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374A -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374A
KR20180037374A KR1020160127428A KR20160127428A KR20180037374A KR 20180037374 A KR20180037374 A KR 20180037374A KR 1020160127428 A KR1020160127428 A KR 1020160127428A KR 20160127428 A KR20160127428 A KR 20160127428A KR 20180037374 A KR20180037374 A KR 2018003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jacket
liner
boss
jacke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형배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374A/ko
Publication of KR2018003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28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applied by "rubber" bag or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45/14032Transferring the inserts from a storage space inside the mould to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deforming by gas or fluid pressure in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91Submerged burrs, e.g. using protruding mould parts forming a cavity in which the burr on the insert is formed for preventing surface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충전되어 팽창하는 재킷몰드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준비단계 후 재킷몰드의 주입구에 보스를 설치하는 보스 설치단계와, 상기 보스 설치단계 후 라이너가 사출될 금형의 내부에 상기 재킷몰드를 위치시키는 인서트단계와, 상기 인서트단계 후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를 충전시켜 팽창된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충전단계와, 상기 충전단계 후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하여 라이너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 후 상기 금형으로부터 라이너를 취출하는 취출단계 및 상기 취출단계 후 상기 라이너로부터 상기 재킷몰드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The production method and plastic liners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liner}
본 발명은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웰드라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스와 라이너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플라스틱 라이너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용기란 내부의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형 구조물로 수용공간에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의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저장물질을 저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압력용기는 저장물질의 주입 및 공급 과정에서 액화 또는 기화가 발생하며 이때 고압이 발생하고 저장중에도 지속적인 고압을 받게 된다. 압력용기는 구조에 따라 아래와 같이 4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Type Ⅰ의 압력용기는 라이너(Liner)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재료는 메탈계 구조재가 사용된다. 메탈계 구조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과정을 거치며 점점 구조 안전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며 주재료인 CrMo강의 응력부식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Type Ⅱ의 압력용기는 메탈계 라이너와 압력용기 형상에서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원주방향을 섬유강화복합재로 보강한 구조이다. 이 Type Ⅱ의 압력용기 또한 응력부식균열에 의한 라이너 손상의 발생으로 구조가 약해지는 약점이 있다.
Type Ⅲ의 압력용기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알루미늄(Aluminum) 재질의 라이너와 라이너 외부 전체를 원주방향 및 나선형방향으로 모두 보강하는 풀 랩핑 와인딩(Full Wrapping Winding) 방식을 적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방식은 라이너의 이음새가 없어 용기의 기밀성이 좋고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지만 반복사용에 의한 피로내구성 및 갈바닉 부식에 의한 구조안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Type Ⅳ의 압력용기는 플라스틱 재질의 라이너와 그 외부를 풀 랩핑 와인딩 방식으로 보강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는 다른 종류의 압력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피로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좋은 특징이 있지만 플라스틱 재질의 라이너의 적용으로 인한 가스투과의 가능성이 있으며, 다른 형태의 용기에 비해 외부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낮다. 또한, 보스부는 메탈계 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계면 박리등으로 인한 가스 누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라이너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른 선행기술로 미국특허 US 2006/0060289 A1와 같이 돔부와 실린더부를 각각 성형 한 후 스피닝융착이나 열융착을 통한 방법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7139호와 같이 분말회전성형을 통해 성형하는 방법,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7170호와 같이 중공 블로우 성형을 통해 달성하는 선행기술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등으로 제작된 플라스틱 라이너는 연속섬유복합재를 이용해 구조를 보강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공법, 랩핑(Fabric wrapping) 공법, 브레이딩(Brading) 공법 등이 있다.
이때,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은 실린더 형태의 몰드나 라이너에 프리프레그(Prepreg)나 매트릭스가 담긴 함침조를 지나며 함침시킨 섬유를 원주방향 및 나선형방향으로 감싸 강화시키는 방법이며, 랩핑 공법은 직물형태의 프리프레그나 기지재를 함침조를 통과하며 함침시킨 직물을 원주방향으로 감싸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브레이딩 공법은 실린더 형태의 몰드나 라이너의 표면을 따라 직물을 직접 직조하여 강화시키는 공법이다.
