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450A - 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 - Google Patents

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450A
KR20180037450A KR1020160127607A KR20160127607A KR20180037450A KR 20180037450 A KR20180037450 A KR 20180037450A KR 1020160127607 A KR1020160127607 A KR 1020160127607A KR 20160127607 A KR20160127607 A KR 20160127607A KR 20180037450 A KR20180037450 A KR 2018003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power
grid
inverter
command valu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세완
박성열
권민호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450A/en
Publication of KR2018003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8Islanding, i.e. disconnection of local power supply from the network
    • H02J3/382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2003/388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protection elements, arrangemen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detecting islanding of a grid-connected inverter. A grid-connected inverter sets a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controls to output re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and detects occurrence of islanding depending on whether the reactive pow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Description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cting an independent operation of a grid-

본 발명은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요부하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cting a single operation of a grid-connected inve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etecting a single operation of a grid-connected inverter having a significant load.

최근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에서 불규칙하게 발전되는 에너지를 전력 수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hybrid ESS (Energy Storage System) to efficiently use energy generated from irregularly generated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according to electric power demand. In this regard,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하이브리드 ESS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ybrid ESS.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ESS는 ESS 배터리 충방전용 양방향 컨버터, 태양광(PV)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 발전용 양방향 컨버터 및 계통 연계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ESS는 태양광(PV)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일정 수준의 전력량을 ESS 배터리에 저장하고 계통에 공급하며, 계통에서의 충방전을 통한 부하평준화 및 첨두부하분산도 가능하여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ybrid ESS may include a bi-directional converter for bidirectional converters dedicated to ESS batteries, a bi-directional converter for generating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PV, and a grid-connected inverter. These hybrid ESSs store a certain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power (PV) in the ESS battery and supply them to the system, and load leveling and peak load dispersion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in the system is also possible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power use.

특히, 도 1과 같이 중요 부하(Critical Load)를 갖는 ESS의 경우,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정전 등과 같은 계통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중요 부하에 끊김 없이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an ESS having a critical load, the grid-connected inverter can operate so as to supply stable power without interruption to a critical load even if an abnormal system such as a power failure occurs.

구체적으로는,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재폐로 차단기(Recoloser)가 닫힌 상태에서는 계통으로 ESS의 발전 전력이 공급되거나, 계통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계통연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rid-connected inverter can operate in a grid-connected mode in which power is generated from the ESS to the grid or power is supplied from the grid to the load when the recloser is closed.

또한, 정전 등과 같은 계통 이상으로 재폐로 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단독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여 재폐로 차단기가 차단되었으나,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인버터 스위치(SW)가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계통연계형 인버터가 출력하는 출력 전력과 ESS에 연계된 부하 조건에 따라 부하 전압이 변동하게 되어 중요 부하에 안정적인 전압 공급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계통이 다시 투입된 경우 계통과 인버터의 출력 전압의 위상 오차로 인해 중요부하에 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losing circuit breaker is shut off due to a system such as a power failure, the grid-connected inverter can operate in the single operation mode. That is, the circuit breaker is shut off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system, but the inverter switch SW is closed due to the inability to recognize it in the grid-connected inverter. In such a case, the load voltage fluctuates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output from the grid-connected inverter and the load condition associated with the ESS, so that it is impossible to guarantee a stable voltage supply to the critical load. In addition, when the system is turned back on, the phase error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system and the inverter can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critical load.

따라서,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신속하게 단독운전 또는 계통 이상을 인지하고 인버터 스위치(SW)를 차단하여 계통으로부터 분리되어 부하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rapidly switches to a stand-alone operation mode in which it recognizes a single operation or system abnormality and disconnects the inverter switch SW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system and supply power only to the load.

