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344A -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 Google Patents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344A
KR20220122344A KR1020210026853A KR20210026853A KR20220122344A KR 20220122344 A KR20220122344 A KR 20220122344A KR 1020210026853 A KR1020210026853 A KR 1020210026853A KR 20210026853 A KR20210026853 A KR 20210026853A KR 20220122344 A KR20220122344 A KR 2022012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orage facility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structural improv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1761B1 (en
Inventor
홍봉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2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761B1/en
Publication of KR2022012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3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76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패널과; 코어부를 중심으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패널의 하단부에 배치된 역U자형상의 스페이서;를 조립연결하여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을 상호 유체연통가능하게 형성한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여기서 저류 구조물은 외측에서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저류 구조물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 내부를 가로질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트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mprising: a panel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ore portion; and an inverted U-shaped space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to build a storag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are form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assembling and connecting, wherein the storage structure is able to resist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truss arranged vertically across the interior of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structure.

Description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외력 저항성을 갖춘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도시화에 따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 지면(impervious land surface)의 면적 증가는 토양 내 저수량을 감소시켜 주위 하천의 범람이나 건천화를 유발하는 한편 하천의 수질 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The increase in the area of the impervious land surface such as asphalt or concrete due to urbanization reduc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oil, causing flooding or dryness of the surrounding rivers, while also acting as a cause of water pollution of rivers and destruction of ecosystems.

불투수 지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주변에 하천이 있는 경우에는, 강우시 빗물이 토양에 스며들지 못하고 하천으로 한 번에 모여들기 때문에 하천의 범람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반대로 비가 오지 않는 계절에는 평소 지하 토양이 함유하는 물의 양이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하천의 수량 부족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하천의 수량이 부족하면 하천의 자연정화능력이 현저히 약해짐은 물론 약간의 오염물질로도 극심한 수질 악화가 이어지게 된다.If there is a river around the area where the impervious ground is formed, rainwater does not permeate into the soil and collects into the river at once during rainfall, which may cause overflow of the river. Becaus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subterranean soil is small or not at all, the phenomenon of water shortage in rivers may occur. If the amount of water in the river is insufficient, the natural purification ability of the river will be significantly weakened, and even a small amount of pollutants will lead to severe water quality deterioration.

한편, 근래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물부족 현상에 따라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빗물 재활용 방법으로서 대표적인 것이 빗물저류시설이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빗물저류시설은 비가 올 때 빗물을 받아 놓았다가 필요시 사용하기 위한 대규모 저장탱크로서, 최근 조성되는 신도시나 택지개발구역 대부분에 건설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methods for recycling rainwater have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water shortage caused by the rapid change of the climate in recent year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rainwater recycling method is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As is widely known,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are large-scale storage tanks that collect rainwater when it rains and use it when necessary.

이러한 빗물저류시설은 강우 시에 증가한 빗물을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서서히 방류함으로써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또는 저장해 빗물을 갈수기나 또는 기타 필요시 외부로 펌핑하여 공급한다.These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receive rainwater that has increased during rainfall, store it temporarily, and then release it gradually to prevent overflow of rivers or store the rainwater and pump it to the outside during dry season or other necessary conditions.

도로포장율의 상승에 따른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빗물의 재활용을 위한 빗물저류시설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for solving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road pavement rate and also for recycling rainwater.

일례로, 특허문헌 1의 빗물저장시설은 다수의 박스형 블록을 상하 좌우로 조립하여 구성하고 그 내부에 빗물을 저장하는 내용을 개시하는 바, 복수의 박스형 블록을 상하 및 좌우로 쌓아 올린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어, 체결점이 많아 수직하중은 물론 횡하중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각각이 블록은 체결용 부속으로 아무리 고정한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가해지는 재하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디어 내는 강성이 부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크리프 등에 의한 처짐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As an example,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of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ox-shaped block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disclosing the contents of storing rainwater therein. As there are many fastening points,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lateral loads as well as vertical loads. Even if each block is fixed as a fastening part, it lacks the rigidity to stably withstand the external load, and it is not possible to sufficiently control the deflection caused by creep over time.

특히 횡하중에 약한 구조를 가져 지진에 취약하고, 또한 연약지반이나 평지가 아닌 지역에 설치된 경우 주변에서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토압에 굴복하여 쉽게 변형되는 문제를 갖는다.In particular, it has a weak structure to lateral load, so it is vulnerable to earthquakes. Also, when installed in an area other than soft ground or flat land, it has a problem of easily deforming by yielding to the earth pressure continuously applied around it.

