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655A - Prefabricated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drainage panel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drainage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7655A KR20180037655A KR1020160128058A KR20160128058A KR20180037655A KR 20180037655 A KR20180037655 A KR 20180037655A KR 1020160128058 A KR1020160128058 A KR 1020160128058A KR 20160128058 A KR20160128058 A KR 20160128058A KR 20180037655 A KR20180037655 A KR 201800376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frame
- panel
- extended
- wall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범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성형물의 특성상 표면이 거칠고 두께가 불균일한 배수로 패널을 조립 시공 시, 연결암과의 조립부 틈새공백이 되 메우기 토사에 의해 빈틈없이 긴밀하게 마감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l-purpose assembly for supporting a panel with a prefabricated drain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ssembling a panel by assembling a panel with a coarse surface and a nonuniform thicknes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oncrete mo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assembly for panel support.
통상의 배수로는 콘크리트를 "∪"자 형태로 미리 제작하여 시공현장으로 운반 후 다단으로 연결 설치되는바, 배수로가 내부가 빈 "∪"자의 형상으로 성형됨에 따라 적재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파손으로 인한 불량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Since the concrete drainage line is preliminari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 shape and is connected to a multi-stage after being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e drainage passage is formed into an empty "∪" sha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idence of defects is high.
이에, 종래에 특허등록번호 제10-0398961호(명칭: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에서,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벽면에 미려한 문양이 돌출되어 있는 패널과 이 패널과 패널 사이를 연결해 주는 패널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조립되는 콘크리트 배수구에 관한 기술이 선 공개된바 있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art,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anel made of concrete and having a pattern protruding on the wall, and a panel for connecting between the panel and the panel in the case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398961 (named as a patterned concrete drainage hole and concrete drainag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A technique relating to a concrete drainage port assembled with a connecting member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패널이 콘크리트 성형물로 형성되어 표면이 거칠고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특성으로 인해 패널 연결부재의 삽입부와 끼움 정밀도가 유지되지 못하고, 헐거운 끼워맞춤 공차로 조립되므로 시공후 패널이 유동되고, 틈새를 통한 누수, 배수로 내주면의 평활도 저하로 침전물 고임발생을 포함하는 많은 문제점이 따랐습니다.However, since the panel is formed of a concrete mold, the surface of the panel is rough and the thickness is not uniform, the insertion part of the panel connecting member and the fitting accuracy can not be maintained, and the panel is assembled with a loose fit toleranc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leakage through crevices and the occurrence of precipitates due to the decrease in smoothnes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drainage.
뿐만 아니라, 패널 연결부재는 삽입부를 형성하기 위해 H형 빔으로 형성됨에 따라 고중량으로 취급이 어렵고, 시공현장에서 3면이 폐쇄된 삽입부 내부로 토사, 잡석 등이 들어가 막히면 패널 삽입불량으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In addition, since the panel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f an H-shaped beam to form an insertion portion,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 panel connecting member in a heavy weight, and when clogged with gravel, rubble, etc.,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성형물의 특성상 표면이 거칠고 두께가 불균일한 배수로 패널을 조립시공시, 연결암과의 조립부 틈새공백이 되 메우기 토사에 의해 빈틈없이 긴밀하게 