 실시간 전력 수신 상태 및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동적 상태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911).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적 상태 정보는 정류기 출력 전압 및 전류에 관한 정보,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에 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측정 온도에 관한 정보, 전력 제어를 위한 기준 파라메터 변경 정보(정류 전압 최소 값, 정류 전압 최대 값, 초기 설정된 선호 정류기단 전압 변경 값), 충전 상태 정보, 시스템 오류 정보, 경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전력 제어를 위한 기준 파라메터 변경 정보 수신시 기존 정적 상태 정보에 포함된 설정 값을 변경하여 전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이 준비되면,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소정 제어 명령을 송출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13).
이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동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915).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내부 시스템 오류가 감지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 동적 상태 정보에 해당 시스템 오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S917). 여기서, 시스템 오류는 과전류, 과전압, 과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대역외 통신 방식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 통신, Wi-Fi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에 배치되는 후미등으로 전력 신호를 공급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의 후미등(tail lamp)은 차량의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서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개폐부는 차량의 테일게이트(tailgate), 트렁크 리드(trunk lid)와 같이 차량의 바디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열림 또는 닫힘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개폐부와 차량의 바디는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힌지유닛(도면 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의 후미등은 차량의 바디에 배치되는 후미등의 서브유닛(1010, 이하 "제1서브유닛"이라 칭함.)과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는 후미등의 서브유닛(1020, 이하 "제2서브유닛" 이라 칭함.)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서브유닛(1010)은 차량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어, 제1서브유닛(1010)을 활성화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을 배치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으나, 제2서브유닛(1020)은 차량의 개폐부에 위치하여 전력 공급을 위한 배선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제1서브유닛(1010) 측(차량의 바디)에 무선 전력 송신기를 배치하고, 제2서브유닛(1020) 측(차량의 개폐부)에 무선 전력 수신기를 배치함으로써, 제2서브유닛(1020)이 활성화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 전력 송수신기로부터 전달 받아 도선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제1서브유닛(1010) 측에 배치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전력 신호를 제2서브유닛(1020)을 활성화할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2서브유닛(102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수신한 전력은 즉각적으로 제2서브유닛(1020)에 공급될 수 있고, 차량의 개폐부에 별도 포함되는 배터리에 저장되어 제2서브유닛(1020)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을 때 활성화 대상 서브유닛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전력 신호와 함께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서브유닛 중 활성화할 대상 조명을 식별할 수 있는 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식별된 활성화할 조명으로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후미등은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방향지시등은 차량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고, 후진등은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미등 및 제동등의 기능은 동일한 램프를 사용하고 밝기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밝기가 다른 더블 램프를 사용하여 미등 및 제동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미등 및 제동등의 기능에 따라 전력의 크기를 달리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활성화할 조명을 식별하여 식별된 조명에 따라 전력을 달리 공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 제어기(1110, 이하 "제어기"라 칭함)는 차량의 바디에 배치되는 후미등의 서브유닛(1141, 1142)로 활성화 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111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20)로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는 후미등의 서브유닛(1143, 1144)를 활성화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30)는 차량의 개폐부에 위치하는 서브유닛(1143, 1144) 중 활성화 대상이 되는 서브유닛을 식별하여, 식별된 서브조명만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111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30)가 감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1120)을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11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20)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1130)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의 적용을 받는 무선 전력 송신기(1120)는 주기적으로 핑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무선 전력 수신기(1130)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전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기(1130)는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브로드케스팅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기(1110)는 차량의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개폐부의 상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어기(1110)는 차량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일 때에만 무선 전력 송신기(1120)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110)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킬 수 있다.
