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361A -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361A
KR20180037361A KR1020160127384A KR20160127384A KR20180037361A KR 20180037361 A KR20180037361 A KR 20180037361A KR 1020160127384 A KR1020160127384 A KR 1020160127384A KR 20160127384 A KR20160127384 A KR 20160127384A KR 20180037361 A KR20180037361 A KR 20180037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ed
insertion hole
fastening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792B1 (ko
Inventor
원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riority to KR102016012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체결대상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구조체에 있어서, 체결대상파이프의 체결시 확실한 삽입체결이 되어있는지를 외부에서 눈으로 식별 또는 촉감으로 식별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면서, 이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용이한 조립순서를 통해, 제작효율을 높힐 수 있도록 한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LASTIC PIPE CONNECTION OF LIQUID PIPINGS CONNECTION SYSTEM BEING POSSIBLE FOR VISUAL IDENTIFICATION USING MULTI LAYER}
본 발명은 복수개의 체결대상파이프를 상호간 연결시,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어 체결되었음을 확인가능토록 하는 이음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유체의 이송수단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파이프를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도록 일체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파이프를 생산하여 이동및 설치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유통하게 된다.
이에, 파이프를 사용시에는 필요에 따라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게됨으로 파이프의 연결수단이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관의 양단내경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파이프의 일측둘레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나착결합하여 파이프를 이음하였으나, 이는 기밀의 유지가 어렵고 파이프에 나사를 형성해야 하고 길이가 긴 파이프를 회전하여 나착결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근래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이음관의 양측 외주연에 조임나사산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음관의 내측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환형패킹을 투입하고, 이음관의 양단으로 조임캡을 투입하며, 이음관의 양단 외주연을 작동고정구를 나사체결되어 조여줌으로써, 파이프를 이음관 양단에 고정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내부의 패킹을 가압하여 파이프와 밀착시키기 위한 이음관 내주연의 구성이 복잡하고, 패킹에 의한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기존의 이러한 파이프 이음관을 이용할 경우, 파이프가 이음관의 어느부분까지 삽입이 되었는지, 확실한 체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고, 이에, 내부에 설치된 환형의 패킹 부분과 파이프가 밀착되지 않아 기밀유지는 더욱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렇게 파이프가 이음관에 확실한 결합을 하지 못한 경우, 외부로 누수가 발생됨과 동시에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의 파이프 이음관으로는, 사용되는 해당 이음관의 양단 직경에 맞는 파이프의 적용파이프 직경이 얼마인지 바로 확인이 불가능하였기에,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일일히 이음관에 파이프를 끼워 대비해봐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파이프 및 이음관의 교체 및 수리시 협소한 공간에서는 그 외형이나 파이프나 이음관에 적혀있는 정보를 보고 확인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이음구조체의 경우, 그 체결방법 또는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이를 제작하기가 어려웠기에, 이를 효율적이면서 간단히 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시공방법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20160호(2001.01.31.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체결대상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음구조체에 있어서, 체결여부를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이음구조체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사전설정된 순서 및 위치에 맞춰 다수의 구성이 손쉽고 용이하게 조립되어 이를 이룰수 있도록 한,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외주연에 확인홀(12)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10)가 준비되는 단계(S100); 상기 체결부재(10)의 내부에 육안식별부재(20)를 내설되되, 육안식별부재(20)는 링 형상의 링부재(21) 원주면에 연장돌출된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에 대응위치 또는 대응삽입되도록 하는 육안식별부재(20) 체결단계(S110); 상기 체결부재(10)의 일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외측관(30)의 일단 소정길이가 내설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외측관(30) 체결단계(S120); 상기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내측관(40)이 내설되되, 상기 내측관(40)이 외측관(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관(40)과 이중관 형태를 가져, 상기 내측관(40)과의 사이에 빈공간인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내측관(40) 체결단계(S130);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 시, 체결대상파이프(P)의 일단이 육안식별부재(20)를 가압하여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삽입 및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체결단계(S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간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대상파이프의 확실한 체결여부를 외부에서 손쉽게 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상을 통해 체결가능한 대상의 파이프 규격을 알 수가 있도록 하거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곳에서는 체결시 돌출되는 부위를 촉감으로 