마감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el,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anel is assembled with a coarse surface and uneven thickn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weight assembly for panel support with a finely finished prefabricated drainag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바닥프레임(10)과 측벽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암(100)과, 연결암(100) 사이에 구속되어 배수로(200) 구획을 형성하는 바닥패널(30) 및 측벽패널(40)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프레임(20)은 측벽패널(40)의 양측단부를 구속하는 경계판(22)과, 경계판(22) 일단에 교접되어 측벽패널(40) 내벽면을 지지하는 내판(24)이 구비되고, 상기 경계판(22) 다른 일단에는 측벽패널(40) 외벽면을 복수개소에서 구속하는 걸림편(26)과, 걸림편(26) 사이로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이 노출되도록 토사유입구(50)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40)은 되 메우기 토사 압력에 의해 내판(24)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토사유입구(50)를 통하여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으로 토사가 충진되어 측벽패널(40) 고정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floor panel comprising: a connection arm having a bottom frame and a side wall frame; The
이때, 상기 측벽프레임(20)은 경계판(22)과 내판(24)이 T형으로 교접된 일체형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경계판(22)은 측벽패널(40)의 상하 모서리부 및 다층 시공된 측벽패널(40) 겹침부분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측벽프레임(20) 경계판(22) 최상단에 위치되는 걸림편(26)은 내판(24) 상단부 보다 낮게 위치되어 횡형 진입로(23)를 형성하고, 측벽패널(40)이 횡형 진입로(23)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판(24)에 걸려 종방향 조립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측벽프레임(20)은 외측으로 확장 연결되는 확장 측벽프레임(20')이 더 구비되고, 확장 측벽프레임(20')에 의해 측벽패널(40)이 지지되며, 확장 측벽프레임(20')의 확장된 거리만큼 배수로(200) 내부에 생태공간(210)이 형성되며, 생태공간(210)의 일측 바닥과 다른 일측 측벽프레임(20) 상부를 연결하는 경사통로프레임(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확장 측벽프레임(20')이 장착된 연결암(100)과 확장 측벽프레임(20') 미장착 연결암(100) 조합으로 생태공간을 확장함에 있어, 확장 측벽프레임(20')이 장착된 연결암(10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암(100)의 측벽프레임(20)은 인접하는 연결암(100)의 확장 측벽프레임(20')과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도록 확장되어 확장 연결암(100')을 형성된다.In addition, in expanding the ecological space by the combination of the
또한, 상기 바닥프레임(10)과 대향하면서 한 쌍의 측벽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는 수평통로프레임(70)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수로 시공현장에서 측벽패널 조립 용이성을 위해 연결암 배치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경계판과 측벽패널 측단면 사이 틈새공간이 넓게 이격되더라도 되메우기 토사에 의해 틈새가 긴밀하게 메워져 측벽패널의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급물살에도 유동이 방지되고, 특히 연결암과 측벽패널 연결부분 틈새를 통한 누수 및 되 메우기 흙이 배수로 내부로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spacing of the connecting arms is widely secured for ease of assembling the side wall panel at the installation site of drainage, so that even if the clearance space between the boundary plate and the side wall panel side is widely spaced, The fixing force of the sidewall panel is filled to prevent the flow of water even when the sidewall of the sidewall panel is connected to the sidewall panel. Particularly, the leakage of the wate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arm and the sidewall panel is prevented.
그리고, 토사유입구 구간만큼의 중량이 감속되어 연결암 경량화를 도모하고, 이로 인해 소재비 절감 및 운반, 시공을 포함하는 취급상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soil inlet portion is reduc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nnection arm, thereby reducing the work cost and improving workability in handling includ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의 연결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의 토사유입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의 횡형 진입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의 확장 측벽프레임과 경사통로프레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의 확장 측벽프레임과 경사통로프레임 및 확장 연결암을 나타내는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view of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refabricated drainage