한편, 종래의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제어방법으로는, 계통연계모드로 동작시 전류 제어를, 독립운전모드로 동작 시 전압 제어를 수행하는데, 이에 따라 모드 전환 시 제어기의 변동에 따라 부하에 큰 과도 상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부하의 손상 및 오동작이 유발될 수 있다.As a control method of the conventional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current control is performed when operating in the grid connection mode and voltage control is performed when operating in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Accordingly, when the mode is switched, State, which may lead to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load.

이와 같이, 중요 부하를 갖는 ESS의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중요 부하의 손상 및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단독운전을 인지하고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하여야 하며, 모드 전환 시 중요 부하의 과도 상태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in order to prevent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critical load, the ESS grid-connected inverters having important loads must quickly recognize the stand-alone operation and switch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

이를 위해, 과도 상태 없이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모드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간접전류제어기법이 제안되었다. 간접전류제어기법을 적용한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항상 전압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부하 전압이 변동하지 않아 중요 부하의 과도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다.To this end, an indirect current control technique has been proposed that enables mode switching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without transient state. Since the grid-connected inverters using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always perform the voltage control, the transient state of the critical load can be minimized because the load voltage does not fluctuate.

한편, 이러한 간접전류제어기법을 적용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경우, 계통 이상으로 인해 단독운전모드로 동작하더라도 출력 전압이 변동하지 않으므로, 단독운전 시 전압의 크기, 주파수의 변동을 감지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하는 기존의 기법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간접전류제어 기반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기법으로 기존에 연구되었던 고조파 주입 기법은 인버터의 출력 전류의 THD(Total Harmonics Distortion)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는 전력 품질이 저하되며 전력 설비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using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technique, since the output voltage does not fluctuate even if the inverter operates in the single operation mode due to a system abnormality, Conventional techniques to do this are not appropriate. In addition, the harmonic injection technique, which has been studied as an independent operation detection technique of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based inverter, increases the THD (Total Harmonics Distortion) of the inverter output current,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of the power quality, .

이처럼, 간접전류제어기법을 적용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경우, 중요 부하의 과도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기존 단독운전 검출 기법으로는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없고, 고조파 주입 기법을 이용한 단독운전 검출 시 전류 THD가 증가한다는 단점을 가지므로, 간접전류제어기법을 적용한 계통연계형 인버터에 적합한 새로운 방식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using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techniqu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ransient state of the critical load, but the single operation can not be detected with the existing single operation detection technique, and the single operation detection using the harmonic injection techniqu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new single operation detection method suitable for the grid-connected inverters to which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technique is applied.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하는 간접전류제어기법을 적용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single operation of a grid-connected inverter using an indirect current control technique for detecting an independent operation of an inverter based on reactive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에 있어서, 무효전력 지령치를 설정하고,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에 따른 무효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한다.한편, 상기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하면, 계통과 연결되는 인버터 스위치를 차단하는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cting a stand-alone operation of a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comprising: setting a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and controlling re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to be outputted; determining whether the reactive power is out of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The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o switch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for shutting off the inverter switch connected to the system.

또한,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유효전력을 기준으로 Positive, 0, Negative의 값으로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무효전력 지령치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may be to set a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periodically fluctuating to a value of Positive, 0, or Negative based on the active power of the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또한,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The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active pow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includes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reactive pow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and if the counted number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 And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single operation.

또한, 계통과 연결되는 인버터 스위치가 닫힌 상태인 계통연계운전모드 및 상기 인버터 스위치가 차단된 상태인 독립운전모드에서 모두 전압제어를 수행하는 간접전류제어방식을 따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of performing the voltage control in the grid-connecte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inverter switch connected to the system is closed and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inverter switch is in the off state can be follow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간접전류제어방식을 적용하여 단독운전 발생 시 부하로의 안정적인 전압 공급이 가능하고, 과도 상태 없이 독립운전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인버터의 무효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함으로써, 신속하게 단독운전을 검출함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it is possible to supply a stable voltage to the load in the event of a stand-alone operation, and to switch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without transient state.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single operation is detected quickly by detecting the single operation based on the reactive power of the inverter.