US 2006/0060289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웰드라인(Weld line)을 제거하고 금속 보스와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플라스틱 라이너를 제작하며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충전되어 팽창하는 재킷몰드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준비단계 후 재킷몰드의 주입구에 보스를 설치하는 보스 설치단계와, 상기 보스 설치단계 후 라이너가 사출될 금형의 내부에 상기 재킷몰드를 위치시키는 인서트단계와, 상기 인서트단계 후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를 충전시켜 팽창된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충전단계와, 상기 충전단계 후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하여 라이너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 후 상기 금형으로부터 라이너를 취출하는 취출단계 및 상기 취출단계 후 상기 라이너로부터 상기 재킷몰드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에 실링을 설치하는 실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스 설치단계는 상기 보스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가 보스의 내경과 나사산 결합시키는 조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될 수 있게 작동유체 주입노즐를 장착하는 주입노즐 장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재킷몰드에 주입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캐비티로 주입되는 수지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온도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캐비티에 수지가 완전히 주입된 후에는 상기 재킷몰드에 충전된 작동유체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주입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강화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상기한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에 의하면, 재킷몰드에 작동유체를 충전하여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의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하여 라이너를 성형하기 때문에 웰드라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스와 라이너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플라스틱 라이너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재킷몰드의 주입구에 보스가 설치되는 보스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재킷몰드를 금형에 위치시키는 인서트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재킷몰드에 작동유체가 충전되는 충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작동유체가 충천된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의 캐비티에 수지가 주입되는 성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압력용기 제조방법은 준비단계(S110), 보스 설치단계(S120), 인서트단계(S130), 충전단계(S140), 성형단계(S150), 취출단계(S160), 분리단계(S170)의 순서로 진행되어 고압 압력용기를 제조하게 된다.
부연하면, 준비단계(S110)는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충전되어 팽창하는 재킷몰드(100)를 준비하는 것으로, 재킷몰드(100)는 작동유체가 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되는 것에 그 부피가 팽창할 수 있도록 주머니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또한, 재킷몰드(100)는 고온에서도 파손되지 않도록 열에 강한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재킷몰드(100)와 보스(200)가 결합될 때 주입구(110)의 외경과 보스의 내경을 기밀하게 할 수 있도록 실링(120)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준비단계(S110)는 실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 간에 기밀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120)이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의 전방에 마련되거나 또는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 외경에 실링이 끼워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준비단계(S110)가 실시된 후에는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에 보스(200)를 설치하는 보스 설치단계(S120)가 실시된다. 이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재킷몰드의 주입구에 보스가 설치되는 보스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스 설치단계(S120)는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를 보스(200)의 내경에 삽입하기 위해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이 동일 축선에 위치한 상태에서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 또는 보스(200)가 상대를 향하여 근접하여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가 보스(200)의 내경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이 삽입될 때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은 억지끼움에 의해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이 나사산 결합되는 조립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조립단계는 작동유체가 주입되는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가 원통의 형상을 갖되 그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재킷몰드(100)와 보스(200)가 결합될 때 보스(200)의 내경과 나사산 결합될 수 있도록 보스(200)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보스(200)의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재킷몰드(100)가 보스(200)와 결합될 때 회전에 의해 나사산 결합된다.
이러한 조립단계는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이 동일 축선에 위치한 상태에서 재킷몰드(100) 또는 보스(200)가 회전하면서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보스(200)의 내경이 근접하여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보스 설치단계(S120)가 실시된 후에는 보스(200)가 설치된 재킷몰드(100)를 라이너가 사출될 금형(30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인서트단계(S130)가 실시된다. 이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재킷몰드를 금형에 위치시키는 인서트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서트단계(S130)는 보스(200)가 설치된 재킷몰드(100)를 금형(30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이때 금형(300)은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가동금형과 고정금형이 될 수 있으며, 가동금형과 고정금형이 맞나는 경계에 보스(200)가 위치하여 재킷몰드(100)가 금형(3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가동금형 또는 고정금형 중 어느 한 곳에는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는 공급노즐(310)이 마련된다.