panel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arm of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refabricated drainag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refabricated drainag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oil inlet of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refabricated drainage pane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lateral access ramp of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refabricated drainage pane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tended side wall frame and a slant passage frame of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refabricated drainag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tended side wall frame, a slant passage frame, and an extended connection arm of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refabricated drainag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에 관련되며, 이때 조립체는 콘크리트 성형물의 특성상 표면이 거칠고 두께가 불균일한 배수로 패널을 조립시공시, 연결암과의 조립부 틈새공백이 되 메우기 토사에 의해 빈틈없이 긴밀하게 마감되도록 하기 위해 바닥프레임(10), 측벽프레임(20), 바닥패널(30), 측벽패널(40), 토사유입구(5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anel in a prefabricated drainage system, wherein the assembly is made of a concrete mold, the surface of which is rough and the thickness is uneven, Th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는 바닥프레임(10)과 측벽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암(100)과, 연결암(100) 사이에 구속되어 배수로(200) 구획을 형성하는 바닥패널(30) 및 측벽패널(4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암(100)은 배수로(200)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바닥패널(30) 및 측벽패널(40)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바, 이때 바닥패널(30)은 현장에서 연결암(100)의 바닥프레임(10) 사이에 철근 배근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형성되거나, 바닥패널(30)을 측벽패널(40)과 함께 별도로 성형하여 현장에서 조립시공된다.A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a pane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이때, 상기 연결암(100)은 바닥패널(30)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10)과, 바닥프레임(10) 양단에 구비되어 측벽패널(4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프레임(20)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측벽프레임(20)은 측벽패널(40)의 양측단부를 구속하는 경계판(22)과, 경계판(22) 일단에 교접되어 측벽패널(40) 내벽면을 지지하는 내판(24)이 구비된다. 도 2처럼 경계판(22)은 일단이 내판(24) 중앙부에 직각으로 접합된 상태로 단면형상이 T형을 가진 측벽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휨에 대한 구조적 내구성이 확보된다.The
또, 상기 경계판(22) 다른 일단에는 측벽패널(40) 외벽면을 복수개소에서 구속하는 걸림편(26)과, 걸림편(26) 사이로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이 노출되도록 토사유입구(50)가 형성된다. 걸림편(26)은 바 또는 판으로 형성되어, 경계판(22) 단부에 용접, 볼팅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고, 도 3과 같이 걸림편(26)에 의해 측벽패널(40)이 복수개소에서 국부적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걸림편(26) 사이에 형성된 토사유입구(50)를 통하여 되 메우기 토사가 유입된다.The other end of the
이처럼, 상기 측벽패널(40)은 되 메우기 토사 압력에 의해 내판(24)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토사유입구(50)를 통하여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으로 토사가 충진되어 측벽패널(40) 고정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도 4와 같이 연결암(100)과 측벽패널(40)을 조립한 후, 측벽패널(40) 외측 빈 공간으로 되 메우기 토사를 투입하면, 되 메우기 토사 압력에 의해 측벽패널(40)이 배수로 내측으로 이동하여 양단부가 내판(24)에 긴밀하게 면접되고, 이후 토사유입구(50)를 통하여 되 메우기 토사가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으로 쉽게 충진되어 틈새가 긴밀하게 마감된다.The pressing force acts on the
이에 배수로(200) 시공현장에서 측벽패널(40) 조립 용이성을 위해 연결암(100) 배치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이 넓게 형성(예컨데, 측벽패널(40) 측단부가 내판(24) 폭방향으로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공간)되더라도 되메우기 토사에 의해 틈새가 긴밀하게 메워져 측벽패널(40)의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급물살에도 유동이 방지되고, 특히 연결암(100)과 측벽패널(40) 연결부분 틈새를 통한 누수 및 되 메우기 흙이 배수로 내부로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The space between the