제어기(1110)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를 CAN통신을 통해 각각의 신호를 제어하는 클러스터(cluster), 제동 시스템(brake control system), 변속기 제어장치(Transmission Control Unit, TCU)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조명 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 시스템은 제어기(1210), 무선 전력 송신기(1220), 무선 전력 수신기(1230) 및 제1서브조명유닛(1241), 제2서브조명유닛(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210)는 무선 전력 송신기(1220)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230)으로 전력을 무선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30)는 무선 전력 송신기(1220)으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복수개의 서브조명유닛(1241, 1242)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서브조명유닛은 조명의 기능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브조명유닛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서브조명유닛(1241)은 미등일 수 있으며, 제2서브조명유닛(1242)는 후진등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30)는 무선 전력 송신기(1220)로부터 전력을 전송 받으며, 서브조명유닛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할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활성화 될 서브조명유닛을 식별할 수 있는 신호는 기존의 전자기 공진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표준 단체에서 정의한 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 새로운 제어 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30)는 서브조명유닛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벅(buck) 컨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30)는 서브조명유닛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할지 여부에 대한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된 서브조명유닛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벅 컨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210)가 CAN 통신을 통해 미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미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210)가 미등 신호를 수신하면, 미등에 해당하는 제1서브조명유닛(1241)을 활성화 하기 위해 제1서브조명유닛(1241)이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무선 전력 송신기(1220)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20)는 무선 전력 수신기(1230)로 전력 신호와 함께 제1서브조명유닛(1241)을 식별할 수 있는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30)가 제1서브조명유닛(1241)에 대한 식별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제어하는 벅 컨버터를 제어하여 제1서브조명유닛(1241)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30)은 수신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전력 송신기(1220)로부터 활성화 될 서브조명유닛을 식별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할 서브조명유닛을 활성화하기 위해 활성화할 서비조명유닛의 벅 컨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 제어기는 대기 상태(S1310)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다(S1320).
일 실시예로, 조명 장치 제어기는 개폐부의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닫힘 상태임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닫힘 상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조명 장치 제어기는 무선 전력 송수신기가 지원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른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전력 송수신기가 전자기 유도 방식에 따른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조명 장치 제어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하여금 핑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켜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할 수 이다.
다른 일 실시예로, 무선 전력 송수신기가 전자기 공진 방식에 따른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조명 장치 제어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하여금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켜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할 수 있다.
조명 장치 제어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한 후,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각각의 신호에 대응하여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로만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킬 수 있다.
조명 장치 제어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한 후,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서브조명유닛을 활성화할 전력을 전송하면서 함께 각각의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로 하여금 각각의 신호에 대응되는 서브조명유닛을 활성화하도록 신호를 전송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조명 장치 제어기가 CAN 통신을 통해 미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미등 신호를 수신하면(S1330),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미등으로만 미등을 활성화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한 전력을 곧바로 미등으로 인가하여 미등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1331).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함과 동시에 미등만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로 하여금 미등만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31).
조명 장치 제어기가 CAN 통신을 통해 제동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제동 신호를 수신하면(S1340),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제동등으로만 제동등을 활성화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한 전력을 곧바로 제동등으로 인가하여 제동등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1341).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함과 동시에 제동등만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로 하여금 제동등만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41).
조명 장치 제어기가 CAN 통신을 통해 방향지시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제동 신호를 수신하면(S1350),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방향지시등으로만 방향지시등을 활성화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한 전력을 곧바로 방향지시등으로 인가하여 방향지시등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1351).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함과 동시에 방향지시등만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로 하여금 방향지시등만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51).
조명 장치 제어기가 CAN 통신을 통해 후진등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후진 신호를 수신하면(S1360),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후진등으로만 후진등을 활성화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한 전력을 곧바로 후진등으로 인가하여 후진등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S1361).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함과 동시에 후진등만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로 하여금 후진등만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61).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 시스템은 복수개의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페어(pair)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420)는 차량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기(1410)는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무선 전력 송수신기 페어는 각각 활성화할 서브조명유닛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무선 전력 송신기(1421)은 제1무선 전력 수신기(1411)로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2무선 전력 송신기(1422)는 제2무선 전력 수신기(1412)로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의 바디와 차량의 개폐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만, 개폐부가 닫힌 상태에서 차량의 바디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마주보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방식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은 전력 전송을 위해 송신코일 및 수신코일의 정렬 상태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무선 전력 송수신기 페어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전력 전송이 바람직하다. 전자기 공진 방식의 경우에는 송수신 코일의 정렬(align)을 요구하지 않고,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반드시 마주보는 위치에서 정렬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자기 공진 방식의 경우 제1무선 전력 송신기(1421)이 제2무선 전력 수신기(1412)로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활성화 대상이 아닌 조명이 활성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명 장치 시스템이 복수의 무선 전력 송수신기의 페어(pair)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수신기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적용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장치 제어기는 조명 장치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제1무선 전력 송신기(1421) 및 제2무선 전력 송신기(1422)로 차량 조명을 활성화 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정렬하여 배치되는 후미등의 서브조명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조명유닛은 각각을 활성화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기 페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10), 제1조명(1520), 제3조명(1540) 및 제5조명(1560)은 차량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조명(1530), 제4조명(1550) 및 제6조명(1570)은 차량의 개폐부에 배치되어 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기(1510)는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도면 미도시)를 전력원으로 하여 차량 조명을 활성화할 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어기(1510)는 제1조명(1520) 및 제2조명(1530)의 활성화 제어를 위해 제1조명(1520) 및 제1무선 전력 송신기로만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조명(1520)은 제어기(151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1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어기(15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력 신호를 통해 제1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달할 수 있다. 제1무선 전력 수신기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곧바로 제2조명(1530)을 활성화할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2조명(15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1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한 전력을 곧바로 제2조명(1530)으로 인가하여 제2조명(1530)을 활성화할 수 있으므로, 제1무선 전력 수신기는 활성화될 조명을 지시하는 신호는 수신하지 않는다.