인식함으로써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투명재질에 의해 내부의 체결여부를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 및 시공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효율 상승 및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 단축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예의 이음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번째 실시예의 이음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예의 이음 구조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예의 이음 구조체 시공방법을 통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번째 실시예의 이음 구조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번째 실시예의 이음 구조체 시공방법을 통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 구조체 시공방법에서 체결대상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이중관 형태를 가지는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로 체결대상파이프(P)를 삽입연결시, 상기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으로 인해, 외측관(30) 일측에서 외측관(30)과 내측관(40)을 상호간 일체로 연결하면서, 외주연에 확인홀(12)을 천공하고 있는 체결부재(10)의 확인홀(12)을 통해, 상기 삽입홀(H)에 위치되어 있던 육안식별부재(2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육안식별부재(20)의 돌출여부를 통해,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 및 체결여부가 외부에서 손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홀(12)의 육안식별부재(20) 돌출여부로 확인된 이후에는,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하여, 체결대상파이프(P)가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ㅈ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외주연에 확인홀(12)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10)가 준비되는 단계(S100); 상기 체결부재(10)의 내부에 육안식별부재(20)를 내설되되, 육안식별부재(20)는 링 형상의 링부재(21) 원주면에 연장돌출된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에 대응위치 또는 대응삽입되도록 하는 육안식별부재(20) 체결단계(S110); 상기 체결부재(10)의 일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외측관(30)의 일단 소정길이가 내설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외측관(30) 체결단계(S120); 상기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내측관(40)이 내설되되, 상기 내측관(40)이 외측관(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관(40)과 이중관 형태를 가져, 상기 내측관(40)과의 사이에 빈공간인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내측관(40) 체결단계(S130);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 시, 체결대상파이프(P)의 일단이 육안식별부재(20)를 가압하여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삽입 및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체결단계(S140);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함으로써,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에 대응삽입되어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된 체결대상파이프(P)가, 상기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고정단계(S1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양단이 개구된 투명재질의 체결부재(10)가 준비되는 단계(S200); 상기 체결부재(10)의 일측에 양단이 개구된 외측관(30)의 일단 소정길이가 내설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외측관(30) 체결단계(S210); 상기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내측관(40)이 내설되되, 상기 내측관(40)이 외측관(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관(40)과 이중관 형태를 가져, 상기 내측관(40)과의 사이에 빈공간인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내측관(40) 체결단계(S220); 상기 외측관(30)의 타단에서 삽입홀(H) 부분에 대응되도록 실링복합체(50)가 끼움결합되는 실링복합체(50) 체결단계(S230);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에 대응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 시, 체결대상파이프(P)의 일단이 실링복합체(50)를 삽입홀(H) 내부로 밀어 가압하여 밀어넣음으로써,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된 삽입홀(H) 내측이 실링되도록 하고, 실링복합체(50) 및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확인은 투명한 체결부재(10)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되어지는 체결대상파이프(P) 체결단계(S240);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함으로써,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에 대응삽입되어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된 체결대상파이프(P)가, 상기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고정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관(30)은 수평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중단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체결대상파이프(P)를 삽입하는 위한 구성이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0)는 상기 체결대상파이프(P)의 직경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체결부재(10)의 색상식별만으로도 체결가능한 체결대상파이프(P)의 직경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복합체(50) 체결단계(S230)에서의 실링복합체(50)는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홀(H)에 대응삽입되지 않는 경우, 삽입홀(H) 일단을 밀폐함으로써, 삽입홀(H)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관(40)은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 후 탈거되지 않도록, 일단부 외주연에 체결대상파이프(P)의 체결방향으로 향해 라운딩지며 돌출되는 탈거 방지부(41)를 연속형성하고, 체결대상파이프(P)와 내측관(40)과의 수밀을 위해, 오링이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오링 체결부(42)를 연속적으로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은 하기와 같이, 두가지 실시예를 가진다.
본 발명의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시공방법'이라 칭한다.)의 첫번째 실시예는 하기와 같다.