한편, 상기 연결암(100)은 배수로(200)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측벽프레임(20)이 경사각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특성상 측벽패널(40)을 조립된 후, 측벽패널(40)이 자중에 의해 걸림편 측으로 밀착되면서 반대측인 내판(24) 사이 공간이 이격될 수 밖에 없는 종래의 문제점이 있었고,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측벽패널(40)을 내판(24)측으로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되메우기 토사를 채움시 연결암(100)과 측판패널(40) 연결부 조립불량으로 이어지나, 본원은 되 메우기 토사를 채우는 간단한 작업공정에 의해 측벽패널(40)이 내판(24)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견고하게 위치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20)은 경계판(22)과 내판(24)이 T형으로 교접된 일체형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경계판(22)은 측벽패널(40)의 상하 모서리부 및 다층 시공된 측벽패널(40) 겹침부분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 2 내지 3은 측벽패널(40)을 2개를 다단으로 삽입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바, 이때 걸림편(26)은 하층 측벽패널(40)의 하부 모서리와, 상층 측벽패널(40)의 상부 모서리와, 상하층 측벽패널(40)이 겹쳐진 부분을 포함하여 총 3개소에 구비되고, 그외 공간은 빈 공간으로 개방되어 토사유입구(50)를 형성하게 된다.The
따라서, 상기 토사유입구(50) 구간만큼의 중량이 감속되어 연결암(100) 경량화를 도모하고, 이로 인해 소재비 절감 및 운반, 시공을 포함하는 취급상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weight of the
또한, 상기 측벽프레임(20) 경계판(22) 최상단에 위치되는 걸림편(26)은 내판(24) 상단부 보다 낮게 위치되어 횡형 진입로(23)를 형성하고, 측벽패널(40)이 횡형 진입로(23)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판(24)에 걸려 종방향 조립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된다. 도 5처럼 상단 걸림편(26)이 내판(24)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어 측벽패널(40)을 조립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횡형 진입로(23)를 형성하게 된다.The
이에 상기 측벽패널(40)을 횡방향으로 견인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만으로 측벽패널(40)이 횡형 진입로(23)를 통과하여 내판(24)에 걸려 정지되고, 이후 측벽패널(40)을 하강하여 내판(24)과 걸림편(26) 사이로 간단하게 조립된다. 이처럼 측벽패널(40) 조립시공시 내판(24)이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스톱퍼역할을 수행하므로 비숙련공에 의한 조립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The
도 6에서, 상기 측벽프레임(20)은 외측으로 확장 연결되는 확장 측벽프레임(20')이 더 구비되고, 확장 측벽프레임(20')에 의해 측벽패널(40)이 지지되며, 확장 측벽프레임(20')의 확장된 거리만큼 배수로(200) 내부에 생태공간(210)이 형성되며, 생태공간(210)의 일측 바닥과 다른 일측 측벽프레임(20) 상부를 연결하는 경사통로프레임(60)이 구비된다. 확장 측벽프레임(20')은 상기 측벽프레임(20)과 동일하게 측벽패널(40) 단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측벽프레임(20) 단부에 볼팅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6, the
이에 상기 배수로(200) 일구간에 확장 측벽프레임(20')이 적용된 연결암(100)을 배치하고, 확장 측벽프레임(20')에 측벽패널(40)을 설치하면, 배수로(200)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확장되어 생태공간(210)이 형성되고, 생태공간(210)은 배수로(200) 측벽으로 함몰되어 내부 유속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지 아니하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생태서식지로 활용되면서 경사통로프레임(60)을 통하여 생태생물들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경사통로프레임(60)은 일단이 연결암의 측벽프레임(20)에 볼팅과 같은 간단한 고정수단으로 체결되므로 시공이 간편한바, 이처럼 연결암(100), 확장 측벽프레임(20'), 경사통로프레임(60)이 모듈화되어, 배수로(200) 시공시 필요한 구간에 선택적으로 식생공간이 간단하게 형성된다.Since the one end of the
도 7에서, 상기 확장 측벽프레임(20')이 장착된 연결암(100)과 확장 측벽프레임(20') 미장착 연결암(100) 조합으로 생태공간을 확장함에 있어, 확장 측벽프레임(20')이 장착된 연결암(10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암(100)의 측벽프레임(20)은 인접하는 연결암(100)의 확장 측벽프레임(20')과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도록 확장되어 확장 연결암(100')을 형성된다. 상기 연결암(100), 확장 측벽프레임(20'), 경사통로프레임(60)이 모듈화 구성에 확장 연결암(100')이 더 구비되고, 확장 연결암(100')의 적용 개수만큼 생태공간(210)이 간단하게 확장된다.7, in extending the ecological space by the combination of the
또한, 상기 바닥프레임(10)과 대향하면서 한 쌍의 측벽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는 수평통로프레임(70) 구비된다. 수평통로프레임(70)은 생태생물이 배수로(200)를 횡단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중앙에 식생공간이 함몰형성되고, 양단이 측벽프레임(20) 상부에 볼팅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간단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암(100), 확장 측벽프레임(20'), 경사통로프레임(60) 조합의 모듈화 구성 또는 연결암(100), 확장 측벽프레임(20'), 경사통로프레임(60), 확장 연결암(100') 조합의 모듈화 구성에 수평통로프레임(70)을 더 구비하게 된다. Further, a
이에 상기 배수로(200) 시공 지형에 따른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수평통로프레임(70) 설치가 간단함과 더불어 위치변경이 가능하면서, 측벽프레임(20) 상부 양단을 연결하여 연결암(100)이 전체적으로 역 평행사변형 구조를 가짐으로, 연결암(100)의 구조적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측에서 토압이 강하게 작용하는 지형에 시공시 지형을 지지하는 버팀구조물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10: 바닥프레임 20: 측벽프레임