제어기(1510)는 제3조명(1540) 및 제4조명(1550)의 활성화 제어를 위해 제3조명(1520) 및 제3무선 전력 송신기로만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3조명(1540)은 제어기(151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3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어기(15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력 신호를 통해 제3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달할 수 있다. 제3무선 전력 수신기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곧바로 제4조명(1550)을 활성화할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4조명(15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기(1510)는 제5조명(1560) 및 제6조명(1570)의 활성화 제어를 위해 제5조명(1520) 및 제5무선 전력 송신기로만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5조명(1560)은 제어기(151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5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어기(15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력 신호를 통해 제5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달할 수 있다. 제5무선 전력 수신기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곧바로 제6조명(1570)을 활성화할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6조명(157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0)

  1.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복수개로 구분되는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상기 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상기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키는,
    차량 조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키는,
    차량 조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차량 조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는 차량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는 개폐부에 배치되는,
    차량 조명.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후미등(tail lamp)인,
    차량 조명.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트렁크 리드(trunk lid) 또는 테일게이트(tailgate)인,
    차량 조명.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은,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키는,
    차량 조명.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서브유닛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전력의 크기를 달리 제어하는,
    차량 조명.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조명.
  12.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구분되는 제1조명 및 제2조명;
    상기 제1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기;
    상기 제2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2조명을 활성화하는 전력을 공급받는,
    조명.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면 전력을 전송하는,
    조명.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키는,
    조명.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전력의 크기를 달리 제어하는,
    조명.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은 차량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2조명은 상기 개폐부에 배치되는,
    조명.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 및 제2조명은 후미등(tail lamp)인,
    조명.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키는,
    조명.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트렁크 리드(trunk lid) 또는 테일게이트(tailgate)인,
    조명.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조명.
  21.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면,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해 복수개로 구분되는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중 어느 하나의 서브유닛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을 전달 받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미등 신호, 제동 신호, 방향지시 신호, 후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는 차량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는 개폐부에 배치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은,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전달 받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미등(rear lamp), 제동등(break lamp), 방향지시등(turn lamp) 및 후진등(reverse lamp)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트렁크 리드(trunk lid) 또는 테일게이트(tailgate)인,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개폐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시키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 중 다른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유닛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전력의 크기를 달리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128317A 2016-10-05 2016-10-05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37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17A KR20180037744A (ko) 2016-10-05 2016-10-05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17A KR20180037744A (ko) 2016-10-05 2016-10-05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44A true KR20180037744A (ko) 2018-04-13

Family

ID=6197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317A KR20180037744A (ko) 2016-10-05 2016-10-05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77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8940A1 (en) * 2021-03-08 2022-09-15 HELLA GmbH & Co. KGaA Lighting device, rear lamp,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8940A1 (en) * 2021-03-08 2022-09-15 HELLA GmbH & Co. KGaA Lighting device, rear lamp,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290B1 (ko) 무선 전력 송신 코일 형상 및 코일의 배치 방법
US10523062B2 (en) Multi-m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same
US201901489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e
EP3467997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20190140469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20180212470A1 (en) Wirelessly charging battery and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US201802194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power receiver
US20190363584A1 (en) Multi-mode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using same
KR20160144190A (ko)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90214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KR20180005421A (ko) 폴더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제어 방법
US20190260240A1 (en)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power receiver and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70107155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496136B1 (ko) 무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44167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06665A (ko) 무선 충전 기기를 이용한 전력 수집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39256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0974A (ko) 멀티 모드 수신기의 동작 방법
KR20180056181A (ko) 멀티 코일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54187A (ko)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및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T) 겸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37744A (ko)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차량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44173A (ko) 무선 충전 예상 시간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90030005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12962A (ko)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24289A (ko) 멀티 모드 송신기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