이러한 금형(300)은 가열을 위해 히터 카트리지, 스팀 가열, 온도조절기, 인덕션 히팅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금형(300)의 냉각을 위해 가동금형 및 고정금형 각각에 다수의 채널(Chanel)을 구성하고 그 채널을 통해 냉각수가 순환하여 금형이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가동금형과 고정금형이 형합되면 그 내부에 재킷몰드(100)가 위치하게 되며, 이렇게 형합된 금형(300)의 내부에 재킷몰드(100)가 위치하게 되면 작동유체를 재킷몰드(100)에 충전하여 재킷몰드(100)를 금형의 내부에서 부풀리게 되는 충전단계(S140)가 실시된다. 이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재킷몰드에 작동유체가 충전되는 충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충전단계(S140)는 금형(300)의 내부에 위치한 재킷몰드(100)에 작동유체를 주입하여 재킷몰드(100)를 부풀려 재킷몰드(100)와 금형(300) 사이에 캐비티(320)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금형(300)의 내부에 위치한 재킷몰드(100)에 작동유체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단계(S140)는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될 수 있게 작동유체 주입노즐(400)을 장착하는 주입노즐 장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동유체 주입노즐(400)은 유압공급장치(410)와 유로로 연결되어 유압공급장치(410)의 작동에 의해 작동유체가 주입노즐(400)로 공급된다. 이러한 유압공급장치(410)는 압축기 및 유압피스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재킷몰드(100)가 적절히 팽창하면 유압공급장치(410)로부터 작동유체의 공급을 멈추고 압력 유지를 위한 유압밸브(미도시)가 주입노즐(400) 또는 주입노즐(400)과 유압공급장치(410)를 연결하는 유로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주입노즐 장착단계는 가동금형과 고정금형이 형합되는 경계에 위치한 보스(200)를 통해 작동유체가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로 충전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주입노즐(400)이 보스(200)를 매개로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재킷몰드(100)의 주입구(110)와 주입노즐(400)을 연통시키기 위해 주입노즐(400)이 보스(200)의 내경에 삽입되는 삽입방식이 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스(200)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에 주입노즐(400)이 나사산 결합되도록 주입노즐(400)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주입노즐 장착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단계(S140)에서 실시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스 설치단계(S120)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충전단계(S140)를 통해 금형(300)의 내부에 위치한 재킷몰드(100)에 작동유체를 공급하게 될 때 작동유체는 캐비티(320)로 주입되는 수지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온도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작동유체가 캐비티(320)로 주입되는 수지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온도로 주입되면 공급노즐(310)을 통해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320)에 주입되어 재킷몰드(100)와 접촉하게 될 때 수지가 급냉되면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재킷몰드(100)의 온도가 공급노즐(310)을 통해 캐비티(320)에 주입되는 수지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공급노즐(310)과 인접한 캐비티(320)에서 수지가 경화되기 때문에 캐비티(320)에 균일하게 수지를 주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킷몰드(100)에 충전되는 작동유체의 온도가 캐비티(320)에 주입되는 수지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 재킷몰드(100)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공급노즐(310)을 통해 캐비티(320)에 주입되는 수지가 재킷몰드(100)와 접촉하면서 급냉하여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캐비티(320)에 균일하게 수지를 완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충전단계(S140)가 실시되어 금형(300)의 내부에 위치한 재킷몰드(100)에 작동유체가 충전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몰드(100)와 금형(300)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320)에 수지를 주입하여 라이너를 형성하는 성형단계(S150)가 실시된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중 작동유체가 충천된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의 캐비티에 수지가 주입되는 성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충전단계(S140)를 통해 재킷몰드(100)에 작동유체가 충전되어 재킷몰드(100)가 금형(300)의 내부에서 부풀어 재킷몰드(100)와 금형(300) 사이에 라이너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320)가 형성되면 금형(300)에 마련된 공급노즐(310)을 통해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320)로 주입된다.
이때, 캐비티(320)에 주입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강화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에테르케톤(PEEK)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강화를 위한 첨가제(유리섬유, 탄소섬유 등)가 혼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강화플라스틱은 사출성형이 가능한 단섬유 강화플라스틱(Short fiber resinforeced plastic)과 장섬유 강화플라스틱(Long fiber reinforced plastic)이 모두 유효하며, 상기 예의 강화플라스틱은 typeⅣ 압력용기 플라스틱 문제점 중 하나인 낮은 내충격성과 낮은 내크랙을 개선하여 전체적인 압력용기의 강성구조 설계에 유효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외에도 경화과정이 필요한 열경화성 수지의 적용이 유효하다. 이때 적용 가능한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의 대표적 예는 에폭시수지(Epoxy), 비닐에스터(Vynilester), 불포화폴리에스터(Unsaturated polyester), 페놀릭(Phenolic), 시아네이트에스터 (Cynate ester)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재킷몰드(100)와 금형(300) 사이의 캐비티(320)에 수지가 주입되어 완충되면 캐비티(320)에 채워진 수지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가 실시된다. 이러한 냉각단계는 캐비티(320)에 수지가 완전히 주입된 후에 재킷몰드(100)에 충전된 작동유체의 온도를 낮추어 수지를 냉각시키게 된다.