또한, 각각의 블록은 체결용 부속을 통해 결합되므로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 공사기간이 그만큼 오래걸린다. 덧붙여서, 박스형 블록은 속이 빈 사출품으로서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있으므로, 다수의 블록을 쌓을 경우 그 부피가 매우 커서 운반성도 좋지 못하다.In addition, since each block is combined through a fastening part,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so assembly is very cumbersome, and the time required for work is very long, so the construction period is that long. In addition, since the box-type block has a certain size as a hollow injection product, when a large number of blocks are stacked, the volume is very large and the transportability is not goo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3085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53085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구조물에 가해지는 횡하중, 수직하중에 대항할 수 있는 저항능력과 함께 상호 유체연통가능하게 구획된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빗물저류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ainwater storage that can secure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partitioned to be in mutual fluid communication with resistance ability to resist lateral and vertical loads applied to the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facilit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은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류 구조물을 갖춘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패널과; 코어부를 중심으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패널의 하단부에 배치된 역U자형상의 스페이서;를 조립연결하여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을 상호 유체연통가능하게 형성한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여기서 저류 구조물은 외측에서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저류 구조물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 내부를 가로질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트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torage structure that can store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anel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ore portion; and an inverted U-shaped space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to build a storag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are form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assembling and connecting, wherein the storage structure is able to resist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truss arranged vertically across the interior of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널은 폭방향 양 단부에서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한쌍의 제1 결합 지지대와; 한쌍의 제1 결합 지지대의 끝단에 구비된 걸림돌기; 및 중공 내부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채널을 구획하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extends lengthwis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air of first coupling supports spaced a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nel;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support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partitioning a plurality of channe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llow interio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돌출부의 양 측면에 걸림홈을 형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may form locking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대향하는 양측면에 제2 걸림돌기를 갖춘 제2 결합홈과; 수평 안착대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패널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includes a second coupling groove having a second locking protrusion on opposite sides thereof; It may be provided with a; panel receiving groove extending longitudinally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unting table.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패널의 폭 길이와 스페이서의 폭 길이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여, 패널의 제1 결합홈과 스페이서의 제2 결합홈을 동일 수직 선상으로 배열되게 하여 커넥터의 돌출부를 삽입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width length of the panel and the width length of the spacer to have the same size, so that the first coupling groove of the panel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of the spacer are arranged in the same vertical line to insert and couple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or configured to do so.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의 상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cover formed in a shape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panel.

선택가능하기로, 스페이서는 지주를 앵커볼트에 의해 바닥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로 고정될 수 있다.Optionally, the spacer may be fixed to the base plate by anchor bolts to the posts.

덧붙여서, 본 발명은 지주를 수용할 수 있는 대응 오목홈을 일측에 구비한 기저부와; 대응 오목홈의 형상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측부를 일체로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aving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on one side that can accommodate a post; It may include a base plate integrally provided with side portion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본 발명은 트러스의 상부를 패널의 상단부에 배치된 보강 커버에 위치고정하는 한편 트러스의 하부를 앵커볼트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upper part of the truss to the reinforcing cover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panel while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truss to the floor surface by anchor bolts.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저류 구조물의 외곽부 둘레를 한정하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패널 외부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패널을 추가로 중첩되게 배치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superimpose the horizontally arranged pane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ly arranged panels defining the perimeter of the perimeter of the storage structur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토압 등의 외압에 의한 횡하중/수직하중에 대한 저항구조를 갖는 빗물저류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having a structure that resists lateral load/vertical load due to external pressure such as earth pressure.

본 발명은 경량화 부재를 적극 활용하여도 전술되었듯이 견고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립 시공의 편이성 뿐만 아니라 시공 단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cure robustness and stability as described above even by actively utilizing the lightweight member,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assembly and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굴착된 지하공간 내에서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을 유체연통가능하게 구획하여 집수능력과 배수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위 저류공간의 하부에 광폭의 유동구를 제공하여 각 단위 저류공간으로 원활한 유체유동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water collection capacity and drainage capacity by partitioning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in an excavated underground space to be fluidly communicat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smooth fluid flow to each unit storage space by providing a wide flow por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storage space.

덧붙여서, 본 발명을 광폭의 유동구를 수단으로 하여 빗물저류시설의 바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형태의 장치를 각각의 단위 저류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어서 빗물저류시설의 바닥에 잔류하거나 단위 저류공간의 측면 상에 적층된 침전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대형 빗물저류시설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a robot-type device that performs work on the floor of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by means of a wide flow port to each unit storage space, so that it remains on the floor of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or the side of the unit storage space It is possible to hygienically manage large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by effectively washing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to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의 저류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의 저류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류 구조물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위 저류공간을 구획하는 각 구성부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각 단위 저류공간 내에 배치된 트러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저류 구조물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개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orage structure of a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orage structure of the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shown in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shown in FIG. 3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each constituent member that partitions the unit storage space shown in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uss disposed in each unit storage spac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base plate shown in FIG. 5 .
FIG. 8 is a view separately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connectors used in the storage structure shown in FIG. 3 .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의 저류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orage structure of the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shown in FI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이하, 빗물저류시설)은 토양을 굴착하여 확보된 지하공간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장하고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저장시설로서, 패널(11;panel)과 커넥터(12;connector) 및 스페이서(13;spacer)로 조립연결된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S)을 갖춘 저류 구조물(1)을 포함한다(도 4 참조). The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hereinafter,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facility that is installed in an underground space secured by excavating soil to store and selectively discharge rainwater, the panel 11 It includes a storage structure 1 having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S assembled and connected by a panel) and a connector 12 and a spacer 13 (see FIG. 4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저류시설은 예컨대 토양을 굴착하여 확보된 지하공간의 내부 바닥에 위치하며 평평한 수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21)와, 베이스(21)의 상부에 유체연통가능하게 구축된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S)으로 구성된 저류 구조물(1), 전술된 저류 구조물 상부에 복토된 토양(22)의 무게를 감당하는 커버 플레이트(23)와, 베이스(21)와 저류 구조물(1) 및 커버 플레이트(23)를 감싸는 랩핑 시트(24), 저류 구조물의 외측에 유입맨홀(25)와 유출맨홀(26)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As shown,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inner floor of the underground space secured by excavating soil, for example, a base 21 providing a flat horizontal surface, and fluid communica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21. A storage structure (1)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S), a cover plate (23) that bears the weight of the soil (22) covered on the above-mentioned storage structure, and a base (21) and a storage structure (1) ) and a wrapping sheet 24 surrounding the cover plate 23 , and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inlet manhole 25 and an outlet manhole 26 on the out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앞서 기술된 지하공간은 빗물을 모아 저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굴착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공간으로서, 지하공간의 면적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지하공간의 공간이 클수록 보다 많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음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The underground space described above is a space created through a separate excavation operation to collect and store rainwater, and the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may vary depending on the case.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larger the underground space, the more rainwater can be stored.