첫번째 시공방법 실시예(도 1, 도 3 ~ 도 5)는, 체결대상파이프(P)를 본 발명의 이음 구조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시,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육안식별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이다.
1.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외주연에 확인홀(12)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10)가 준비되는 단계(S100): 체결부재(10)는 후술될 외측관(30)(40) 및 내측관(40) 내부에 내설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관(40)과 외측관(30)의 상호간 이중관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체결부재(10)는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는 관체형성이며, 중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확인홀(12)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후술될 외측관(30)이 삽입되는 일측 내주연의 직경은, 내측관(40)이 삽입되어지는 타측 내주연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하고,
이러한 상기 외측관(30) 및 내측관(40)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내주연은, 외측관(30) 또는 내측관(40)과 돌기와 홈, 또는 주름관 형태로 상호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나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체결부재(10) 양측으로 외측관(30)과 내측관(40)이 각각 일정길이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며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상호간 체결 및 접촉부분의 구조나 형상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는 후술될 두번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체결부재(10)의 외측관(30)이 삽입되는 일측 내주연에는 단턱(11)이 형성되어 있어, 외측관(30)이 일정길이 삽입후 단턱(11)부위 접촉되며 더이상 삽입이 되지 않되, 체결부재(10)와 접촉되는 부분은 상호간 체결가능한 돌기가 홈으로 이루어져 상호간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첫번째 실시예에서의 체결부재(10)는 체결대상파이프(P)의 직경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체결부재(10)의 색상식별만으로도 체결가능한 체결대상파이프(P)의 직경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2. 상기 체결부재(10)의 내부에 육안식별부재(20)를 내설되되, 육안식별부재(20)는 링 형상의 링부재(21) 원주면에 연장돌출된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에 대응위치 또는 대응삽입되도록 하는 육안식별부재(20) 체결단계(S110): 상기 S100단계의 체결부재(10) 내부에 육안식별부재(20)를 삽입장착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육안식별부재(20)는 링 형태의 링부재(21) 및 링부재(21)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연장돌출되는 육안식별편(22)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링부재(21)는 체결부재(10)의 중단부측(확인홀(12)에 인접되어 있음) 내주연에 끼워지는 형태를 가지며, 외부로 연장돌출되는 육안식별편(22)은 확인홀(12)에 대응되어 일부분 내입되거나, 확인홀(12)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3. 상기 체결부재(10)의 일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외측관(30)의 일단 소정길이가 내설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외측관(30) 체결단계(S120): 상기 체결부재(10)의 일단에서 내부 길이방향으로 외측관(3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외측관(30)은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관체 형상이며, 이러한 외측관(30)의 일단부 소정길이가 체결부재(10)의 일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4. 상기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내측관(40)이 내설되되, 상기 내측관(40)이 외측관(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관(40)과 이중관 형태를 가져, 상기 내측관(40)과의 사이에 빈공간인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내측관(40) 체결단계(S130): S130단계를 통해 외측관(30)은 체결부재(10)의 일측에 일단이 소정길이 내입되어 체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상기 내측관(40)은 외측관(30)과는 반대방향인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0)는 외측관(30)이 삽입되는 일단 내주연의 직경이, 내측관(40)이 삽입되는 타단 내주연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내측관(40)의 직경느 외측관(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로써, 상기 내측관(40)의 체결부재(10)의 내부를 관통한 후, 체결부재(10)의 일단에 S120단계를 통해 사전에 체결되어 있는 외측관(30)의 내부에까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인데, 이로써,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는 상호간 이격되며 빈공간을 형성하는 이중관 형태를 가짐으로써, 추후 체결대상파이프(P)가 끼워지는 삽입홀(H)이 형성되는 것이다.
5.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 시, 체결대상파이프(P)의 일단이 육안식별부재(20)를 가압하여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삽입 및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체결단계(S140): 상기 S130단계까지 체결부재(10), 육안식별부재(20), 외측관(30), 내측관(40)을 체결한 후, 체결대상이 되는 체결대상파이프(P)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단계이다.