즉, 재킷몰드(100)에 충전된 고온의 작동유체를 저온의 작동유체로 치환시켜 재킷몰드(100)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또한, 금형(300)의 냉각채널에 저온의 냉각수를 통과시켜 캐비티(320)에 완충된 수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라이너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성형단계(S150)가 실시된 후에는 금형으로부터 라이너를 취출하는 취출단계(S160)가 실시된다. 취출단계(S160)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가동금형과 고정금형 중 가동금형이 고정금형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금형(300)을 개방하게 된다. 금형(300)이 개방된 후에는 성형된 라이너를 금형의 외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취출단계(S160)가 실시된 후에는 라이너로부터 재킷몰드(100)를 분리하는 분리단계(S170)가 수행되며 재킷몰드(100)가 분리된 라이너는 사출성형에서 발생한 버(burr) 및 런너(Runner)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의 내부에 위치한 재킷몰드(100)에 작동유체를 충전하여 재킷몰드(100)와 금형(300) 사이의 캐비티(320)에 수지를 주입하여 라이너를 성형하기 때문에 웰드라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스(200)와 라이너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플라스틱 라이너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재킷몰드 110 : 주입구
120 : 실링 200 : 보스
300 : 금형 310 : 공급노즐
320 : 캐비티 400 : 주입노즐
410 : 유압공급장치

Claims (8)

  1.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충전되어 팽창하는 재킷몰드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재킷몰드의 주입구에 보스를 설치하는 보스 설치단계;
    상기 보스 설치단계 후 라이너가 사출될 금형의 내부에 상기 재킷몰드를 위치시키는 인서트단계;
    상기 인서트단계 후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를 충전시켜 팽창된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충전단계;
    상기 충전단계 후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하여 라이너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 후 상기 금형으로부터 라이너를 취출하는 취출단계; 및
    상기 취출단계 후 상기 라이너로부터 상기 재킷몰드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에 실링을 설치하는 실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스 설치단계는 상기 보스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가 보스의 내경과 나사산 결합시키는 조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재킷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될 수 있게 작동유체 주입노즐를 장착하는 주입노즐 장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재킷몰드에 주입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캐비티로 주입되는 수지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온도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캐비티에 수지가 완전히 주입된 후에는 상기 재킷몰드에 충전된 작동유체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킷몰드와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주입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강화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의한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라이너.
KR1020160127428A 2016-10-04 2016-10-04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 KR20180037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428A KR20180037374A (ko) 2016-10-04 2016-10-04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428A KR20180037374A (ko) 2016-10-04 2016-10-04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374A true KR20180037374A (ko) 2018-04-12

Family

ID=6196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428A KR20180037374A (ko) 2016-10-04 2016-10-04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73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747B1 (ko) 2020-12-08 2021-04-14 (주)비에스피 반복 사출성형을 이용한 고압저장용기의 제작방법
KR20220062846A (ko) * 2020-11-09 2022-05-17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수소저장용기 제작용 금형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수소저장용기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846A (ko) * 2020-11-09 2022-05-17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수소저장용기 제작용 금형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수소저장용기 제조 방법
KR102239747B1 (ko) 2020-12-08 2021-04-14 (주)비에스피 반복 사출성형을 이용한 고압저장용기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3447B1 (en) Engage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ssure vessel incorporated with such a structure
US819266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iner of a vessel
US8858857B2 (en) Process for the rapid fabrication of composite gas cylinders and related shapes
AU777077B2 (en) Pressure vessel manufacture method
KR20010089902A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US10995909B2 (en) Hydrogen tank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hydrogen tan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5705856A (zh) 高压复合容器和制造高压复合容器的方法
EP0562038B1 (en) Process for preparing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and products thereof
CN102328439A (zh) 用于成形压力容器的容器内衬的方法和装置
KR20010089900A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US11174990B2 (en) Tank
KR20180037374A (ko) 플라스틱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라이너
JP6915564B2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CN106794618A (zh) 压力容器以及用于生产包括至少一个连接元件的压力容器坯件的设备和工艺
CN112833324B (zh) 压力容器
US7090736B2 (en) Pressure vessel prestressing technique
KR100634767B1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CN116963891A (zh) Iv型压力容器的凸台-衬套结构
CN111070519A (zh) 一种柔性膨胀装置及其制作方法
EP4067047A1 (en) Blow mold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liner for pressure vessel using blow molding machine
US11097498B2 (en) Liner and composite tank assembly method
KR20010089903A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JP2024043224A (ja) 高圧タンク用金型構造
JPH11179791A (ja) 耐圧容器用の内側殻の製造方法
KR20120036132A (ko)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