도 1은 하이브리드 ESS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중요 부하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유리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ybrid ESS.
2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grid-connected inverter having an important load.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graphs for explaining a single operation detection method in the grid interconnect type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dvantageous effects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중요 부하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grid-connected inverter having an important load, and FIG. 3 is a schematic control block diagram of a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직류 에너지원(Vdc)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교류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중요부하(Critical Load) 또는 계통(Vg)으로 공급할 수 있다. 2,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direct-current voltage from a direct-current energy source (V dc ) and converts the direct-current voltage into an alternating-current voltage, g . < / RTI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스위치에 의해 직류전압으로부터 교류형태의 전압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필터 인덕터(Li) 및 필터 커패시터(Cf)로 구성되는 출력필터요소를 포함하여, 교류전압을 보다 정현적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라인 인덕터(Lg)를 포함하여 계통에 주입되는 전류(iLg)를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 AC voltage from a DC voltage by a plurality of switches operating according to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signal, and the filter inductor L i and a filter capacitor C f to make the AC voltage more sinusoidal.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current (i Lg ) injected into the system, including the line inductor (L g ).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재폐로 차단기(recloser)가 닫혀 있는 계통 정상 상태에서는 인버터 스위치(SW) 또한 닫혀 있는 계통연계운전모드로 동작하여 부하 또는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Here, in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rter switch SW is also closed in the grid-connected operation mode in the steady state where the recloser is closed, Can supp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도 2와 같이 재폐로 차단기(recloser)가 차단된 계통 이상 상태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인버터 스위치(SW)가 닫혀 있는 단독운전모드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중요부하에 안정된 전압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계통 이상 상태 또는 단독운전을 신속하게 검출하고, 인버터 스위치(SW)를 차단하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when the recloser fails to detect a system abnormal state in which the recloser is interrupted, the system interlinked inverter operates in the singl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inverter switch SW is closed In this case, since a stable voltage can not be supplied to the critical load, it is preferable to operate in a stand-alon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system abnormal state or single operation is detected quickly and the inverter switch SW is shut off .

한편, 일반적으로 인버터는 스위칭 소자에 신호를 주는 드라이브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인버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단독운전 검출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the inverter includes a drive and a control unit for giving signals to the switching elements, and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such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not only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general operation of an inverter but also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program stored in a memory and a memory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detecting a single operation is stored,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이와 같은 제어부는, 도 3을 참조하면, 간접전류제어방식을 적용하여 계통연계모드 및 독립운전모드에서 모두 전압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PLL(Phase Locked Loop) 제어기의 출력을 제한시켜 인버터의 단독운전이 발생하더라도 부하전압의 크기와 주파수가 변동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voltage to be controlled in both the grid-connected mode and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by applying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limits the output of the PLL (Phase Locked Loop) controller so that the size and frequency of the load voltage do not fluctuate even when the inverter is operated alone.