베이스(21)는 저류 구조물(1)를 수평 및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래나 자갈을 평평하게 다져 형성한 모래층이나 자갈층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슬라브 형태로 타설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지반에 습기가 많아 연약한 경우 모래와 자갈과 콘크리트를 두 가지 이상 또는 모두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21)는 견고한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게 된다.The base 21 is for supporting the storage structure 1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may be a sand or gravel layer formed by flatly compacting sand or gravel, or may be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 the form of a slab. Two or more or a combination of sand, gravel and concrete may be used if the ground is moist and soft. This base 21 provides a solid horizontal support surface.

저류 구조물(1)는 지하공간의 내부에 구축된 상태로 랩핑시트(24)로 감싸인 부분으로서 유입맨홀(25)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일단 받아들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저류 구조물(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널을 육각형으로 배열하여 육각의 허니컴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물론 다수의 패널을 격자모양으로 배열하여 사각 단면형상의 저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저류 구조물은 다양한 단면형상의 저류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storage structure 1 receives and stores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manhole 25 as a part wrapped in a wrapping sheet 24 in a state built inside the underground space. The storage structure 1 in this embodiment can form a hexagonal honeycomb shap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anels in a hexagon as shown in FIG. Storage space can b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structure may provide storage spaces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커버 플레이트(23)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조립되어 있는 저류 구조물(1)의 개방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그 상부에 복토된 토양(22)의 무게를 받아 저류 구조물의 수평방향으로 하중을 분산 전달한다. 커버 플레이트(23)가 없다면 랩핑 시트(24)가 토압을 못이겨 찢어질 수 있다.The cover plate 23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which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open upper part of the assembled storage structure 1 and receives the weight of the soil 22 covered there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If the cover plate 23 is not present, the wrapping sheet 24 may be torn due to the earth pressure.

또한, 랩핑 시트(24)는 저류 구조물(1)과 커버 플레이트(23) 및 베이스(21)를 감싸는 시트형 부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랩핑 시트(24)는 물을 투과시키는 침투형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차수형 시트를 적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rapping sheet 24 is a sheet-like member surrounding the storage structure 1 , the cover plate 23 , and the base 21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pping sheet 24 may use a permeable sheet that transmits water, and alternatively, a water-repellent sheet that does not pass water may be applied.

본 발명은 침투형 랩핑 시트 혹은 차수형 랩핑 시트의 사용 여부는 공사 현장의 상황이나 기타 여러 조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침투형 랩핑 시트는 물을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므로, 저류 구조물(1)로 유입된 빗물을 저류 구조물(1)의 외부로 서서히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홍수시 주변 지역의 침수를 방지한다는 빗물저류시설의 중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차수형 랩핑 시트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시트의 특성에 의해 저류 구조물(1)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고스란히 지켜 빗물이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차수형 랩핑 시트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을 재이용한다는 빗물저류시설의 또 하나의 중요 기능을 달성하게 된다. 참고로, 차수형 랩핑 시트가 적용된 저류 구조물에는 저장 빗물을 외부의 필요처로 펌핑하기 위한 유출맨홀(26)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o use the penetration-type wrapping sheet or the waterproof wrapping shee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or various other conditions. Since the penetration-type lapping sheet has a property of allowing water to pass through, rain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structure 1 can be grad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 so it prevents flooding of the surrounding area during a flood. important functions can be achieved. The waterproof lapping sheet keeps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tructure 1 intact by the property of the sheet that does not pass water, so that rainwater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waterproof wrapping sheet,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is achieved, that is, reuse of rainwater. For reference, the outflow manhole 26 for pumping the stored rainwater to an external required place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tructure to which the order-type lapping sheet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랩핑 시트(24)를 베이스(21)의 하부에 배치하고 있지만, 여건에 따라 랩핑 시트(24)를 베이스(21)와 저류 구조물(1)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이스(21)가 자갈이나 모래 또는 이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랩핑 시트(24)를 베이스(21)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Although the wrapping sheet 24 is disposed under the base 2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rapping sheet 24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21 and the storage structure 1 depending on conditions. For example, when the base 21 is made of gravel, sand, or a mixture thereof, the wrapping sheet 24 may be disposed on the base 21 .

한편, 유입맨홀(25)은 저류 구조물(1)의 일 측부에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강우시 빗물을 그 내부로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빗물을 연결관(25b)을 통해 저류 구조물(1)로 보낸다. 도면부호 25a는 유입맨홀(13)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는 덮개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let manhole 25 is a spa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 receives rainwater during rain, and sends the received rainwater to the storage structure 1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5b. Reference numeral 25a denotes a cover for covering the inner space of the inlet manhole 13 .

경우에 따라, 유입맨홀(25)은 저류 구조물의 단위 저류공간(S)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some cases, the inlet manhole 25 may be installed in the unit storage space S of the storage structure.