이경우, 상기와 같이, 체결대상파이프(P)가 외측관(30)이 끼워져 있는 측을 통해 삽입홀(H) 내부로 길이방향 삽입되는 것이며, 삽입시 체결대상파이프(P)는 체결부재(10) 내에서 육안식별부재(20)에 접촉되어진 후, 육안식별부재(20)를 더 안쪽으로 밀어넣게 되는데, 이로써 육안식별부재(20)의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진다.
이로써, 사용자는 체결대상파이프(P)가 확실히 삽입체결되었을시, 이러한 육안식별부재(20)의 육안식별편(22) 돌출여부를 통해 그 여부를 손쉽게 시각 및 촉각(시야확보다 되지 않는 심야의 경우 등)으로 확인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6.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함으로써,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에 대응삽입되어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된 체결대상파이프(P)가, 상기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고정단계(S150): 상기 S140단계를 통해 삽입홀로 돌출되는 육안식별부재(20)의 육안식별편(22) 돌출을 확인하여, 체결대상파이프(P)의 확실한 체결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했을 경우, 이렇게 결합된 체결대상파이프(P)의 고정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이중관 형태의 외측관(30)과 내측관(40)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관(30)을, 다양한 별도의 사전설정된 가압수단(ex: 렌치, 니퍼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관(30)은 가압되면서 삽입홀(H)에 끼워져 있는 체결대상파이프(P)를 내측관(40)에 더욱 밀착시켜, 결론적으로 외측관(30), 체결대상파이프(P), 내측관(40) 상호간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홀(H)에서 탈거되지 않으며, 확실히 부동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두번째 시공방법 실시예(도 2, 도 6 ~ 도 7)는,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음 구조체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시, 삽입되었음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양단이 개구된 투명재질의 체결부재(10)가 준비되는 단계(S200):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의 체결부재(10)와 동일한 구조이되, 두번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결부재(10)는 투명한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체결부재(10)는 일측에 외측관(30), 타측에 내측관(40)을 고정설치하고, 외측관(30)과 내측관(40)의 이중관 형태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홀(H)을 통해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되었을시, 이러한 체결대상파이프(P)의 확실한 삽입을 외부에서 눈으로 손쉽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2. 상기 체결부재(10)의 일측에 양단이 개구된 외측관(30)의 일단 소정길이가 내설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외측관(30) 체결단계(S210): 상기 첫번째 실시예의 S120단계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외측관(30)을 체결부재(10)의 일측에 내설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3. 상기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내측관(40)이 내설되되, 상기 내측관(40)이 외측관(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관(40)과 이중관 형태를 가져, 상기 내측관(40)과의 사이에 빈공간인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내측관(40) 체결단계(S220): 전술된 상기 첫번째 실시예의 S130단계와 동일한 단계로, 체결부재(10)의 타측에 내측관(40)이 내설되어 고정되고, 더불어 외측관(30)과 이중관 구조를 가져, 체결대상파이프(P)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홀(H)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4. 상기 외측관(30)의 타단에서 삽입홀(H) 부분에 대응되도록 실링복합체(50)가 끼움결합되는 실링복합체(50) 체결단계(S230): 이러한 실링복합체(50)는 링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전술된 외측관(30)의 타단측(체결대상파이프(P)가 최초 삽입되어 끼워지는 부분)의 삽입홀(H)에 대응되어 크기로 끼워져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체결대상파이프(P)가 끼워져 사용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이음 구조체의 경우, 이러한 실링복합체(50)가 체결대상파이프(P)가 끼워지게 될 삽입홀(H)을 막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이물질이 삽입홀(H)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할(커버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5.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에 대응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 시, 체결대상파이프(P)의 일단이 실링복합체(50)를 삽입홀(H) 내부로 밀어 가압하여 밀어넣음으로써,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된 삽입홀(H) 내측이 실링되도록 하고, 실링복합체(50) 및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확인은 투명한 체결부재(10)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되어지는 체결대상파이프(P) 체결단계(S240): 전술된 S230단계와 같이, 실링복합체(50)가 삽입홀(H) 끝부분에 대응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대상파이프(P)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되는 경우, 체결대상파이프(P)가 이러한 실링복합체(50)를 밀면서 삽입홀(H)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것으로, 삽입홀(H) 끝단까지 상기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되고 나면, 이렇게 밀린 실링복합체(50)는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된 삽입홀(H) 내측이 실링되도록 하는 실링부재(21)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실링복합체(50) 및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확인은 투명한 체결부재(10)를 통해 외부에서 일부분이 보여짐에 따라, 이를 통해 확실히 삽입체결되어있는지가 확인가능해지는 것이다.