또한, 제어부는,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하기 위해 무효전력변동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무효전력변동기법이란, 인버터에서 무효전력을 주기적으로 변동시켜주면서 출력함으로써, 단독운전 발생 시 인버터가 출력하는 무효전력과 부하가 소모하는 무효전력의 차이에 의해 부하전압의 주파수 변화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주파수 변화로부터 단독운전을 검출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와 같이 간접전류제어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항시 전압제어를 수행하므로 인버터의 단독운전이 발생하더라도 부하전압의 크기와 주파수는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단독운전을 검출하기 위해, 무효전력변동기법을 적용하여 인버터에서 무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부하전압의 주파수가 아닌 무효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urther, the control unit may apply the reactive power fluctuation technique to detect the sole operation of the inverter. The reactive power fluctuation technique is a method in which the inverter periodically varies the reactive power to generate a change in the frequency of the load voltag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ctive power output by the inverter and the reactive power consumed by the load at the occurrenc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It is a technique to detect a single operation from a frequency change.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like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ltage control is always performed,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the load voltage do not fluctuate even when the inverter alone operates. Therefore, in order to detect the single opera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verter to output the reactive power by applying the reactive power variation technique, but can detect the independent operation based on the reactive power, not the frequency of the load voltage. In this regar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4 and 5 are graphs for explaining a single operation detection method in the grid interconnect type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가 계통연계운전모드(Grid connected mode)로 동작 시, 단독운전모드(Clearing time)로 동작 시, 독립운전모드(Standalone mode)로 동작 시 인버터의 무효전력(Qinv)과 부하전압의 주파수(f)의 파형을 나타내며, 단독운전 발생시, 즉, Clearing time에도 부하전압(VLoad,a)의 변동이 작아서 중요 부하로의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Grid connected mode, a Standalone mode when operating in a clearing time, The fluctuation of the load voltage (V Load, a ) is small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stand-alone operation, that is, at the clearing time, so that stable power supply to the critical loa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it is possibl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의 단독운전 발생시, 즉, Clearing time에서 부하전압의 주파수(f)의 변화에 제한이 있으므로, 기존의 방식과 같이 부하전압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단독운전을 검출하는 경우, NDZ(Non Detection Zone)을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무효전력(Q)을 기준으로 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since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variation of the frequency f of the load voltag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stand-alone operation in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clearing time, When single operation is detected on the basis of the frequency of the load voltage, it can not be out of NDZ (Non Detection Zone). Therefore,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single operation based on the reactive power Q output from the inverter.

구체적으로는, 제어부는 도 5와 같이 인버터에서 Positive, 0, Negative의 값으로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무효전력(Q)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부하조건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이때, 인버터에서 출력하는 무효전력(Q)은 예를 들어 유효전력(P)의 5%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inverter to output reactive power (Q) periodically fluctuating in the values of Positive, 0, and Negative as shown in FIG. This is to consider the load conditions. At this time, the reactive power Q output from the inverter may be set to 5% or more of the active power P, for example.

단독운전이 발생하는 경우, 인버터에서 출력하는 무효전력(Qinv)과 부하의 무효전력(QLoad)이 같아지게 되는데, 이때, 부하의 무효전력(QLoad)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When a single operation occurs, there is becomes equal to the reactive power (Q inv) and reactive power (Q Load) of the load output by the inverter, at this time, the reactive power (Q Load) of the load is expressed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QLoad는 부하의 무효전력, PLoad는 부하의 유효전력, Qf는 RLC 병렬 부하의 quality factor, fres는 부하의 공진주파수, f는 인버터 출력전압 주파수를 나타낸다.In Equation (1), Q load represents the reactive power of the load, P load represents the effective power of the load, Q f represents the quality factor of the RLC parallel load, f res represent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load, and f represents the inverter output voltage frequency.

인버터에서 출력하는 무효전력(Q)은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므로, 수학식 1에 따르면, 단독운전이 발생하는 경우, 부하전압의 주파수(f)가 변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간접전류제어방식이 적용되어 부하전압의 주파수(f)의 변화가 제한되므로, 인버터에서 출력하는 무효전력(Q)이 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단독운전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의 지령치에 해당하는 무효전력(Q)을 출력할 수 없게 된다. Since the reactive power Q output from the inverter periodically fluctuates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5, according to Equation (1), it is general that the frequency f of the load voltage fluctuates when single operation occurs. However, in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scheme is applied to limit the variation of the frequency f of the load voltage, so that the reactive power Q output from the inverter changes. That is, the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utput the reactive power (Q)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value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single operation is performed.

이러한 점에서 착안하여, 제어부는 도 5와 같이 무효전력 지령치 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인버터에서 출력하는 무효전력(Q)이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다.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trol unit can set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as shown in FIG. 5, and can detect the sole operation of the inverter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reactive power (Q) output from the invert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ESS 배터리 또는 태양광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교류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중요부하 또는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중요부하로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간접전류제어방식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무효전력변동기법을 적용하여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다. The grid interconnection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DC voltage from a renewable energy source such as an ESS battery or solar light, convert it into an AC voltage, and supply it to an important load or system. In this case,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for stable power supply to the critical load. In addition,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inverter by applying the reactive power variation technique.