덧붙여서, 유출맨홀(26)은 저류 구조물(1)의 타 측부에 확보한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펌프(26a)와 배수파이프(26b)와 제어장치(미도시) 등을 수용한다. 펌프(26a)는 저류 구조물(1)의 각 단위 저류공간(S)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R)을 끌어올려, 배수파이프(26b)를 통해 외부의 필요처로 압송한다.In addition, the outflow manhole 26 is a space sec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 and accommodates the pump 26a, the drain pipe 26b, and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therein. The pump 26a pulls up the rainwater R stored in each unit storage space S of the storage structure 1 and pumps it to an external required location through the drainage pipe 26b.

유출맨홀(26)도 덮개(26c)에 의해 커버됨은 물론이다. 유입맨홀(25)와 유사하게, 유출맨홀(26)도 저류 구조물의 단위 저류공간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outflow manhole 26 is also covered by the cover 26c. Similar to the inlet manhole 25, the outlet manhole 26 may also be installed in a unit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structur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시설은 패널(11)과 커넥터(12)를 사방으로 확장되도록 조립연결하여 다각형 단면, 예컨대 사각형 단면, 육각형 단면 형태로 구획된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S)을 연장하여 허니컴 구조로 배열할 수 있다. 3 to 5,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connected to expand the panel 11 and the connector 12 in all directions to form a polygonal cross-sec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units partitioned in the form of a square cross-section, a hexagonal cross-section. It can be arranged in a honeycomb structure by extending the storage space (S).

또한, 본 발명은 패널(11)의 하단부에 배치된 스페이서(13)에 의해 단위 저류공간(S) 하측에 광폭의 유동구(133)를 제공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2의 내부영역(A) 내에 위치된 단위 저류공간 및/또는 내부영역에 인접한 단위 저류공간의 벽체에 스페이서를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de flow port 133 can b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unit storage space S by the spacer 13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11 , specifically, the inner region A of FIG. 2 . A spacer may be disposed on the unit storage space located within and/or on the wall of the unit storage space adjacent to the interior area.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은 속이 비어 있는 판상 구조를 갖는데, 폭방향 양 단부에 제1 결합홈(111)을 구비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패널의 폭방향 양 단부에서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한쌍의 제1 결합지지대(111a)로 제1 결합홈(111)을 한정하는데, 한쌍의 제1 결합지지대(111a)는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며 각 결합지지대의 끝단에는 걸림돌기(111b)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the panel 11 has a hollow plate-like structure, and has first coupling grooves 111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Incidentally,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first coupling groove 111 with a pair of first coupling supports 111a extending longitudinal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panel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air of first coupling supports 111a is the panel are spaced apart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11b) at the end of each coupling support.

덧붙여서, 중공형 패널(11)은 중공 내부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채널을 구획하는 다수의 보강리브(112)를 배치하는바, 패널의 제작 비용 및 중량을 줄이면서도 외력에 의해 휨이나 비틀림 없이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low panel 11 arrang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2 dividing a plurality of channe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llow insid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of the panel and without bending or twisting due to external force. rigidity can be provided.

커넥터(12)는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바람직하기로는 3개의 돌출부(121a)를 구비한 중공의 코어부(121)로 이루어진다. 커넥터(12)는 각 돌출부 사이의 내각을 120°로 하여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2 consists of a hollow core portion 121 having a plurality, preferably three, projections 121a extending vertically and projecting radially outward. The connector 12 may be formed in a Y-shape with an inner angle between each protrusion of 120°.

커넥터는 중공의 코어부에 의해 외부 충격을 완충 및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패널과 커넥터는 PVC 등의 합성수지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can not only cushion and disperse external shocks by the hollow core part, but also realize weight reduction of the connector. Optionally, the panel and the connector may be manufactured by extrud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VC to have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시되었듯이, 각 돌출부(121a)의 양 측면에는 걸림홈(121b)을 형성한다. 걸림홈(121b)은 전술된 패널의 걸림돌기(111b)를 수용하여 커넥터와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정합되게 끼워 넣어져 수평방향(즉, 폭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조립결합된다. As shown, locking grooves 121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protrusion 121a. The locking groove 121b accommodates the locking protrusion 111b of the above-described panel and is inserted so that the connector and the panel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not to be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은 저류 구조물에 단위 저류공간의 형상에 따라 다종 다수의 커넥터(도 8 참조)로 구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nit storage space in the storag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see FIG. 8 ).

본 발명은 패널(11)의 하단부에 역U자형상의 스페이서(13)를 배치한다. 스페이서(13)는 폭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한쌍의 지주(13a)와, 한쌍의 지주(13a)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 안착대(13b)로 구성되는데, 지주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홈(131)과, 수평 안착대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패널 수용홈(132)을 구비한다. 스페이서(13)는 한쌍의 지주(13a)와 수평 안착대(13b)로 둘러싸여 형성된 광폭의 유동구(133)를 제공한다. 물론, 유동구(133)는 빗물, 로봇 형태의 장치 등의 이동 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verted U-shaped spacer 13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11 . The spacer 13 is composed of a pair of posts 13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horizontal mounting base 13b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osts 13a, the secon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s. A coupling groove 131 and a panel accommodating groove 132 extending longitudinally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unting table. The spacer 13 provides a wide flow port 133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a pair of posts 13a and the horizontal mounting base 13b. Of course, the flow port 133 may be used as a movement path for rainwater, a robot type device, and the like.