30: 바닥패널 40: 측벽패널
50: 토사유입구 60: 경사통로프레임
100: 연결암 200: 배수로10: bottom frame 20: side wall frame
30: floor panel 40: side wall panel
50: Sewer inlet 60: Slope passage frame
100: connecting arm 200: drain
Claims (6)
상기 측벽프레임(20)은 측벽패널(40)의 양측단부를 구속하는 경계판(22)과, 경계판(22) 일단에 교접되어 측벽패널(40) 내벽면을 지지하는 내판(24)이 구비되고,
상기 경계판(22) 다른 일단에는 측벽패널(40) 외벽면을 복수개소에서 구속하는 걸림편(26)과, 걸림편(26) 사이로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이 노출되도록 토사유입구(50)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40)은 되 메우기 토사 압력에 의해 내판(24)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토사유입구(50)를 통하여 경계판(22)과 측벽패널(40) 측단면 사이 공간으로 토사가 충진되어 측벽패널(40) 고정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A connecting arm 100 composed of a bottom frame 10 and a side wall frame 20 and a bottom panel 30 and a side wall panel 40 which are bounded by the connecting arm 100 to form a divider 200 And,
The side wall frame 20 includes a boundary plate 22 for restricting both side ends of the side wall panel 40 and an inner plate 24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boundary plate 22 and supports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panel 40 And,
The oth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22 is provided with a retaining piece 26 for restrict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panel 40 at a plurality of places and a space between the edge plate 22 and the end face of the side wall panel 40 between the retaining pieces 26. [ The soil inlet 50 is formed to be exposed,
The pressing force acts on the side wall panel 40 due to the backfilling pressure and the gravel-like material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undary plate 22 and the end face of the side wall panel 40 through the soil inlet 50 And a side wall panel (40) fix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side wall panel (40).
상기 측벽프레임(20)은 경계판(22)과 내판(24)이 T형으로 교접된 일체형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경계판(22)은 측벽패널(40)의 상하 모서리부 및 다층 시공된 측벽패널(40) 겹침부분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wall frame 20 is formed as an integral frame in which the boundary plate 22 and the inner plate 24 are joined to each other in a T shape and the boundary plate 22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ide wall panel 40, (40) overlaps the lightweight assembly (40).
상기 측벽프레임(20) 경계판(22) 최상단에 위치되는 걸림편(26)은 내판(24) 상단부 보다 낮게 위치되어 횡형 진입로(23)를 형성하고, 측벽패널(40)이 횡형 진입로(23)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판(24)에 걸려 종방향 조립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ing piece 26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boundary plate 22 of the side wall frame 2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24 to form the lateral entryway 23 and the side wall panel 40 is connected to the lateral entryway 23, Wherein the vertical assembly position is determined by engaging the inner plate (24) while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support plate (20).
상기 측벽프레임(20)은 외측으로 확장 연결되는 확장 측벽프레임(20')이 더 구비되고, 확장 측벽프레임(20')에 의해 측벽패널(40)이 지지되며, 확장 측벽프레임(20')의 확장된 거리만큼 배수로(200) 내부에 생태공간(210)이 형성되며, 생태공간(210)의 일측 바닥과 다른 일측 측벽프레임(20) 상부를 연결하는 경사통로프레임(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wall frame 20 further includes an extended sidewall frame 20 'extended outwardly. The sidewall panel 40 is supported by the extended sidewall frame 20', and the extended sidewall frame 20 ' An ecological space 210 is formed inside the drainage passage 200 by an extended distance and an inclined passage frame 60 connecting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ecological space 210 and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wall frame 20 is provided A lightweight assembly for panel support.