구체적으로는, 도 6을 참조하면,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무효전력 지령치를 설정할 수 있다(600). 이때, 무효전력 지령치는 유효전력을 기준으로 Positive, 0, Negative의 값으로 주기적으로 변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grid-connected inverter can set a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600). At this time,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can be set to fluctuate periodically with the values of Positive, 0, and Negative based on the active power.

그리고,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무효전력 지령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무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610).In addition, the grid-connected inverter may control the reactive power to be periodically varied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610).

그리고,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무효전력이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620).In addition, the grid-connected inverter can check whether the reactive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is out of the reactive power setpoint (620).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무효전력이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면 단독운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다(630).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무효전력이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In the grid-connected inverter, when the reactive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is out of the reactive power setpoint,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alone operation has occurred and the stand-alone operation can be detected (630). The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reactive pow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and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when the counted number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그리고,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단독운전이 검출되면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640). 즉,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단독운전이 검출되면 인버터 스위치(SW)를 차단하여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d-connected inverter can be switched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when independent operation is detected (640). That is, the grid-connected inverter can switch the inverter switch SW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when the stand-alone operation is detected.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유리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dvantageous effects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FIG.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유리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7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dvantageous effects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과 같이 RLC 병렬 부하(q-factor=2.5)와 연결되며, 아래의 표 1의 사양을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를 설계하여,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였다.First, as shown in FIG. 7, a grid-connected inverter connected to an RLC parallel load (q-factor = 2.5) and having the specifications shown in Table 1 below was designed to simulate the operation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alone.

[표 1][Table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간접전류제어방식이 적용되어 항시 전압제어를 수행하고, 무효전력변동기법을 적용하여 무효전력 지령치에 따른 무효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constant voltage control by applying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and can output the re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by applying the reactive power variation techniqu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간접전류제어방식이 적용되어 단독운전(Islanding)이 발생하여도 부하 전압과 주파수가 변하지 않아 중요 부하로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단독운전을 검출하여 독립운전모드로 전환시에도 과도 상태 없이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독운전이 발생하는 경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무효전력(Q)이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단독운전이 검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so that even when islanding occurs, the load voltage and frequency do not chang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even when the single operation is detected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the mode is switched without the transient state. In addition, when the single operation is generat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active power (Q) output from the invert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from which the single operation can be detected.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는 간접전류제어방식이 적용된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 종래의 무효전력변동기법으로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내는데, 종래의 무효전력변동기법은 부하전압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단독운전을 검출하나 간접전류제어방식에 따르면 부하전압의 주파수 변화가 없으므로 단독운전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9 (a) shows a result of detection of the inverter alone by the conventional reactive power fluctuation technique in the grid-connected inverter to which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is applied. In the conventional reactive power fluctuation technique The single opera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load voltage. However, according to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ingle operation is not detected because there is no frequency change of the load voltage.

반면,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내는데, 간접전류제어방식이 적용되더라도, 종래의 무효전력변동기법에서 인버터의 무효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버터의 단독운전을 검출하여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함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trast, FIG. 9B shows the result of detecting the inverter alone in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scheme is applied, in the conventional reactive power variation techniqu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verter can detect the stand-alone operation based on the reactive power,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and-alone operation of the inverter is detected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또한, 도 7과 같이 RLC 병렬 부하(q-factor=2.5)와 연결되며, 아래의 표 2 사양을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를 설계하여,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였다.Also, as shown in FIG. 7, a grid-connected inverter connected to an RLC parallel load (q-factor = 2.5) and having the following Table 2 specifications was designed to simulate the operation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alone.