스페이서(13)는 패널 수용홈(132) 내에 패널(11)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패널을 지하공간의 내부 바닥 혹은 베이스 상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수평 안착대(13b)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패널 수용홈 내에 패널의 하단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스페이서의 두께를 패널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를 통해 패널의 하부를 더욱 확실하게 지지보유할 수 있다.The spacer 13 accommodates the lower end of the panel 11 in the panel accommodating groove 132 to support the panel by being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inner floor or base of the underground space. Since the spacer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nel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can be fitted into the panel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ounting base 13b, the spacer can more reliably hold the lower part of the panel through the spacer. can hold support.

덧붙여서, 각 제2 결합홈(131)은 걸림돌기(111b)와 대응되게 양측에 대향도게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s 131 may be provided with locking proj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jections 111b.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패널(11)의 제1 결합홈(111)과 스페이서(13)의 제2 결합홈(131)을 동일 선상으로 배열하여 수직방향으로 커넥터(12)의 돌출부(121a)를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조립될 패널(11)의 폭 길이와 스페이서(13)의 폭 길이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커넥터와의 체결을 보장할 수 있다. 덧붙여서, 커넥터의 수직 길이는 패널과 스페이서의 조립 상태 하에 높이와 동일하여 커넥터의 상단부와 패널의 상단부를 동일 수준(level)로 배열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groove 111 of the panel 11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1 of the spacer 13 are arranged in the same line to form the protrusion 121a of the connector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easily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anel 11 to be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spacer 13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to ensure fastening with the connector. 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nnector is equal to the height under the assembled state of the panel and the spac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and the upper end of the panel can be arranged at the same level.

이러한 구성을 조합하여, 본 발명은 패널(11)과 스페이서(13)를 수직선상으로 조립배열된 벽체의 양 단부에 구비된 결합홈(111,131)의 형성방향으로 커넥터(12)의 돌출부(121b)를 삽입배치하고 슬라이드 다운(slide-down)으로 상호 이웃한 패널과 커넥터를 조립연결하여 다수의 패널로 단위 저류공간(S)을 구획하면서 사방으로 확장시켜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할 수 있다.By combining these configura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jection (121b) of the connector (12) in the direction of forming the coupling grooves (111,13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all in which the panel (11) and the spacer (13) are assembled and arranged in a vertical line. By inserting and placing adjacent panels and connectors by slide-down, it can be formed into a single structure by dividing the unit storage space (S) with a plurality of panels and expanding in all directions.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본 발명은 저류 구조물(1)의 내부 영역에 배치된 단위 저류공간에만 스페이서(13)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저류 구조물(1)의 외곽부는 사이드 커넥터(12',12",12",)와 패널(11)만으로 조립되어 유동구 없이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구조로 마감처리된 외벽을 의미한다.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the spacer 13 only in a unit storage spac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torage structure 1 . That is, the outer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1 refers to an outer wall that is assembled with only the side connectors 12', 12", 12", and the panel 11 and finished with a square structure as shown without a flow port.

또한, 본 발명은 저류 구조물(1)의 외곽부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패널(11')을 추가로 배치하여 저류 구조물의 외곽부를 보강할 수 있다. 저류 구조물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었듯이 토압의 영향을 많이 받는 외곽부 하측 둘레를 따라 패널(11')을 수평방향으로 중첩시켜 외곽부의 하부를 보강할 수 있다. 실제로, 저류 구조물의 외곽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패널(11)의 외부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패널(11')을 결합하여 이중 벽구조를 제공하는데, 이는 패널(11) 내부에 배치된 보강리브와 패널(11') 내부에 배치된 보강리브를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더욱 효과적인 강성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out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by arranging the panel 11 ′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out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1 .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torage structure may reinforce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by horizontally overlapping the panels 11 ′ along the lower periphery of the outer portion that is greatly affected by earth pressure. In practice, the out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provides a double wall structure by joining the horizontally arranged panels 11'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ly arranged panels 11, which are reinforcing ribs disposed inside the panels 11. and the reinforcing ribs disposed inside the panel 11' are arranged in mutually orthogonal directions, so that more effective rigidity can be expected.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시설은 도 5에 도시되었듯이 각 단위 저류공간(S)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패널(11)의 상단부 상에 보강 커버(14)를 추가로 배치한다. 보강 커버(14)는 패널(11)의 상단부 폭방향으로 배열되되, 상단부 상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덮어씌울 수 있게 역U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커버(14)는 각 패널의 상단부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패널의 양 단부에 조립결합된 2개의 커넥터(12) 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보강 커버(14)는 패널 내에 구획된 다수의 채널의 개방 상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보강 커버(14)는 강재(鋼材)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5,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maintains the shape of each unit storage space (S) to improve durability by vertically standing panels (11) A reinforcing cover 14 is further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The reinforcing cover 14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anel 11, and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to be overlaid on the upper en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The reinforcing cover 14 has a length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nnectors 12 assembled to both ends of the panel so as to be easily fitted to the upper end of each panel. In addition, the reinforcing cover 14 may close the open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partitioned in the panel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damage to the exterior due to external force. Optionally, the reinforcing cover 14 may be made of steel.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을 구획하는 패널의 상단부를 억지끼움방식으로 덮어씌울 수 있게 역U자 단면형상의 마감 커버(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마감 커버(14')는 패널 내에 구획된 다수의 채널의 개방 상부를 폐쇄하는 한편 탄성재질, 예컨대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내마모성과 마찰력을 제공하여 예컨대 커버 플레이트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osing cover 14' of an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panel partitioning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More specifically, the finish cover 14 ′ closes the open tops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partitioned in the panel, while be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material, to provide abrasion resistance and frictional force, for example,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with the cover plate. have.