6.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함으로써,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에 대응삽입되어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된 체결대상파이프(P)가, 상기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고정단계(S250): 상기 S240단계를 통해 삽입홀(H) 끝단측까지 체결된 체결대상파이프(P) 및 체결대상파이프(P)에 의해 삽입홀(H) 내부끝까지 밀려진 실링복합체(50)를, 투명한 체결부재(10)를 통해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하여, 체결대상파이프(P)의 확실한 체결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했을 경우, 이렇게 결합된 체결대상파이프(P)의 고정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이중관 형태의 외측관(30)과 내측관(40)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관(30)을, 다양한 별도의 사전설정된 가압수단(ex: 렌치, 니퍼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관(30)은 가압되면서 삽입홀(H)에 끼워져 있는 체결대상파이프(P)를 내측관(40)에 더욱 밀착시켜, 결론적으로 외측관(30), 체결대상파이프(P), 내측관(40) 상호간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홀(H)에서 탈거되지 않으며, 확실히 부동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서, 상기의 첫번째 실시예 및 두번째 실시예의 외측관(30)은, 수평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중단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체결대상파이프(P)를 삽입하는 위한 구성이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또한, 내측관(40)은,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 후 탈거되지 않도록, 일단부 외주연에 체결대상파이프(P)의 체결방향으로 향해 라운딩지며 돌출되는 탈거 방지부(41)를 연속형성하고, 체결대상파이프(P)와 내측관(40)과의 수밀을 위해, 오링이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오링 체결부(42)를 연속적으로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 형성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체결부재 11: 단턱
12: 확인홀 20: 육안식별부재
21: 링부재 22: 육안식별편
30: 외측관 40: 내측관
41: 탈거 방지부 42: 오링 체결부
50: 실링복합체
H: 삽입홀 P: 체결대상파이프

Claims (7)

  1. 이중관 형태를 가지는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로 체결대상파이프(P)를 삽입연결시,
    상기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으로 인해, 외측관(30) 일측에서 외측관(30)과 내측관(40)을 상호간 일체로 연결하면서, 외주연에 확인홀(12)을 천공하고 있는 체결부재(10)의 확인홀(12)을 통해, 상기 삽입홀(H)에 위치되어 있던 육안식별부재(2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육안식별부재(20)의 돌출여부를 통해,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 및 체결여부가 외부에서 손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홀(12)의 육안식별부재(20) 돌출여부로 확인된 이후에는,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하여, 체결대상파이프(P)가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ㅈ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2.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외주연에 확인홀(12)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10)가 준비되는 단계(S100);
    상기 체결부재(10)의 내부에 육안식별부재(20)를 내설되되, 육안식별부재(20)는 링 형상의 링부재(21) 원주면에 연장돌출된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에 대응위치 또는 대응삽입되도록 하는 육안식별부재(20) 체결단계(S110);
    상기 체결부재(10)의 일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외측관(30)의 일단 소정길이가 내설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외측관(30) 체결단계(S120);
    상기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내측관(40)이 내설되되, 상기 내측관(40)이 외측관(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관(40)과 이중관 형태를 가져, 상기 내측관(40)과의 사이에 빈공간인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내측관(40) 체결단계(S130);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 시, 체결대상파이프(P)의 일단이 육안식별부재(20)를 가압하여 육안식별편(22)이 확인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삽입 및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체결단계(S140);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함으로써,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에 대응삽입되어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된 체결대상파이프(P)가, 상기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고정단계(S1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3. 양단이 개구된 투명재질의 체결부재(10)가 준비되는 단계(S200);
    상기 체결부재(10)의 일측에 양단이 개구된 외측관(30)의 일단 소정길이가 내설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외측관(30) 체결단계(S210);
    상기 체결부재(10)의 타측에서, 양단이 개구된 내측관(40)이 내설되되, 상기 내측관(40)이 외측관(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관(40)과 이중관 형태를 가져, 상기 내측관(40)과의 사이에 빈공간인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내측관(40) 체결단계(S220);