[표 2][Table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도 10은 계통연계형 인버터가 부하전력을 모두 공급하는 경우(△P=0W), 단독운전 검출 결과를 나타내고, 도 11은 계통연계형 인버터가 부하와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P=-500W)의 단독운전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간접전류제어방식을 적용하여 단독운전 발생 시 부하로의 안정적인 전압 공급이 가능하고, 과도 상태 없이 독립운전모드로 전환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인버터의 무효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함으로써, 제한시간 내 신속하게 단독운전을 검출함을 확인할 수 있다.Fig. 10 shows the result of the single operation detection when the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supplies all the load electric power (DELTA P = 0W), Fig. 11 shows the case where the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load and the grid -500W). Fig.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lying stable voltage to a load when an independent operation is generated by applying an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version is possible. In addition, the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single operation based on the reactive power of the inverter,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ingle operation is detected quickly within the time limit.

이와 같은,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Such a control method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may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one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Claims (5)

무효전력 지령치를 설정하고,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에 따른 무효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하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
A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is set,
Controls the re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to be outputted,
And detecting occurrenc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active pow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하면, 계통과 연결되는 인버터 스위치를 차단하는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witching to a stand-alone operation mode for shutting off an inverter switch connected to the system when the occurrence of the stand-alone operation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유효전력을 기준으로 Positive, 0, Negative의 값으로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무효전력 지령치를 설정하는 것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etting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includes:
And setting a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periodically changing to a value of Positive, 0, or Negative based on the active power of the grid interconnected i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무효전력 지령치를 벗어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독운전 발생을 검출하는 것인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eactive pow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And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reactive power deviates from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when the counted numbe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1항에 있어서,
계통과 연결되는 인버터 스위치가 닫힌 상태인 계통연계운전모드 및 상기 인버터 스위치가 차단된 상태인 독립운전모드에서 모두 전압제어를 수행하는 간접전류제어방식을 따르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an indirect current control method in which voltage control is performed both in a grid-connected operation mode in which an inverter switch connected to the system is closed and in an independen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inverter switch is cut off.
KR1020160127607A 2016-10-04 2016-10-04 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 KR201800374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07A KR20180037450A (en) 2016-10-04 2016-10-04 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07A KR20180037450A (en) 2016-10-04 2016-10-04 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50A true KR20180037450A (en) 2018-04-12

Family

ID=6196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07A KR20180037450A (en) 2016-10-04 2016-10-04 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74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20B1 (en)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transient event ride-through capability and method thereof
US9941701B2 (en) Photovoltaic voltage regulation
JP6063031B2 (en) Powe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56041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converter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a power converter system
US9716408B2 (en) Redundant residential power sources
KR101646170B1 (en) Power System Control Method for Operation With Grid-Connection and Isolation
JP2016010203A (en) Inverter control device, dispersion type power source system interconn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nverter
JP5454011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5961932B2 (en) Electric power leveling device
JP2005269843A (en) Parallel operation device
JP5410213B2 (en) Control circuit for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power supply system provided with the control circuit
KR102149393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hotovoltaic system
KR20200088159A (en) Grid-connected inverter and method for detecting islanding of grid-connected inverter
KR20190111690A (en) DC-DC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Photovoltaic System in Stand-alone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099919B1 (en) Power conversion control device using solar cell
KR20180037450A (en) Anti-islanding method of grid connected inverter
KR2015000582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stant power failure of h-bridge multi-level inverter
KR101451363B1 (en) Power converter for new renewable energy generator
JP6249561B2 (en) PV power conditioner
JP5955577B2 (en) Inverter device
JP5609379B2 (en) Hybrid power supply
JPWO2011013187A1 (en) Self-excited reactive power compensator
CN111049507A (en) Method and device for turning off thyristor
Pallo et al. Short-circuit fault ride-through of flying-capacitor multilevel converters through rapid fault detection and idle-mode operation
US11916511B1 (en) Solar-battery integrated D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