덧붙여서, 마감 커버(14')는 후술될 트러스와의 용접고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저류 구조물의 내부영역(A)에 위치된 패널의 상단부에 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ishing cover 14' can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panel located in the inner region A of the storage structure shown in FIG.

추가로, 본 발명은 스페이서(13)의 지주(13a)를 앵커볼트에 의해 지하공간의 내부 바닥 혹은 베이스 상에서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5)는 지주 외주면 둘레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는 도 7을 통해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5 for fixing the posts 13a of the spacers 13 on the inner floor or base of the underground space by anchor bolts. The base plate 15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wrapp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st, and the structure of the base plat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6은 각 단위 저류공간(S) 내에 배치될 트러스(16)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트러스(16)는 강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류 구조물, 다시 말하자면 단위 저류공간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단위 저류공간(S) 내에 배치할 수 있다(도 6(a) 참조).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russ 16 to be disposed in each unit storage space (S). The truss 16 is made of steel, and may be disposed in the storage structure, that is, the unit storage space S with the same length as the height of the unit storage space (see FIG. 6(a) ).

바람직하기로, 트러스(16)는 저류 구조물(1)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저류 구조물의 가장자리 둘레, 즉 저류 구조물의 외곽부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단위 저류공간(S)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트러스는 저류 구조물(1)의 내부영역(A;도 2에 도시됨) 외측에 위치된 단위 저류공간에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로봇 형태의 장치를 각각의 유동구를 통해 저류 공간의 내부영역에 단위 저류공간으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truss 16 is arranged around the edge of the storage structure, that i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orage structure, so as to resist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1 in the unit storage space S. can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since the truss is inserted only in the unit storage space located outside the inner area (A; shown in FIG. 2) of the storage structure 1, the robot-typ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inner area of the storage space through each flow port. It can be driven smoothly with a unit storage space.

본 발명은 단위 저류공간(S) 내부를 가로질러 수직방향으로 트러스를 배치되는데, 트러스(16)의 상부는 패널(11)의 상단부에 안착된 보강 커버(14)에 예컨대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는 반면에, 트러스(16)의 하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지하공간의 내부 바닥 혹은 베이스 상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uss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cross the inside of the unit storage space 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russ 16 is fixed to the reinforcing cover 14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panel 11, for example by welding.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truss 16 may be fixed in position on the inner floor or base of the underground space by anchor bolts.

덧붙여서, 트러스(16)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일측 하부에 굴곡부(16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굴곡부(16a)는 단위 저류공간 하부에서 패널(11)과 스페이서(13) 간의 두께 단차를 수용하여 트러스와 단위 저류공간 사이에 이격 틈새를 줄여 더욱 밀착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허니컴 구조로 형성된 단위 저류공간(S)에서 서로 마주보는 패널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허니컴 구조의 단위 저류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대응각 사이에도 배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russ 16 may form a bent portion 16a in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6(b). The bent portion 16a can accommodate the thickness step between the panel 11 and the spacer 13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storage space, thereby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truss and the unit storage space, so that it can be arranged more close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nels facing each other in the unit storage space S formed in the honeycomb structure, and alternatively,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corresponding angles facing each other in the unit storage space of the honeycomb structure.

도 7은 스페이서의 지주 둘레에 배치될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대응 오목홈(참조번호 없음)을 일측에 구비한 기저부(15a)와 대응 오목홈의 형상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측부(15b)를 일체로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응 오목홈은 기저부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오목(凹)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기로는 지주의 하부 외부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se plate to be disposed around a post of a spacer,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hape of a base portion 15a having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no reference number) on one side and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The side portion 15b is integrally provided.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one edge of the base to the center,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이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5)는 제2 결합홈을 배치한 타 측면을 제외한 지주(13a)의 나머지 삼면을 측부(15b)로 밀착되게 지지하여 스페이서의 위치고정을 돕는다.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는 지주의 바닥면을 떠받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 지주의 외주면 둘레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바닥면의 편평도와 관계없이 바다면에 고정된 앵커볼트로 스페이서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와 패널 간의 조립결합을 가능하게 돕는다. Accordingly, the base plate 15 supports the remaining three surfaces of the posts 13a except for the other side on which the second coupling grooves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s 15b to help fix the position of the spacer. In particular, the base plate is designed so as not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t, so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st, and the spacer can be fixed with an anchor bolt fixed to the sea surface regardless of the flatness of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it helps to enable assembly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panel.

도 8은 다종 다수의 커넥터(12,12',12",12"')를 수단으로 하여 지하공간의 내부 바닥에 판상 구조의 패널을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할 수 있다. 8 shows a plurality of connectors (12, 12', 12", 12"') can be used as a means to install a plate-shaped panel in various patterns on the inner floor of the underground space.

도 8(a)는 허니컴 구조로 다수의 패널을 육각형으로 기립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의 코어부(121)를 중심으로 하여 3개의 돌출부(121a)를 120°의 사이각으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터(1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8(a) shows a connector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t an angle of 120° with three protrusions 121a centered on the hollow core 121 so that a plurality of panels in a honeycomb structure can be installed upright in a hexagonal shap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12).