    상기 외측관(30)의 타단에서 삽입홀(H) 부분에 대응되도록 실링복합체(50)가 끼움결합되는 실링복합체(50) 체결단계(S230);
    상기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의 삽입홀(H)에 대응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될 시, 체결대상파이프(P)의 일단이 실링복합체(50)를 삽입홀(H) 내부로 밀어 가압하여 밀어넣음으로써,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된 삽입홀(H) 내측이 실링되도록 하고, 실링복합체(50) 및 체결대상파이프(P)의 삽입확인은 투명한 체결부재(10)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되어지는 체결대상파이프(P) 체결단계(S240);
    상기 외측관(30)을 가압함으로써, 외측관(30)과 내측관(40) 사이에 대응삽입되어 삽입 및 체결여부가 확인된 체결대상파이프(P)가, 상기 삽입홀(H) 내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대상파이프(P) 고정단계(S2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30)은
    수평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중단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체결대상파이프(P)를 삽입하는 위한 구성이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0)는
    상기 체결대상파이프(P)의 직경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체결부재(10)의 색상식별만으로도 체결가능한 체결대상파이프(P)의 직경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복합체(50) 체결단계(S230)에서의 실링복합체(50)는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홀(H)에 대응삽입되지 않는 경우,
    삽입홀(H) 일단을 밀폐함으로써, 삽입홀(H)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40)은
    체결대상파이프(P)가 삽입 후 탈거되지 않도록, 일단부 외주연에 체결대상파이프(P)의 체결방향으로 향해 라운딩지며 돌출되는 탈거 방지부(41)를 연속형성하고,
    체결대상파이프(P)와 내측관(40)과의 수밀을 위해, 오링이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오링 체결부(42)를 연속적으로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KR1020160127384A 2016-10-04 2016-10-04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KR10192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384A KR101926792B1 (ko) 2016-10-04 2016-10-04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384A KR101926792B1 (ko) 2016-10-04 2016-10-04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361A true KR20180037361A (ko) 2018-04-12
KR101926792B1 KR101926792B1 (ko) 2018-12-06

Family

ID=6196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384A KR101926792B1 (ko) 2016-10-04 2016-10-04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542Y1 (ko) * 2001-08-30 2001-12-20 주식회사 원플라텍 인서트를 가진 파이프 연결장치
JP3843288B2 (ja) * 2002-04-19 2006-11-08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
JP2011033158A (ja) * 2009-08-05 2011-02-17 Jfe Pipe Fitting Mfg Co Ltd 差込み式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92B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1328A (ko)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이용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램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TWI670440B (zh) 樹脂製管接頭構造
US927952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finger-tightened and ratchet-secured connections between conduits
ES2906159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tuberías
KR101404660B1 (ko)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KR102000018B1 (ko)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US20140265324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quick-connections with retaining features
EP3112735A1 (en) Joint unit
KR101612064B1 (ko) 초고진공 및 초고압력용 튜브피팅재
JP2004003607A (ja) 継手組立体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1871167B1 (ko) 외관돌출에 의한 육안과 촉감으로 파이프 완전삽입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US9163759B2 (en) Fitting connection including compression nut with retainer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101926792B1 (ko)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KR101871168B1 (ko) 육안식별부에 의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JPWO2013132585A1 (ja) リテーナ及び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KR20110011282A (ko) 배관의 투명 이음장치
KR101847777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143552B1 (ko) 관 연결구
JP4376583B2 (ja) 回転ヘッダー
KR20130092207A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JP6184011B2 (ja) 樹脂管用継手及び樹脂管用継手の識別方法
JP6913541B2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JP4573846B2 (ja) 変換継手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