상기 확장 측벽프레임(20')이 장착된 연결암(100)과 확장 측벽프레임(20') 미장착 연결암(100) 조합으로 생태공간을 확장함에 있어, 확장 측벽프레임(20')이 장착된 연결암(10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암(100)의 측벽프레임(20)은 인접하는 연결암(100)의 확장 측벽프레임(20')과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도록 확장되어 확장 연결암(100')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5. The method of claim 4,
In expanding the ecological space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ion arm 100 on which the extended sidewall frame 20 'is mounted and the extended sidewall frame 20' on which the extended sidewall frame 20 'is not mounted, The side wall frame 20 of the connecting arm 100 disposed between the arms 100 is extended to correspond to the extended side wall frame 20 'of the adjacent connecting arm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anel support comprises a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바닥프레임(10)과 대향하면서 한 쌍의 측벽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는 수평통로프레임(70)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패널 지지용 경량 조립체.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horizontal passage frame (70)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wall frames (20) so as to face the floor frame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8058A KR101902531B1 (en) | 2016-10-05 | 2016-10-05 | Prefabricated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drainage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8058A KR101902531B1 (en) | 2016-10-05 | 2016-10-05 | Prefabricated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drainage pan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7655A true KR20180037655A (en) | 2018-04-13 |
KR101902531B1 KR101902531B1 (en) | 2018-09-28 |
Family
ID=6197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8058A KR101902531B1 (en) | 2016-10-05 | 2016-10-05 | Prefabricated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drainage pa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53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21825A (en) * | 2002-05-07 | 2003-11-14 | Teikoku Kensetsu Consultant:Kk | Panel used for channel and channel |
KR200306432Y1 (en) * | 2002-10-17 | 2003-03-11 | 이해균 | Drain a waterway of concrete |
KR200395563Y1 (en) * | 2005-06-21 | 2005-09-13 | (주)지원 | Ecology escape passage of waterway |
-
2016
- 2016-10-05 KR KR1020160128058A patent/KR101902531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2531B1 (en) | 2018-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9440B1 (en) | Earthshad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590444B1 (en) | Combination structure between deck plate for ceiling mold | |
KR20200104108A (en) | Non-supporting formwork system for retaining wall using self-supporting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805900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Form Frame | |
KR101902530B1 (en) | Prefabricated drainage | |
KR101902531B1 (en) | Prefabricated lightweight assembly for supporting drainage panel | |
KR102259036B1 (en) | Method of installing a foundation soil barrier wall for a building that prevents soil inflow and secures construction stability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oundation soil barrier wall | |
KR102376908B1 (en) | Slim D-Wall Stop-End | |
KR101034853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by whole support of retaining wall and form corresponding to uneven surface for using in the same | |
KR101664668B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 |
KR101914691B1 (en) | Self-assembly water tank structure for sewerage or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40004442A (en) | Concrete waterway with enhanced workability and watertightness | |
KR101908943B1 (en) | RC WALL STRUCTURE FOR TOP-DOW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TRUCTUREa | |
KR101697938B1 (en) | Drainage canal assembly | |
KR20120045593A (en) | The finishing structure for building and method using that | |
KR101978766B1 (en) | The wall members and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09415887B (en) | Underground water storage facility | |
JP2010070907A (en) | Dry double wall structure of underground exterior wall | |
KR20220122344A (en) |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 |
KR100883798B1 (en) | A sump | |
KR102606021B1 (en) | plastic underground rain water tank | |
KR102582018B1 (en) | Steel beam reverse punching method using embedded edge beam at the end of steel beam | |
JP7491568B2 (en) | Covering the opening around the platform pile | |
KR20140007568A (en) | Deck plate | |
KR102108626B1 (en) | Elevator Pit Structure with Detachable Type Ssupport Bra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