이와 달리, 사이드 커넥터(12',12",12"')는 커넥터(12) 만으로 구축된 저류 구조물(1)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저류 구조물(1)의 가장자리를 사각 구조로 외벽 마감처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connectors 12', 12", 12"' are disposed on the outer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1 constructed only with the connector 12, so that the edge of the storage structure 1 is finished with an outer wall in a square structure. can

참고로, 도 8(b)는 일 사이드 커넥터(1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중공의 코어부(121)를 중심으로 2개의 돌출부(121a)를 일직선상으로 상호 배향되게 배치하고 나머지 1개의 돌출부(121a)를 일직선과 60°의 사이각으로 갖도록 배치한다.For reference,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side connector 12', in which two protrusions 121a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hollow core part 121, and the rest One protrusion (121a) is disposed to have an angle between the straight line and 60°.

도 8(c)에 도시된 다른 사이드 커넥터(12")는 중공의 코어부(121)를 중심으로 2개의 돌출부를 일직선상에서 상호 배향되게 배치하고, 나머지 2개의 돌출부(121a)를 일직선과 30°의 사이각을 갖도록 대칭되게 배치한다.The other side connector 12" shown in FIG. 8(c) has two protrusions orien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hollow core part 121 as the center, and the other two protrusions 121a are aligned at 30°. Arrange them symmetrically to have an angle between them.

또 다른 사이드 커넥터(12"')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121)를 중심으로 2개의 돌출부(121a)를 90°의 사이각으로 직각으로 배열하고, 나머지 1개의 돌출부를 직각으로 배열된 2개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에 대해 30°의 사이각을 갖도록 배치한다. Another side connector 12"' arranges two protrusions 121a at a right angle at an angle of 90° around the core part 121 as shown in FIG. 8(d), and the remaining one protrusion is arranged so as to have an angle between the two protrusion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one protrusion of 30°.

본 발명은 예컨대 사이드 커넥터(12',12")를 수단으로 다수의 패널(11)을 저규 구조물의 4개 외벽으로 마감하여 저류 구조물의 4개 외벽을 마감할 수 있으며, 사이드 커넥터(12"')를 수단으로 하여 저류 구조물의 각 모서리를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다종 다수의 사이드 커넥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단면크기와 형상을 갖는 동일 패널(11)로 저류 구조물의 외벽과 단위 저류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lose the four outer walls of the storage structure by, for example, closing the plurality of panels 11 with the four outer walls of the low-scale structure by means of the side connectors 12' and 12", and the side connectors 12"' ) can be used to close each corner of the storage struct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uter wall of the storage structure and the unit storage space can be built with the same panel 11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using the above-described multiple types of side connectors.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빗물저류시설을 매설할 수 있는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한 다음에, 지하공간의 바닥을 평평하고 단단한 베이스를 설치한다. 작업자는 베이스 위에 저류 구조체를 시공하게 되는데, 사이드 커넥터와 패널을 이용하여 저류 구조체의 일측 외벽을 조립하고, 사이드 커넥터에서 소정의 각도로 내부영역을 향해 돌출된 각 돌출부에 패널을 기 설정된 패턴형상, 예컨대 육각형상으로 조립연결하면서 단위 저류공간을 사방으로 확장되게 구축한다. 각각의 단위 저류공간이 마감되기 전에 단위 저류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트러스 등의 구성부재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n underground space by excavating soil in an area where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can be buried, and then installs a flat and solid base on the floor of the underground space. The worker constructs the storage structure on the base, and assembles the outer wall of one side of the storage structure using the side connector and the panel, and applies the panel to each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area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ide connector in a preset pattern shape, For example, the unit storage space is built to expand in all directions while assembling and connecting in a hexagonal shape. Before each unit storage space is closed,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nstituent members such as a truss to be disposed inside the unit storage space.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but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mon in the field.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 저류 구조물,
11 ----- 패널,
12 ----- 커넥터,
13 ----- 스페이서,
14 ----- 보강 커버,
14' ----- 마감 커버,
15 ----- 베이스 플레이트,
16 ----- 트러스,
S ----- 단위 저류 공간.
1 ----- storage structures,
11 ----- panel,
12 ----- connector,
13 ----- spacer,
14 ----- reinforcing cover,
14' ----- finish cover,
15 ----- base plate,
16 ----- Truss,
S ----- unit storage space.

Claims (10)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류 구조물을 갖춘 빗물저류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류 구조물(1)은,
폭방향 양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홈(111)을 갖춰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패널(11)과;
코어부(121)를 중심으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21a)를 구비한 커넥터(12); 및
폭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각각 제2 결합홈(131)을 갖춘 한쌍의 지주(13a)와, 상기 한쌍의 지주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안착대(13b), 및 상기 한쌍의 지주와 상기 수평 안착대로 한정된 광폭의 유동구(133)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11)의 하단부에 배치된 역U자형상의 스페이서(13);를 조립연결하여 다수의 단위 저류공간(S)을 상호 유체연통가능하게 형성하는데,
여기서, 상기 저류 구조물(1)은 외측에서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저류 구조물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된 상기 단위 저류공간(S) 내부를 가로질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트러스(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In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equipped with a storage structure that can store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storage structure (1),
a panel 1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provided with first coupling grooves 11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 connector 12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1a protruding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ore portion 121; and
A pair of posts (13a)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having a second coupling groove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seat (13b)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osts, and the pair of posts and the A plurality of unit storage spaces (S) can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assembling and connecting; having a wide flow port (133) defined by a horizontal seat and an inverted U-shaped spacer (13)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11) to form,
Here, the storage structure 1 is a truss 16 disposed vertically across the inside of the unit storage space 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dge of the storage structure to resist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11)은,
폭방향 양 단부에서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상기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한쌍의 제1 결합 지지대(111a)와;
상기 한쌍의 제1 결합 지지대(111a)의 끝단에 구비된 걸림돌기(111b); 및
중공 내부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채널을 구획하는 다수의 보강리브(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11,
a pair of first coupling supports (111a) extending lengthwis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nel;
a locking protrusion (111b) provided at an end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supports (111a); and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2)는 상기 돌출부(121a)의 양 측면에 걸림홈(121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12 is a structure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locking groove (121b)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21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3)는 상기 수평 안착대(13b)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패널 수용홈(1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r (13) is a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anel receiving groove (132) extending lengthwis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unting base (13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11)의 폭 길이는 상기 스페이서(13)의 폭 길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추고,
상기 패널(11)의 제1 결합홈(111)과 상기 스페이서(13)의 제2 결합홈(131)은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상기 커넥터(12)의 돌출부(121a)를 삽입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anel 11 have the same size a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pacer 13,
The first coupling groove 111 of the panel 11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1 of the spacer 13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to insert and couple the protrusion 121a of the connector 12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11)은 상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 커버(14)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11) is a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ing a reinforcing cover (14) formed in a shape that can cover the upper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3)는 상기 지주(13a)를 앵커볼트에 의해 바닥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5)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r (13) is a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late (15)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anchor bolts (13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는,
상기 지주를 수용할 수 있는 대응 오목홈을 일측에 구비한 기저부(15a)와;
상기 대응 오목홈의 형상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측부(15b)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ase plate 15,
a base portion (15a) having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on one side for accommodating the post;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provided with a side portion (15b)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16)의 상부는 상기 패널의 상단부에 배치된 보강 커버에 위치고정되고,
상기 트러스(16)의 하부는 앵커볼트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ortion of the truss 16 is fixed in position on a reinforcing cover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panel,
The lower part of the truss (16) is a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floor surface by an anchor bol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 구조물(1)은 상기 저류 구조물의 외곽부 둘레를 한정하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패널(11) 외부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패널(11')을 추가로 중첩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structure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ly arranged panels (11') are further overlapp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ly arranged panels (11) defin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torage structure.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KR1020210026853A 2021-02-26 2021-02-26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Active KR102571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53A KR102571761B1 (en) 2021-02-26 2021-02-26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53A KR102571761B1 (en) 2021-02-26 2021-02-26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44A true KR20220122344A (en) 2022-09-02
KR102571761B1 KR102571761B1 (en) 2023-08-29

Family

ID=8328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853A Active KR102571761B1 (en) 2021-02-26 2021-02-26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7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508B1 (en) * 2023-08-24 2024-05-29 박균환 Apparatus for collecting trash with preventing backflow of foul smell for rainwa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206A (en) * 2002-06-14 2004-01-22 Tc Properties Co Ltd Filler for rainwater storing and permeating tank
KR100553085B1 (en) 2005-08-16 2006-02-21 주식회사 뉴보텍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facility using reinforcemen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90106716A (en) * 2008-04-07 2009-10-1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Storm reservoir with full water warning
KR101388870B1 (en) * 2013-04-12 2014-04-23 주식회사 태명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2110404B1 (en) * 2020-02-11 2020-05-13 (주)한국수안 plastic underground rain water tan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206A (en) * 2002-06-14 2004-01-22 Tc Properties Co Ltd Filler for rainwater storing and permeating tank
KR100553085B1 (en) 2005-08-16 2006-02-21 주식회사 뉴보텍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facility using reinforcemen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90106716A (en) * 2008-04-07 2009-10-1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Storm reservoir with full water warning
KR101388870B1 (en) * 2013-04-12 2014-04-23 주식회사 태명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2110404B1 (en) * 2020-02-11 2020-05-13 (주)한국수안 plastic underground rain water ta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508B1 (en) * 2023-08-24 2024-05-29 박균환 Apparatus for collecting trash with preventing backflow of foul smell for rain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761B1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758B (en) Module and assembly for managing the flow of water beneath a ground surface
KR100485742B1 (en) Water-storage tank
KR102110404B1 (en) plastic underground rain water tank
US20230113000A1 (en) Stormwater management crate assembly
JP2003201722A (en) Rainwater storage and/or infiltration equipment and fill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101388870B1 (en)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2571761B1 (en)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KR101495997B1 (en)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1321992B1 (en)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JP5610632B2 (en) Inspection port structure in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JP2004052243A (en) Storage and/or permeation facility for rainwater or the like
JPH09296486A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JP2006169814A (en) Rainwater outflow control facility and cleaning method thereof
KR100802994B1 (en) Large storm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3795681B2 (en) Filling material for underground water tank
KR100663793B1 (en)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facilit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663798B1 (en)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facility that can be assembled by manua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20863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JP3668869B2 (en) Stacking member for underground water tank
KR101099777B1 (en) Prefab Rainwater Storage Facility
JP4092284B2 (en) Rainwater underground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277086B1 (en) Fabrication rain water manhol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KR100553085B1 (en)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facility using reinforcemen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3556784B2 (en) Stacking members use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s, etc.
JP4147090B2 (en) Underground water tank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